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하대 효공왕의 헌강왕 서자설 재검토

        선석열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2

        이 글은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하여 효공왕이 헌강왕의 서자라고 보는 것에 대해 재검토한 것이다. 헌강왕은 순행하는 도중에 아름다운 여자를 만나 야합하여 효공왕을 낳았다고 전한다. 효공왕이 즉위한 후에 어머니를 의명왕태후로 책봉하였는데, 연구자들은 의명왕태후가 효공왕의 어머니가 아니라고 보았다. 898년 무렵 최치원이 찬술한 불국사 관련 기록에 왕비 김씨가 등장하는데, 헌강왕의 왕비이다. 왕비 김씨의 아버지는 관등이 이찬으로 진골 귀족이었다. 헌강왕은 왕비가 두 명이었다. 첫째 왕비는 의성부인과 계아부인을 낳았으나, 해당 기록에 이름이 전한지 않는다. 둘째 왕비는 883년에 헌강왕을 만나 효공왕을 낳았으며, 왕비 김씨로 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삼국사기』에는 왕의 어머니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헌강왕의 왕비인 의명왕후는 왕비 김씨로서 효공왕의 어머니이다. 왕비 역시 진골 신분이었으므로, 아들 효공왕은 서자가 아니라 적자였다. 효공왕 이후 왕실에 적자가 없고 부마가 김효종과 박경휘 두 명이 있었다. 박경휘가 김효종을 누르고 왕위에 올랐다. 5세기 눌지왕 이래로 박씨가 왕이 될 수 없었으나, 912년 효공왕이 사망한 후에 박씨가 왕위에 올랐다. 그들은 왕위계승을 정당화하기 위해 효공왕을 서자로 조작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he general opinion that King Hyogong was a bastard son of King Heongang. The record volume of Samguk-Sagi as follows : King Heongang had intercourse with a Beauty when he made a tour, and gave birth to Kim Yo(King Hyogong). After King Hyogong was accession to the throne, he investitured his mother as the Queen Mother Euimyeong. The researchers say that she was not his biological mother. But King Hyogong's biological mother was a Beauty whose father held Aristocracy Jingol and filled the official rank of Ichan, and who was called Queen Kim in records of Bulguksa written by Choi Chi-won toward 898. King Heongang had the queen of the two to give birth to son. The first queen has two daughters, but her name not reported on records. The second queen had met the king in 883 and gave birth to the Prince Kim Yo in 885. In general, the mother of the king were recorded in Samguk-Sagi. Therefore, King Hyogong's mother was the Queen Mother Euimyeong as King Heongang's queen. There were no deficit to the royal family and were the son-in-law of the two since King Hyogong, Park Kyeong-hwi pushes Kim Hyo-jong and took the throne. Nevertheless, what was the reason they call King Heongang stepped forward?. Despite the fact can not be the king since the fifth century A.D., Park of noble blood came to the throne in 912. They distorted him a bastard to justify their own the throne succession.

      • KCI등재

        신라 하대 효공왕의 헌강왕 서자설 재검토

        선석열 ( Seok Yeol Seo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2

        이 글은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하여 효공왕이 헌강왕의 서자라고 보는 것에 대해 재검토한 것이다. 헌강왕은 순행하는 도중에 아름다운 여자를 만나 야합하여 효공왕을 낳았다고 전한다. 효공왕이 즉 위한 후에 어머니를 의명왕태후로 책봉하였는데, 연구자들은 의명왕태후가 효공왕의 어머니가 아니라고 보았다. 898년 무렵 최치원이 찬술한 불국사 관련 기록에 왕비 김씨가 등장하는데, 헌강왕의 왕비이다. 왕비 김씨의 아버지는 관등이 이찬으로 진골 귀족이었다. 헌강왕은 왕비가 두 명이었다. 첫째 왕비는 의성부인과 계아부인을 낳았으나, 해당 기록에 이름이 전한지 않는다. 둘째 왕비는 883년에 헌강왕을 만나 효공왕을 낳았으며, 왕비 김씨로 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삼국사기』에는 왕의 어머니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헌강왕의 왕비인 의명왕후는 왕비 김씨로서 효공왕의 어머니이다. 왕비 역시 진골 신분이었으므로, 아들 효공왕은 서자가 아니라 적자였다. 효공왕 이후 왕실에 적자가 없고 부마가 김효종과 박경휘 두 명이 있었다. 박경휘가 김효종을 누르고 왕위에 올랐다. 5세기 눌지왕 이래로 박씨가 왕이 될수 없었으나, 912년 효공왕이 사망한 후에 박씨가 왕위에 올랐다. 그들은 왕위계승을 정당화하기 위해 효공왕을 서자로 조작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he general opinion that King Hyogong was a bastard son of King Heongang. The record volume of Samguk-Sagi as follows : King Heongang had intercourse with a Beauty when he made a tour, and gave birth to Kim Yo(King Hyogong). After King Hyogong was accession to the throne, he investitured his mother as the Queen Mother Euimyeong. The researchers say that she was not his biological mother. But King Hyogong``s biological mother was a Beauty whose father held Aristocracy Jingol and filled the official rank of Ichan, and who was called Queen Kim in records of Bulguksa written by Choi Chi-won toward 898. King Heongang had the queen of the two to give birth to son. The first queen has two daughters, but her name not reported on records. The second queen had met the king in 883 and gave birth to the Prince Kim Yo in 885. In general, the mother of the king were recorded in Samguk-Sagi. Therefore, King Hyogong`s mother was the Queen Mother Euimyeong as King Heongang`s queen. There were no deficit to the royal family and were the son-in-law of the two since King Hyogong, Park Kyeong-hwi pushes Kim Hyo-jong and took the throne. Nevertheless, what was the reason they call King Heongang stepped forward?. Despite the fact can not be the king since the fifth century A.D., Park of noble blood came to the throne in 912. They distorted him a bastard to justify their own the throne succession.

      • KCI등재

        신라 憲康王과 義明王后, 그리고 ‘野合’과 孝恭王 : 특히 신라말 ‘非眞骨王’의 등장과 관련하여

        김창겸(金昌謙)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2

        이 글은 신라 헌강왕과 그의 여인들, 그리고 효공왕의 즉위가 갖는 역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전하는 자료에서 확인되는 헌강왕의 여인으로는 의명왕후, 수원 권씨, 요(효공왕)를 낳은 생모 김씨 등이 있었다. 이 중에서 효공왕의 생모는 왕족도 진골귀족도 아니었고, 게다가 헌강왕과 야합으로 아들 요를 낳았으나 궁궐 밖에서 키워야만 하였다. 또 효공왕은 즉위 후 자신의 생모가 아니라 헌강왕의 정식 왕비인 의명왕후를 의명왕태후로 책봉하였다. 신라 골품제의 원리에서 진골이 아닌 생모가 낳은 효공왕도 진골이 아니었다. 효공왕이 즉위한 것은 골법의 특이성이라는 왕실 혈통, 즉 오로지 왕족이라는 신성성만을 내세워 비상조치로써 이루어진 왕위계승이었다. 이것은 신라 왕위계승에서 오직 왕의 아들이라는 혈통의 신성성만 강조되고, 골품제 규정은 기능을 상실하고 소멸되었음을 의미한다. 결국 헌강왕과 비진골 김씨녀의 야합으로 출생한 효공왕의 즉위는 신라왕위계승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던 요인 중의 하나인 골품제 규정을 소멸시키는 중요한 분기점이었으며, 이는 골품제의 바탕 위에 존립하였던 김씨 신라왕조의 종말이었다.

      • KCI등재

        신라 憲康王과 義明王后, 그리고 ‘野合’과 孝恭王-특히 신라말 ‘非眞骨王’의 등장과 관련하여-

        김창겸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2

        이 글은 신라 헌강왕과 그의 여인들, 그리고 효공왕의 즉위가 갖는 역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전하는 자료에서 확인되는 헌강왕의 여인으로는 의명왕후, 수원 권씨, 요(효공왕)를 낳은 생모 김씨 등이 있었다. 이 중에서 효공왕의 생모는 왕족도 진골귀족도 아니었고, 게다가 헌강왕과 야합으로 아들 요를 낳았으나 궁궐 밖에서 키워야만 하였다. 또 효공왕은 즉위 후 자신의 생모가 아니라 헌강왕의 정식 왕비인 의명왕후를 의명왕태후로 책봉하였다. 신라 골품제의 원리에서 진골이 아닌 생모가 낳은 효공왕도 진골이 아니었다. 효공왕이 즉위한 것은 골법의 특이성이라는 왕실 혈통, 즉 오로지 왕족이라는 신성성만을 내세워 비상조치로써 이루어진 왕위계승이었다. 이것은 신라 왕위계승에서 오직 왕의 아들이라는 혈통의 신성성만 강조되고, 골품제 규정은 기능을 상실하고 소멸되었음을 의미한다. 결국 헌강왕과 비진골 김씨녀의 야합으로 출생한 효공왕의 즉위는 신라 왕위계승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던 요인 중의 하나인 골품제 규정을 소멸시키는 중요한 분기점이었으며, 이는 골품제의 바탕 위에 존립하였던 김씨 신라왕조의 종말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