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회의원 선거 관련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미디어 효과연구 -제19대 총선에 대한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임양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대학생 수용자를 대상으로 2012년에 실시된 제19대 총선과 관련하여 미디어 여론조사 보도에 미치는 제3자 효과 지각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미디어의 총선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자신과 타인, 자신과 친한 친구 대학생들 간의 제3자 효과는 실증적으로 검증되었으며, 사회적 거리감이 멀수록 자신보다 타인이 더욱 영향을 받는다는 기존 연구결과와는 반대로 나타났다. 둘째, 총선 관련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대학생들의 승자편승 효과를 분석한 결과, 총선 전 사회적 논란이 되었던 한・미 FTA와 북한 위성발사 사안의 경우 승자편승 효과가 나타났으나, 제주 해군기지와 고리 원자력 발전소 안전 논란 사안은 승자편승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들의 총선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인식과 미디어 이용이 제3자 효과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결과, 텔레비전, 인터넷 그리고 트위터 이용이 제3자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미디어에 대한 이용이 적을수록 제3자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제19대 총선과 관련한 선거법 108조와 관련한 수용자들의 제3자 효과 지각을 분석한 결과, 특정 미디어를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 수용자일수록 여론조사 보도규제에 대하여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third-party effects on Press media poll conducted in 2012, the 19th general election for bandwagon effect, media use, the third-person effect and censorship of Election Code 108 CMR.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social distance corollary affected the third-person effect. Student responded that those who used new media had more effect than their peer group who used less. Second, the phenomenon of bandwagon effect appeared partly, only if respondents were unfamiliar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such as Korea-US FTA and the North Korean satellite launch of the matter. This finding suggested that the bandwagon effect by the polls was not the general phenomenon. Third, the impact of third-party effects reported television, Internet, and Twitter using third-party effects on variables affecting appeared, and these media was proven in the use of third-party effects appeared smaller. Finally, the respondents those who used more pot cast than others were against the censorship of open poll to the public before the official election begin.

      • KCI등재후보

        국회의원 선거 관련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미디어 효과연구 -제19대 총선에 대한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임양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이 연구는 대학생 수용자를 대상으로 2012년에 실시된 제19대 총선과 관련하여 미디어 여론조사 보도에 미치는 제3자 효과 지각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미디어의 총선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자신과 타인, 자신과 친한 친구 대학생들 간의 제3자 효과는 실증적으로 검증되었으며, 사회적 거리감이 멀수록 자신보다 타인이 더욱 영향을 받는다는 기존 연구결과와는 반대로 나타났다. 둘째, 총선 관련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대학생들의 승자편승 효과를 분석한 결과, 총선 전 사회적 논란이 되었던 한・미 FTA와 북한 위성발사 사안의 경우 승자편승 효과가 나타났으나, 제주 해군기지와 고리 원자력 발전소 안전 논란 사안은 승자편승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들의 총선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인식과 미디어 이용이 제3자 효과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결과, 텔레비전, 인터넷 그리고 트위터 이용이 제3자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미디어에 대한 이용이 적을수록 제3자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제19대 총선과 관련한 선거법 108조와 관련한 수용자들의 제3자 효과 지각을 분석한 결과, 특정 미디어를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 수용자일수록 여론조사 보도규제에 대하여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third-party effects on Press media poll conducted in 2012, the 19th general election for bandwagon effect, media use, the third-person effect and censorship of Election Code 108 CMR. The result were as follows: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social distance corollary affected the third-person effect. Student responded that those who used new media had more effect than their peer group who used less. Second, the phenomenon of bandwagon effect appeared partly, only if respondents were unfamiliar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such as Korea-US FTA and the North Korean satellite launch of the matter. This finding suggested that the bandwagon effect by the polls was not the general phenomenon. Third, the impact of third-party effects reported television, Internet, and Twitter using third-party effects on variables affecting appeared, and these media was proven in the use of third-party effects appeared smaller. Finally, the respondents those who used more pot cast than others were against the censorship of open poll to the public before the official election begin.

      • KCI우수등재

        선거 여론조사 결과 보도의 실제 영향과 지각된 영향의 차이

        문정현(Junghyun Moon),정성은(Sungeun Chung) 한국언론학회 2018 한국언론학보 Vol.62 No.3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effect and the perceived effect of election poll reports on candidate evalua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voters underestimate the effect of poll reports on the self, and overestimate the effect on others. Hypotheses were tested for those who experienced positive or those who experienced negative evaluation change toward the leading candidate, respectively.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a manipulated poll result in an online survey and they indicated their candidate evaluations before and after message exposure (N = 322).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voters tended to report the amount of self evaluation change less than the amount of evaluation change they actually experienced. Second, voters tended to report the amount of evaluation change of other voters greater than the amount of evaluation change that other voters actually experienc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