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변 원리의 도식화와 요가 수련에의 적용

        안필섭(Ahn, Pilseop) 한국요가학회 2016 요가학연구 Vol.- No.16

        「요가경」을 중심으로 한 고전요가 체계는 상키야의 이원론 철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전변의 원리에 대해 상세히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 대상인 5대와 5유, 인식 도구인 5지근, 5작근, 마나스, 인식 주체인 아함카라와 붓디 등 푸루샤, 프라크리티와 함께 전변설을 이루는 원리 각각은 철학적 체계를 이루는 개념이다. 하지만 수행론을 표방하고 있는 고전요가 체계는 이러한 철학적 개념까지도 집중명상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전변의 원리와 같이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상은 감관의 대상이 되기에는 너무 미세하기 때문에 집중의 대상으로 삼기 위해서는 개념 그 자체의 형태에서 어떠한 변환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변의 원리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고려해 이에 대한 도식화 가능성을 「요가경」을 중심으로 하여 그 문헌적 근거를 찾는 작업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렇게 마련된 근거를 토대로 구체적인 도식화「요가경」을 중심으로 한 고전요가 체계는 상키야의 이원론 철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전변의 원리에 대해 상세히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 대상인 5대와 5유, 인식 도구인 5지근, 5작근, 마나스, 인식 주체인 아함카라와 붓디 등 푸루샤, 프라크리티와 함께 전변설을 이루는 원리 각각은 철학적 체계를 이루는 개념이다. 하지만 수행론을 표방하고 있는 고전요가 체계는 이러한 철학적 개념까지도 집중명상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전변의 원리와 같이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상은 감관의 대상이 되기에는 너무 미세하기 때문에 집중의 대상으로 삼기 위해서는 개념 그 자체의 형태에서 어떠한 변환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변의 원리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고려해 이에 대한 도식화 가능성을 「요가경」을 중심으로 하여 그 문헌적 근거를 찾는 작업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렇게 마련된 근거를 토대로 구체적인 도식화 방법을 모색한 후 이를 실제 수련에 적용하는 사례를 궁리함으로써 전 변의 원리가 어떻게 집중명상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The classical yoga system focusing on <Yogasutra> is mentioning the details of the principle of Parinama, while proactively accepting the dualism of Samkhya. The recognition target of 5 mahabhuta and 5 skandha; recognition tool of 5 buddhi-Indriya, 5 karma-Indriya and manas; recognition principal of purusa and prakrtiincluding buddhi and ahamkara; and each principle that creates the parina-ma-vada are the concept that makes up the philosophical system. However, the classical yoga system, which is advocating the theory of discipline, considers even those philosophical concepts as a target of concentrative meditation. However, since the targets composed of the concepts like the principle of the Parinama are too fine and minute to become the target of sense, some transformation process is additionally required in the form of a concept itself to consider the target as a target of concentration. This study starts with finding the literary grounds of the possibilities of diagraming the principles of Parinama focusing on the <Yogasutra>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principles of Parinama. It aimed to find the specific diagramming methods based on the grounds and identify how the principles of parinama can become the target of concentrative meditation by deliberating the examples of applying to the practical training.

      • KCI등재

        법구의 삼세실유설에 대한 비판과 그 의미- 『아비달마디-빠』의『수면품』을 중심으로

        황정일 ( Jung Il Hw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3 禪文化硏究 Vol.14 No.-

        본 연구는 유부의 4대 논사 중의 한 사람인 법구(Dharmatrata)의 삼세실유설을 둘러싼 여러 논서와 논사들의 평가를 통해, 법구설에 대한 비판과 그 의도를 살펴보자한 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법구설에 대한 세친의 비판과 중현의 반론을 중심으로 그 전후의 논서 및 논사들의 평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세친 이전의 유부 논서에서는 『大毘婆沙論』이 처음 법구설에 대해 문제제기를 했지만, 그 전후로 한 논서에서는 구체적인 비판을 찾을 수는 없었다. 다만 『雜阿毘曇心論』에서 “이것이 전변하는 살바다.”라는 내용이 있지만, 그 내용만으로 법구설이 샹캬(Samkhya)의 전변설(parinama)과 같다는 확증은 될 수 없음을 밝혔다. 그러나 세친은 법구설이 우중외도(雨衆外道, Varsaganya) 의 주장과 같다고 하여, 법구설을 샹캬의 전변설로 치부한다. 그리고 그 의도는 법구의 유부동설(類不同說)이 세우의 위부동설(位不同說)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즉 법구설을 샹캬의 전변설로 치부함으로써 유부의 정통설로 인정받는 세우의 설마저 샹캬의 전변설로 몰아가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이에 중현은 그 의도를 차단하기 위해, 법구설은 세우의 설과 다르지 않다고 전제하고서, 세친의 비판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현의 사상을 계승했다고 평가받는 『아비달마디 - 빠』의 저자인 디빠까라(dipakara)는, 법구설은 세친이 비판한 바와 같이 샹캬의 전변설과 같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는 디빠까라가 반드시 중현의 사상을 계승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반증하는 한 예가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비판의 의도는 당시 세력이 강성해진 대승불교와 외도들의 사상에 대항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즉 법구설로 인해, 타학파로부터의 오해의 여지를 없애고, 유부의 정통사상을 재확립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critics of Dharmatrata`s theory and their intents based on various treatises and assessments about the theory of real existence of the three time - periods of Dharmatrata, one of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existence school. This paper`s main exploration centers around the criticism of Vasubandhu about Dharmatrata`s theory and the counter - argument of Samghabhadra and covered related discussions and assessment of masters. As for discussions of the existence school prior to Vasubandhu, Abhidharma - mahavibhasa- sastra was the first to raise an objection to Dharmatrata`s theory. However, there was no other criticism of Dharmatrata`s theory before and after this objection. Still, Vasubandhu maintained that Dharmatrata`s theory was identical to Varsaganya`s maintenance, arguing that Dharmatrata`s theory should be identical to Samkhya`s theory of parinama. The intention might have been that Dharmatrata`s theory was not different from Vasumitra`s theory. This means that it was aimed to maintain that even the theory of Vasumitra was Samkhya`s theory of parinama by regarding Dharmatrata`s theory as Samkhya`s theory of parinama. Hence, Samghabhadra assumed that Dharmatrata`s theory was not different from Vasumitra`s theory in order to prevent the realization of such an intention and raised objections to criticism of Vasubandhu thoroughly one by one. However, Dipakara, often considered to be a successor of Samghabhadra`s thoughts maintained that Dharmatrata`s theory was no different from Samkhya`s theory of parinama, criticizing Dharmatrata`s theory. This disproves the maintenance that Dipakara necessarily succeeded Samghabhadra`s thoughts. Also, his intention was to counter - balance Mahayana Buddhism and non - buddhist teachings which became prevalent by then. In other words, the intention was to remove any misunderstanding of other schools arising from Dharmatrata`s theory and establish orthodox thoughts of the existence school.

      • KCI등재

        법구의 삼세실유설은 전변설인가⑴ : 세친의 비판과 중현의 반론을 중심으로

        황정일(Hwang, jung-il)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세친은 『구사론』을 통해, 유부의 사상을 비판한 대표적인 논사임에 반해, 중현은 ?순정리론?을 통해, 세친의 비판을 반론한 대표적인 논사이다. 그리고 이 비판과 반론에 있어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부분이 존재론, 즉 유부의 삼세실유론을 둘러싼 논쟁이다. 삼세실유론과 관련한 논쟁에서 가장 먼저 언급되는 것이 바로 법구의 설로, 세친은 그의 설을 샹캬의 전변설로 보지만 중현은 그의 설이 세우와 별반 다르지 않다고 반론한다. 사실 중현이 세친의 비판에 대해, 그와 같이 반론하는 가장 큰 이유는, 법구의 설이 샹캬의 전변설로 치부되면, 세우의 설 역시 그와 같은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 문이다. 법구의 설은 정말 샹캬의 전변설과 같은 것인가. 문제의 단초를 제공한 『대비바사론』이나 그 전후의 유부 논서를 보면, 법구의 설이 전변설이라고 단정할 수 있는 것은 없다. 다만, 『잡아비담심론』에서 법구의 설에 대해, ‘이것인 전변하는 살바다(존재)이다’고 하는 대목만이 유일하게 유추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세친은 확장된 샹캬의 전변설을 근거로 법구의 설을 샹캬의 전변설로 확정하고 나아가 그것을 근거로 세우의 설까지도 전변설의 한 유형으로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중현은 법구의 설은 세우의 설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하는데, 중현과 세친은 각각 샹캬의 전변설에 대한 다른 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Vasubandhu is a representative debater to criticize thought of Sarv?stiv?din in the Abhidharmako?abh??ya and Sa?ghabhadra is also a representative debater to make a counterargument against criticism of Vasubandhu through the Abhidharma-ny?y?nus?ra-??stra. And the sharp opinion taking issue about this criticism and counterargument is the ontology, that is to say, a dispute about the Three Time Periods Exist in Real of Sarv?stiv?dain. What is mentioned first about argument involved with the Three Time Periods Exist in Real is the very theory of Dharmatr?ta. Vasubandhu regards his theory, that is to say, the theory of Dharmatr?ta as the pari??ma of S??khya. But Sa?ghabhadra makes a counterargument that his theory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Vasumitra. The special reason Sa?ghabhadra set forth a counterargument like so, about criticism of Vasubandhu is the very that if the theory of Dharmatr?ta is treated as the pari??ma of S??khya, the theory of Vasumitra has also nothing to do but be received the criticism of the kind. Actually, Is the theory of Dharmatr?ta identical with the the pari??ma of S??khya? when it comes to the analyzing the Abhidharmamah ?vibh???-??stra and the text of Sarv?stiv?din, the theory of Dharmatr?ta is difficult to be identified with the pari??ma of S??khya. The phrase "this is the sattva of transformation" is the only part that the theory of Dharmatr?ta can be inferred about the pari??ma of S??khya about the theory of Dharmatr?ta in the Sa ?yukt ?bhidharma-h ?daya. But Vasubandhu is based on the expanded pari??ma of S??khya, and he is confident that the theory of Dharmatr?ta is the pari??ma of S??khya. And then he has a base on this theory, and has criticized that the theory of Vasumitra is also the one type of the pari??ma theory. However, Sa?ghabhadra says that the theory of Dharmatr?ta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theory of Vasumitra. We can concluded that both Sa?ghabhadra and Vasubandhu have a different premise of understanding the pari??ma of S??khya each other.

      • KCI등재

        상캬-요가 심리학의 입장에서 본 유식학의 심식설과 비교연구

        문을식(Eul Sik M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7

        상캬-요가 심리학에서 논의 범위는 자아의식과 지성이고, 이에 대응하는 유식학에 서는 제7 말나식과 제8 알라야식이다. 그리고 이 둘 사상 사이에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두 사상 사이에는 의외로 많은 부분에서 소통할 수 있는 많은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어쩌면 절대로 소통되지 않는 것도 있다. 두 사상 사이에는 어쩌면 서로 건널 수 없는 다리가 있는 것 같다. 그것은 서로의 틀은 유사하지만 상캬-요가 사상과 유식학의 자존적 근본 명제까지는 침범하지 못하였다. 전자는 자아가 궁극적 실재임을 절대로 양보하지 못했다면, 후자는 그와 같은 자아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유식학에서는 삼매에서 일어난 영상이 마음과 차이가 없다고 확고하게 주장하지만, 상캬-요가사상에서는 삼매의 직관적 지혜에서 직관의 대상으로 반영되는 뿌루샤가 마음과 다르지 않다고 확고하게 말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상캬 사상의 지성은 알라야식과 유사한 형태를 지닌 원리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상캬-요가사상과 유식학을 공평하게 말하면, 상캬-요가 사상의 관점에서 보면 ‘알라야식은 사이비 지성’이고, 유식학적 관점에서 보면 ‘지성은 사이비 알라야식’으로 간주될 수 있고, 또 자아의식과 제7 말나식의 관계도 그와 마찬가지로 보아야 할 것 같다. The discussed sphere of SamKhya-Yoga psychology is the ego consciousness (ahamkara) and intellect(buddhi), the Yogacara is the mono[-nama-]vijnana and alayavijana. And then we can see possibilities of th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etween the two ideological explores. As a result, two thoughts is surprisingly able to find them. Nonetheless, Both is not communication as well. Between two thoughts seem to be a bridge which can not cross. It is similar to their framework, the Samkhyayoga and Yogacara thought have never been invade to a self-respective fundamental proposition. The former conceded the ultimate ego, the latter did not acknowledge such ego. Therefore Yogacara declares that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ion and mind, but the Samkhya-Yoga philosophy certainly assert which is not different between the mind(citta) and the Purusa(pure mind) is reflected the objective of intuitive knowledge(prajna). In this respect, we able to see similar principles between the buddhi and ahankara of the Samkhya-Yoga philosophy and the alayavijnana and manovijnana of Yogacara. If we speak without prejudice the Samkhya-Yoga philosophy and Yogacara, ‘the alayavijnana is pseud-buddhi’ in the viewpoint of the Samkhya-Yoga philosophy, ‘buddhi is pseud-alayavijnana’ in the viewpoint of Yogacara, also the ahamkara and mano[-nama-]vijnana is a samen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