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탁 관련 상속세제 및 증여세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전오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3

        In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the following points regarding the trust tax system should be amended. First, there is a question of whether income beneficiaries pay double income tax and gift tax for income arising from trust property is unconstitutional and violates the provisions of Article 4-2, Paragraph 3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undamentally, in principle the timing of gift should be accelerated to the “day when the trust contract takes effect.” If that is not possible, the statute should be amended by subtracting “equivalent to income tax” rather than “equivalent to withholding tax” when evaluating trust income. Second, with regard to trusts for others in which the settlor does not have the right to change the beneficiary and does not have a person to be able to change the beneficiary, the timing of the gift of the trust beneficial right should be advanced to the time when the trust takes effect, not when the beneficiary receives the trust property. Third, when the settlor trusts the trust property owned by the settlor to trustee in ‘when the trust property beneficiary and the income beneficiary are the same’, and when the other person is designated as the beneficiary of the trust property and the beneficiary free of charge, the gift tax must be imposed on the beneficiary, assuming that the trust property has been transferred to the trustee. Fourth, with regard to ‘if the trust property beneficiary and the income beneficiary are different’, provisions must be made regarding ‘evaluation of trust profits for which the duration of the beneficiary is not finalized’. Fifth, the trustor’s transfer of the trustor’s status to his or her spouse or children free of charge from the trust of the beneficiary himself or the trust where the beneficiary is unspecified or absent is, in reality, the gift of the trust property. Therefore, provisions should be made for the taxation on the actual gift through transfer of the trustor’s status. Sixth,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beneficiary may not meet the originally scheduled profit period, which is the premise of taxation of the gift tax. In such cases, it is necessary to settle the rules for recalculating the gift value. Seventh, since there is no difference in economic substance between the will substitute trust of Article 59 (1) 1 and 2 of the Trust Act, it is unfair to treat them differently. Considered to have, it should be amended to impose an inheritance tax on the heirs at the time of the settlor’s death even in the case of Article 59 (1) 2 of the Trust Act. Eighth, it should be stated that it is not the trust property itself, but the trust income rights that is the inherited property left by the successor when the trustor dies at the Beneficiary Continuity Trust. And in order to view the sum of the trust property income rights as the inherited property value, various shortcomings and problems related to evaluation should be remedied. 앞으로,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는 신탁세제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개정하여야 한다. 첫째, 신탁재산에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하여 수입수익자가 소득세와 증여세를 이중으로 납부하는 것은 납세자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위헌적인 것이고,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의2 제3항의 규정에 위배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있다.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원칙적인 증여시기를 ‘신탁계약이 효력을 발생하는 날’로 앞당겨야 한다.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신탁이익의 평가 시에 ‘원천징수세액 상당액’이 아니라 ‘소득세 상당액’을 차감하는 것으로 법령을 개정하여야 한다. 둘째, 위탁자가 수익자 변경권을 가지지 않고 수익자 변경권자도 따로 없는 타익신탁은 신탁설정 시에 증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신탁수익권의 증여시기를 수익자가 신탁재산을 수령하는 시점이 아니라 신탁이 효력을 발생하는 시점으로 앞당겨야 한다. 셋째, ‘원본 수익자와 수입수익자가 같은 경우’에 위탁자가 그 소유의 신탁재산을 수탁자에게 신탁하면서 무상으로 타인을 원본과 수익의 수익자로 지정한 경우에는, 경제적 실질에 비추어 본 증여세의 과세목적상으로는 수익자가 수익자로 지정되거나 수익권을 양도받는 때에 신탁재산(원본)을 증여받은 것으로 하여 수익자에게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이 옳다. 넷째, ‘원본 수익자와 수입수익자가 다른 경우’와 관련하여, 존속기간이 확정되지 아니한 신탁의 이익에 대한 평가규정이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익권의 존속기간이 확정되지 아니한 신탁이익의 평가’에 관한 규정을 두어야 한다. 다섯째, 위탁자 자신이 수익자인 자익신탁이나 수익자가 불특정 또는 부존재하는 신탁에서, 위탁자가 배우자나 자녀에게 위탁자의 지위를 무상으로 이전하는 것은 실질상 신탁재산 자체의 증여라고 할 수 있으므로, 위탁자 지위 이전을 통한 실질적인 증여행위에 대하여 과세할 수 있는 근거규정을 마련하여야 한다. 여섯째, 수익권자가 증여세 과세의 전제가 된 당초 예정된 수익기간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위와 같은 경우에는 당초 예정된 수익기간을 채운다는 전제하에 수익자가 납부한 증여세 중 일부를 반환하기 위하여, 증여가액의 재계산에 관한 정산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일곱째, 신탁법 제59조 제1항 제1호의 유언대용신탁과 제2호의 유언대용신탁은 경제적 실질에서 차이가 없는데도 양자를 달리 취급하는 것은 부당하므로, 제2호 신탁의 경우에도 원본수익권을 위탁자가 가진 것으로 보아 위탁자의 사망 시에 상속인들에게 상속세를 부과하도록 상증세법을 개정하여야 한다. 여덟째, 수익자연속신탁에서 위탁자가 사망한 경우에 피상속인이 남긴 상속재산이 되는 것은 신탁재산 그 자체가 아니라 신탁수익권임을 명시하여야 하되, 수입수익권과 원본수익권의 합계액을 상속재산가액으로 보기 위하여서는 수익권의 평가에 관한 여러 가지 미비점 및 문제점을 보완하여야 한다.

      • KCI등재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신탁수익권 과세에 대한 개선방안

        박창덕(Park, Chang Deok),김병일(Kim, Byung Il) 한국조세법학회 2021 조세논총 Vol.6 No.4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위탁자의 지배력기준과 자익신탁 및 타익신탁의 개념을 재정립하여 다음과 같이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현행 위탁자 지배력기준 범위를 구체적으로 확장하고, 위탁자의 지배력 유무에 따라 자익 또는 타익신탁으로 분류하여 과세관계를 정립해야 한다. 둘째, 위탁자의 지배력이 상실되는 시점 즉, 자익신탁에서 타익신탁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위탁자가 수익자에게 신탁수익권을 증여하는 시점으로 보아야 한다. 타익신탁에서는 수익자 지위 이전을 통하여 수익권의 이전 시점에 전수익자가 후수익자에 증여가 이루어진다. 또한 자익신탁에서는 위탁자 지위 이전을 증여세 과세계기로 삼아야 한다. 셋째, 원칙적으로 수익 수령시점이 아닌 권리 취득 시점인 수익자의 수익권 취득의 효력이 발생되는 시점을 증여시기로 삼아야 하고, 예외적으로 위탁자가 지배력을 가진 자익신탁인 경우에는 수익자가 수익을 수령하는 시점을 증여시기로 하는 과세원칙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넷째, 수익자연속신탁에 있어서는 상속인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고, 피상속인 유산가액과 상속인 상속가액이 일치하도록 평가하되, 신탁수익권자가 잔여 생애기간에 수익수익권을 향유하는 경우와 잔여 생애기간 중 일부기간만 수익수익권을 향유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신탁수익권을 평가하는 규정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섯째, 증여세 또는 상속세가 과세된 신탁수익권에 대한 소득세 과세 시, 과세된 증여가액 또는 상속가액을 기초가액으로 하여 감가상각비를 경비로 공제하면 중복과세 문제는 해결된다. 여섯째, 수익권자가 당초 신탁계약에서 정한 수익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사망하는 경우, 위탁자가 수익권자를 변경하는 경우, 증여시기 이후에 신탁계약이 해지된 경우 등에는 실지 증여받은 금액을 초과하여 증여세를 부담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증여세 정산규정과 연부연납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위와 같은 방안은 실질과세원칙을 실현하고 조세회피를 방지하며, 중복과세 방지 및 조세형평성 제고를 위한 방안이 될 것이다.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 should be revised as follows by re-establishing the criteria for the truster’s control and the concepts of settlor-beneficiary trust and general trusts. First,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expand the scope of the current settlor’s control standard and establish a taxation relationship by classifying it as settlor-beneficiary trust or general trus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ettlor’s control. Second, the time when the settlor’s control is lost, that is, the time when trust is converted from settlor-beneficiary trust to general trusts, the settlor should be regarded as the time when the settlor gives beneficiary’s right to beneficiary. For In general trusts, the former beneficiary is donate to the subsequent beneficiary at the time when the beneficiary’s right i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of beneficiary status. In addition, in settlor-beneficiary trust, the transfer of the status of settlor must be used as a gift tax period. Third, in principle, the beneficiary, who is the time of acquisition of rights, doesn’t use the time of receipt of profits, but should use the time of acquisition as the time of donation. Exceptionally, if the settlor is settlor- beneficiary trust with control, a taxation principle must be established at donation of the time when the beneficiary receives the profit. Fourth, in a trust with successive beneficiaries, the scope of the heir should be clearly defined. that is, the inheritance value of the heir and the inheritance value should evaluate to be matched, but regulations of the beneficiary rights must be ruled to be evaluated by dividing income beneficiary into reminder beneficiary. Fifth, when income tax is levied on trust beneficiary rights taxed with gift tax or inheritance tax, the problem of double taxation is solved by deducting depreciation expenses based on the taxable gift value or inheritance value as expenses. Sixth, if the beneficiary dies without meeting the perpetuity period of trust set in the trust contract, if the settlor changes into the beneficiary, or if the trust contract is terminated after the donation period, gift tax is burdened in excess of the actual donated amount.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epare gift tax settlement regulations and annual annuity regulations. The measures above will be to realize the real taxation principle, prevent tax avoidance, prevent duplicate taxation, and improve tax equity.

      • KCI등재

        2020년 개정 신탁세제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이전오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3 세무와 회계 연구 Vol.12 No.3

        While it is unfortunate that the 2011 overhaul of the Trust Act was not accompanied by an overhaul of the trust tax regime, it is commendable that the government has belatedly made significant and sensible changes to the trust tax regime in 2020. Here are some of the key issues with the 2020 revised trust tax system and areas for further improvement. First, while it is reasonable to introduce fiduciary taxation as a corporate tax system in the income tax and corporate tax trust tax system, it is wrong to give taxpayers the option of fiduciary taxation. In addition, there are legislative errors in Article 5 of the Corporate Tax Act and Article 3.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rporate Tax Act, which should be corrected as soon as possible. Second, while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the taxation of grantor, Article 2(3)(2) of the Income Tax Act and Article 5(3) of the Corporate Tax Act should be amended to tax the trustor rather than the trustee when there is no beneficiary or no beneficiary is specified, and the second requirement of Article 4(2)(4)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ncome Tax Act and Article 3(2)(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rporate Tax Act should be deleted. Third, the choice of the trustee as the VAT payer of the trust is consistent with the nature and jurisprudence of VAT. There are some who would like to see a return to the beneficiary taxation principle, but it is hard to argue in favor. Fourth, with respect to the taxation of a beneficiary continuity trust, the interpretation is that the entire trust estate is subject to inheritance tax upon the death of the grantor, and the entire trust estate is subject to inheritance tax upon the death of the successor beneficiary. However, from a legislative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e to amend the law so that upon the death of the trustee, the successor beneficiary is liable for tax only to the extent of the beneficial interest he acquired, and the original beneficiary is liable for inheritance tax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beneficial interest. Fifth,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ouble taxation of income tax and gift tax, the timing of the transfer of beneficial interests in principle should be advanced to the date when the trust agreement becomes effective, and if this is not possible and the framework of the current regulations is maintained, Article 6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should be amended to deduct the “income tax equivalent” instead of the “withholding tax equivalent” when assessing trust interests. 2011년에 신탁법이 전면 개정될 때에 신탁세제의 개편이 같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아쉽지만, 정부가 뒤늦게나마 2020년에 신탁세제를 대폭 합리적으로 개정한 것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2020년 개정 신탁세제에서 핵심적으로 문제되었던 내용과 향후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세와 법인세 신탁세제에서 법인과세제도인 수탁자 과세를 도입한 것은 타당하지만, 납세자에게 수탁자 과세에 관한 선택권을 부여한 것은 잘못이다. 또한, 법인세법 제5조와 법인세법 시행령 제3조의2에는 입법오류가 있으므로 빨리 고쳐야 한다. 둘째, 위탁자 과세를 도입한 것은 바람직하지만 수익자가 부존재 또는 불특정인 경우에는 위탁자가 아니라 수탁자에게 과세하는 것으로 소득세법 제2조의3 제2항과 법인세법 제5조 제3항을 개정하여야 하고, 소득세법 시행령 제4조의2 제4항 및 법인세법 시행령 제3조의2 제2항 중 두 번째 요건은 삭제하여야 한다. 셋째, 신탁의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를 수탁자로 한 것은 부가가치세의 본질과 법리에 충실한 것으로서 타당하다. 수익자 과세원칙으로 돌아가자는 의견이 있지만 찬성하기 어렵다. 넷째, 수익자연속신탁의 과세문제에 관하여 해석론상으로는 위탁자 사망시에 전체 신탁재산에 대해 선행 수익자에게 상속세를 부과하고, 나중에 선행 수익자 사망시에 다시 후행 수익자에게 전체 신탁재산에 대해 상속세를 부과하는 것으로 새겨야 한다. 그러나, 입법론적으로는 위탁자 사망시에 선행 수익 수익권자는 그가 취득한 수익 수익권의 한도 안에서만 납세의무를 지고, 원본 수익권자가 원본 수익권에 상응하는 상속세 납세의무를 부담하는 것으로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소득세와 증여세 이중과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익권의 원칙적인 증여시기를 ‘신탁계약이 효력을 발생하는 날’로 앞당길 것과 만약 그렇게 하지 못하고 현행 규정의 틀을 유지한다면, 신탁이익의 평가 시에 ‘원천징수세액 상당액’이 아니라 ‘소득세 상당액’을 차감하는 것으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61조를 개정하여야 한다.

      • KCI등재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수익자연속신탁 과세제도-일본과의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황헌순 한국세무학회 2021 세무학 연구 Vol.38 No.1

        In the past, trusts commonly not were used as a means of property management in Korea. However, the demand of trust is increased as a means of rational property management In the face of economic growth and an aging society. So trust law completely revised in 2011. As a result, new trust system are imposed for example 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 and Beneficiary Consecutive Trust. The situation of legislation is similar in Japan. It is a kind of welfare trust or family trust in case of Beneficiary Consecutive Trust. In the case of Japan, the review of the relevant tax system was discussed along with the revision of the trust law.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 readjustment of the tax system was insufficient in Korea. This paper reviews the case of Japan, which has a similar legal system with Korea for Beneficiary Consecutive Trust. From this point, consid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 implications or points that we can get from Japan’s case. From this study, it makes the difference below;first,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uses the concept about trusts with successive beneficiaries same as trust law’s meaning. It assume change of beneficiaries only by former beneficiaries death. Second, there is the no regulation Term of existence of trust in trust Law. From this situation, taxpayer can try various things for example deferral of tax and so on. So the consideration needs to discuss for tax-avoidance. Third, the difference in timing of gift in trust beneficiary rights is needed to consider. it is different compare with Japan system. Taxpayers can try to avoiding progressive tax rates by setting numerous beneficiaries. For these things, we need to check other countries examples. Japan and US’s example will help for it. and we need to think about concept and case of trusts with successive beneficiaries and timing of gift in trust beneficiary rights by considering Japan’s system. The purpose of legislation in Japan is prevention of tax avoidance and vitalization of newly imposed trusts system. And we need to consider consistency with other tax law and tax respite system. In our case, it is necessary to refer to Japan’s case of similar legislation in addition to its own efforts for the use of the newly introduced trust system and prevention of tax avoidance.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상사신탁 이외의 신탁이 재산관리 수단으로써 보편적으로 활용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최근 고령화시대에 접어드는 등 사회적 수요에 따라 합리적 재산관리의 수단으로써 신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전면개정된 현행 신탁법은 위와 같은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유언대용신탁, 수익자연속신탁 등 새로운 신탁유형을 규정하게 되었다. 조세와 관련해서는 수익자연속신탁을 설정한 결과, 위탁자 사망 후의 상황에 대한 논의가 행해지므로 상속세와 증여세가 깊이 관련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 신탁법 개정시에 세제는 그에 수반하여 충분히 개정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지적된다. 이에 본고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수익자연속신탁에 대해 우리나라와 유사한 법개정 경위를 가진 일본과의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수익자연속신탁의 개념에 대해 신탁법의 개념을 차용하고 있으며, 신탁법에서는 사망으로 인해 수익자가 변경되는 경우만을 상정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신탁법상 수익자연속신탁 규정을 보면, 당해 신탁의 존속기간에 관한 규정이 없다. 신탁법상 논의 뿐만 아니라 세법에서도 수익자연속신탁의 존속기간 부재로 인해 납세자는 신탁을 활용함으로써 장기간의 과세이연, 혹은 신탁계약에 따라서는 신탁원본에 대한 과세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신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존속기간 제한규정이 필요하다. 셋째,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신탁수익권의 과세시기에 대해 수익실현시과세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때, 한 명의 수익자가 수익을 받는 경우에 비해 위탁자가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의 누진세율의 적용을 회피하기 위해 다수의 수익자를 설정해 둠에 따른 조세회피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검토 결과 첫째, 수익자연속신탁에 있어 사망 이외의 방법으로 수익자가 변경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세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익자연속신탁의 존속기간과 관련해서는 일본과 미국의 경우 신탁에 대한 존속기간을 법에서 규정해 두고 있으므로 위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지나친 장기간의 과세이연, 조세부과의 불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외국과 같은 입법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신탁수익권 과세시기의 문제에 있어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