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롄 도시공원의 탄생과 변천

        리웨이(李偉),미나미 마코토(南誠)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5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2

        본고의 목적은 식민지도시 다롄의 도시공원에 초점을 맞추어 그 탄생과 변천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다. 중국의 근대적 도시공원은 19세기말 이후 식민지주의의 진입과 함께 나타났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일본이 관계하고 있던 중국 동북지역의 도시공원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다. 이러한 연구 상황을 감안하여 중국 전체 및 중국 동북지역의 도시공원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첫걸음으로서, 일본 식민지경영의 교두보로서의 해항도시 다롄을 고찰했다. 고찰 시에는 러시아 통치시대와 일본 통치시대 다롄에 대한 도시계획의 상이점 외에도, 유럽에서의 근대적 도시공원의 탄생이나 일본 내 근대적 도시공원의 도입과 그 문제점, 전통 일본정원과의 길항 및 융합에 유의하면서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다롄의 도시공원은 여명기의 러시아 통치시대와 전개기의 일본 통치시대에 탄생하여 변천해왔다는 점과 함께, 다롄공원의 다양성과 다기능성 및 그 정치성과 민족적 차별성을 명확히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set a focus on city parks of colonial Dalian and consider about the birth and transition of these parks. Chinese modern city parks appeared with an invasion of the colonialism after the end of 19th century, but the former study was indifferent to the city park in the Tohoku region where Japan got involved in. As the first step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Parks as a whole and the Tohoku district city park, I decided to use the harbor town of Dalian as the basis for the investigation. I inquired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era of Russian and the era of Japan of the city and its impact on planning in Dalian, the birth of the modern city park in Europe, and the introduction and the problems of the modern city park in Japan, especially in regards to the opposition and fusion with the traditional Japanese garden. As a result, the city park of Dalian was born in the dawn period of the Russian rule era and having changed in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Japan rule era, then the variety, functionality, political nature and national discrimination of the Dalian city park was defined.

      • KCI등재후보

        다렌 도시공원의 탄생과 변천: 식민지 통치시대(1898~1945)를 중심으로

        리웨이,미나미 마코토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5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2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set a focus on city parks of colonial Dalian and consider about the birth and transition of these parks. Chinese modern city parks appeared with an invasion of the colonialism after the end of 19th century, but the former study was indifferent to the city park in the Tohoku region where Japan got involved in. As the first step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Parks as a whole and the Tohoku district city park, I decided to use the harbor town of Dalian as the basis for the investigation. I inquired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era of Russian and the era of Japan of the city and its impact on planning in Dalian, the birth of the modern city park in Europe, and the introduction and the problems of the modern city park in Japan, especially in regards to the opposition and fusion with the traditional Japanese garden. As a result, the city park of Dalian was born in the dawn period of the Russian rule era and having changed in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Japan rule era, then the variety, functionality, political nature and national discrimination of the Dalian city park was defined. 본고의 목적은 식민지도시 다롄의 도시공원에 초점을 맞추어 그 탄생과 변천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다. 중국의 근대적 도시공원은 19세기말 이후 식민지주의의 진입과 함께 나타났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일본이 관계하고 있던 중국 동북지역의 도시공원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다. 이러한 연구 상황을 감안하여 중국 전체 및 중국 동북지역의 도시공원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첫걸음으로서, 일본 식민지경영의교두보로서의 해항도시 다롄을 고찰했다. 고찰 시에는 러시아 통치시대와 일본 통치시대 다롄에 대한 도시계획의 상이점 외에도, 유럽에서의 근대적 도시공원의 탄생이나 일본 내 근대적 도시공원의 도입과그 문제점, 전통 일본정원과의 길항 및 융합에 유의하면서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다롄의 도시공원은 여명기의 러시아 통치시대와 전개기의 일본 통치시대에 탄생하여 변천해왔다는 점과 함께, 다롄공원의 다양성과 다기능성 및 그 정치성과 민족적 차별성을 명확히 밝혔다.

      • KCI등재

        식민지도시 다롄과 주민의 생활공간

        권경선(Kwon, Kyung-Seon),사카노 유스케(Sakano Yusuke)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98 No.-

        본고는 일본 제국주의 통치 아래 고도의 식민지화가 진행된 1930년대 중반의 다롄을 중심으로, 도시 주민의 생활공간을 민족과 계층에 따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생활에 필수적인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분석함으로써 식민지 도시로서 다롄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했다. 일본 식민당국은 다롄의 도시공간을 용도에 맞추어 구획, 활용함으로써 도시 기능을 극대화하고, 민족 분거에 유의함으로써 민족 간 마찰을 방지하는 동시에, 계층에 따라 주민의 거주지를 배치, 조정함으로써 식민지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회질서를 유지하고자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민의 민족별, 계층별 구성에 따라 주거, 생업, 교육, 소비, 여가활동이 이루어지는 생활공간이 구획되고, 각 생활공간 사이의 불평등이 발생했다. 다롄의 중심업무지구, 산록부의 고급주택지구, 교외의 전원주택지구는, 주거환경이 양호하고 교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자녀 교육을 위한 시설이 가까이에 있으며 소비 및 휴식여가시설이 구비된 양질의 생활공간으로서, 다롄 사회의 상층을 점하던 일본인, 중국인, 구미 각국 출신자가 거주했다. 일본인사회의 중하층을 점하고 있던 노동자계층의 다수는 일정 정도의 생활 조건이 구비된 공장사택구역이나 노동자주택구역에 거주했으며, 중층 정도의 생활수준을 갖추고 있던 중국인들은 샤오강쯔의 중국인구역에 집거했다. 한편 식민지 역학관계에서 가장 취약한 입장에 있었던 중국인 저소득노동자층과 빈민층은 도심 외곽의 빈민가 등 불평등이 가장 심화된 생활공간에 배치되었다. 이처럼 민족과 계층으로 구현되는 식민권력과의 관계에 따라 주민의 생활공간이 주어지고 생활 전반이 규정되는 것은 식민지도시로서 다롄이 가지고 있던 특성이었다. This study set out to classify the living spaces of urban citizens according to the ethnic groups and social classes and analyze their access to the essential goods and service in life by the types in Dalian, which underwent advanced colonizat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 rule, in the middle 1930s, thus identifying its characteristics as a colonial cit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tried to maximize its urban functions by zoning and using its urban spaces according to the purpose, prevent clashes between different ethnic groups by separating their residential districts,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lonial management and keep the social order by arranging and adjusting the residential places of residents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es. In that process, the living spaces of residents were zoned for residence, occupation, education, consumption, and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thnic groups and social classes with inequality happening between the living spaces. The residents of Dalian had their living spaces given and their overall life defined according to their relations with the colonial power embodied according to the ethnic groups and social classes, which was one of Dalian’s characteristics as a colonial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