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공문화예술 콘텐츠의 사회공헌을 위한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 역할 분석과 방향 제시 :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 퍼실리테이터 활동을 중심으로

        하원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2

        본 논문의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은 각 분야의 예술인이 현장에서 예술 활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업, 기관에 파견되어, 문화예술과 관련된 새로운 서브잡(Sub-Job)을 개발하고 그 체계를 구축하는 예술인복지사업이다.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에서 퍼실리테이터는 예술인과 참여기관을 매개하고, 창작 예술 프로젝트의 진행과 완성, 발표를 촉진하는 역할자이다. 본 논문은 예술 개입 프로젝트에 있어서, 퍼실리테이터의 현재 역할을 분석하고, 사회공헌을 위한 창조적인 역할 디자인을 제시한다. 기존에 퍼실리테이터에게 요구되고 있는 제시되고 있는 세 가지 역할, 즉 예술인이 파견될 기관과 기업 이슈를 찾는 발견자 역할, 파견 예술인의 요구와 매칭 기관과 기업의 요구를 매개하는 매개자, 파견 예술인 개별 프로젝트의 활동성과 관리와 기록에 임하는 기록자 역할 이외에 퍼실리테이터의 새로운 역할로 공공 문화예술 콘텐츠의 개발과 완성을 위한 프로듀서 역할이 추가 되어야 하며, 이러한 역할이 추후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신(新)동력이 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퍼실리테이터의 협업 프로듀싱 역할은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이 보다 사회공헌사업으로 확대발전할 수 있음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조직의 예술적 개입에 대한 단계별 분석 연구: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이동수(Lee, Dongsoo),김현수(Kim, Hyunsu),송진화(Song, Jinhwa),윤니나(Yoon, Nina)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국내 예술적 개입의 대표 사례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예술路(로)’를 바탕으로, 예술적 개입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사례를 사업 단계별로 도출하여 유형화하였다. 또한 사업 단계별로 나타난 이슈들을 분석하여 해결책과 향후 사업의 리스크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우선, 최근 3년간 이루어졌던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 사례들을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4차례의 전문가 대상 FGI를 수행하여 사업 초반, 중반, 후반으로 이슈를 나누어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사업 초반 이슈는 ‘협업주제 및 프로젝트 선정’이며 이와 관련한 3가지 사례(참여 기업 기관의 사업에 대한 낮은 이해도, 참여 기업 기관의 일방적인 요구 및 강압적인 태도, 참여 기업 기관의 담당자 교체)를 선별하였으며, 사업 중반 이슈는 ‘리더예술인-참여예술인의 소통’과 ‘특정 예술인의 문제’로 이와 관련하여 각각 2가지 사례(리더예술인의 행동/태도, 리더예술인의 미숙함 )와 3가지 사례(특정 예술인의 부도덕, 특정 예술인의 불성실, 특정 예술인의 폭언)를 도출하였다. 사업 후반 이슈는 ‘협업 결과물 도출’이며 이와 관련한 3가지 사례(일의 편중, 기업 사정에 의한 변경 ,결과물 저작권에 대한 이슈)를 제시하였다. 사업단계별로 도출된 이슈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 후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결책은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의 문제 진단 및 개선안으로뿐만 아니라 예술적 개입 사례 사업들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Subject study has listed and categorized potential obstacles from each steps of ‘The Artists Dispatch Supportive Business - Yesul-Ro’ performed by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which is the most precedent case of artistic intervention process, and analyzed not only the issues per each steps of the business, but also solutions and detailed risk management plans accordingly. We first analyzed records and cases of The Artists Dispatch Supportive Businesses in last 3 years, and provided solutions through the whole phases of business by four FGIs with business experts. Our analysis concluded that the main issue in the early phase was ‘selection of subject on cooperation and project’ and related 3 cases to be lack of understanding, lack of cooperation and changes of people in charge of participating corporations. The middle phase issues we concluded were ‘communication between leading artists & participating artists’ with 2 cases of leading artists’ attitude and skill, and ‘Problems of specific artists’ with 3 cases to be specific artists’ moral hazard, untrustworthiness and abusing. Finally, issues in the ending phase of business was ‘cooperation output’ and 3 according cases as undistributed work of balance, change of plan due to corporation issue, and the copyright matter. We suggest advanced solution outputs for each problems from the above issues of business for it can be applied not only as diagnoses and solution to problems of The Artists Dispatch Supportive Business, but also as guidelines for future projects of artistic intervention.

      • KCI등재

        조직의 예술적 개입 사례를 통한 ‘예술가치 매트릭스’(Arts Value Matrix) 분석 연구: 예술인파견지원 사업 중심으로

        김현종,김성훈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8

        The Arts Value Matrix suggested by Giovanni Schiuma has two main columns, referring to a change in culture of organization focusing on importances of human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organization through artistic intervention. In other words, the value of arts in the business world is about “aesthetics skill”, which refers not to just “beauty” but to the way of participation of human resources into organization as a mean to solve thorny issue. Likewise, an organization which has the aesthetics skill is easy to deliver the value of arts to interested persons while enhancing the quality of company and promoting the capability. This study analyzes cases about transformation of human resources based on the Arts Value Matrix according to the business models that adopted artist dispatch service. It is a project for promoting social welfare among artists and realization of artistic value for the organization, while dispatching artists to the companies to conduct works that require creativity and artistic communication and paying them by the government. This study analyzes the type of human resources of the Arts Value Matrix with four models of the companies and it turns out “formation of network” and “transformation” played the biggest role in the process. As a result, an organization who materialize the skill of arts expands the existing business model and creates new issues while attaining the differences with the enterprises that do not adopt value of arts. In case of artists, this fulfills the social value of arts considering the rise of personal income from the artistic activity, the changed view toward the arts among the business members and higher satisfaction among the public. For consumers, this gave emotional contentment and offered the chance for a new culture and cultural benefit. Through the case study, it is turned out diverse kinds of organizations require to pursue working process with artistic intervention to enhance business capability by creating improved image of company, value of artist and satisfaction from consumer. 지오바니 쉬우마가 제시한 ‘예술가치 매트릭스’(Arts Value Matrix)는 조직 내의 예술적 개입을 통해 인적자원이 변화되는 차원과 조직 기반이 발전하는 차원의 두 가지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또한 기업의 예술적 가치는‘미학적 기술’, 즉, 경영난제에 대처하고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조직 내의 미학은 ‘아름다움’에 관한 문제가아니라 조직이 인간에 기반한 감각을 어떻게 참여시키고 활용하는가에 관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조직경영에서 예술기반 이니셔티브의 전략적 목표를 가진 기업은 조직역량 증진과 조직이 질적으로 개선되는 그과정에 참여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예술의 가치를 전달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취지를 가지고 예술가와 기업담당자가 협업하여 진행하는 정부 정책인 예술인파견지원 사업을 표본으로 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예술인파견지원 사업에 참여한 기업의 직무형태에 따라 ‘예술가치 매트릭스’의 아홉 가지 유형을 가지고 인적자원이변화되는 사례를 분석하였다. 기업에 예술가를 파견하여 창의적인 사고와 예술적 감각으로 직무활동을 수행하고 정부가 예술가에게 활동비를 지급하는 사업이다. 예술인의 적극적 복지 측면과 기업의 예술을 통한 사회적가치 실현이라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그동안 동 사업의 참여한 예술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사례를 있었지만기업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례는 미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참여기업의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지오바니 쉬우마가 제시한 예술기반 이니셔티브를경영전략으로 적용하였을 때 조직의 인적자원이 ‘예술가치 매트릭스’의 유형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고 직무유형에 따라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기업별로 직무유형인 조직문화개선, 사회공헌, 자원재생, 홍보마케팅에 따라 ‘예술가치 매트릭스’의 9개의 유형 중에서 ‘관계강화’(Networking), ‘변화’(Transformation) 가 공통된 유형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통으로 나타난 두 개의 유형은 조직의 인적자원들이새로운 상황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적응하는지를 깨닫게 하였고, 그 과정 속에서 직원들의 긍정적인 행동변화를보였다. 이러한 인적자원 변화과정이 조직의 경영성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