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서비스의 과정적 질과 잠재적으로 예방 가능한 재입원율과의 관계

        최재영 ( Jae-young Choi ) 한국병원경영학회 2018 병원경영학회지 Vol.23 No.1

        Purpose: 대상으로 급성심근경색증, 심부전, 폐렴을 주진단으로 받은 메디케어 입원환자들에게 제공된 의료서비스의 과정적 질과 잠재적으로 예방이 가능한 30일 이내 위험 보정재입원율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Methods: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잠재적으로 예방이 가능한 30일 이내 위험 보정 질환별 재입원율이며 3M PP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재입원의 예방 가능 여부를 결정하였다. 미연방 의료 비용 및 이용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미국병원협회의 병원조사 자료, 미연방 보건복지부소속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 서비스 센터의 병원비교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위계적 구조를 고려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indings: 의료서비스의 과정적 품질과 퇴원 후 30일 이내 잠재적 예방 가능 위험도 보정 재입원율과의 관계는 질환별로 차이를 보였다. 폐렴의 경우 의료서비스의 과정적 질은 30일 이내 잠재적 예방 가능 보정 재입원율과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으나, 급성심근경색증과 심부전의 경우 대체로 유의한 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다. Practical Implications: 잠재적으로 예방 가능한 급성심근경색증, 심부전 재입원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의료기관에서 가이드라인으로 따를 수 있는 더욱 다양한 근거 중심의 과정적 질 지표의 개발에 대한 정부와 보건의료계의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rocess quality of inpatient care and risk-adjusted, thirty-day potentially preventable hospital readmission (PPR) rates. Data Sources/Study Setting: This was an observational cross-sectional study of nonfederal acute-care hospitals located in two states California and Florida, discharging Medicare patients with a principal discharge diagnosis of heart failur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r pneumonia January through December 31, 2007. Data were obtained from the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State Inpatient Database of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Hospital Compare database, and the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 Annual Survey of Hospitals. Study Design: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condition-specific, risk-adjusted, thirty-day potentially preventable hospital readmission (PPR). 3M’s PPR software was utilized to determine whether a readmission was potentially preventable.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hospital performance for process quality of inpatient care, measured by hospital adherence to recommended processes of care. We used multivariate hierarchical logistic models, clustered by hospital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ition-specific, risk-adjusted, thirty-day PPR rates and process quality of inpatient care, after taking clinical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structural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into account. Findings: Better performance on the process quality metrics was associated with better patient outcome (i.e., low thirty-day PPR rates) in pneumonia, but not generally in two cardiovascular conditions (i.e., heart failure a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ractical Implication: Adherence to the process quality metrics currently in use by CMS is associated with risk-adjusted, thirty-day PPR rates for patients with pneumonia, but not with cardiovascular conditions. More evidence-based process quality metrics closely linked to 30-day PPR rates, particularly for cardiovascular conditions, need to be developed to serve as a guideline to reduce potentially preventable readmissions.

      • KCI등재

        만성질환자의 예방가능한 입원 및 질병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의료급여 수급여부를 중심으로

        김수정 ( Kim Soojung ),김보린 ( Kim Borin ),박소정 ( Park Soj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2

        이 연구는 의료급여 수급여부에 따른 만성질환자의 예방가능한 입원 및 질병으로 인한 응급실 이용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최소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진 20세 이상 성인 8,870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학적 요인, 건강 중증도 및 건강 위험행동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을 보정하고도 의료급여 환자의 예방가능한 입원 확률과 응급실 방문 확률은 건강보험 환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추가로 외래이용 횟수를 보정한 후에도 유효하였다. 이는 의료급여 수급여부에 따른 차이가 예방가능한 입원과 질병으로 인한 응급실 이용의 차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일반적으로 예방가능한 입원과 예방가능한 응급실 이용은 적절한 시기와 양질의 일차의료 및 예방 의료 서비스를 통해 최소화할 수 있다고 알려진 바, 입원 및 응급실 이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비용인 일차의료 서비스를 통해 의료급여 환자의 건강관리가 가능해지면 의료 급여 재원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동시에, 수급권자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질병으로 인한 빈곤화를 예방하고자 하는 의료급여 정책의 목표를 달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access to health care betwee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Medical Aid Program beneficiaries with chronic conditions in South Korea by focusing on preventable hospitalizations and emergency room visits. Data came from 2<sup>nd</sup> - 4<sup>th</sup> wave (2009-2011) of the Korea Health Panel (KHP). The analytic sample included only respondents aged 20 years and older with chronic disease (N=8,87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andom Intercept Model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health insurance types and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ACSC) - related hospitalization/ Emergency Room (ER) visit. The key independent variables were two types of health coverage schemes: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Medical Aid. Compare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Medical Aid recipients were more likely to be hospitalized due to ACSCs and to use ER services, even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s, socio-economic status, and number of outpatient visits. Our findings suggest that current Medical Aid policy needs to be improved to enhance access to appropriate and timely medical service among its beneficiaries. Policy discussion about Medical Aid should be focused on its gaps and limitations and on ways to address them.

      • KCI등재

        의료급여 수급 여부가 예방가능한 입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료패널조사를 중심으로

        정연 ( Jung Youn ),전보영 ( Jeon Boyoung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21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7 No.4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료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해 의료급여 수급자와 건강보험 가입자의 의료 이용 현황을 비교하고, 의료급여 수급 여부가 예방가능한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6-2018년 3개 연도에 대한 불균형패널데이터를 활용했으며 두 그룹의 건강위험을 유사하게 맞추기 위해 성, 연령, 장애유무, 동반상병지수를 활용한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수급자와 건강보험 가입자를 1:3으로 매칭하여, 최종 분석대상 관측치는 5,648(의료급여 1,412, 건강보험 4,236)이었다. 예방가능한 입원은 외래의료민감질환으로 인한 입원으로 정의했다. 분석 결과, 의료급여 군에서 외래방문 횟수, 입원율, 연간입원일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예방가능한 입원율 역시 유의하게 높았다. 회귀분석을 통해 소인성 요인, 가능 요인, 필요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의료급여 수급자에서 예방가능한 입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하위 20% 및 만성질환자군 내에서도 동일한 양상이 나타났으며, 다만 당뇨환자 내에서는 의료급여 수급여부가 예방가능한 입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의료급여와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 사이의 교호작용은 음의 방향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조절효과는 의료급여자의 치료 지연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의료급여군에서 예방가능한 입원이 더 많이 발생하는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의료급여 수급자에게 제공되는 일차의료의 질이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the medical aid benefit on preventable hospitalization using the Korea Medical Panel 2016-2018. We adopte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using gender, age, disability, and co-morbidity indices to focus on the effects of medical aid benefits under similar health risks, and the final participants were 5,648 (1,412 Medical aid, 4,236 National Health Insurance). Preventable hospitalization was defined as hospitalization due to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ACSC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hospitalization rate, annual hospitalization days, and preventable hospitalization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dical aid group. Panel regression showed that preventable hospitaliz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medical aid group, even after adjusting predisposing, enable, and need factors. We found the same pattern within the lower 20% of income level and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but not in the diabetic patients. Additionally, the unmet healthcare needs for economic reasons attenuated the effect of medical aid, in which preventable hospitalization was increasing. Assuming that preventable hospitalization due to ACSCs represent the quality of primary care, medical aid recipients are not guaranteed the quality of care, even though they use more outpatient servi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 care in the medical aid group based on empirical analysis.

      • KCI등재

        상용치료원 보유가 예방 가능한 입원에 미치는 영향

        송연재,권순만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20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6 No.3

        Preventable hospitalization is the admission that could be prevented through effective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proper use of primary care services, thus closely related to the lack of primary care. This study considered the role of a usual source of care as a quality primary care provider. Quality primary care attributes include longitudinality, comprehensiveness, and coordination. This study explored how preventable hospitalization is affected by not only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but also having it with quality primary care attributes. With 2012, 2013, and 2016 Korean Health Panel, this study used random-effects logistic panel model and pooled logistic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with primary care attributes on preventable hospital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and quality primary care attribute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preventable hospitalization, which seem to result from the perverse incentive and payment systems for health providers, e.g., fee-for-service, or lack of the community and primary care based integrated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