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현병 치료에 활용되는 요가치료 - 요가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

        문진건,이덕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ga treatments currently used in the health care field, especially in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fields, before our future development of the yoga treatment program. The article explored how the broad notion of classic yoga’s healing has been minimized into a narrow range of yoga therapy. This study is thought to be a necessary process for developing a psychotherapy program that utilizes both yoga’s original healing theory and contemporary scientific method of revealing psychological effects of yoga therapy. In Korea, yoga therapy has not yet been used in psychotherapy and medical fields.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mainly on the results of foreign studies using yoga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sychosis. In particular, the US and Indian healthcare professionals focused on how to treat mental disorders through yoga therap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ome issues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n independent yoga treatment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ymptoms.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exclude meditation and establish a short-term program that focuses on posture, breathing, and relaxation in accordance with the yoga theory. To be used for a meta-analysis in future, measurement of randomized control study or experimental plan for random crossover study should be planned. As well, scientific experiments based on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scales for evaluation of the program’s feasibility will help in the ongoing yoga therapy research. 본 연구는 심리치료 및 의료계에서 사용되는 요가치료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광의적 의미의 요가가 어떻게 협소한 범위인 요가치료로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함께, 특히 조현병 치료에서 요가치료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아 이에 대한 향후의 연구에서 주의해야 할 점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요가를 활용하는 심리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선행 절차라는 인식 하에 진행되었다. 국내에서 요가치료는 아직 심리치료 및 의료 분야에서 활용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요가치료를 정신증 치료에 사용하고 있는 국외의 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외에서는 미국과 인도의 건강관리 전문가들의 요가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그들의 연구에서 요가치료의 원리, 보완치료로서 요가의 효과적인 적용 방식, 요가치료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기간 및 운영방식 등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현병 증상 개선을 위한 독립된 요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사항에 주의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인도와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조현병 요가치료 프로그램에는 명상이 배제되어 있으며 자세와 호흡, 그리고 이완을 위주로 하는 단기 프로그램이 선호되고 있다는 점, 요가치료의 변수를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해 다른 치료 방법과 섞이지 않고 요가치료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요가치료의 각각의 구성요소 또한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는 점, 향후 실험연구가 학계의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에 사용될 수 있도록 포함기준에 맞는 실험 설계와 결과 측정 도구가 엄격한 계획 하에 수립되어야 한다는 점 등을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요가심신테라피 진행과정과 구성적용방법 연구

        강화 한국요가학회 2017 요가학연구 Vol.- No.18

        The interest in yoga therapy, a new field in yoga, is rapidly growing. Yoga therapy is a holistic mode of therapy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not only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each individual who needs treatment and healing, but also culture and lifestyle. Seoul University of Buddhism has made persistent efforts for the past seven years to develop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 (YTMB) as one of the professional fields of yoga therapy attuned to Korean situation. This study is a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basic application principles, methods, and progress of structured YTMB. To this end, I have review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yoga therapy, and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India and the United States, where treatment is actively pursued through yoga. In addition, the basic principles of yoga therapy, which is newly formed as meeting with the teaching of traditional yoga and modern psychology, are reviewed in the course of applying it to YTMB.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10 sessions consists of the initial stage, the development stage, and the final stage. The initial stage consist of the first interview and introduction is to identify the client'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and agree on the goals of the appropriate therapy, also guide the necessary yoga postures and techniques for clients to organize. In the developmental stage, the self-regulating ability based on the body sensation is improved by the self-training and the self-awareness training of the previously learned therapy posture, and the healing can be confirmed. The final stage is to stabilize the continuously practiced therapy posture so that it continues to be practiced in everyday life even after the end of YTMB and confirm that the initial set therapy goal has been achiev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and the situation in which healing occurs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clinical cases of two clients. Through this thesis,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YTMB are applied at clinical sites and hopes to be activated on the basis of this. 요가의 새로운 흐름으로써 성장하고 있는 요가치료에 대한 관심이 최근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요가치료는 치료와 치유를 필요로 하는 각 개인의 특수한 상황은 물론 문화와 생활양식까지 고려하여 적용되는 전일적인 치료 양식이다.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는 지난 7년간 요가치료의 전문적인 영역중의 하나인 요가심신테라피를 한국 상황에 맞추어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에서 구조화된 요가심신테라피의 기본적인 적용원리와 방법, 그리고 진행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며 실천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요가치료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와 논의들에 대해 개관하고, 현재 요가를 통한 치료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인도, 미국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통적인 요가의 가르침과 현대 심리학이 만나면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요가치료의 기본원리가 요가심신테라피에서 적용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전체적인 흐름을 조망하며 그 구성을 개관하였다. 전체 10회기로 구성된 요가심신테라피의 일반적인 구조는 초기단계, 발전단계, 마무리단계로 이루어진다. 첫면접과 도입으로 이루어진 초기단계는 내담자의 신체적 특징과 호소증상을 파악하여 적절한 테라피의 목표를 합의한다. 내담자에게 필요한 요가자세와 기법을 활용해 요가디자인을 구성하고 안내한다. 발전단계에는 앞서 익힌 테라피 자세를 익숙하게 수련하며 자각력이 높아져 신체감각을 기반으로 한 자기조절능력이 향상되어 치유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무리 단계는 지속적으로 수련한 테라피 자세를 요가심신테라피가 끝난 이후에도 일상에서 수련을 지속할 수 있게 안정화 시키고 초기에 설정한 테라피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확인한다. 각 단계의 특징과 치유가 일어나는 상황을 두 명의 내담자의 임상사례를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요가심신테라피의 구성과 방법이 임상현장에서 적용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가 활성화 되길 바란다.

      • KCI등재후보

        빤짜꼬샤 모델의 치료적 적용에 관한 소고

        왕인순(Wang, In soon) 한국요가학회 2019 요가학연구 Vol.- No.22

        전 세계적으로 질환의 치료 및 웰빙 증진을 위해 자기치유 능력의 증진 및 전일적, 통합 적 방법론의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서구에서 통합의학과 신체심리치료의 발전으로 드러나고 있다. 전일주의(holism)에 기초하여 신체─호흡─정서─정신─영성에 대한 통합적 관점 및 다양한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는 요가는 의학 및 심리학과의 만남을 통해 요가치료(yoga therapy)라는 전문 분야로 발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적인 치료를 지향하는 치료체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요가의 인간관에 대하여 빤짜꼬샤(pañcakośa)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건강과 치유에 관한 요가치료의 관점을 살펴보고, 요가의 전일적 관점과 방법론이 통합의학과 만나는 접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빤짜꼬샤 모델의 치료적 적용 원리를 알아보기 위해, 요가치료분야에서 활용하는 통합적 요가치료모델을 제시하고, 요가기법 외에 통합의학 분야에서 제시하는 전일적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건강과 웰빙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에서 심신건강분야의 전문가들이 요가의 통합적 접근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자기자각 및 자기조절력의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법인 요가를 심신건강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Improvement of self-healing abilities and use of holistic and integrated methodologies are emphasized worldwide for treatment of diseases and well-being. This trend is evidenced by development of Integrative medicine and somatic psychotherapy in the West. Yoga, which uses a holistic view of body-breathing-emotion-mental- spirituality and a variety of methodologies based on holism, has developed into yoga therapy through the encounter with medical science and psychology. This study explores the pañca-kośa in order to understand yoga’s perspective on human, which pays attention to integrative healing-oriented treatment system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erspective of yoga therapy on health and healing, and suggests the point where the holistic view and yoga methodology meet the integrative medici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rapeutic application of the pañca-kośa model, this study presents an integrative yoga therapy model that is used in the field of yoga therapy and examined the holistic approach presented in the field of integrative medicine besides yoga technique. This study implies that experts in the field of mental and physical health need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integrative approach of yoga and apply yoga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self-awareness and self-regulation following the trend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integrative approach for health and well-being.

      • KCI등재후보

        원전에 비추어 본 현대의 요가 치유관

        김재민(Kim, Jae-min) 한국요가학회 2013 요가학연구 Vol.- No.9

        현재 국내의 전 사회적인‘힐링’바람을 타고 요가에서도 내부적으로 ‘힐링 또는‘치료 분야가 이제 막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은 이론적·실천적 토대가 미흡하기에, 현시점에서 요가 치유의 방향 성 정립과 이론적 토대 구축 차원에서 원전에 근거하여 현대의 요가 치유관을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다. 원래 요가에는 치유 관념이 담겨 있지만,‘ 요가 치유’라는 용어는 요가와 서구의 의학적·심리학적 지식을 통합하려는 노력이 담긴 현대의 신조어라 할 수 있다. 현대 의학은‘생의학적 패러다임’에 바탕을 두고, 인체를 기계와 유사한 것으로 파악하므로‘육체적 기능의 복구’에 초점 을 둔다. 이에 반해 고전 요가와 하타 요가는 인간을 육체적 존재임과 동시에, 정신적·영적 존재로 파악한다. 양자 모두 완전한 치유를 영성의 획득으로 보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그 획득 과정에서 전자는 정신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후자는 육체성과 정신성의 밀접한 연관성에 주목 하면서 그 둘의 매개체인 에너지 신체의 정화와 강화, 각성에 초점을 둔다. 이상에 바탕 하여 현대의 요가 치유관을 a.생의학적 패러다임, b.현대 적 관점, c.전통적 관점으로 나누어 검토해 보면, c의 관점을 유지하려는 경향 (42%) 이 상대적으로 크긴 하지만, a와 b의 관점 (각각 29%) 도 적지 않다. 전통적인 관점의 영향력이 요가 치유 전체를 관통하고 있지 못한 이 유는 요가 치유사들이 치유 현장에서‘전통적인 요가 치유와‘현대적인 요가 치유 양자를 균형 잡기 어렵기 때문이다. Today, healing or therapy is about to being invigorated in yoga reflected by the social trend, healing, in Korea. But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e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view of modern yogic healing on the base of the original texts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yogic healing and building theoretical foundation. Yoga has concept of healing in itself. The term of‘ yogic healing’, however, is modern neologism reflecting the exertion of integrating medical and psychological knowledges. Being based on ‘biomedical paradigm’, modern medical science focuses on‘ the recovery of function of body’. Because it consider the human being like machine. On the contrary, classical yoga and ha ha yoga regard human being as physical, mental, spiritual existence. Both have same point of view that complete healing is acquirement of spirituality. But in the process of the acquisition, there is difference. Classical yoga emphasizes mentality, while paying attention to clos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ity and mentality, ha ha yoga takes the focus on purification, strength and awakening of prā ic body which is Today, healing or therapy is about to being invigorated in yoga reflected by the social trend, healing, in Korea. But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e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view of modern yogic healing on the base of the original texts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yogic healing and building theoretical foundation. Yoga has concept of healing in itself. The term of‘ yogic healing’, however, is modern neologism reflecting the exertion of integrating medical and psychological knowledges. Being based on ‘biomedical paradigm’, modern medical science focuses on‘ the recovery of function of body’. Because it consider the human being like machine. On the contrary, classical yoga and ha ha yoga regard human being as physical, mental, spiritual existence. Both have same point of view that complete healing is acquirement of spirituality. But in the process of the acquisition, there is difference. Classical yoga emphasizes mentality, while paying attention to clos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ity and mentality, ha ha yoga takes the focus on purification, strength and awakening of prā ic body which i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Patanjali Yoga Sutra에 나타난 문제 제기 ―Isvara, Vayu, Citta, Anga를 중심으로―

        임동호 ( Dong Ho L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위대한 성자 빠딴잘리(Patanjali)는 인도철학서와 고대 경전들로부터 그 자신의 철학적인 사상들과 의견이 일치하는 본질적인 원리만을 받아들였다. 오직 이들 정수만이 그의 저서 ``요가 수트라(Yoga Sutra)``에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 빠딴잘리는 상키야의 형이상학적인 토대를 받아 들이고 그것을 후에 아스탕가요가(Astangayoga)라고 불리는 요가 기법의 실용적인 측면과 종합화시켰다. 그러한 새로운 형언할 수 없는 섬세한 철학적인 요가의 저작에 대한 결과로 “아스탕가 요가 전통”이 세워지고 요가가 인도의 철학적인 문학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성자 빠딴잘리는 끄리야요가(kriyayoga)와 아스탕가요가 그리고 쌈야마요가(Samyamayoga) 등의 요가가 그의 ``요가 철학’을 통해서 요가의 싸마디 (Samadi) 단계를 얻기 위해서 인도되는 찟따(Citta)의 모든 브릿띠(Vrtti)에 대한 제어의 과정을 서술했다. 이들 다양한 수련 중에서 “아스탕가 요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매우 적합하고 알맞은 것이기 때문에 유용한 수련법이 되었다. 이러한 형식으로 기원전 3세기에 생긴 아스탕가요가인 이 요가 전통은 ‘빠딴잘라요가(Patanjalayoga)’혹은 ‘요가’라는 이름을 낳게 되었고 다소 동일한 기본적인 철학 사상을 보유하게 되었다. Patanjala의 『Yoga Sutra』의 주석가들은 빠딴잘리의 요가를 발전시키고 정밀화 시키려 노력했으며 다양한 주석들을 통하여 몇몇의 새로운 요소들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그라나 요가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수용 및 전달을 위하여 장애로 부각되고 있는 논점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학자들은 현 시대에 맞게 인식론과 심리학, 형이상학에 대한 해석의 변모를 시도함으로써 어려운 철학의 체계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많은 문제들은 미해결된 상태로 남아서 우리들을 당혹하게 만든다. 사실상 이러한 제안들에 대해 그 동안 수없이 많은 논제와 논의를 거쳐 왔고 수많은 학자들이 철저히 연구하려 노력해 왔다. 이러한 측면에서 요가의 체계를 좀 더 잘 이해하도록 빠탄잘리(Patanjali)의 요가 수트라(Yoga Sutra)에 나타난 이슈와라(Isvara), 바유(Vayu), 씻다(Citta), 앙가(Anga) 의 체계적인 문제점을 제기하고 본질을 해석 하는데 그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This great saint Patanjali accepted from these texts only those essential principles which were in agreement with his own philosophical thoughts. Only these essences can be seen include in his text ``Yoga Sutra``. Patanjali also accepted the Sankhya metaphysical framework and synthesised it with the practical aspect of Yoga technique which was later on called Astangayoga. The result of the creation of such a new indescribably fine philosophical Yoga text was that the ``Astangayoga tradition`` was established and Yoga attained a special position in the philosophical literature of India. Patanjali has described the procedure of control of all the Vttis of Citta, the kriyayoga, Astangayoga, Samyamayoga, and thus guided the Yogi so as to attain the Yoga Samadi stage through his Yoga philosophy. Out of the all these various practices, ``Astangayoga`` is the most popular practice as it is very convenient and suitable for all sort of people and hence is the most useful practice for everybody. Such a way, this Yoga tradition as Astangayoga which was born in the 3rd century B.C. became popular by the named Patanjalayoga or just Yoga. It has retained more or less the some basic philosophical thought. The commentators of the Yoga Sutra of Patanjali tried to develop and elaborate Patanjali`s Yoga. Patanjali is very rich and has its independent standing, there are many problems to understand it. In fact, what is required for systematizing such a discourse is clarity, precision, rigour and a few more similar things. Of course we do not want to claim that these requirements are seldom available in Patanjali Yoga. But we do face several problems to understand even the basics of his system. So Patanjali Yoga Sutra come to the issues presented Isvara, Vayu, Citta, Anga, which the nature of the systemic issues raised and the interpretation is to give meaning.

      • KCI등재후보

        요가심신치료의 불안해소 효과

        박지영(Park Ji-Young),조옥경(Cho Ok-Kyeong) 한국요가학회 2014 요가학연구 Vol.- No.12

        요가는 미국보완대체의학의 영역 중 심신치료개입 (mind-body intervention)의 한 분야로서 심신건강 분야에서 통합적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인정을 받고 있다. 요가치료 분야에서 심신치료적 요소를 강조하는 요가심신치료는 요가자세, 호흡, 이완, 명상 등 요가의 다양한 기법을 이용해서 심신 의 부조화로 인한 장애 및 질병을 치료, 치유할 뿐 아니라 심신의 건강 및 자아실현의 길로 안내한다. 본 사례는 요가심신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신 체, 느낌과 정서, 생각의 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불안이라는 정서적 문제를 신체적 접근을 통해 통합적으로 치유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 사례에서는 현재 대표적인 치료요가인 비니요가를 중심으로 자 세법, 호흡, 명상, 쁘락띠빡사, 만트라등 여타의 요가기법과 신체자각 및 자비심을 강조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40대 불안증상을 가지고 있는 여성에게 주 1회 세션 당 90~100분으로 총 12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이 요가심신치료사례를 통해 내담자는 첫째, 불안이라는 감정이 신체 자각으로 경험되었고 둘째, 신체감각, 느낌이나 감정, 생각이 상호 연결됨을 경험하였다. 셋째, 하체에서의 안정감이 자기표현의 강화로 이어지 고 넷째, 천골부위의 움직임을 자각함으로써 관계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짐을 경험하였으며 다섯째, 만트라를 통해 자신을 수용하고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여섯째,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서 지금 여기에 주의를 둘 수 있게 되었고 마지막으로, 신체 및 심리적 불안감이 감소하고, 삶에 대한 감사와 함께 일상의 태도에도 변화가 생겼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요가 심신치료는 신체와 심리와의 관계를 자각하고 조절함으로서 어떻게 치료나 치유로 이어지는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As one of the mind-body intervention areas in the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in the U.S., yoga has been recognized as a comprehensive treatment for mind and body health.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 emphasizing the element of mind and body therapy as one of yoga therapy’benefits, guides the patients to the path of mind-body health and self-realization in addition to treating and curing the injury and illness caused by the unbalanced mind and body using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yoga asana, breathing, meditations, and others. This case attempts to prove, first, the areas of the body, feelings and emotions, and thoughts are linked; second, emotional problems, such as anxiety, can be comprehensively cured by physical approaches through the yoga mind-body programs. In this case, the yoga programs focused on typical healing yoga types, such as postures, breathing, Vinyasa, pratipak?a, Mantra, and the yoga techniques emphasizing physical consciousness and self-regard. The results of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 case indicate first, the subject experienced emotional anxiety through Body awareness; second, the subject experienced that body sensation, feeling, and thoughts are inter-connected; third, the sense of security of the lower body is connected to reinforcement of self-expression; fourth, awareness of the sacral movement takes away the fear of relationships; fifth, the subject experienced becoming more confident and self-accepting through Mantra; sixth, the subject was able to pay attention to now-and-here instead of feeling anxiety about the future ; and last, the subject experienced a decrease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anxiety, and changes in their attitude toward daily life with appreciation for life. Therefore, the study results prove the capability of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 to awareness and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and how it can be connected to treatment and therapy.

      • KCI등재후보

        비하르요가 전통의 짜끄라 수련체계 및 원리

        곽미자 한국요가학회 2019 요가학연구 Vol.-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practices and principle of cakra according to Bihar Yoga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s of cakra according to Bihar Yoga system are to awaken kuṇḍalinī. To awaken cakra is not the aim of practice but it is very important Second, the system of cakra practice is based on six cakras. However according to practice bindu chakra is included. Third, Six cakras can be practiced individually or all. When we practice individual cakra, ājñā cakra should first practiced. Fourth, Bihar Yoga System includes the various hatha techniques as well as pratyāhāra and dhāraṇā for awakening each cakra. Fifth, the practice of cakra is based on holistic health. For example, the spiritual yoga is possible by awakening cakra through the practice of āsana. Sixth, the principle of cakra practice is related to three śārīras, gross body, subtle body and causal body. It is recommended to practice from gross body to subtle body. Thus the practice of cakra of Bihar Yoga system is guided the various yoga techniques according to three bodies(sariras) for awakening kuṇḍalinīi. 본 연구의 목적은 북인도 요가를 대표하는 비하르요가 전통의 짜끄라 수련체계와 원리를 파악하는데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은 꾼달리니 각성을 위한 예비 수련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꾼달리니 각성을 위해 짜끄라의 정화는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체계는 여섯 짜끄라 체계를 기본으로 하지만, 요가명상법에서는 빈두 짜끄라를 포함하고 있다. 셋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은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은 각 짜끄라를 정화하고 각성하기 위한 개별적인 짜끄라 수련법뿐만 아니라 여섯 짜끄라 전체를 함께 수련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개별적으로 짜끄라를 수련할 때는 아갸 짜끄라부터 수련하도록 한다. 넷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법은 다양한 기법들을 통합하고 있다. 즉 아사나, 쁘라나야마, 무드라 반다와 같은 하타요가 기법뿐만 아니라 아자빠 다라나, 뜨라따까, 요가니드라 등의 우빠니샤드와 딴뜨라의 여러 명상법들을 통합하고 있다. 다섯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은 전인건강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아사나를 통해서도 짜끄라 각성과 더불어 영적인 차원의 수련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여섯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의 원리는 다양한 수련기법과 적용방법들을 거친 몸에서부터 미세한 몸, 나아가 원인적인 몸으로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하르요가 전통의 짜끄라 수련은 꾼달리니 각성을 위하여 세 가지 몸에 따른 수련체계를 고려하여 다양한 기법들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요가와 도교의 윤리학 체계: 「요가수트라」와 「포박자내편」을 중심으로

        소병선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2

        The ethical systems of Yoga and Taoism are set up with the goal of liberation and eternal youth, respectively. Yoga has its own philosophical system based on the philosophy of Samkhya, but Samkhya philosophy pursues liberation based on knowledge, whereas yoga pursues liberation through practice. Similarly, Taoism owes its philosophical theories to Taoist philosophy. However, in relation to the ethical system, Taoism, like yoga, seeks to attain immortality by becoming a Taoist hermit, so it establishes its own ethical system with an emphasis on the practice to become a Taoist hermit. The comparison of the ethical system of yoga and Taoism is as follows. Yoga presents eight stages of practice principles to ultimately reach liberation, and among them, the first two stages, prohibition and admonish, are related to the ethical system of yoga. Taoism has a description related to ethics in ‘inner articles of the pobakja(抱朴子 內篇)’, and this content has ethical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others, and nature. The first stage of yoga practice is noninjury, truth, nonstealing, abstinence, nonpossession, and simila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is in Taoism are also described in 『inner articles of the pobakja(抱朴子 內篇)』. In addition, the prohibition of yoga practice consists of caste, place, time, customs, and noninjury, which are not limited to these. Likewise, in Taoism, there is the content of noninjury related to caste, place, time, and customs of yoga. The five prohibitions of yoga are related to noninjury, and it can be seen that they share the same content with Taoism’s ethics of valuing life. The admonish of yoga is an ethical act in a positive sense, which includes purity, contentment, asceticism, self-study(studying the scriptures), and devotion to God. Corresponding meaning can also be found in Taoism. Yoga says that you need the help of the best masters to achieve liberation, and Taoism claims that you can only attain enlightenment by meeting a wise master and attaining the Tao.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yoga and Taoism each require the existence of a master for liberation and attaining the Tao. 요가와 도교의 윤리학 체계는 각각 해탈과 불노장생을 그 목표로하여설정되어 있다. 요가는 자신의 철학적 체계를 상키야철학에 그 토대를두고 있으나, 상키야철학은 지식을 토대로 해탈을 추구하는 반면에, 요가는 수행을 통해 해탈을 추구한다. 마찬가지로 도교는 도가철학에 자신의 철학적 이론을 빚지고 있다. 그러나 윤리학 체계와 관련해서는 요가와 마찬가지로 도교는 신선이 되어 불로장생에 도달하고자 하기 때문에, 신선이 되기 위한 수행에 중점을 두고 자신의 윤리학 체계를 수립하고있다. 이러한 요가와 도교의 윤리학 체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요가는 궁극적으로 해탈에 도달하기 위해 8단계의 수행원리를 제시하고 있고, 그 중에서 첫 두 단계인 금계와 권계가 요가의 윤리학 체계와 관련이 있다. 도교는 『포박자 내편』에 윤리학과 관련한 기술이 있으며, 이것은 ‘개인, 타인, 자연에 대한 윤리적 태도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요가수행의 제1단계인 금계를 불상해, 진실, 불투도, 금욕, 무소유이며, 도교에도 이에 상응하는 유사 내용이 『포박자 내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요가수행의 금계는 종성, 장소, 시간, 관습, 그리고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불상해라는 다섯 금계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교에서도 요가의 종성, 장소, 시간, 관습과 관련한 불상해의 내용이 있다. 요가의 다섯 금계는 불상해와 관련된 것으로써, 도교의 생명중시의 윤리와그 내용을 함께 한다고 볼 수 있다. 요가의 권계는 긍정적 의미의 윤리적 행위로서, 청정, 만족, 고행, 자기학습(성전공부), 그리고 신에 대한 헌신을 그 내용한다. 이와 상응하는 의미의 내용을 도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요가는 해탈하기 위해 최고의 스승들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하고있으며, 도교도 현명한 스승을 만나서, 그 법을 얻어야 득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요가와 도교는 각각 해탈과 득도를 위해 스승의존재를 필요로 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마음챙김 요가의 최근 국내외 연구현황

        안선덕(An, Sundeok) 한국요가학회 2020 요가학연구 Vol.- No.23

        본 논문에서는 마음챙김과 마음챙김 요가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마음챙김 요가의 최근 국내외 연구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최근 요가는 보완대체의학 분야에서 심신중재법으로 인정받아 해외에서는 독립적인 치료분야로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에는 아직 치료요가 분야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최근 심신통합 치유요가로 주목받고 있는 마음챙김 요가의 국내외 연구현황을 조사하여 요가 활성화 기여하고자 한다. 마음챙김 요가의 국내외 연구현황을 검색한 결과, 연구기간은 2003년∼2020년이었고, 국내에서 연구된 문헌은 총18편, 해외에서는 총124편으로 조사되었다. 먼저 연도별 조사결과에 따르면, 해외에서는 2003년에 최초로 논문이 발표되었고, 국내에서는 2009년에 첫 연구 발표가 있었다. 이후 마음챙김 요가 연구는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2018년을 기점으로 발표된 논문 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학술지 분야별 현황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총 8종의 학술지에서 발표되었고, 운동/스포츠 분야의 학회지에서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해외에서는 총 94종의 학술지에서 발표되었고, 그 중 의학 분야 학술지에서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모두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기술/분적방법은 효과검증 분석방법이 가장 많이 선택되었고, 해외연구 중에서 19편은 RCT로 연구되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마음챙김 요가의 효과 연구였고, 해외에서는 요가와 마음챙김(명상)의 효과를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국내 연구문헌에서 연구된 주요 질환은 심리 분야였고, 해외는 스트레스, 불안, 우울, 뇌성마비, 통증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를 종합해보면, 국내 마음챙김 요가는 아직 매우 적은 수가 연구되었고, 제한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었다. 해외 마음챙김 요가 연구는 최근 발표 논문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고, 연구 방법, 연구 주제, 연구 질환의 종류도 매우 다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mindfulness and mindfulness yoga in theory and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the mindfulness yoga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Yoga has recently been recognized as a mind-body intervention in the field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nd is growing internationally into an independent treatment field, but it is not yet active in Korea. Therefore,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new yoga by investigating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the mindfulness yoga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hich has recently been receiving attention as a mind-body intervention. According to a surve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f mindfulness yoga, the year of the study is from 2003 to 2020, and a total of 18 studys have been studied in Korea and 124 other countries.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by year, the first paper was published other countries in 2003, and the first research was published in 2009 in Korea. Since then,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as of 2018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number of mind-taking yoga studies continued to increase at home and abroad. Since then, research on mindfulness yoga has been to increase continuedly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2018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by research journal field, it was published in eight journals in Korea, and was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journals in the field of exercise/sports. It was published in a total of 94 journals abroad, most of which were published in medical journals. The research method had the largest number of experimental studies both at home and abroad. Research techniques/analysis methods were chosen the most frequently a effect verification, and 19 of the abroad studies were studied with RCT. The most studied subject in Korea was the study of the effects of mindfulness yoga, and the study abroad focused on the effect of yoga and mindfulness. The main diseases studied in the domestic research literature were in the psychological field, and overseas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stress, anxiety, depression, cerebral palsy and pain. In summary, a very small number of domestic mindfulness yogas have been studied and are being studied in limited fields, The study of mindfulness yoga abroad has been greatly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has been studied in a very wide range of fields, and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and types of research diseases are also very diverse.

      • KCI등재후보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 Ashtanga Vinyasa Yoga 의 정체성에 대한 생각들

        서봉기(Seo, Bongki) 한국요가학회 2016 요가학연구 Vol.- No.15

        이 글의 목적은 1930년대 이후 현재까지 상당한 시간이 흐르는 가운 데 세계요가계의 주류요가로 자리를 잡은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의 정체 성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우선 현행의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의 수련방식과 이론이 비롯되었다고 믿고 있는 바마나 리쉬 Vamana Rishi 의 저작인 『요가꾸룬타 Yoga Kurunta』에 대한 의심에서 본 논문을 시작한다. 스조만 Sjoman 과 싱클레톤 Singleton의 연구를 통해서 필자는 『요가꾸룬타』라는 가공된 저작에 기대어 아쉬 탕가 빈야사 요가의 정통성을 세울 수 있었음을 드러낸다. 그리고 현대 요가전통에 있어서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의 독특한 체계는 꾸발라야난다Kuvalayananda 의 국민체육의 문화 프로그램의 방식 후에 나타난 아사나asana 와 단다 danda를 강력하게 통합시킨 체계에서 영향 받은바 크다. 또한 마이솔 궁전에서 보유하고 있던 레슬링관련 문헌과 실제로 궁전의 체육관에서 행해졌던 레슬링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요가와 레슬링의 혼합된 성격을 띠는 것으로 이해된다. 더불어 미용위주로 고착화된 현행의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의 정체성은 치유와 명상으로 그 외연을 확장할 필요성을 갖고 있다고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Ashtanga Vinyasa Yoga that settled into the mainstream of current flowing through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since the 1930 s. Let s start this article in doubt about belief that the current a way of training and theory of Ashtanga vinyasa yoga comes in Yoga Kurunta of Vamana Rish. I reveals that Krishnamacharia and Pattabi Joise were able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Ashtanga vinyas yoga leaning on the authoring process called Yoga Qurunta . And a unique system of Ashtanga vinyasa yoga in the modern yoga tradition is tightly intigrating systems with the asana and Dand that appeared after the manner of the cultural program of the National Sports of kuvallayananda. It is also understood that Vinyasa yoga at that time been made under the influence of Wrestling literature and the wrestling practicing in gym of the Palace in Mysore.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current identity of Ashtanga vinyasa yoga focused on the beauty and the robust has the necesity to extend the outer to healing and med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