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은퇴 및 비은퇴자들간의 의료사용의 영향에 관한 연구

        손용진(Yong Jin Son) 한국노인복지학회 2004 노인복지연구 Vol.0 No.26

        한국노동연구원이 수집한 전국규모의 60세 이상 확률적 표본 중에서 918명의 은퇴자와 비온 퇴자 인구를 사용하여 공적 의료기관사용에 관한 요인을 분석했다. 이변량분석 결과, 은퇴자일수록 남자일 경우와, 70세 이상일 경우가 많았고, 학력이 높았으며, 장애가 있었고, 피부양자 자격으로 의료보험을 소지하고 있었다. 은퇴집단에서 유병률이 높았고, 건강이 `아주 안좋다`라고 응답했으나, 오히려 건강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집단 중에서 의료 기관을 한 번이라도 사용한 적이 있는 사람들의 비율이 높았지만, 이러한 결과는 비은퇴 집단에서도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 이변량분석을 통한 은퇴여부와 의료사용여부는 통계적인 관련성이 없었다. 순차적 로짓 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의료사용여부에 관련된, 사회인구학적 변인, 건강관련 변수, 및 건강관련행위 변수를 각각 순차적으로 투입했다. 모든 변수를 고려한 전체표본의 최종 모델에서 지병이 있을 때 의료사용의 오즈비(odds ratio)가 매우 높았으며, 스스로 평가한 건강이 `건강한 편`이라고 응답한 사람일수록 `건강이 아주 안 좋음`에 비해 의료사용 오즈비가 낮았다. 한편, 은퇴를 한 표본에서는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고 있을 때와 의료보험을 소지하고 있었을 때가 의료기관사용의 오즈비가 매우 높았으나. 은퇴집단과 달리, 은퇴를 하지 않은 표본에서는 흡연을 할수록 오히려 의료기관을 사용할 오즈가 낮았다. 본 연구가 갖는 정책적 함의는 노인인구가 이질적인 다양성을 가진 집단이며, 은퇴유무는 의료사용에 관련이 없고 유병률, 의료보험, 건강관련행위 등의 다른 요인에 의해 의료사용이 좌우되므로, 이에 따른 선별적 노인의료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what factors were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using a sample of 918 both the retired and non-retired elderly aged 60 and over. At the bivariate analyses, the sampled retired elderly were more engaged in health-enhancing behaviors, although they rated their health status as very bad. This implied that the non-retired elderly may emerge as the highly potential formal health care user group. Contrary to expectanc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ormal health care usage between two groups. This showed that regardless of retirement status the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was related to other factors such as health-related behaviors, health status, and health conditions. The results of sequential logit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having disease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contributing to health services use. When the retired sample was only considered, having regular health check-up and the availability of health insura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usage of health services. In contrast, among the non-retired sample, smokers were a lower likelihood of using health services. It appeared that the retired population tended to use formal health services due to the availability of universal health insurance program, whereas smokers in the non-retired sample may increase the formal health services due to health-impairing behavior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s part of health maintenance program, the introduction of health-promoting programs and services may act as containing the frequency of formal health servic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개별연금 가입여부 및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결정요인 분석

        나혜림(Hyerim Na),최현자(Hyuncha Choe) 한국FP학회 201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7 No.4

        본 연구는 은퇴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연금가입행동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하여 공적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가입여부를 바탕으로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유형을 분류하고, 개별연금 가입여부의 결정요인을 알아본 뒤,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결정요인 분석에 있어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본적인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재무적 특성 이외에도 연금퍼즐 및 은퇴준비 제약비용 관련 특성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공적연금에 비해 사적연금의 가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11.2%의 응답자가 어떠한 연금에도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노후소득 보장을 위해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균형적인 보유를 유도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개별연금 가입여부의 경우,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연금퍼즐 특성, 은퇴준비 제약비용 특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이행을 바탕으로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가장 바람직한 유형인 다층보장형의 경우, 연령이 낮고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지니며 총자산이 많고 가입한 보장성 보험의 개수가 많을수록 공적연금과 퇴직연금을 가입한 상태에서 개인연금까지 가입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소비자의 안정적인 다층연금체계 구축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금시장뿐만 아니라 의료보험시장, 주택시장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것, 자녀에 대한 상속 및 지원의 욕구와 노후준비 간의 균형을 유도할 것, 연금가입의 사각지대에 있는 저학력자와 고령자를 배려한 재무 교육 및 상담을 진행할 것 등을 제안한다. This study categorized the purchasing patterns of public pension, retirement plan, and private annuity and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ach pension ownership and the purchasing patterns of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ith regard to pension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annuity puzzle and financial constraints on retirement preparation in addition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financial facto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were less likely to join a private pension as compared to a public pension, and the group which did not have a pension accounted for 11.9 percent of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Thus, an approach to convince consumers to buy into public and private pensions at a proper balance is needed. Second, types of pension ownership depended on the socio-demographic, annuity puzzle, and financial constraints on retirement preparation characteristics. Lastly, this study analyzed the purchasing patterns of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based on phased transitions. The result showed that those who were younger, had more education and assets, and who had more insurance coverage were more likely to have three types of pensions, i.e., public, retirement pensions, and private annu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the annuity market but also medical insurance and the housing market when analyzing annuity ownership, to provide financial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ose with lower education levels and for the elderly, and to induce balance between desire of supporting children including bequest motives and retirement preparation to lead consumers to build a stable multi-pillar pension system.

      • KCI등재

        성인자녀와의 관계가 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송지은(Jieun Song),Nadine F. Marks 한국노년학회 2006 한국노년학 Vol.26 No.3

        다수의 선행연구들이 사회적 관계와 정신건강의 밀접한 관련성을 입증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성인자녀와의 관계가 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미국 내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성인자녀와의 관계의 다양한 측면이 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이에 부모의 은퇴여부가 미치는 중재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성인자녀와의 관계 특성이 미국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대표성 있는 종단자료인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 (T1: 1987-1988; T2: 1992-1993)의 응답자중 50세 이상이며, 자녀가 모두 성인기에 있는 1,257명의 부모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T1 시점에서 성인자녀와의 전반적 관계를 낮게 평가한 부모들은 이후 우울감의 증가, 행복감의 감소, 낮은 심리적 복지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자녀와의 빈번한 대화는 부모의 낮은 심리적 복지감과 관련되었으며, 성인자녀의 경제적 어려움은 부모의 행복감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1과 T2 사이에 은퇴 전이를 경험한 부모들은 근접 거리에 거주하는 성인자녀가 있는 경우 우울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자녀와의 동거 경험은 부모의 우울감의 증가 및 낮은 심리적 복지감과 관련되었다. 반면, T1과 T2에 걸친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은퇴 상태였던 부모들은 성인자녀와의 동거 경험이 우울감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은 부모-성인자녀 관계의 다양한 측면들이 미국 노인들의 정신건강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입증하는 바이며, 일부 유의하게 나타난 은퇴여부의 중재효과는 부모-성인자녀 관계의 특정한 측면들이 취업상태인 부모들에 비해 은퇴한 부모들의 정신건강에 더욱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암시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s and mental health among parents, with moderating effects of retirement status on these associations. OLS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using data from 1,257 parents in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 (T1: 1987-88; T2: 1992-93). Results indicated that poor relationship with an adult child was associated with a greater increase in depression, a greater decrease in happiness, and low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ness over time. Communication was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ness of parents. Economic stress of adult children was linked to a greater decrease in happiness of parents. Proximity was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depression of newly retired parents compared to continuously working parents. Gaining coresident adult children between T1 and T2 was associated with a greater increase in depression of parents. Having coresident adult children exit the household between T1 and T2 was linked to low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ness of parents; however, it was also associated with somewhat decrease in depression among continuously retired parents compared to continuously working parents. Findings suggest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s are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of older parents over time, sometimes contingent on their retirement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