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제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의 임상적 결과

        송승은 ( Seung Eun Song ),고옥진 ( Ok Jin Ko ),조현지 ( Hyun Ji Cho ),서은성 ( Eun Sung Seo ),정경란 ( Kyung Lan Jung ),최석주 ( Suk Joo Choi ),오수영 ( Soo Young Oh ),노정래 ( Cheong Rae Roh ),김종화 ( Jong Hwa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2

        목적: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의 임신결과 및 주산기 예후를 임신 제 2 삼분기 이후 발생한 불일치 쌍태임신 및 일치 쌍태임신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875예의 쌍태임신 중 임신 제 1 삼분기에 시행한 초음파 자료가 있는 797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조사를 하였다. 연구대상군은 (1) 임신 10주에서 14주 사이 쌍태아간 머리엉덩이길이가 5일 이상 차이나는 경우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 32예), (2) 임신 20주에서 28주 사이에 20 mm 이상의 태아 복부둘레 차이가 발생한 경우 또는 임신 29주 이후 25% 이상의 쌍태아간 체중차이가 발생한 경우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 42예), (3) 임신 전 기간에 걸쳐 불일치가 없었던 경우 (일치 쌍태임신군 723예)로 각각 분류하였다. 두 쌍태아 중 한 명 이상에서 주요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자궁내 태아사망발생 유무를 주요변수로 하여 세 군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의 인구학적 특성 및 융모막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은 일치 쌍태임신군에 비해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다. 선천성기형의 발생빈도는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21.9% vs. 11.9%, p<0.001) 태아성장지연의 빈도는 임신 제 2-3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보다 높았다 (32.3% vs. 71.8%, p<0.01).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및 자궁내 태아사망의 빈도는 모두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군이 일치 쌍태임신군보다 높았다 (21.9% vs. 3.5%, p<0.001, 32.3% vs. 9.1%, p<0.01, 6.3% vs. 1.0%, p<0.05). 결론: 임신 제 1 삼분기 불일치 쌍태임신은 선천성기형, 태아성장지연, 자궁내 태아사망의 위험이 증가하며 따라서 임신 제 2 삼분기 이후 발생한 불일치 쌍태임신과 마찬가지로 고위험 임신으로 간주해야 한다.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with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and concordant twins. Methods: Pregnancy outcomes of twin pregnancies delivered from October 1994 to February 2006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llowing three groups: 1) group 1,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defined as intertwin CRL difference ≥5 days at 10-14 weeks of gestation (n=32), 2) group 2,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defined as intertwin AC difference >20 mm at 20-28 weeks of gestation or intertwin fetal weight difference >25% beyond 29 weeks of gestation (n=42), 3) group 3, concordant twins with no discordancy throughout the whole gestation (n=723). Perinatal complications analyzed for were congenital anomaly, fetal growth restriction (FGR), fetal death in utero (FDIU). Results: The three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chorionicity. Overall, the group 2 had higher perinatal complications compared to the group 3. Congenital anomaly was more common in the group 1 than the group 2 (21.9% vs. 11.9%, p<0.001). However, FGR rate was higher in the group 2 than the group 1 (32.3% vs. 71.8%, p<0.01). Congenital anomaly, FGR and FDIU were more common in the group 1 compared to the group 3 (21.9% vs. 3.5%, p<0.001, 32.3% vs. 9.1%, p<0.01, 6.3% vs. 1.0%, p<0.05, respectively). Conclusions: First trimester discordant twins have an increased risk of congenital anomaly, FGR and FDIU, and therefore, they should be regarded as a high-risk pregnancy likewise second or third trimester discordant twins.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로 임신된 쌍태 임신과 정상 쌍태 임신의 예후 비교

        강은희(Eun Hee Kang),박은주(Eun Joo Park),채희동(Hee Dong Chae),김성훈(Sung Hoon Kim),김정훈(Chung Hoon Kim),강병문(bYUNG mOON kANG),장윤석(Yoon Seok C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목적 : 체외수정시술 후 성립된 쌍태 임신의 예후를 살펴보고 이를 정상 쌍태 임신의 예후와 비교함으로써 체외수정시술 후 발생한 쌍태 임신의 예후를 예측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1995년 10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쌍태 임신으로 분만한 총 100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60명은 체외수정시술에 의하여 성립된 쌍태 임신이었고 40명은 정상 쌍태 임신이었으며 다태 임신 감수술에 의하여 쌍태가 된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산과적 합병증을 포함한 임신 및 신생아의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에 있어 평균값의 비교에는 Student t-검정(t-test)을 이용하였고 분율의 비교에는 χ2 검정 또는 Fisher의 직접확률법(Fisher's exact test)을 시행하였다. P < 0.05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결과 : 양 군에서의 평균 재태 연령 및 재태 연령의 분포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생아의 체중 및 분포, 쌍태아간 심각한 체중 차이, 태위, 제왕절개술의 빈도에 있어 양 군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산과적 합병증 및 신생아의 예후의 비교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결론 : 체외수정시술 후 성립된 쌍태 임신은 정상적으로 임신된 쌍태 임신과 비교하였을 때 그 예후가 더 불량하지는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o compare pregnancy outcome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twin pregnancies with that of normally conceived twin pregnancies Materials and Method : From October 1995 to October 1998, total 100 twin pregnanci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regnancies were grouped into the IVF twin pregnancy group (n = 60) and normal twin pregnancy group (n = 40). Twin pregnancies resulting from multifetal pregnancy reduction (MFPR) were excluded in this study. The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udent's t-test, Fisher's exact test, and χ2 test as appropriat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 < 0.05.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gestational age and distribution of gestational age between the two groups.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irthweight, weight discordancy, presentation of fetuses, and frequency of cesarean sec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also no differences in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between the IVF twin and normal twin pregnancy groups.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e pregnancy outcome of twin pregnancies resulting from IVF-ET is comparable with that of normally conceived twin pregnancies.

      • KCI등재

        쌍태임신에서 임신중기 양수천자 후 태아 손실률

        서백경 ( Back Kyoung Seo ),정진훈 ( Jin Hoon Chung ),양재혁 ( Jae Hyug Yang ),신중식 ( Joong Sik Shin ),김문영 ( Moon Young Kim ),류현미 ( Hyun Mee Ryu ),김민지 ( Min Ji Kim ),이현정 ( Hyun Jung Lee ),유영 ( Young Yu ),최준식 ( J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두 융모막성 쌍태임신에서 임신중기 양수천자에 따른 태아 손실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산전진찰을 받은 두 융모막성 쌍태임신 임산부 중, 임신중기 양수천자를 시행 받은 13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같은 기간 양수천자를 하지 않은 두 융모막성 쌍태임신군 595명과 동일한 날, 동일한 시술자에 의해 양수천자를 시행 받은 단태임신군 402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쌍태임신에서 태아 손실은 임신 28주 이전 양측태아 모두에서 손실이 발생한 경우를 태아 손실로 분류하였다. 결과: 임신 중기 양수천자 후 시술 후 4주 이내에 발생한 태아손실은 쌍태임신군에서 1예 (0.75%), 단태임신군에서 2예 (0.49%, P=.729) 이었고, 같은 임신 주수에서 양수천자를 시행 받지 않은 쌍태임신군 8예에서 태아 손실이 발생하였다. (1.34%, P=.581) 임신 28주 이내에 발생한 태아 손실은 양수천자를 시행 받은 쌍태임신군에서 4예(3.03%), 양수천자를 시행 받지 않은 쌍태 대조군에서 16예(2.69%, P=.83) 단태 대조군에서 2예 (0.49%, P=.017)이었다. 결론: 쌍태임신 시 임신 중기 양수천자 후 태아손실률은 단태임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양수천자를 시행 받은 쌍태임신군의 태아 손실률은 양수천자를 시행 받지 않은 쌍태임신군의 태아 손실률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Objective: To assess the fetal loss rate among dichorionic twin gestations undergoing genetic amniocentesis compared with singletons undergoing the procedure and untested twins. Methods: From January 2002 through December 2004, total 132 pregnant women with dichorionic twin gestation with mid-trimester amniocentesis at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 control group, 595 women with untested dichorionic twins during the same period and 402 women with singleton pregnancies with amniocentesis performed by the same physician at the same date of study group were selected. Excluded were fetuses with known structural anomalies, cases in which amniocentesis was done in only one fetus, and cases of which pregnancies were terminated due to fetal chromosomal abnormalities. Fetal loss was defined as the loss of both fetuses and subdivided into two categories: within 4 weeks after amniocentesis and before 28 gestational weeks. Results: Up to 4 weeks after the procedure, one case (0.75%) in the tested twin group, two cases in post-procedure singleton group (0.49%, P=.729), and eight cases in the untested twin control group (1.34%, P=.581) were aborted spontaneously. Up to 28 gestational weeks, four fetal losses occurred in post-amniocentesis twins (3.03%), sixteen cases in untested twins (2.69%, P=.83), and two cases in the singleton pregnancies with amniocentesis (0.49%, P=.017). Conclusion: The risk of fetal loss in twin underwent mid-trimester amniocentesis appears to be higher than that of tested singletons in this stud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tal loss rates between amniocentesis twin group and untested twin group.

      • KCI등재

        융모막성에 따른 자연 쌍태아와 체외수정 쌍태아의 임신 및 신생아 예후 비교

        남수현 ( Soo Hyun Nam ),이지은 ( Ji Eun Lee ),문성오 ( Seong O Moon ),최석주 ( Suk Joo Choi ),김형선 ( Hyung Sun Kim ),오수영 ( Soo Young Oh ),김종화 ( Jong Hwa Kim ),노정래 ( Cheong Rae Ro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8

        목적: 융모막성에 따라 체외수정에 의한 쌍태 임신의 예후를 자연 쌍태 임신의 예후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4년 10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쌍태 임신으로 분만한 598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하였다. 392예는 자연임신군이었고, 206예는 체외수정에 의한 임신군이었다. 대상 환자들의 산과적 합병증을 포함한 임신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융모막성에 따라 일융모막과 이융모막으로 대상군을 세분하여 임신 및 주산기 예후를 다시 분석하였다. 결과: 체외수정군에서 37주 미만의 조산 빈도가 많았다(74.5% vs. 82.5%, p=0.031). 그러나 평균 재태 연령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34.5±2.86주 vs. 34.2±0.28주). 산전 입원 빈도 역시 체외수정군에서 많았다(4.6% vs. 9.2%, p<0.001). 다른 주산기 예후는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융모막성에 따라 임신 예후를 다시 분석한 결과에서는 이융모막의 경우 체외수정군에서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빈도 (42.7% vs. 52.6%, p<0.05)와 괴사성장염이 자연임신군에 비해 많았고 (0.5% vs. 3.5%, p<0.05), 일융모막의 경우 체외수정군에서 전치태반의 빈도가 많았다(0% vs. 11.8%, p<0.001). 결론: 결론적으로 체외수정에 의한 쌍태임신이 자연 쌍태임신에 비해 일융모막성의 경우 전치 태반의 반도가 증가하고, 이융모막성의 경우에는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빈도와 괴사성 장염의 빈도가 증가된다. Objective: To compare the pregnancy outcomes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twins with those of spontaneous twins based on their chorionicitie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98 twin pregnancies beyond 24 weeks of gestation delivered from October 1994 to December 2003. Subjects were grouped into the spontaneous group (n=392) and the IVF group (n=206) and then subgrouped into dichorionic (n=193, spontaneous vs. n=156, IVF) and monochorionic (n=154, spontaneous vs. n=34, IVF) subgroups. First, the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spontaneous group and the IVF group regardless of their chorionicity. Second, the same outcome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spontaneous and the IVF group with same chorionicity.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preterm deliveries before 37 weeks of gestation in IVF twins (74.5% spontaneous vs. 82.5% IVF, p=0.031). However, the gestational age at deliver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34.5±2.86 weeks vs. 34.2±0.28 weeks). Antepartum admission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IVF group (4.6% vs. 9.2%, p<0.001). We were unable to obser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inatal outcomes between the two groups other than increased in utero fetal demise in utero in the IVF group (0.3% vs. 1.5%, p<0.05). When we reanalyzed pregnancy outcomes based on chorionicity, there were more frequent admission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42.7% vs. 52.6%, p<0.05) and necrotizing enterocolitis (0.5% vs. 3.5%, p<0.05) in dichorionic twins of the IVF group. In monochorionic twins, the incidence of placenta previa was increased in the IVF twin group (0% vs. 11.8%, p<0.001). Conclusion: In the IVF twins, the incidence of placenta previa was increased in monochrionic twins and the incidence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and necrotizing enterocolitis were also increased in dichorionic twins.

      • KCI등재

        쌍태임신에서 임신 전 체질량지수 및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임신 예후

        김명주 ( Myung Joo Kim ),나은덕 ( Eun Duc Na ),이경진 ( Kyoung Jin Lee ),차동현 ( Dong Hyun Cha ),신중식 ( Joong Sik Shin ),이화영 ( Hwa You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5

        목적 2009년 개정된 Institute of Medicine (IOM)의 권고안에 근거하여 쌍태임신 산모의 임신 전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및 임신 중 체중증가량에 따른 임신 예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8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분만한 쌍태임신 산모 500명 및 쌍태아 1,00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산모의 임신 전 BMI에 따라 저체중(BMI<18.5 kg/m2)군, 정상체중(18.5≤BMII<23 kg/m2)군, 과체중(23.0≤BMII<25 kg/m2)군, 비만(BMI≥25 kg/m2)군, IOM의 임신 중 권장 체중증가량에 따라 미달군, 적정군, 초과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500명 산모 중 저체중군 76명(15.2%), 정상체중군 330명(66.0%), 과체중군 55명(11.0%), 비만군 39명(7.8%), 미달군 237명(47.4%),적정군 220명(44%), 초과군 43명(8.6%)이었다. 임신 중 총 체중증가량은 평균 16.3±4.9 kg, 주당 체중증가량은 평균 0.45±0.13 kg/wk 였다. 저체중군 및 미달군에서 빈혈, 비만군에서는 임신성 당뇨의 발생 비율이 높았다. 초과군에서는 부당과량아, 임신성 고혈압, 신생아의 5분 Apgar 점수 7점 미만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쌍태임신에서 임신 전 저체중 또는 비만인 경우, 임신 중 체중증가가 적거나 과도한 경우에 불량한 임신 예후와 연관이 높다. 따라서 상담및 교육을 통해 임신 전 정상 체질량지수를 유지하고 임신 중 적절한 체중증가를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 Objective To analyze the pregnancy outcome and prognosis related to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BMI) and gestational weight gain in twin pregnancies according to the 2009 Institute of Medicine recommendation (IOM).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500 twin pregnant women and their 1,000 babies delivered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0. The women divided in 4 groups according to prepregnancy BMI; underweight (BMI<18.5 kg/m2), normal weight (18.5≤BMI<23 kg/m2), overweight (23.0≤BMI<25 kg/m2), and obese (BMI≥25 kg/m2) and also categorized 3 groups according to gestational weight gain; poor if it was below the IOM range for the prepregnancy BMI, normal if it was within the range, and excessive if it was above the range. Results Among total 500 twin pregnant women, underweight were 76 (15.2%), normal weight 330 (66.0%), overweight 55 (11.0%) and obese 39 (7.8%); poor 237 (47.4%), normal 220 (44%) and excessive 43 (8.6%). The mean total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was 16.3±4.9 kg and mean weight gain per week was 0.45±0.13 kg/wk.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was signifi cantly associated with obese women. Anemia was signifi cantly increased in poor weight gain group whereas gestational hypertension, large for gestational age and neonatal Apgar score of 5 minutes under 7 were signifi cantly increased in excessive weight gain group. Conclusion The adverse pregnancy and neonatal prognosis were associated with abnormal prepregnancy BMI or gestational weight gain in twin pregnancie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normal prepregnancy BMI and gestational weight gain through appropriate counseling and education.

      • KCI등재

        시험관 아기 시술후 쌍태 임신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철홍(Cheol Hong Kim),이여길(Yu Il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목적 : 본 연구는 체외수정 시술에 의한 쌍태 임신과 자연적으로 임신된 쌍태 임신의 산과적 합병증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여 그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대상 및 방법 : 1996년 3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술에 의한 쌍태 임신 산모 46명(I군)과 자연적으로 쌍태아를 임신한 산모 70명(II군)의 총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은 연령 분포, 분만력, 산전 관리 여부, 분만시 주수, 분만 방법, 양융모막상, 태위등의 임상적 특징과 조기 양막 파열, 임신성 고혈압, 조기 진통, 조산, 임신성 당뇨, 전치 태반, 태반 조기 박리, 빈혈등의 산과적 합병증 및 태아와 신생아의 사망률등을 양군간에 비교 조사하였다.결과 : 대상 산모의 연령은 I군에서 32.7±3.9세, II군에서 28.2±3.6세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산과력에서 초산부의 비율이 I군에서 41명(89.1%), II군에서 38명(54.3%)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다른 임상적 특징들과 대상 산모의 산과적 합병증 및 출생시 체중, 저출생체중아, 자궁내 태아 발육지연의 빈도에 있어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주산기 사망률도 마찬가지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결론 : 체외수정 시술에 의한 쌍태 임신 산모와 자연적으로 임신한 쌍태 산모의 산과적 합병증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 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규명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쌍태 임신 자체가 우리나라에서는 양육상의 어려움 등으로 아직도 기피의 대상이고 임신의 결과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체외수정 시술에 있어서 쌍태 임신 자체의 발생률을 낮추기 위한 제반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compares the obstetric complications and perinatal outcomes of twin pregnancie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to twin pregnancies conceived spontaneously.Methods : One hundred sixteen cases of twin pregnancies were reviewed. All deliveries were performed between March 1996 and July 1999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group(n=46) consisted of IVF-ET twin pregnancies and the control(n=70) consisted of spontaneous twin pregnancies delivered within the same time period. Clinical data were examined by age, parity, antenatal care, gestational age at delivery, method of delivery, type of chorioamnionicity, fetal presentation, obstetric complications, as well as perinatal outcomes. Observed obstetric complications included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reterm labor, prematurity, gestational diabetes, placenta previa, placenta abruption and anemia. Results : The women in the IVF-ET group were significantly older than those in the spontaneous group(32.7±3.9 and 28.2±3.6 years,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primiparous patients was higher in the IVF-ET group(89.1%) than in the spontaneous group(54.3%). Method of conception did not influence the frequency of obstetric complications. No differences were seen in birth weight, rate of low birth weight, rate of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and perinatal mortality.Conclusions : There is no difference in obstetric complications or perinatal outcomes between the groups. In light of the higher frequency of obstetric complications in twin pregnancies, the rematching task is to reduce the frequency of twin pregnancies in IVF-ET induced pregnancies.

      • KCI등재

        2009 Institute of Medicine (IOM) 권고안을 기초로 한 쌍태임신에서의 임신 중 체중 증가에 따른 임신 예후

        이은주 ( Eun Joo Lee ),김영한 ( Young Han Kim ),권자영 ( Ja Young Kwon ),박용원 ( Yong Wo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8

        목적: 2009년 Institute of Medicine (IOM) 권고안을 기초로 하여 쌍태임신 산모의 임신 중 체중 증가량에 따른 임신 예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본원에서 분만한 198명의 쌍태임신과 그 396명의 신생아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산모의 임신 전 키, 몸무게, 임신 중 체중 증가량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산모들은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BMI)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각각 저체중 (<18.5 kg/m2), 정상 체중 (18.5~24.9 kg/m2), 과체중 (25~29.9 kg/m2), 비만(≥30 kg/m2)군으로 정의하였다. 각 집단 내에서 임신 중 체중 증가량은 임신 전 BMI에 따른 IOM 권고사항을 기준으로 권장 범위보다 작은 미달군과 권장 범위에 해당하는 적정군, 권장 범위보다 큰 체중 증가를 보인 초과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임신전 BMI가 저체중군인 경우 임신 중 체중 증가가 IOM 권고안보다 적은 미달 군 또는 적정 군인 경우 임신기간에 비해 과소체중아 (small for gestational age)의 비율이 의미 있게 증가 하였다 (미달군: OR 6.5, 95% CI 1.75~24.14; 적정군: OR 3.55, 95% CI 1.37~9.14). 임신 전 BMI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경우 IOM 권고안보다 체중 증가량이 큰 초과군에서는 기준 집단에 비해 의미 있게 큰 과출생 체중아 (large for gestational age) 비율을 보였다 (과체중군: OR 6.25, 95% CI 1.14~34.32; 비만군: OR 8.33, 95% CI 1.45~47.93). 또한 산모의 임신 전 BMI가 30 kg/m2이상인 비만군 중에서 IOM 권고안 이상의 체중 증가를 보인 산모에서는 임신성 고혈압 및 임신성 당뇨의 발생 또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결론: 쌍태임신에서 임신 중 과도한 체중 증가와 임신 전 비만은 불량한 임신 예후와 연관이 높다. 따라서 쌍태임신에서는 임신 전 정상 BMI를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담 및 교육을 통해 임신 중 적절한 체중 증가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대한 향후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stational weight gain on pregnancy outcome in twin pregnancies according to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BMI), on the basis of 2009 Institute of Medicine (IOM) recommendations. Methods: One hundred ninety-eight twin pregnancy women and their 396 neonates who delivered in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from January 1st, 2005 to April 30th, 2010. Maternal height, maternal weight in prepregnancy and gestational weight gai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Women wer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of BMI: underweight (<18.5 kg/m2), normal weight (18.5~24.9 kg/m2), overweight (25~29.9 kg/m2) and obese (≥30 kg/m2). Gestational weight gain was categorized as Less if it was below the IOM`s recommended range for the woman`s prepregnancy BMI, Within if it was within the range, and More if it was above the range. Results: Underweight with Less or Within maternal weight gain groups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odds for small for gestational age (Less, odds ratio [OR] 6.5, confidence interval [CI] 1.75~24.14; Within, OR 3.55, CI 1.37~9.14) and More weight gain with overweight or obesity groups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odds for large for gestational age (overweight, OR 6.25, CI 1.14~34.32; obesity, OR 8.33, CI 1.14~47.93). Overweight or obese women and excessive gestational weight gain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odds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overweight: OR 7.04, CI 1.04~47.78, obesity: OR 10.56, CI 1.32~84.14)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overweight: OR 13.2, CI 1.78~97.74, obesity: OR 19.8, CI 2.29~171.02). Conclusion: Overweight or obese women with excessive gestational weight gain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adverse pregnancy outcome in twin pregnancies. Therefore, physician should pay attention not only to prepregnancy BMI but also to maternal weight gain. A large prospective study is necessary to confirm the relationships between gestational weight gain and pregnancy outcome in twin pregnancies.

      • KCI등재

        쌍태 임신의 예후; 체외수정술과 자연 임신

        임재현 ( Jae Hyun Lim ),김행수 ( Haeng Soo Kim ),황경주 ( Kyung Joo Hwang ),양정인 ( Jeong In Yang ),김미란 ( Mee Ran Kim ),이희종 ( Hee Jong Lee ),임종찬 ( Jong Chan Lim ),오기석 ( Kie Suk Oh ),유희석 ( Hee Sug Ry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2

        목적 : 체외수정시술에 의한 쌍태 임신과 자연 임신된 쌍태 임신의 산과적 합병증 및 주산기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4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체외수정시술에 의한 쌍태 임신된 산모 206명 (체외수정군)과 자연 임신된 쌍태 임신 산모 229명 (자연군) 등 총 435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및 산과적 합병증과 주산기 사망률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 χ2 검정 또는 Fisher`s e Objective : To compare the obstetrical and perinatal outcomes of twin pregnancies after IVF-ET with those of twin pregnancies conceived spontaneously. Methods : Two hundred and six cases of IVF-ET twin pregnancies (IVF group) were compared with 229 sponta

      • KCI등재

        쌍태임신에서 임신 제2삼분기에 시행된 맞춤형 선택적 유산에 관한 연구

        오관영 ( Kwan Young Oh ),이병관 ( Byung Kwan Lee ),김영주 ( Young Ju Kim ),안정자 ( Jung Ja Ahn ),김종일 ( Chong Il Kim ),전선희 ( Sun Hee Chun ),이수윤 ( Soo Yoon Lee ),박미혜 ( Mi Hye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2

        목적: 최근 생식 보조술의 증가로 고령 임신 및 다태 임신이 늘어나면서 다태 임신 중 이상 태아가 발견되는 확률이 늘어나고 있다. 임신 2삼분기에 발견되는 태아 이상에 대한 선택적 유산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8년 3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이대 목동 병원 및 을지 대학 병원에서 일측 태아의 기형을 동반한 쌍태임신 6예를 대상으로 임신 중반기 선택적 유산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여섯 예의 선택적 유산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실시되었고, 선택적 유산의 적응증으로는 3예의 구조적 기형 (anencephaly, encephalocele, body stalk anomaly), 1예의 염색체 이상 (21 trisomy) 및 2예의 단일 융모막성 쌍태 임신의 합병증 (acardiac twin, twin to twin transfusion syndrome)이 있었다. 결과: 시술은 각기 융모막성을 고려하여 이중융모막을 가진 4예에서는 KCL injection, 단일 융모막성을 가진 2예에서 각각 alcohol ablation, radiofrequency cord ablation을 시행하였으며 6예 모두에서 시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태아는 모두 제3삼분기에 분만하였다. 결론: 임신 중반기 선택적 유산에 있어 융모막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유산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임신 유지 및 나아가 태아와 산모의 예후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Objective: Recently, selective termination is employed in multifetal pregnancies, in the presence of an abnormal fetus, or in the complication of twin pregna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ectiveness, safety of the tailored selective termination in multifetal pregnancies. Methods: This study was retrospective and involved six cases. Indication of termination were 3 cases of structural anomalies (anencephaly, encephalocele, body stalk anomaly), 1 case of chromosomal anomaly (21 trisomy) and 2 cases of monochorionic twin complications (acardiac twin, twin to twin transfusion syndrome). Results: We used KCL injection in 4 cases, they were all confirmed dichorionic twin, and in 2 cases of monochorionic twin, we used alcohol ablation of intra-abdominal umbilical artery in 1 case, and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cord in 1 case. Conclusion: All procedures were successful, and all normal infants were delivered in 3rd trimester. Tailored selective termination in 2nd trimester is effective and safe in abnormal multifetal pregnancies.

      • KCI등재

        인공적 보조생식기술에 의하여 임신된 쌍태임신에 대한 삼태임신의 임산부 및 주산기 예후비교

        최창익(Chang Ik Choi),정인배(In Bai Chung),오갑영(Gab Young Oh),최기동(Ki Dong Choi),최현일(Hyun Il Choi),한혁동(Hyuck Dong Han),이영진(Young Jin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본 연구는 인공적 보조생식기술에 의하여 임신된 쌍태임신에 대한 삼태임신의 임산부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제태기간이 18주 이상 유지된 18예의 삼태임신 각각은 임산부 연령, 분만 예정일, 분만 과거력, 조산의 과거력, 인공적 보조생식기술의 적응증에 따라 2예의 쌍태임신과 짝을 이루어 비교 분석 되었다. 삼태임신에서 쌍태임신보다 유의하게 짧은 제태기간(30.4주 대 34.6주)과 저체중(1,514 gm대 2,286 gm)소견을 보였다. 평균 입원기간도 삼태임신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 (22.3일 대 10.1일) 7점 이하의 5분 Apgar 치인 경우와 신생아 사망의 빈도도 18(33.3%)예 대 6(8.3%)예, 15(27.8%)예 대 7(9.72%)예로서 삼태임신에서 더 흔하였다. 신생아 호흡 곤란증은 14(25.9%)예 대 7(9.72%)예, 기계적 호흡보조가 필요했던 예는 18(33.3%)예 대 5(6.9%)예, 신생아 발작은 9(16.7%)예 대 0예 로서 신생아 합병증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삼태임신에서 불량하였다. 그러나 선천성 기형, 고빌리루빈 혈증, 뇌실 출혈, 기관폐분절 이형성증 같은 신생아 이환율과 임산부 합병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삼태임신시의 불량했던 연구결과는 인공적 보조생식기술의 결과로 임신한 삼태 임신의 주산기 예후에 대한 상담 및 처치에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maternal and perinatal outcomes in triplet and twin pregnancies with the result of ART(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Each pregnancy of 18 triplet pregnancies with 18 weeks or more was matched for maternal age, EDC(estimated date of confinement), parity, history of preterm delivery, indication of ART with two sets of twin pregnancies. Triplet pregnancies had a significantly shorter gestational age at delivery than twin pregnancies(30.4 versus 34.6 weeks), and a significantly lower mean birth weight(1,514 versus 2,286g). The mean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riplets(22.3 versus 10.1 days). The incidences of 5 min Apgar score less than 7, neonatal deaths were significantly more often in triplets than twins ; 18(33.3%) vs 6(8.3%), 15(27.8%) vs 7(9.72%),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neonatal complications such a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14(25.9%) vs 7(9.72%), ventilatory support ; 18(33.3%) vs 5(6.9%) , neonatal seizure ; 9(16.7%) vs 0, b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maternal complications or neonatal morbidity such as congenital malformations or hyperbilirubinemia, intraventricular hemorrhage, or bronchopulmonary dysplasia. We suggest that counseling patient regarding the anticipated perinatal outcomes of triplet pregnancies with the result of ART should be conducted with our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