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불교의 탈불교화 과정에 대한 연구

        원영상 ( Yong-sang 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6 신종교연구 Vol.35 No.-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는 원불교 교단의 정체성은 물론 원불교의 현재와 미래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안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원불교교헌 개정을 둘러싸고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논쟁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기도 하다. 이 과정 속에서 필자는 원불교의 역사를 통해 왜 원불교가 탈불교화의 길을 걷게 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 제기는 물론 소태산 박중빈의 깨달음에 의해 세워진 불법연구회가 전통적인 불법을 계승하고 있다는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관을 제시한 다음, 초기 교서인 『』불교정전(佛敎正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기 교단, 즉 불법연구회는 불교 결사운동의 현대적인 활동임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1948년 원불교의 교명 전환이 이루어진 후, 불교와의 거리두기가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1962년 발포된 「불교재산관리법」에 제한받지 않기 위해 교단 스스로 제출한, 불교와의 관계를 단절하기 위한 정부청원을 계기로 탈불교화가 가속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원불교교헌」의 변천과정에서 드러난 불교에 대한 관점을 통해 살펴보았다. 원불교 교단의 출발과 함께 제정된 초기 교헌으로부터 현재의 교헌까지는 불교의 진리관과 세계관을 계승하고 있으며, 특히 불교와의 관계를 강조한 연원불(淵源佛) 조항은 이점을 잘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90년대 원불교 최고결의기관인 수위단회에서도 불교와의 관계에 대해 원불교의 입장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원불교의 탈불교화에 대한 의식은 일련의 역사적 과정에서 파생된 것이며, 불교와 원불교의 내적 일치를 공식적으로 천명한 교조 및 교단의 입장으로부터도 벗어난 것임을 알 수 있다. The relation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may be one of important factors to decide not only the identity of the Won-Buddhist Order but also the orientation of the present and future of Won-Buddhism. Recently it is also emerging up as a heart issue among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of Won-Buddhism. From such perspective, I tried to elucidate why Won-Buddhism walked a path of de-Buddhistization through the history of Won-Buddhism. This presentation of an issue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established by Sotaesan Park Jungbin`s enlightenment had succeeded to the traditional Buddhadharma. Accordingly I suggested the Buddhist view of Sotaesan Park Jungbin first, and then analyzed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as a scripture of early times. And I suggested tha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as an early Order, was modern activities of the Buddhist association movement. Nevertheless, after the title of Won-Buddhism has changed in 1948, the Order`s keeping distance from Buddhism had appeared. Especially in order not to be restricted by The Buddhist Property Management Law declared in 1962, the Order itself presented a petition to the government to sever the relation with Buddhism. From such incident the de-Buddhistization accelerated. As well, it examined the Order`s perspective on Buddhism which was revealed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Constitution of Won-Buddhism. From the early Constitution,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with the Order`s founding, to the present Constitution, the Won-Buddhist Order has inherited the truth view and the world view of Buddhism. Especially the article of The Buddha of an Original Guide shows this point very well. Moreover, in 1990`s the Supreme Dharma Council, the Won-Buddhist highest resolution organization, elucidated clearly the Won-Buddhist standpoint about the relation with Buddhism. Accordingly, the recent Won-Buddhist awareness about the de-Buddhistization was derived from a series of historical process, and devia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Order which officially declared the unity of Buddhism and Won-Buddhism.

      • KCI등재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의 전개, 그 특징과 의의

        오세영 한국신종교학회 2020 신종교연구 Vol.42 No.-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 of lack of evaluation and academic research efforts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s been developed in A, and to examine its features and significance. To achieve this goal, the background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was examined in terms of political, socio-economic and ideological aspects, and the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developed at that time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n-Buddhism’s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has developed direct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s policy response due to changes in the regime, IMF economic crisis, low birth rate and aging. Second, Won-Buddhism’s social welfare was influenced by the perceptions of the welfare issues of the left mountain workers and the economy. Third,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parish unit social welfare corporation according to the ‘nationalization of welfare’ has left many problems by choosing to separate from an existing corporation rather than to establish a new corporation. Fourth, the Korean Overseas Koreans Support Project of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Council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overseas business of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Chinese and North Korean cultivation. Lastly, the development of non-profit organizations created on the ideological basis of Won-Buddhism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base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Despi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Jwa-San Era’s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s left many challenges. 본 연구는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의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평가와 학문적 연구의 노력이 미흡하였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가 어떻게전개되어 왔는가를 고찰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달성하기 위하여 좌산종사시대의 원불교사회복지의 배경을 정치적, 사회⋅경제적 및사상적 측면에서 살펴본 후, 그 시기에 전개된 원불교사회복지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의 원불교사회복지는 정권의 변화, IMF 경제위기, 저출산⋅고령화 등의 변화에 따른 정부의 정책적 대응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으면서 발전해왔다. 둘째,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원불교사회복지는 좌산종사의 복지문제에 대한 인식과 경륜의 영향을 받았다. 셋째, ‘복지의 전국화’경륜에 따른 교구단위 사회복지법인 설립방식은 기존의 법인으로부터분리하는 방식을 택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남겼다. 넷째, 원불교사회복지협의회의한민족해외동포지원사업은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해외사업 개발과 중국 및 북한교화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의 사상적 기반위에서 생겨난 비영리조직의 발전은 원불교사회복지의 저변을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원불교사회복지의 특징과 의의에도 불구하고 좌산시대에 있어서의 원불교사회복지는 많은 과제를 남겼다.

      • 원불교와 사회복지

        서윤(Yoon Seo)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7 종교문화학보 Vol.4 No.-

        원불교의 개교 동기는 파란 고해의 일체 생령을 광대무량한 낙원으로 인도하고자 함이다. 광대무량한 낙원은 현대사회가 추구하는 복지사회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또 원불교는 ‘교화, 교육, 자선’을 3대 사업 목표로 하고 있는데, 자선의 현대적 개념은 사회복지로, 원불교에서는 사회복지를 3대 실천사업 목표의 하나로 설정하여 일찍부터 실현시켜오고 있다. 이렇듯 원불교는 개교 자체가 사회복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개교 이래 지금까지 사회복지활동을 활발히 전개해오고 있다. 본 논문은 원불교 사회복지의 근간이 되는 원불교 사회복지 이념과 사회복지관을 주요 교리에 바탕하여 살펴보고, 이념을 구현하는 사회복지활동을 원불교 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불교의 사회복지 이념은 개교의 동기, 일원상 진리, 사은, 삼학, 사요에 근거하여 찾아보았다. 개교의 동기는 원불교 사회복지의 궁극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고, 일원상 진리와 사은은 원불교의 이념적 사회복지 이념, 삼학과 사요는 실천적 사회복지 이념이라고 할 수 있다. 원불교 사회복지관은 일원주의, 평등주의, 상생주의, 자력주의, 봉공주의를 제시하였다. 원불교 사회복지의 역사는 광복 직후의 전재동포 구호활동으로부터 출발하였고, 1970년대까지는 요보호노인과 아동을 대상으로 양로시설과 아동양육시설(고아원)을 중심으로 한 시설보호형태의 사업을 주로 전개하였다. 1980년대부터 대상과 서비스 유형이 다양화하기 시작하여 종전의 노인과 아동 중심의 시설보호사업에서 장애인, 정신보건사회사업, 상담 분야로 확대하여 많은 다양한 대상을 위한 사회복지사업을 전개하였다. 현재 13개 사회복지법인과 170개소의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이 설치ㆍ운영되고 있다. 원불교 사회복지사업은 총괄 부서인 교정원 공익복지부에 의해 중앙관리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교단 내적으로 원불교 교역자를 위한 사회복지제도는 요양ㆍ휴양ㆍ정양과 정년퇴임 이후의 노후정양에 대한 보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원불교 사회복지사업의 발전을 위한 과제로는, 첫째, 사회복지사업주체의 다양화와 저변 확대, 둘째, 사회복지사업의 운영책임자를 출가 교역자 중심에서 재가교도로 확대, 셋째, 사회복지사업의 지역 격차 해소를 제시하였다. The Founding Motive of the Teaching of Won Buddhism is to lead all sentient beings, who are drowning in the sea of suffering, to a vast and immeasurable paradise which can be welfare society modern society want to pursue. The Three Work Objects of Won Buddhism are Enlightenment, Education, and Charity. Charity of them in a general idea of modern society is the Social Welfare which is one of three practical work objects of Won Buddhism and is been taking to become welfare and benefit for people. Like this, as founding motive of teaching of Won Buddhism, itself comes from for social welfare and from founding to now it has been practicing for people actively. This thesis is studied in the ideology and a view of social welfare of Won Buddhism based of it and activity of Won Buddhism social welfare embodying it's ideology through with the history and present state of it. The main contents are like following detail. Ideology of Won Buddhism social welfare is searched by based on The Founding Motive of the Teaching, The Truth of Il-Won-Sang, The Fourfold Grace, The Four Essential, and The Threefold Study. The Founding Motive of the Teaching can be indicated a final object of Won Buddhism social welfare, The Truth of Il-Won-Sang and The Fourfold Grace can be indicated the ideology of ideological Won Buddhism social welfare, and The Four Essential and The Threefold Study can be indicated the ideology of practical Won Buddhism social welfare. A view of Won Buddhism social welfare shows the principle of Il-won, the principle of equality, the principle of compatibility, the principle of self-power, and the principle of public service. History of Won Buddhism social welfare has started right after Korean independence with from working the Relief work for War refugees , from in 1970 mainly worked kinds of asylums for the old ages and orphans, and as a lot of changing social members and services, from in 1980 worked and extended to care of the handicapped and the health mental problem, and counsel and serve more different social welfare services. So presently 13 judical corporations of social welfare and 170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of social welfare are well been establishing and operating by center control system of The Dept. of public welfare of Won Buddhism H.P. Internal systems of social welfare of Won Buddhism for Won Buddhist priests are accomplished of serving for recuperation, recreation, convalesce and retire rest. For future, questions of Won Buddhism social welfare will be developed are the first is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work of social welfare and the low-est stratum extended, the second is extending a responsible manager of the work of social welfare from the Won Buddhist priest to the Won Buddhist home priest, and the third is recommending a answer of the regional disparity of the work of social welfare.

      • KCI등재후보

        원불교학의 범주와 개념 연구

        김성장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5 No.-

        원불교학은 이제 발전시켜나가야 할 새로운 개척학문이다. 원불교학의 범주와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먼저 원불교학의 형성과정을 1. 원불교학 잉태기 2. 원불교학 태동기 3. 원불교학명 독립기 4. 원불교학연구 기반 확립기 등 4단계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원불교학 개념연구의 현황과 원불교학 개념으로 인식된 용어들의 한계를 논함으로써, 학문 발달단계에서 볼 때 이제 원불교학은 초기단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불교학의 범주 정립의 기본 방향은 첫째 동양 전통사상과의 관계정립, 둘째 불교와의 관계 정립, 셋째 인접학문과의 학제간 연구 분야와의 관계 설정, 넷째 원불교 교리사상의 보편화 작업, 다섯째 원불교학에 대한 연구방법론 개발 등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신앙과 수행 깨달음이라는 새로운 종교적 태도를 확립하고, 실존적 삶 속에서 깨달음에 이를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원불교학의 범주는 앞으로 많은 연구와 토론을 전제로 필자가 그동안 연마한 것을 종합하여 22가지 내용으로 1. 기초교학, 2. 원불교 경전학, 3. 사상 및 교리학(理論敎學), 4. 교의학(敎義學), 5. 신앙론, 6. 수행론, 7. 인과론, 8. 교화학, 9. 설교학, 10. 원불교 심리학 및 교화상담학, 11. 실증교학, 12. 응용교학, 13. 원불교역사학, 14. 교조(소태산)학, 15. 예전 의례학, 16. 성가학, 17. 교헌 법제학, 18. 원불교 선학, 19. 원불교불 공학, 20. 원불교 신문·방송·통신·영상학, 21. 원불교 문학·예술·출판·문화학, 22. 원불교 사전학 등이다. 지금까지 논거를 토대로 원불교학의 개념을 정리하면, 유불선 삼교와 관련된 기초교학으로부터 응용교학에 이르기까지 교조 소태산과 일원상 진리, 원불교 교리, 사상, 문화, 역사, 인물, 신앙, 수행 등 원불교적인 주제나 원불교자료로 분류할 수 있는 모든 범주의 학문을 대상으로 전문적이고 학술적이며 수행 실천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The Won-Buddhist studies is a newly establishing field of science. In the condition of unsettled concept of the Won-Buddhist studies, it is categorized into twenty-two in general. The concept of Won-Buddhist studies can be defined as the sciences which are specifically,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researching all categories of sciences regarding Won-Buddhist subjects and materials, including basic doctrinal studies, applied doctrinal studies, Sotaesan and Il-Won-Sang truth, Won-Buddhist tenet, thought, culture, history, person, belief, practice and so on.

      • 『圓佛敎 敎典』을 통해서 본 圓佛敎의 障碍人觀

        강일조 한국원불교학회 2002 圓佛敎學 Vol.8 No.-

        장애인복지의 발전 수준은 그 시대 중심부에 있는 장애인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다시 말하여 장애인관은 장애인복지 발전의 중요한 변수가 된다. 그러므로 장애인관 연구는 장애현상의 통합적인 이해와 더불어 장애인복지 전략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성장 발전하고 있는 종교집단이 장애인에 대해서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관심을 가지고, 20세기 초반 한국에서 생성하여 단일 교과의 하나로 발전하고 있는 원불교의 장애인관을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불교 경전에서 장애현상과 원인에 대한 인식, 신체나 정신에 대한 인식 등을 엿볼 수 있는 기록을 수집하고 조직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장애현상과 장애인 문제를 인식의 차원에서 설명하는 분리이론, 상품이론, 재활이론, 편견이론, 정책부재이론 등의 관점을 통해 다양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원불교 교전에 나타난 견해로는 첫째, 장애현상을 불완전한 상태인 불구로 보고 있다. 둘째, 장애원인에 대해서는 윤회사상을 기저에 깔고 전생의 업보를 장애원인으로 보는 인과응보에 수렴되고 있다. 셋째, 장애를 인식하게 하는 신체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역할을 통해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필수조건으로 보고 있다. 즉 완전하고 도덕적인 인간이 되기 위한 핵심적인 도구이며, 자력 생활을 위한 기관으로서 인간의 가치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자본이 되는 것으로 본다. 넷째, 장애의 개념에 대해서는 손상을 입어 육체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능력장애의 차원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한국의 장애인복지법에서 해부학적 의료적 기준으로 정의하는 장애 개념과 대체로 유사하다. 이상의 네 가지 해석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원불교의 견해가 재활이론의 관점에서 보는 견해와 상당히 일치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상품이론의 관점에서 보는 견해도 일부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견이론을 통해 원불교의 장애인관 현성 배경을 설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장애현상에 대한 이해 및 장애인복지실천과 관련해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것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불교 장애인관을 장애설명이론을 가지고 설명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우리 시대의 장애인관 형성에 종교적 신념이 일정 정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가설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장애설명이론을 조직한 본 연구의 분석 틀이 특정집단이나 특정시대의 장애인관을 분석하는데 유용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장애인복지 인프라 확대와 종교의 사회참여확대와 관련해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국제적인 수준에서 권고되는 장애인에 대한 견해를 반영한 원불교 장애인관 정립을 중요한 과제로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성직자와 신도들의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A view of social toward the handicapped decided quality of welfare for them. That is, the thing becomes a major variable on developing of welfare for the handicapped. Therefore, studies on a view toward the handicapped are offered important commencements in regards to understand on the appearance of handicapping and to develop of strategy on welfare for the handicap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iews toward the handicapped of the Won-Buddhist developing in the solo denomination formed early twentieth century in Korea In order to complete this purpose, I have collected and consisted of documents appeared recognition to the appearance of handicapping and causes, that to body and soul in the Won-Buddhist. The document on my collecting and consisting tried to interpret variably that is to explain the appearance of handicapping and problems with the handicapped at the recognition in a view of separate theory, goods theory, rehabilitation theory, prejudice theory, social policy absented theory and so on. The main contents of the paper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ppearance of handicapping is recognized the deformity of instability in the Won-Buddhist scriptures. Second, the rotation(Samsa~ra) connotes that previous incarnation(Karma) about the cause has deformed and it comes close to retribution. Third, They think that body is requirement making a valuable role in society. So to speak, it is a core tool in order to be perfect, moral human, and capitalizes with an organ so to realize human merit for independent living importantly. Fourth, also they recognize disabilities as no showing body's function damaged to handicapped conception. This corresponds generally to the conception of handicapped defined on 「The Law of Welfare for the Disabled」 in Korea. Through above four interpretation, I could found that a view of the Won-Buddhist toward the handicapped corresponds with the view of rehabilitation theory and it corresponds the view of goods theory partly. Also, I could explain the background with a view of the Won-Buddhist with the view of prejudice theory. The result of this paper have posed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in regards to the understanding on the appearance of handicapping and the welfare for the handicapped. First, it could not only explain the handicapped view of Won-Buddhist in the aspect of the handicapping explanation theory but also could to reason a hypothesis that religious belief shall influence to formed of handicapping explanation theory at rate. Second, it could found that the framework of this paper formed in the handicapping explanation theory could use in analyzing the handicapped view appeared at specific group and specific period serviceably. Third, it has given practical agreement in the degree of spreading the handicapped welfare infra and spreading social participation of religion. Abstractly, it has recognized the handicapped view in recommending internationally, representing the position for the handicapped view of the Won-Buddhist to the important task, also shown off the systematic necessity of effort between the saint and the subject in order to improve the attitudes toward the handicapped.

      • 원불교의 세계화와 종교적 정체성

        권동우(Dongwoo Kwo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3 종교문화학보 Vol.20 No.1

        2022년을 기준으로 볼 때 원불교에서는 세계 25개국에 68개의 교당과 39개 기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총 140여명의 출가교역자가 해외에서 교화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원불교의 해외교화는 100여년의 역사를 통해 이뤄져 왔으며, 원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 또한 오랜 시간을 통해 토대를 쌓아 왔다고 볼 수 있다. 원불교는 민족종교와 세계종교라는 경계에서 여전히 혼란을 겪고 있으며, 이는 오히려 원불교가 지닌 종교적 정체성의 혼란을 야기하는 양상으로 확장되고 있는 양상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세계화’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원불교가 형성해 온 종교적 정체성이 다원사회에 어떠한 행동의 양태를 보여주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현재 원불교학의 영역에서는 원불교와 불교를 분리하면서 원불교의 ‘독자성’을 강조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원불교에서 ‘불교’적 보편성을 제거하면 오히려 민족주의적 특수성은 강화될 수밖에 없다. 보편성과 특수성이 충돌하는 양상은 원불교가 세계화를 향해 나아가고자 하면서도 원불교학의 측면에서 구체적인 세계화의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는 상황임을 밝혔다. As of 2022, Won-Buddhism operates 68 temples and 39 organizations in 25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total 140 ministers are active in edification abroad. Overseas edification of Won-Buddhism has been done through a history of 100 years and efforts for globalizing are also thought to have formed the groundwork for a long time. Won-Buddhism has been confused between national religion and world religions still now and rather is expanded into the aspect which causes its religious identity crisis.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d how aspects of religious identity which has been formed by Won-Buddhism shows are shown in plural society by focusing on a theme of ‘globalization’. In conclusion, the present Won-Buddhist study separates Won-Buddhism from Buddhism and has a strong tendency to emphasize Won-Buddhist ‘independency’. However, national specificity cannot help being strengthened when ‘Buddhist’ universality is removed. The aspect that universality comes into conflict with specificity has found that Won-Buddhism moves towards the globalization while it clearly shows the limit that it cannot present the specific direc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Won-Buddhist study.

      • KCI등재

        원불교 마음공부의 확장적 논의를 위한 한 개념틀

        이기흥(李基興)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2 No.-

        근래 웰빙 및 힐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마음치유 및 마음공부가 바야흐로 시대의 화두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마음공부법 및 마음공부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양산되고 있다. 태동기부터 생활 불교를 표방했던 원불교 내에서도 그간 다양한 마음공부법이나 마음공부 프로그램들이 입안되어 적용되어 왔다. 다만 시대적 시대의 상황이 상황이니만큼 대내외 마음공부법들 간에 소통과 대화의 요청이 점차 비등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필자는 본고에서 원불교 마음공부법 및 마음공부 프로그램들을 이론적으로 아우름과 동시에 대외적으로도 여타 마음치유 및 마음공부론과의 소통창구로 사용될 수 있을 마음공부론적 이론틀 하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이론틀은 기본적으로 원불교『 원불교 교전』의 핵심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서, 그 개념틀에는 원불교의 다양한 마음공부법 및 마음공부프로그램들이, 원칙적으로는, 재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 뿐이 아니다. 그 개념틀은 특정 종교의 색채를 띠지 않은 채 제3의 중립적인 언어로 기술되고 있어, 그 개념틀 속에는 원불교 마음공부법 외 다른 여타의 마음치유법이나 마음공부법들도 수렴될 수 있다. 그래서 그것은 원불교 마음공부법이나 마음공부 프로그램이 다른 여타 마음치유법이나 마음공부법들과 소통할 수 있는 이론적 광장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짧게 말해, 여기 제시되는 개념틀은 원불교의 마음공부법들과 여타 마음공부론 간의 소통을 매개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는 이론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이론틀의 제시와 함께 필자는 또한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마음공부법적 원리 하나를 제안한다. 그것이 바로 동태적 마음공부법인데, 이는 원불교 일원상의 원리를 마음공부방법론적으로 적용해본 것이다. 이 마음공부법은 기본적으로 마음을 다양한 다른 각도, 다양한 다른 방향으로 역동적으로 돌려, 요란하고, 어리석고 그른 마음에서는 부재하는 온전성을 다시 회복해 마음을 치유하거나 마음의 평화와 행복을 추구하는 마음공부법이다. 필자는 이 마음공부법을 정태적인 알아차림/마음챙김 중심의 마음치유 및 마음공부법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한다. Recently as the interest in well-being and healing is increasing, mind healing and mind practice has become a hot topic in modern society. Under these circumstances,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of mind healing and mind practice are produced. In Won Buddhism, which has declared to be a Buddhism in everyday life since its inception,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of mental practice have been formulated and applied. However, with the situation of time, the demands for communication and dialogu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arties of Won Buddhism are gradually increasing in the area of mental practice. In view of this situation, I try to present a theoretical framework of mental practice. It is such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different theories of mind healing and mental practice, while at the same time covering theoretical programs of the mind practices of Won Buddhism. This framework is fundamentally derived from the core content of Won Buddhism. And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of the mind practices of Won Buddhism can in principle be integrated into this conceptual framework. In addition, the conceptual framework is described in a third neutral language, which does not have the color of a particular religion. Therefore, other types of mind practices can be also integrated into this conceptual framework. In this sense, it could be a theoretical place where methods and programs of the mind practice of Won Buddhism and of other tradition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short, the conceptual framework presented here i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serve as an interface between the spiritual practice of Won Buddhism on the one hand and the spiritual practice of other traditions on the other. In addition to presenting the above-mentioned theoretical framework, I also propose a principle of mind practice, which can be used in different contexts. It is a methodological principle that results from the application of the "Il-Won-Wang", the guiding principles of Won Buddhism, to the mind practice. This method of mental practice is, in principle, a method of mind practice that heals the mind by turning and changing the mind in different angles and directions, restoring the originality that was lacking from the beginning. I present this concept of dynamic mind practice as an alternative to mind healing and mind practice that is based on static type of mindfulness.

      • KCI등재

        원불교 문화콘텐츠 현황과 문화인프라 구축 방향

        허남진(許南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5 No.-

        본 연구는 2세기 원불교 문화인프라 구축의 방향에 대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원불교의 문화인프라 구축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접근해 보았다. 먼저 2세기 원불교 문화진흥을 위한 원불교문화에 대한 재정립을 시도했다. 원불교문화콘텐츠 현황을 검토하기 위해 원불교문화콘텐츠를 ‘콘텐츠로서의 원불교문화’가 아닌 ‘콘텐츠화된 원불교문화’ 즉, 원불교문화가 특정한 매체를 통하여 창출된 생산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의 문화인프라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앞으로 문화인프라를 어떻게 구축하고 어떠한 내용을 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이제 2세기 원불교문화 창달과 진흥을 담당하게 될 기관은 문화환경의 변화에 따라 역할도 새롭게 재정립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또한 원불교문화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문화이벤트나 문화상품 개발기획과 함께 콘텐츠를 정확히 파악하고, 원불교적 가치가 발현될 수 있도록 원불교 문화생태계를 제대로 만드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direction of construc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of the Second Century of Won-Buddhism. For this purpose, I tried to approach Won- Buddhism as follows. First, I tried to reorganize the culture of Won-Buddhism for the promotion of Won-Buddhism culture in the Second Century of Won-Buddhism. and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Won Buddhism culture contents, I examined the Won-Buddhism culture contents as ‘content Won-Buddhism culture’ rather than ‘Won-Buddhism culture as content`, that is, the Won-Buddhism culture through the media. Second, I have looked at what are the problems of Won-Buddhism cultural infrastructure, and how to reconstruct cultural infrastructure and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future. In conclusion, I have argued that the institutions that will be responsible for promoting the culture of the Second Century of Won-Buddhism should be newly reorganized according to changes in cul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For activate the Won-Buddhism cultural business,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the cultural events and cultural products development planning and to make the Won- Buddhism cultural ecosystem properly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ontents and to express Won-Buddhism’s values.

      • 원불교 염불관에 대한 연구 : 天台四明知禮 염불삼매와의 비교를 통해서

        박혜훈 한국원불교학회 2003 圓佛敎學 Vol.9 No.-

        원불교 염불은 정신수양을 위함이자 佛에 향한 신앙에 대한 구체적인 표현방법이기도 하다. 이러한 원불교 염불이 그 의미와 방법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불교의 역사 속에서 발전해온 염불과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가에 대해 四明知禮의 염불삼매론과 비교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四明知禮는 중국 송대에 이르러 천태정토교를 확립한 인물이다. 그는 정토종의 대표적인 인물인 導綽과 善導와 달리 天台實相論에 바탕하여 염불삼매론을 전개하였다. 그러므로 먼저 원불교의 염불에 대한 일반적인 교의를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사명지례의 염불과 관련한 주요 개념을 밝혀 천태정토교와의 차이와 근본적으로 상통하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원불교 염불은 四明知禮의 염불삼매론과 비교하면 約心觀佛과 唯心淨土등의 개념에서 유사하였다. 또한 事觀念佛보다 理觀念佛이 상통하며, 구체적인 방법으로 칭명염불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면에서 많은 공통점과 특징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비교를 통하여 원불교 염불을 보다 폭넓게 해석할 수 있으며, 특히 불교적 관점에 비추어 원불교 염불이 가지는 의미를 보다 구체화시킬 수 있다고 본다. Chanting Buddha in Won Buddhism is not only the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spiritual stability but also the explicit way of the expression of faith in Buddha.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ting Buddha in Won Buddhism in the meaning and the methods. Particularly,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anting Buddha in Won Buddhism and the chanting Buddha in Buddhism which had been developed in the history of Buddhism, we compared chanting Buddha in Won Buddhism with Ssu-ming Chih-li's Chanting Buddha-samadhi (염불삼매론). Ssu-ming Chih-li established Pure Land of T'ien-T'ai(천태정토교) in the Cho-Sung Dynasty. He, whose approach was different from those of Dao-Chao(導綽) and Shan-tao(善導), developed Chanting Buddha-samadhi(염불삼매론) based on the The True Feature of all Existences(천태실상론). Therefore, first of all, we tried to clarify the general dogma of the chanting Buddha in Won Buddhism. And, we try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common things with Pure Land of T'ien-T'ai (천태정토교) closely by elucidating the major concepts related with Ssu-ming Chih-li's chanting Buddha. The chanting Buddha in Won Buddhism has concepts similar to Amitabha'thinking of mind(約心觀佛) and pure land of mind only (唯心淨土) in Ssu-ming Chih-li's Chanting Buddha-samadhi(염불삼매론). Also, it is similar to observance of truth (理觀念佛) rather thanobservance of phenomena(事觀念佛) and it has many common things and features with Ssu-ming Chih-li's Chanting Buddha-samadhi(염불삼매론), for example, Amitabha by calling him(칭명염불) which is a specific method. We can fully understand the chanting Buddha in Won Buddhism by the above comparison and especially we can embody the meaning of the chanting Buddha in Won Buddhism from a viewpoint of Buddhism.

      • KCI등재

        법인정신과 원불교의 공공성

        원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2 No.-

        현대사회는 위기에 처해 있다. 문명 그 자체의 위기라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가 가져온 피로사회, 중독사회는 인류의 이러한 심리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 뿐만이 아니라 기후환경문제, 대규모 전쟁의 가능성, 사회적 분열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 종말론적 위기감이 더해지고 있다. 불안이 엄습하는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과연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원불교는 기성종교가 타개하지 못한 지구의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근대기에 탄생한 종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는 표어를 내건 원불교의 종교적 정신은 현대문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처방전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원불교가 소태산 박중빈과 그 제자들이 1919년, 법계(法界)로부터 인증받기 위해 하늘에 올린 ‘법인기도(法認祈禱)’는 원불교가 사회적 공공성(公共性)을 표방하고 나온 종교임을 보여주고 있다. ‘부처를 이루고 중생을 구제한다’는 성불제중(成佛濟衆), 또는 ‘나를 제도하고 세상을 구제한다’라는 제생의세(濟生醫世)는 이러한 원불교의 종교적 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즉 원불교의 종교성은 ‘세상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무아의 자세로 공공의 삶을 살아간다’는 무아봉공(無我奉公)의 정신을 나타내는 사무여한(死無餘恨, 죽어도 여한이 없다)의 법인정신(法認情神)에 잘 나타나 있다. 대승불교와 그 근본정신인 참여불교(Engaged Buddhism)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원불교는 세계 인류의 모든 고통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해야 하며, 원불교의 가르침이 그러하듯 모든 종교의 가르침을 회통하여 세계를 낙원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처럼 원불교의 종교정신의 근원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그 목표다. 이를 통해 원불교는 철학, 정치, 경제, 문화에 열려있는 종교를 지향해야 한다. 이는 현대문명의 치유를 위해 등장한 종교로서의 사명을 다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적인 1세기를 끝내고 2세기로 접어든 원불교의 정체성 확립과 미래는 결국 이 법인정신을 어떻게 현대사회에 재현해내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modern society is in crisis.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crisis of the culture itself. The burnout society, and the addicted society show this psychological situation of human being. On top of that, there are more problems such as the climate change, possibility of large scale war and social conflict, thus adding to the apocalyptical crisi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uncertainty is prevalent, we get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role the religion shall play. It is not an overstatement that Won -Buddhism was born in the modern period in order to handle the crisis on Earth, which could not be handled by the existing religions. Accordingly, the religious spirit of Won - Buddhism under the motto of "As the materials open, let"s open the mind." can be one of the prescriptions for solving the problem in modern culture. Furthermore, Sotaesan Park Jung Bin and his disciples made a prayer called "Beopin Prayer(法認祈禱)" to get the certification from Beopgye(法界) in 1919. That shows that Won -Buddhism is the religion proclaiming the public character. The principle "Seongbuljejung(成佛濟衆)", which means that "I first discipline myself, and then educate the public" and the principle "Jesaenguise(濟生醫世)" which means that "I first cure myself and then cure the world" show the religious values of Won -Buddhism. The religiousness of Won -Buddhism is well expressed in the Beopin Spirit(法認情神) of Samuyeohan(死無餘恨), which means the spirit of Muabonggong(無我奉公) "I live a public life with the attitude of living without trying to get my personal gains to solve the pains in the world", showing the endless service mind for the humanity. It contains the mind of Mahayana Buddhism and Engaged Buddhism. Accordingly, Won -Buddhism shall actively make the social participation to solve all pains for the humanity in the world and as shown in the teachings of Won -Buddhism, it shall understand the teachings of all religions and not stop the effort of leading the people to the heaven by spreading the teachings. This study is designed to check the root of religious mind of Won - Buddhism. Through this, Won -Buddhism shall pursue the religion which is opened to philosoph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is is to accomplish its mission of curing the modern culture.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Won -Buddhism which ended its first experimental century and started its second century depends on how it can reproduce the Beopin Spirit in moder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