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칼뱅의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기도 신학을 중심으로 본 개혁주의 영성에 관한 신학적 소고

        한상민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7 피어선 신학 논단 Vol.6 No.1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hn Calvin’s theology of prayer and the Reformed spirituality. It attempts to articulate constructive approach to the Reformed spirituality by using Calvin’s theology of prayer as a partner in a theological dialogue. The present study has at least two obvious premises: first, the theological term, spirituality, is very important theological subject in the present; and second, it relates to almost every aspect of theological life. In this line of thinking, first of all, this study deals with spirituality as a theological concept with various approaches in the way of interpreting the true meaning of spiritual life. Moreover, it shares with some biblical and theological findings of spirituality and spiritual life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Then, it turns to focus on the Reformed spirituality and its relation to Calvin’s theology of prayer. In this light, this project has the following interrelated objectives: (1) to clarify the perception of spirituality from the viewpoint of contemporary theology; (2) to analyze the Reformed spirituality in the context of Calvin’s theological understanding on mystical union between Christ and believer; (3) to explore the possible theological intersections and contribution of Calvin’s theology of prayer to the 칼뱅의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기도 신학을 중심으로 본 개혁주의 영성에 관한 신학적 소고 ┃75┃ Reformed spirituality. This study, thus, seeks to identify the nature and reality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context of focusing on the Reformed spirituality and shows how Calvin’s theology of prayer can be related or influenced to it. At the same time, it attempts to show that Calvin’s theological emphasis on the sovereignty of God is mutually related to the life of prayer. Calvin strongly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prayer and works of the Holy Spirit on the believer’s prayerful life. Finally, the study gives some conclusive thoughts which construe theological aspects of the Reformed spirituality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it. 본 논문은 기독교 영성을 신학적 주제로 하여 칼뱅의 기도 신학과 개혁주의 영성의 관계를 논의한다. ‘영성’(spirituality)이란 매우 흥미로운 주제이며 신학적 성찰의 개념으로 이해된다. 또한, 이 특별한 개념은 다양한 해석과 신학적인 유연성을 포함하고 있고 기본적인 개념 정리의 필요성과 더불어 영적인 삶에 관한 신학적 통찰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신적 참여와 피조물의 체험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영성은 두 가지 전제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데, 첫째는 매우 중요한 신학적 개념으로 자리매김했다는 사실과 또 다른 하나는 모든 신학적(영적) 삶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먼저 영성과 성령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영성의 본질과 역할에 관해 신학적 통찰을 설명하고 초점을 개혁주의 영성과 칼뱅의 기도 신학으로 옮겨 둘 사이의 관계를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세 가지 목적이 있다. 첫째, 현대신학 입장에서 영성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한다. 둘째, 개혁주의 영성을 칼뱅의 신비로운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중심으로 해석하고 특징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칼뱅의 기도 신학과 개혁주의 영성의 관계를 연구하고 신학적 교차점의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아울러 칼뱅의 하나님 주권 강화와 기도와의 관계를 보다 건설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칼뱅의 ‘신비로운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중심으로 살펴본 개혁주의의 영성은 ‘성경적 영성’이며 그리스도 중심적이며 성령의 역할이 강조된 체계를 가지고 있다. 또 이 연합은 두 가지 차원에서 다뤄지는데 하나는 개인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교회이다. 한편, 칼뱅의 기도 신학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는 칼뱅의 신학적 강조점인 하나님 주권 강화가 기도 무용론이나 기도생활에 관한 부정적인 견해를 가져오는 것이 아닌 오히려 기도 생활을 강조하는 것으로 말씀과 더불어 기도가 의로운 삶을 강화하는 귀한 도구로써 순종을 가져옴을 발견한다. 그러므로 칼뱅의 기도 신학으로 본 개혁주의 영성은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며 신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기도의 삶을 유도하는 성경적인 영성이라는칼뱅의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기도 신학을 중심으로 본 개혁주의 영성에 관한 신학적 소고 ┃77┃ 사실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칼뱅의 기도 신학을 중심으로 살펴본 개혁주의 영성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 건설적인 제안을 통해 미래 방향성과 역할을 제시한다.

      • KCI등재

        장 칼뱅의 기도 신학과 한국교회의 영성적 과제

        김광묵 ( Kwang Mook Kim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2 No.-

        경건의 실천으로서 칼뱅의 기도 신학은 신학자로서의 칼뱅의 초상만이 아니라, 전체적인 칼뱅의 모습을 바라보게 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단초라고 할 수 있다. 칼뱅의 경건한 기도 신학은 종교 엘리트들의 자기만족적 전유물로 전락해버린 당시 가톨릭교회 영성과 급진적 열광주의자들의 신비적 영성을 지적함으로서 자칫 신자들의 영성이 형식화되거나 신비적 경험에 몰입하게 되는 시대적 오류를 극복하고,기도 생활을 모든 신자들이 마땅히 누려야할 하나님의 은총의 선물로새롭게 제시함으로서, 기독교신앙 본래의 경건한 삶의 영성을 회복하게 만든 획기적인 계기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칼뱅의 기도 신학은 단지 개인적인 경건을 지향하는 교회 내적인 영성에 안주하는 것을 지양하고, 하나님의 창조적인 공동체로서의 사회의 회복과 개혁을 지향하는 공동체적인 영성을 함의하는 건강한 목회적 영성이었다는 점에서, 전환기적 아픔 속에 함몰되어 가던 당시 유럽 사회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는 강력한 에너지를 발휘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칼뱅의 경건한 기도 신학 혹은 기도의 영성은 오늘날 피폐해진 한국교회의 영성을 다시 새롭게 할 수 있는 경건 생활의 중요한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우리는 칼뱅의 경건한 기도 신학의 영성으로부터 한국교회의 목회적 영성, 공동체적 영성(사회적 영성) 그리고 교회 일치의 빛에서 바라보는 통일 영성을 새롭게 읽어냄으로서, 한국교회와 사회에 새로운 내일을 열어가는 유익한 발판으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학 없는 영성도 문제지만, 기도 없는 신학 역시 생명력이 없다. 하나님을 향한 찬미와 고백으로서의 기도에 대한 이성적, 학문적 표현이 신학이요, 하나님을 향한 질문을 영성의 통로로 풀어내는 것이 기도이다. 그런 면에서 양자는 단순한 병행이 아니라, 함께 통전하는 방향, 곧 학도호진을 지향하는 방향에 서있어야 한다. 말하자면 신학이 기독교신앙에 대한 이론적 표현이라면, 기도는 기독교 신앙에 대한 실천적 표현이라는 점에서 양자는 늘 함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bout John Calvin’s theology of prayer (spirituality of prayer) and the task of spirituality in Korean Church. Calvin is not only a very famous theologian but also a pious minster in 16century Christianity. For understanding his pious theology, we must have the standing point to grasp his pious life. He was a very sincere and faithful Christian in the life of prayer. And he has made to integrate theology as science (orthodoxy) and prayer as practice(orthopraxis) in his spiritualit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notice the christian prayer in his theological thoughts. For his theology is on the bottom of this pious spirituality and his dynamic spirituality is rooted in pious prayer’s life. Especially he has understood the christian prayer as the practice of piety(pietas) and made to restore christian spirituality by it. It is the reason for us to gaze on Calvin’s theology of prayer. But his theology of prayer has formed in various struggles with the spirituality of Roman Catholic Church and Mystical Fanaticism. They have made christian spirituality to pull down on the world of blindness in faith and ecstasy for self-satisfaction. Nowadays Korean church has confront with very serious crisis. Although the reason are various, it is the very important point that Korean church has the problems in their spirituality.And It would be diagnosed this case as the crisis theology of prayer. We can do to find a way for solution in Calvin’s theology of prayer. Because his pious theology of prayer could be come to restore the power for christian spirituality as the state of originality in his age. Now we going to see the new visions for Korean church: the Korean church’s spirituality, the social spirituality and the spirituality for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 KCI등재

        한국적 상황에서의 영성의 연구동향

        유해룡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7

        21세기에 들어와서 ‘영성’이라는 용어는 그 주제가 확장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의미를 훨씬 뛰어 넘어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한국적 상황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추세이기도 하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적 상황에서 ‘영성’과 관련하여 어떤 주제들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면의 제한상 본 연구는 신학과 기독교적 실천분야와 관련된 영성에 관한 논문들을 주로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 동안 한국교회와 기독교 신학 안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성’이라는 말의 의미는 매우 다양하다. 그 의미들이 상호간에 아주 연관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표면적으로는 전혀 다른 의미를 전해주거나, 혹은 그 의미가 현저하게 확장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인간은 영성적인 존재이다’라고 규정할 때에 그 의미는 매우 다양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동일한 영성이라는 용어임에도 불구하고, 그 말이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서 전혀 상관이 없는 의미로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동일한 출발점에서 시작해, 조금씩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는 발견한다. 그 용도들을 살펴보면 영성이라는 말이 어떤 때에는 ‘영성학’이라는 의미로, 또 어떤 때에는 ‘영성신학’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적 환경이나 종교적 배경과 상관없이 인간의 초월적인 경험적 속성에 대해 말하고자 영성을 사용한다면, 그 때에는 ‘영성학’이라는 말이 더 적합하다. 또 한편으로는 인간경험을 신학적으로 이해하려 하지만, 성서신학이나, 조직신학, 실천신학 등이 취하는 것과는 다른 방법론을 사용할 때에 그것은 ‘영성신학’이라는 말이 더 적합하다. 그래서 영성을 이해할 때에 ‘영성’, ‘영성학’, ‘영성신학’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그런데 한국교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영성에 대한 주제는 압도적으로 ‘영성학’에 관련된 것들이 많다. ‘영성학’ 연구 방법론의 특징은 간학문적이다. 영적경험이라는 것은 여타 다른 학문의 이론적 도구를 빌리지 않고는, 그 의미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국교회에서 발표되고 있는 영성에 관한 논문들 대부분은 여타 다른 신학과의 만남을 통해 보다 역동적이고, 실천적이고 인간성숙에 기여할 수 있는 신학을 모색하는 동기로 출발한다. 그래서 교회사와 영성, 기독교교육과 영성, 심리와 상담과의 영성. 영성훈련과 기타 실천적 영역과 영성이라는 주제의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 영성이라는 말은 그 자체의 독특성보다는, 간학문적인 연구들을 통해서 드러나고 있는 그 의미를 찾아야 한다. In the 21st century, the word 'spirituality' surpassed its traditional definition, and is used broadly in different topics across the world. This paper delves into researches done under Korean context on “spirituality“ and thus, focus on theology and Christian praxis on spirituality. Until now, in the Korean Church and Christian theologies, when the word 'spirituality' is applied in different cases, they are not completely unrelated, and at times it may appear to convey a different message. Sometimes the term can be applied to two contrasting things. But upon closer inspection, the term began from a single starting point and its meaning has gradually been expanded. Additionally, the term, spirituality, is sometimes used for “study of spirituality” or “spiritual theology”. “Study of spirituality” is suitable when it is used for situations where people experience supernatural phenomenon without any cultural background or religious understanding. “Spiritual theology” is an appropriate term when it is used to understand human experience in theological contex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ethodology of spiritual theology is different from that of biblical theology, systematic theology, and practical theology. Thus, spirituality must be understood through the perspectives of “spirituality”, “study of spirituality” and “spiritual theology”. However, in the Korean Church, spirituality is overwhelmingly understood through “study of spirituality”. A characteristic of “study of spirituality” is that it requires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order to conduct its research. Without borrowing theoretical tools from other disciplines, the meaning of spiritual experience cannot be understood fully. Because of this, most of the papers written regarding spirituality presented within the Korean Church find its starting point based on motivation to collaborate with other theologies and motivation to seek dynamic and practical theology that could help people mature. Papers on topics like church history and spirituality; Christian education and spirituality; psychology, counseling and spirituality; and spiritual exercises and other practical aspects of spirituality are published regularly. Thus, rather than trying to find the uniqueness of spirituality, its significance must be sought through research based on other research disciplines.

      • KCI등재

        이냐시오 영성과 칼 라너의 신학

        이규성(Lee Kyou-S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5

        발타살에 따르면 근대가 시작된 이후로 영성과 신학은 서로 분리된 채로 수행되어 왔다. 신학은 무미건조한 사변적 담론이 되어버렸고 영성은 논리적 구조를 잃어버린 신비로 존재하게 되었다. 이러한 분열로 말미암아 영성과 신학은 스스로를 비현실적인 것으로 만들어버렸다. 20세기 최고의 신학자 중의 하나인 칼 라너는 영성과 신학의 상호지향을 통해 이러한 분열적 현실을 통합할 수 있는 해법을 제안한다. 신학은 영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영성은 신학적 숙고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라너는 영적 체험은 전인적 차원에서 그리고 주체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보나벤투라의 신학적 근거가 프란치스코 영성에 있듯이 라너도 자신의 신학이 이냐시오 영성에 그 기반을 두고 있음을 밝힌다. 그에 의하면 신약성경은 영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및 새로운 신학이 가능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신학이 영성적인 기반을 가질 때 가장 현실적이며 사목적일 수 있다. 영성과 신학의 상호 소통은 하느님 체험에 대한 능동적 숙고를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서 주체적인 결단 및 행동 그리고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한다. 라너는 이를 일상의 신비주의라고 일컫는다. 일상은 하느님을 경험하는 자리가 되며 나아가서 그 경험에 대하여 숙고하고 투신하는 장이 된다. 신학은 따라서 일상에서 일어나는 영적체험을 올바로 해석해야 하는 과제를 지닌다. 이러한 영성과 신학의 상호 지향이야말로 현시대의 인간들이 공적인 생활과 사적인 생활이 서로 분열되지 않은 채 통합된 삶으로 지향할 수 있는 해법이 될 수 있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modern time the spirituality and the theology have been undertaken separately according to Hans Urs von Balthasar. The theology became a speculative discourse and the other one an illogical mystery. They made themselves unrealistic through separation. Karl Rahner,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eology of 20th century, proposed a solution to integrate the spirituality and the theology. According to him, the theology should have the base in the spirituality and that the spirituality should be the subject of theological discourse. Rahner said that the spiritual experiences should be considered in holistic and subjective dimensions. As Bonaventure based his theology in the spirituality of St. Francis, Karl Rahner grounded his theology in the spirituality of St. Ignatius of Loyola. According to Rahner, New Testament is the fundament for the new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and renewed theology. The theology can become realistic and apostolic when the theology has the spiritual base.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theology enables a deliberated experience with God, subjective determination, commitment and the responsibilities that results in it. Rahner calls it mysticism of daily life. Daily life is the place not only for the experiencing God but also for the deliberation on the experience and for the commitment. As for Rahner the daily life experience is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of mystical experience. Theology is therefor the assignment given to interpret the spiritual experience.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theology could be the solution to the integrated whole life in the divided situ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life.

      • KCI등재후보

        영성과 영성신학

        유해룡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2009 장신논단 Vol.0 No.36

        오늘날 영성이라는 말이 종교적 의미를 뛰어넘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의미가 무엇인지 한 마디로 정의를 내리기는 쉽지 않다. 그렇기에 반드시 영성이라는 말을 사용할 필요도 없는 곳에 폭넓게 사용되어짐으로서 영성이라는 말이 지니고 있는 독특성이 퇴색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영성과 영성신학의 의미와 그 상관관계를 탐구하는 것은 시대가 요청하는 매우 요긴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영성이라는 의미는 인간이 존재하는 시점부터 지난 기독교 2천년 역사에 걸쳐 지속적으로 존재하여 왔다. 그러나 그 용어가 언제나 일정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는 않았다. 시대에 따라서 조금씩 그 변화를 겪어왔다.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중세의 스콜라주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영적 혹은 영성이 담고 있는 의미는 바울신학이 전해주는 의미와 별로 차이가 없었다. 즉 성령의 지배를 받는 존재 양태를 일컫는 말이었다. 그러나 스콜라주의에 들어와서 영성이라는 말이 물질과 비물질, 비이성적 존재와 이성적 존재, 혹은 평신도와 사제직 등을 구분하는 의미가 첨가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17-8세기에 들어와서는 영성이라는 말이 감성적 열광주의나 정적주의자들을 향한 냉소주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기에, 제도권적인 교회에서 영성이라는 용어가 한동안 사라졌다. 그러다가 다시 그 말이 수덕적 신학과 신비적 신학이라는 옷을 입으면서 영성이라는 말의 의미가 보다 명확해졌다. 그러나 이 두 신학사이에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논란이 일어나는 동안, 영성신학이라는 말이 등장하였고, 그 용어가 이 논란을 잠재웠다. 그리고 그것이 20세기에 들어서 매우 복잡한 인간경험을 반영하고, 인간론적인 입장에서 영성을 접근함으로 영성학이라는 말로 발전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발전과정을 돌이켜 볼 때에 영성은 신학적 경험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현대적 입장에서 영성을 이해하려면 그 범위를 보다 확대시켜야 한다. 영성을 신학적인 주제의 하나로 제한시켜 연구한다면, 종교와 관련되지 않는 인간은 영성과 관련시켜 논할 수 없게 된다. 사실 요즈음에 회자되고 있는 영성에 대한 논의는 종교적 인간에 대한 관심보다는 일상을 살아가는 인간이 도대체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비롯되었다. 그래서 영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경험론적 측면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 영성학자들의 보편적인 주장이다. 특별히 인간경험들 중에서 영성이 주목하는 측면은 인간의 자아초월적인 특성이다. 인간이 그러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에 끊임없이 진정성 있는 윤리적 삶과 인간됨을 추구하게 된다. 그러한 자아초월적인 경험이 일상생활 속에서 통합되어 인간을 인간되게 하는 그러한 과정들을 영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인간은 살아가고, 경험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과 경험을 끊임없이 사고하고, 반추하고, 탐구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연구의 주제로 삼는다면 그것이 영성학이다. 그러므로 이 영성학은 인간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리고 그것은 여타의 다른 신학들, 그리고 인문학, 심지어는 과학이 함께 어우러져 완성될 수 있는 간학문적 접근을 요구하는 학문이다.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신사도운동의 영성

        최윤배 ( Cyoon Bae Hoi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8 No.-

        우리는 본고에서 ‘영성’과 ‘개혁주의’라는 용어를 먼저 정의하고, 신사도운동에 대한 역사(歷史)를 간략하게 기술한 뒤에, 신사도운동의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신사도 개혁 운동’(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은 1906년 미국 아주사 부흥(Azusa Rivival)을 기점으로 시작된 ‘늦은비의 새 질서’(New Order of the Latter Rain) 운동을 거쳐 ‘빈야드 운동’ (Vineyard Movement)에 이른다. 빈야드 운동은 1990년대 중반에 토론 토와 플로리다 펜서콜라를 중심으로 다시 크게 일어났다. 1994년부터 존 아놋(John Arnott)은 토론토공항교회(Toronto Airport Christian Fellowship)를 중심으로 소위 ‘토론토 블레싱’(Toronto Blessing) 또는 ‘거룩한 웃음 운동’(Holy Laughter Movement)을 일으켰다. 이 운동은 성령세례로서의 은사 운동에서 시작하여 치유 운동과 예언 운동 및 이적과 기적 운동으로 발전했다. 이 운동은 외국의 신사도운동가들이 한국교회와 각종 집회에 강사로 초청되거나 한국교회의 목회자나 평신도가 현지에 직접 방문하여 영향을 받아 다시 귀국하여 한국에 영향을 미치거나 책이나 인터넷 등의 매체들을 통하여 전파되었다. 비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일반 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근본적인 차이점을 가진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졌고, 그리스도 안에서 보존되고 확증되었으며,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 복음 안에서 열매를 맺는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열려진 참 인간적인 삶의 능력인데, 우리의 인생관, 가치관, 행복관의 인식과 관계되며, 그와 같은 실천 가운데서 감격, 감사, 기쁨, 평안을 누릴 수 있는 능력과 관계된다. 개혁교회의 ‘경건’(pietas) 또는 영성의 본질은 성령의 감동을 통해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응답인데,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서 인간은 자신의 가장 깊은 본질 안에서 그리고 자신의 삶의 모든 차원 안에서 하나님 앞에 서게 된다. 우리가 본고에서 정의한 ‘개혁주의’ 또는 ‘개혁적’(reformed; reformiert; 네덜란드어로 gereformeerd 또는 hervormd)이라는 일차적 의미는 ‘역사적(歷史的) 개혁신학(改革神學)’ 전통이며, 역사적 개혁신학 전통은 세계 도처에 ‘개혁교회’(the Reformed churches)와 ‘장로교회’(the Presbyterian churches)라는 이름으로 약 500년 동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우리는 신사도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첫째, 신사도운동의 사도직과 선지자직의 역사적(歷史的) 회복의 영성은 역사적(歷史的) 보편 기독교회의 권위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결과를 낳는다. 둘째, 신사도운동의 ‘직통계시’의 영성은 하나님의 말씀과 계시로서의 정경(正經)의 절대성을 완전히 파괴하는 결과를 낳는다. 셋째, 신사도운동의 비성경적 성령론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비정상적, 비윤리적 삶을 초래케 한다. 넷째, 신사도운동의 잘못된 구원과 선교 방법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구원관과 선교관을 오도(誤導)한다. 다섯째, 신사도운동의 신학과 성경에 대한 몰이해는 교회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반(反)신학적, 비성경적 사고로 유도(誘導)한다. 여섯째, 신사도운동의 문제된 은사, 기도, 선교 운동으로부터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성경에 기초한 올바른 은사 운동, 올바른 기도 운동, 올바른 선교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할 역사적 큰 책임감을 갖게 된다. 신사도운동의 영성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를 통해 우리는 크게 두 가지 유익을 얻었다. 하나는 신사도운동의 영성과 신학이 개혁교회의 신앙과 신학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라는 사실이며, 다른 하나는 기존 교회는 자신의 영성과 신학의 취약한 부분을 뒤돌아 보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개혁된 교회(개혁교회)는 항상 개혁하는 교회”(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라는 신앙과 신학의 주요 원리와 정체성을 우리는 계속 실천해야 할 것이다. 개혁교회는 만왕의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말씀과 그의 성령을 통해서 우리를 항상 다스리시도록 끊임없이 기도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 spirituality of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The term ‘Reformed’ as a designation for a denomination or family of churches is a late-Reformation development. In the 1560s, the word came to be used on the continent in a somewhat official way, but it was almost an equivalent of ‘Protestant’ or ‘Evangelical’ and included Lutherans as well as those churches affiliated with Zwingli or Calvin. It was only after 1590 that a distinction came to be made between Lutherans and Reformed. ‘Reformed’ subsequently came to be used of almost all the Calvinist Churches on the Continent. A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that accepts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the prophets in Old Testament and the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 rejects the authority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es in the history. We see the rapidly increasing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the Korean churches, where the reality of the Holy Spirit is often sought in the emotional, individualistic, and extravagant. But we disagree with the opinion that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discontinue the churches in our days. We have to recover together some badly neglected gifts of the Holy Spirit. Only when we earnestly desire the spiritual gifts, God will grant us the solution of many problems with which we now wrestle.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신사도운동의 영성

        김선권 ( Sun Kwon Kim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8 No.-

        우리는 본고에서 ‘영성’과 ‘개혁주의’라는 용어를 먼저 정의하고, 신사도운동에 대한 역사(歷史)를 간략하게 기술한 뒤에, 신사도운동의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신사도 개혁 운동’(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은 1906년 미국 아주사 부흥(Azusa Rivival)을 기점으로 시작된 ‘늦은비의 새 질서’(New Order of the Latter Rain) 운동을 거쳐 ‘빈야드 운동’ (Vineyard Movement)에 이른다. 빈야드 운동은 1990년대 중반에 토론 토와 플로리다 펜서콜라를 중심으로 다시 크게 일어났다. 1994년부터 존 아놋(John Arnott)은 토론토공항교회(Toronto Airport Christian Fellowship)를 중심으로 소위 ‘토론토 블레싱’(Toronto Blessing) 또는 ‘거룩한 웃음 운동’(Holy Laughter Movement)을 일으켰다. 이 운동은 성령세례로서의 은사 운동에서 시작하여 치유 운동과 예언 운동 및 이적과 기적 운동으로 발전했다. 이 운동은 외국의 신사도운동가들이 한국교회와 각종 집회에 강사로 초청되거나 한국교회의 목회자나 평신도가 현지에 직접 방문하여 영향을 받아 다시 귀국하여 한국에 영향을 미치거나 책이나 인터넷 등의 매체들을 통하여 전파되었다. 비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일반 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근본적인 차이점을 가진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졌고, 그리스도 안에서 보존되고 확증되었으며,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 복음 안에서 열매를 맺는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열려진 참 인간적인 삶의 능력인데, 우리의 인생관, 가치관, 행복관의 인식과 관계되며, 그와 같은 실천 가운데서 감격, 감사, 기쁨, 평안을 누릴 수 있는 능력과 관계된다. 개혁교회의 ‘경건’(pietas) 또는 영성의 본질은 성령의 감동을 통해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응답인데,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서 인간은 자신의 가장 깊은 본질 안에서 그리고 자신의 삶의 모든 차원 안에서 하나님 앞에 서게 된다. 우리가 본고에서 정의한 ‘개혁주의’ 또는 ‘개혁적’(reformed; reformiert; 네덜란드어로 gereformeerd 또는 hervormd)이라는 일차적 의미는 ‘역사적(歷史的) 개혁신학(改革神學)’ 전통이며, 역사적 개혁신학 전통은 세계 도처에 ‘개혁교회’(the Reformed churches)와 ‘장로교회’(the Presbyterian churches)라는 이름으로 약 500년 동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우리는 신사도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첫째, 신사도운동의 사도직과 선지자직의 역사적(歷史的) 회복의 영성은 역사적(歷史的) 보편 기독교회의 권위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결과를 낳는다. 둘째, 신사도운동의 ‘직통계시’의 영성은 하나님의 말씀과 계시로서의 정경(正經)의 절대성을 완전히 파괴하는 결과를 낳는다. 셋째, 신사도운동의 비성경적 성령론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비정상적, 비윤리적 삶을 초래케 한다. 넷째, 신사도운동의 잘못된 구원과 선교 방법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구원관과 선교관을 오도(誤導)한다. 다섯째, 신사도운동의 신학과 성경에 대한 몰이해는 교회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반(反)신학적, 비성경적 사고로 유도(誘導)한다. 여섯째, 신사도운동의 문제된 은사, 기도, 선교 운동으로부터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성경에 기초한 올바른 은사 운동, 올바른 기도 운동, 올바른 선교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할 역사적 큰 책임감을 갖게 된다. 신사도운동의 영성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를 통해 우리는 크게 두 가지 유익을 얻었다. 하나는 신사도운동의 영성과 신학이 개혁교회의 신앙과 신학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라는 사실이며, 다른 하나는 기존 교회는 자신의 영성과 신학의 취약한 부분을 뒤돌아 보아야한다는 사실이다. “개혁된 교회(개혁교회)는 항상 개혁하는 교회”(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라는 신앙과 신학의 주요 원리와 정체성을 우리는 계속 실천해야 할 것이다. 개혁교회는 만왕의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말씀과 그의 성령을 통해서 우리를 항상 다스리시도록 끊임없이 기도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 spirituality of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The term ‘Reformed’ as a designation for a denomination or family of churches is a late-Reformation development. In the 1560s, the word came to be used on the continent in a somewhat official way, but it was almost an equivalent of ‘Protestant’ or ‘Evangelical’ and included Lutherans as well as those churches affiliated with Zwingli or Calvin. It was only after 1590 that a distinction came to be made between Lutherans and Reformed. ‘Reformed’ subsequently came to be used of almost all the Calvinist Churches on the Continent. A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that accepts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the prophets in Old Testament and the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 rejects the authority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es in the history. We see the rapidly increasing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the Korean churches, where the reality of the Holy Spirit is often sought in the emotional, individualistic, and extravagant. But we disagree with the opinion that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discontinue the churches in our days. We have to recover together some badly neglected gifts of the Holy Spirit. Only when we earnestly desire the spiritual gifts, God will grant us the solution of many problems with which we now wrestle.

      • 기독교 민중해방운동과 영성

        강원돈(Won Don Kang) 혜암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교회 Vol.15 No.-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에서 전개된 기독교 민중해방운동에서 형성된 영성을 분석했다.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로 자리를 잡지 못한 한국에서 기독교 민중해방운동은 민중이 주체가 되어 전개하는 해방운동에 기독교인들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나타났고, 그러한 기독교인들이 민중해방운동에 참여한 경험에서 비롯된 신학이 민중신학이다. 1970년대에 하나님의 선교의 틀에서 민주화-인권운동과 민중운동에 개입한 현영학, 안병무, 서남동, 김용복 등 민중신학자들은 역사 안에서 펼쳐지는 메시아 통치에 민중이 주체로서 참여한다는 점을 부각했고, 민중의 역사 주체성을 사건의 신학, 증언의 신학, 성령론적-공시적 해석, 민중의 사회전기 등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민중신학은 메시아 통치의 역사성을 중시했다. 그것은 출애굽 사건, 원시 이스라엘, 예언자 운동, 묵시운동, 예수 운동 등을 통하여 또렷하게 드러났고, 그 운동의 기억을 전승하면서 오늘의 민중의 고난과 죽임당함과 저항에 온 몸으로 연대하는 기독교인들의 운동을 통하여 계속 실증되고 있다. 메시아 통치의 역사적 기억을 전승하면서 민중과 더불어 투쟁하는 기독교인들의 영성은 메시아적 영성으로 규정할 수 있다. 그것은 예언자적 영성이고, 묵시적 영성이고, 정치적 영성이고, 참여적 영성이다. 1980년대의 한국 민중해방운동에 대응하면서 민중신학은 소장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급진화하였고, 민중해방운동의 필요 불가결한 일부를 이루는 기독교인 운동을 뒷받침하는 이론과 신학적 담론을 제공하였다. 소장파 신학자들의 민중신학은 역사적 현실관계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과 신학적 성찰을 해방실천의 맥락에서 통합하고자 했고, 실천과 유물론에 굳게 선 신학을 모색하고자 했다. 유물론적 신학은 메시아 통치의 역사성과 물질성을 중시하기에 메시아 통치를 관념론과 형이상학의 언어로 서술하는 것을 단호하게 거부한다. 그것은 유물론의 합리적 핵심을 지키고자 한다. 따라서 유물론적 신학은 역사적 현실관계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현실관계들을 은폐하고 왜곡하는 갖가지 이데올로기를 가차 없이 비판하고, 민중해방운동의 전망과 전략을 명확하게 인식하고자 한다. 유물론적 신학은 유물론적 영성을 제시한다. 그것은 하나님의 정치에 충실한 메시아적 영성이지만,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이 형성하는 관계들의 망상구조를 체화한 신독의 영성, 사회적 영성, 생태학적 영성을 통합하는 형식과 내용을 갖는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spirituality which has been formed in Christian movement for minjung liberation in Korea. In Korea, in which Christianity has not established itself as the dominant religion, the Christian movement for minjung liberation appeared as a mode of Christians’ participation in the liberation movement of minjung as subjects. Minjung theology was born from the experience of Christians who participated in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In the 1970s Minjung theologians, such as Hyun Young-hak, Ahn Byeong-mu, Suh Nam-dong, and Kim Yong-bok, intervened in the democratization-human rights movement and the minjung movement in the framework of God’s mission(mission Dei). They focused that minjung participated as the subject in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They attempted to explain the minjung as subject of history through theology of events, theology of testimony, spiritual-synchronic interpretation, and social biography of minjung. Minjung theology emphasized the historicity of the messianic rule. It was evident through the Exodus event, the primitive Israel, the prophetic movement, the apocalyptic movement, and the Jesus movement. It continues to be demonstrated through the movement of Christians who transfer the memory of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struggle in solidarity with the minjung who suffer, are brought unceasingly to death and resist. The spirituality of the Christians can be defined as messianic because they are oriented to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and struggle with minjung. It is prophetic spirituality, apocalyptic spirituality, political spirituality, and participatory spirituality. In response to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in the 1980s, Minjung theology of younger generation has radicalized. It provided theories and theological discourse to support the Christian movement, which was an integral part of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Such a Minjung theology attempted to integrate social scientific analysis and theological reflection in the context of liberation practice. It sought to seek a theology firmly founded on liberation practice and materialism. This theology has been called materialistic theology. It accentuates the historicity and materiality of the messianic rule, therefore it adamantly rejects to describe it in the language of idealism and metaphysics. It endeavors to keep the rational core of materialism. Therefore, materialistic theology scientifically analyzes historical relations of reality. It relentlessly criticizes various ideologies that conceal and distort real relations. It seeks to clearly recognize the prospects and strategies of minjung liberation movement. Materialistic theology presents materialistic spirituality. It is a sort of messianic spirituality that is faithful to God’s government in history. It has a form and content that unites personal spirituality before God(coram Deo), social spirituality, and ecological spirituality. It is because the materialistic spirituality is open to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which God, human beings, and nature form.

      • KCI등재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관점으로 본 통전성을 지향하는 영성교육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현대를 살아가는 신앙인들이 가지는 큰 고민 중 하나는 영성의 부재(不在)와 고갈(枯渴)일 것이다. 그러면, 이 영성이란 대체 무엇인가? 안타깝게도 우리들은 너무나 쉽게 우리가 알고 있고 또 믿고 있는 범위 내에서 영성을 정의하고 단정 지으려 한다. 그렇다면 나의 규정적 영성의 정의와 한계를 넘어서는 포괄적인 영성, 그래서 다름과 더불어 대화가 가능한 수용성 있는 통전적 영성이란 무엇일까? 통전성은 몰분류성의 어수선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통전성은 관점의 배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북미(北美)에서 많이 사용되는 영성신학 입문서라 할 수 있는 마이클 다우니(Michael Downey)의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에 나오는 현대 영성의 분류에 근거한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관점으로 본 통전성을 지향하는 기독교 영성교육에 관하여 살펴보려고 한다. 인간내면의 실존적인 요구에 근거한 심리학적 이해들, 교회연합을 위한 통전적 영성의 신학적 이해들, 그리고 다문화 다종교사회인 한국적 상황 속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전해질 수 있는 기독교의 영성교육은 어떤 정의를 가지며, 어떤 이론적 기초위에 세워져야 할 것인가? 이에 본 논문은 통전성을 지향하는 기독교영성교육의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바탕이론에 관하여 연구해 볼 것이다. 우리는 먼저 현대 영성의 유형들에 근거한 통전적 영성이해의 필요들에 관하여 살펴 볼 것이다. 1) 영적 목마름 속의 현대인들의 실존적이며 심리학적 요구와 2) 우후죽순(雨後竹筍)처럼 생겨나 지금은 그 교파의 수조차 헤아릴 수 없이 갈라진 교회의 연합적 필요에 대한 신학적 부응(副應) 그리고 3) 타 종교인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다문화, 다종교의 한국적 상황 속에서 대화의 접촉점으로서의 통전적 영성이해의 필요들을 짚어보려 한다. 두 번째로 이러한 1) 심리학적, 2) 신학적, 그리고 3) 문화, 상황적 필요들을 토대로 통전적 영성에 관하여 그 특징들을 중심으로 정의 내릴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살펴본 이해와 정의를 바탕으로 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으로써의 통전적 영성을 지향하는 기독교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시도해 보려 한다.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관점으로 본 통전성을 지향하는 영성교육의 방향성은 어떠하여야 하는가? 첫 번째로 통전적 인간 내면의 치유를 위한 관계성 회복의 기독교 영성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교회연합과 일치를 위한 기독교 영성교육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앎과 삶을 이어주고, 인간의 내적영성과 외적영성을 이어주는 상황을 고려하는 통전적 영성교육이 되기를 소망한다. One of the biggest issues we modern-day Christians face is the absence and exhaustion of spirituality. Then, what is the spirituality? Unfortunately, we so easily confine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in the limits of our knowledge and belief. Then, what is the holistic spirituality which is receiptable, enables dialogues with otherness, and expands beyond boundaries of normative definition and limitation of spirituality? On this point, wholeness does not mean unclassified. Even though it is holistic, holistic spirituality would need certain perspectives.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ward wholeness based on psychological, theological, cultural-contextual perspectives by employing Michael Downey’s classification of today’s Christian spirituality based on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which is one of the popular introductory texts for the spirituality in North American seminaries. How do we effectively teach spiritual education in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existential needs of human mind,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holistic spirituality for the church unity, and a cultural-contextual understanding of Korean multi-cultural and religious context? Furthermore, how do we establish this theory? Thus, I will offer suggestions for the theoretical bases of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ward wholeness. In developing this study, firstly, I will discuss a need of understanding the holistic spirituality.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I will elaborate existential and psychological needs of contemporary man as an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I also will delve into ecumenical needs of world church as an intra-relational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Furthermore, from a cultural and contextual perspective, I will deal with the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Second, I will provide a definition of holistic spirituality in light of the above psychological, theological, and contextual bases. In addition, I will describe characteristics of the holistic spirituality arising from these perspectives. Finally, I will offer several suggestions concerning holistic spirituality for the Christian education. What should spiritual education toward wholeness based on psychological, theological, cultural-contextual perspectives be? First, it should be a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restoration and healing of relationship in human mind. Second, it should be a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the ecumenical church union and unity. Last, it should be a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 consider contexts in order to connect knowing and living with inner spirituality and outer spirituality of human beings.

      • KCI등재

        현대 영성학과 목회상담을 통한 영성 탐색에 대한 연구 - 신앙 고백적 신학과 작용적 신학을 중심으로 -

        김태형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87 No.-

        Paul Tillich understands a human a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being. So when we can understand a human truly, we need to get help with theological viewpoints along with psychological ones. Theological viewpoints supply various human experiences with the transcendent insights, and transcendent insights from life experiences tend to appear as a tendency of a modern spiritu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christian spiritual theology. As a branch of Applied Theology, Pastoral Counseling can explain the concept of Confessional Theology and Operational Theology about Modern Spirituality and so lead a Spirituality-Oriented Counseling, by helping bridge the gap between the two theologies. I insist that Spirituality-Oriented Counseling is theologically-based and has merits over the psychology, because it can cover both psychological and spiritual traits of a human being. A Pastoral Counselor who lead Spirituality-Oriented Counseling, can help clients experience the Grace from God more closely and deeply. 폴 틸리히(Paul Tillich)에 따르면 인간 이해에는 심리학적 차원과 신학적 차원이 있으며, 심리학적인 차원의 이해로써 심오한 인간 이해가 어렵기 때문에 신학적 차원의 이해가 필요하다. 인간의 이해에 대한 신학적 관점은 다양한 현대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초월적인 면을 파악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이런 경향은 전통적인 기독교의 영성신학과 구별되는 현대 영성학의 흐름을 이끌게 되었다. 실천신학의 한 분야인 목회상담은 구체적으로 현대 영성학의 이런 경향성에 대하여 영성의 내용(고백적 신학)과 기능(작용적 신학)을 구분하여 탐색하고, 그 불일치를 극복하도록 돕는 방식으로 영성지향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영성지향적인 상담은 심리만을 다루는 일반심리학의 한계를 넘어서며, 신학에 기반을 둔 목회상담의 독특한 장점을 보여줄 수 있다. 영성지향적인 목회상담은 인간의 경험의 심리적인 면과 초월적인 영성의 면을 모두 상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영성지향적 상담을 이끄는 목회상담자는 내담자가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에 한층 더 접근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