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

        이단비 ( Lee Dan Bee ),진미경 ( Jin Mi-kyou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수퍼비전 경험이 3회 이상이며, 사설 아동상담센터 등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145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효능감 척도(COSE)와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CFI)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인들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 관리능력 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하위요인별(안전기반, 성찰적 교육, 구조화)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수퍼비전 관계의 하위요인에서 안전기반과 성찰적 교육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 관리능력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놀이치료자가 역전이를 관리하는 능력에 있어 수퍼비전 관계의 정서적 측면과 함께 전문적이며 교육적인 요소를 포함한 체계적인 수퍼비전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of play therapi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5 therapists who had at least three supervisory experiences and were currently working in child counseling centers in Korea.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among self-efficacy,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safe base, reflective education, structure) and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lities of play therapists all showed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safe base, reflective education), these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of the play therapists who took part in the study. In conclusion, by ident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of play therapists, this study suggests that providing more systematic supervision that includes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components along with emotional asp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may be effective in helping play therapists manage countertransference.

      • KCI등재

        아동상담자 발달수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

        김규리 ( Kim¸ Kyu Li ),진미경 ( Jin¸ Mi Kyou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아동상담자의 발달수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국의 대학 부설 놀이치료실, 복지관 놀이치료실, 아동상담센터 등에서 종사하는 놀이치료자 177명을 대상으로 발달수준 척도(KCLQ),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 심리적 소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첫째, 아동상담자의 발달수준과 수퍼비전 관계(안전기반, 성찰적 교육, 구조화), 심리적 소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상담자의 발달수준과 수퍼비전 관계는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상담자의 발달수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상담자의 발달수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 총점과 하위요인인 성찰적 교육, 구조화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아동상담자의 발달수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했으며, 특히 수퍼비전 관계의 하위요인 중 성찰적 교육과 구조화가 발달수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완화함으로써 보호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수퍼비전 관계에서 체계적인 교육적 측면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아동상담자를 심리적 소진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에 있어 수퍼비전 개입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s and burnout experienced by them were examin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otal scores and sub-factor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were verif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of 177 child counsel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levels and supervision of child counselor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ounselor developmental and burnout, we identified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having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further show that the total score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reflective education, and the sub-factors of structure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Thu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child counselor developmental level and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the ways they can affect or mediate burnout.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that the burnout experienced by child counselors constituted grounds for intervention on the part of supervisors.

      • KCI등재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

        김민지 ( Kim Min-ji ),진미경 ( Jin Mi-kyou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 아동상담센터, 복지관 내 상담실 등 아동상담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아동상담자 146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단축형 척도(IUS-12),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 아동상담자 의욕상실 척도(Burnout Inventory)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심리적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수퍼비전 관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수퍼비전 관계는 심리적 소진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아동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 총점과 각 하위요인별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퍼비전 관계 총점과 그 하위 요인인 성찰적 교육과 구조화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수퍼비전 관계 총점, 성찰적 교육, 구조화가 높은 경우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낮더라도 심리적 소진을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아동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수퍼바이저가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수퍼비전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child counselor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A total of 146 child counselors working at child counseling center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it follows. First, child counselors’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 counselors’ level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among the total scores and sub-factor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total score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reflective education and structure exhibit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child counselor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particular, these effects were observed to more significant when child counselors’ intolerance of uncertainty level was low.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more educational and structural supervision to diminish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psychological burnout amongst child counselors.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

        권도연 ( Kwon Do Yeon ),진미경 ( Jin Mi Kyou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병원 내 놀이치료실, 대학 부설 놀이치료실, 복지관 내 놀이치료실, 아동상담센터 등에서 종사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169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척도(COSE),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 심리적 소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관계(구조화, 성찰적 교육, 안전기반), 심리적 소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관계 하위요인 중 구조화가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 총점과 하위요인(구조화, 성찰적 교육)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특히 수퍼비전 관계의 하위요인 중 구조화와 성찰적 교육이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함으로써 보호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수퍼비전 관계에서 환경적 측면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놀이치료자를 심리적 소진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있어 수퍼비전 개입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experienced play therapi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69 play therapists who have worked in the field of play therap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oth structure and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Second, the total score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its sub-factors (structure, reflective education) had largel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and burnout.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among play therapists. Understanding these relationships will help us verify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aspects which operate within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provided the basis for supervisors to intervene in protecting play therapists from burnout.

      • KCI등재

        아동상담자의 슈퍼비전경험과 역전이 관리능력 간 관계에서 대인관계성향의 중재효과

        김현수 ( Hyun Soo Kim ),차지은 ( Ji Eun Cha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5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아동상담자의 슈퍼비전경험 및 대인관계성향과 역전이 관리능력 간 관계를 검토하고 슈퍼비전경험과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성향의 중재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 만 18세 미만의 아동을 상담하고 있는 상담자 116명이 경력/훈련 질문지, 대인관계성향척도, 역전이요인검사(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를 완성하였다. 슈퍼비전경험과 역전이 관리능력 간 상관을 살펴본 결과, 슈퍼비전횟수로 측정된 슈퍼비전경험은 역전이 관리능력들 중 개념화기술과만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상담자 대인관계성향과 역전이 관리능력 간 관계에서는 독립-책임적 대인관계성향과 동정-수용적 대인관계성향이 다섯 역전이 관리능력 차원들(자기통찰, 자기통합, 공감능력, 불안관리, 개념화기술)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그리고 반항-불신적 대인관계성향이 자기통합능력과 불안관리능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성향의 중재효과를 살펴본 결과, 슈퍼비전경험이 자기통합능력과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독립-책임적 대인관계성향과 반항-불신적 대인관계성향이 각각 중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항-불신적 대인관계성향은 슈퍼비전경험과 불안관리능력 사이를, 동정-수용적 대인관계성향은 슈퍼비전경험과 공감능력 사이를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효과들의 임상적 함의와 아동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슈퍼비전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 of child counselors`` supervision experiences (SE) and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to countertransference (CT) management abilities and exploring a potential moderating role of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 and CT management abilities. A total of 116 child counselors practising in Seoul, Kyunggi and Incheon areas completed the Professional/Training Experiences Survey,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Scale, and 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 and conceptualizing skills and between independent-responsible and empathic-acceptable dispositions and five CT management abilities (self-insight, self-integration, empathy, anxiety management, and conceptualizing skills), while showing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resistant-distrustful disposition and self-integration and anxiety management. With regard to a moderation, independent-responsible disposition and resistant-distrustful disposition each was found to moderate between SE and self-integration and between SE and empathy. Resistant-distrustful disposition was found to moderate between SE and anxiety management and empathic-acceptable disposition between SE and empathy. Implications of these moderations to clinical practices were discussed and supervision components to improve child counselors`` CT management abilities were contemplated.

      • KCI등재

        초심상담자의 어려움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

        정성은,진미경 한국놀이치료학회 2022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novice counselors’ difficulty and psychological burnout. A total of 156 novice counselors working at counseling agencies or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ovice counselors’ difficul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supervisory relationship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ovice counselors’ difficulty and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reflective education and structure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novice counselors’ difficulty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se effects were more significant when novice counselors’ difficulty level was low.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more educational and systematic supervision to alleviate the effects of novice counselors’ difficulty on psychological burnout.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o investigate other protective factors for novice counselors to cope with psychological burnout. 본 연구에서는 초심상담자의 어려움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상담 기관에서 근무하는 초심상담자 156명을 대상으로 초심상담자가 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질문지,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 심리적 소진 척도(MBI)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에는 SPSS 25.0을 활용하였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은 심리적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퍼비전 관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수퍼비전 관계는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초심상담자 어려움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하위요인별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찰적 교육과 구조화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찰적 교육과 구조화가 높은 경우 초심상담자는 상담장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더라도 심리적 소진을 더 낮게 지각하였으며, 이러한 완화효과는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이 낮은 경우에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수퍼바이저가 보다 교육적이고 체계적인 수퍼비전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나아가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이 높은 경우에는 심리적 소진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또 다른 보호요인을 파악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심아동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

        나수정,진미경 한국놀이치료학회 202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novice child counselors’ professional identity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139 novice child counselors working at child counseling center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novice child counselor's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all sub factors of the supervision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novice child counselor's professional identity and psychological burnout. This study verified the fact that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can be an important factor that promotes professional identity on psychological burnout. Specifically, it is suggested that professional and systematically structured supervision can be effective along with the emotional asp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novice child counselors. 본 연구에서는 초심아동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심아동상담자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 상관 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심아동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수퍼비전 관계는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초심아동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하위요인(안전기반, 성찰적 교육, 구조화) 각각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수퍼비전 관계의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본 연구는 수퍼비전 관계가 전문직 정체성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초심아동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수퍼비전 관계의 정서적 측면과 더불어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전문적인 수퍼비전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수퍼비전 기능이 사화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김철진 ( Kim Chul Jin ) 광신대학교 출판부 2013 光神論壇 Vol.23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가지고 있는 이론과 기술만으로 클라이언트를 돕는데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여 사회복지사의 한계를 채워주는 한 방법으로 수퍼비전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수 있도록 제안하며 또한 효과적인 수퍼비전 체계확립을 위해 수퍼비전의 기능과 활동내용, 수퍼비전의 만족감에 따른 전문성 향상의 인식내용 그리고 수퍼비전 만족감과 전문성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 수퍼비전 체계확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수퍼비전의 기능과 관련되어 Kadushin(1992)이 규정한 수퍼비전의 하위기능으로 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수퍼비전의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복지관의 종사자들은 제공받는 수퍼비전의 기능과 활동내용에 어떤 영향을 받고 있으며 전문성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수퍼비전의 기능은 무엇인지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첫째,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 향상에 필요한 우선적 요소가 교육적 수퍼비전임을 요구하였고 이를 위한 수퍼비전기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져야 한다 둘째, 수퍼비전의 전제조건에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간의 원만한 관계형성 유지를 위한 상호간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Recognizing that so dal workers face limitations with helping their clients on the field of so dal welfare only with their theories and techniques, this study set cut to propose way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degree of supervision as a way to resolve those limitations.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and activity content of supervision, the content of perception to improve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supervision satisfaction, and connections between supervision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thus providing basic data for setting up a supervision system.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e examined the influence that social workers received on the functions and activity content of supervision and specified the functions of supervision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structure of administrative, educational, and supportive supervision, which are the subfunctions of supervision defined by Kadushin(1 992). As a result, first, the first and foremost element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was educational supervision, for which various supervision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Secondly, supervisors and supervisees should make mutual efforts to maintain smooth relationships, given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as a precondition of supervision.

      • KCI등재

        상담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실제관계(real relationship)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박현정,김신애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가 경험하는 실제관계 경험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통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상담 수련생 중 최근 수퍼비전을 받고 있으며, 실제관계에 대한 이해가 있는 참여자 3명을 목적적 표본 추출의 방법으로 모집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3명의 참여자가 공통적으로 경험한 수퍼비전에서의 실제관계 경험의 요소는 2개의 영역에서 5개의 범주와 15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각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 수퍼비전 중 경험한 실제관계는 ‘수퍼바이저의 태도와 행동’, ‘수퍼바이지의 경험’으로 나타났고, 실제관계 경험 후의 영향은‘상담사로서’, ‘상담에서’, ‘수퍼비전에서’ 나타났다. 각 사례별로 특징적으로 나타난 경험의 요소는 ‘삶에대한 관여’, ‘삶의 다른 영역에도 영향을 미침’, ‘함께 이뤄낸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들이 실제관계를 어떻게 경험하고, 그 경험의 영향이 무엇인지 탐색하여 수퍼비전에서의 실제관계에 대한 학술적ㆍ임상적 지식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판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의 타당화 연구

        오형경,진미경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Cliffe, Beinart와 Cooper(2016)가 단축형으로 재구성한 수퍼비전 관계척도(Korean Short Version of Supervisory Relationship Questionnaire)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조사와 본조사 총 415명의 수퍼바이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 구성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안전기반, 성찰적 교육, 구조화),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연구모형은 TLI =.92, CFI =.93, RMSEA= .08로 수용할만한 적합도지수를 보여 다른 표본 집단에서의 적용을 확인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선행 연구를 토대로 각 하위 요인들과 수퍼비전 과정에서 평가의 진행 척도, 작업동맹 척도, 역할 갈등 역할 모호 척도, 수퍼비전 만족도 척도의 관계를 측정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한 Chronbach α 계수도 양호하여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퍼비전 관계를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는 수퍼바이지 개개인에게 보다 효율적인 수퍼비전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translate into Korean and validate Short Version of Supervisory Relationship Questionnaire(S-SRQ) which was reconstructed by Cliffe, Beinart, and Cooper(2016). The research data through preliminary and the main survey were collected from 415 supervisee. After exploring factors analysis to confirm the configuration of the Supervision Relationship Questionnaire(K-S-SRQ), three factors(safe base, reflective education, structure) and 17 items were constructed. Additional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TLI =.92, CFI =.93, RMSEA= .08, the model showed acceptable conformance indexes, confirming their application in the different sample groups. In order to test criterion-related validity, correlation was examined between sub-elements and Evaluation Process within Supervision Inventory(EPSI), Working Alliance Inventory(WAI),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Inventory(RCRA), Supervis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SSQ),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and it was validated. The reliability(Chronbach α) was acceptable to go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K-S-SRQ can evaluate multidimensional supervisory relations and provide basic data for more efficient supervision to individual supervisor clinic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