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직관적 및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개념설계과정에서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민세기,최유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intuitive free association and systematic free association on the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group in the conceptual design process. Based on this study result, the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meaningful relation between intuitive free association and creativity factor of high school students. Mean value of experimental group A 's creativity and it's factor originality, practicality, elaboration, and fluency which treated intuitive free association was increased. 2. There was meaningful relation between systematic free association and creativity factor of high school students. Mean value of experimental group B 's creativity and it's sub factors: originality, problem solving, elaboration, and fluency which was treated systematic free association was increased. 3. It was found that two different divergent thinking does no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creativities of two groups. However, the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post creativity test in each groups sub-factors.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practicality factor, though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originality, elaboration, fluency factors. Using the obtained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intuitive thinking and systematic thinking play different roles in practicality which is one of sub-factors of the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Consequently, it can be concluded that systematic thinking which leads students to take a step to solve a given problem can elicit more scientific thinking, and helps students create more practical solution in problem solving than intuitive thinking that emphasize the quantitative aspect of ideas. 본 연구는 직관적 자유연상기법과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개념설계과정에서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첫 번째는 직관적 자유연상기법이 개념설계과정에서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개념설계과정에서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며 세 번째는 직관적 자유연상기법과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개념설계과정에서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창의성 증진에 각 기법이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비교 구명하는 것이다. 실험설계는 이질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로서 인천광역시의 ◯◯고등학교 1학년 6개 학급 17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A, 실험집단B를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개념설계 문제’와 ‘창의성 표현 검사지 A’, ‘창의성 표현 검사지 B’, 그리고 ‘창의성 평가 척도’는 다양한 문헌과 전문가의 타당성을 거쳐 연구자가 개발한 것으로 평가자간 상관계수를 통하여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관적 자유연상기법이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과 하위요인인 ‘독창성’, ‘유용성’, ‘정교성’, ‘유창성’을 증진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기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과 하위요인인 ‘독창성’, ‘유용성’, ‘정교성’, ‘유창성’을 증진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기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고등학생 집단의 개념설계에 있어서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용성’의 증진에 있어서는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직관적 자유연상기법보다 더 효과적인 기법임이 증명되었다.

      • KCI등재

        구속조건 힘 설계기법을 이용한 강체와 스트링의 위상 최적설계

        허재청(Jae Chung Heo),윤길호(Gil Ho Yoon) 대한기계학회 201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6 No.7

        이 논문에서는 강체 메커니즘의 위상 최적설계를 위해 제안된 구속조건 힘 설계 기법(constraint force design method)을 확장하여 로프-링크(string-link)를 고려한 위상 최적설계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메커니즘 설계이론을 이용하여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강체 링크의 길이와 조인트의 위치를 최적설계하는 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강체 메커니즘의 최적 위상을 설계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체 메커니즘의 최적 위상을 설계할 수 있는 기법인 구속조건 힘 설계 기법이 본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되었다. 구속조건 힘 설계 기법은 이진수 설계 변수를 이용하여 강체 링크의 위상 최적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강체 링크뿐만 아니라 로프-링크로 구성된 메커니즘을 위상 최적설계하기 위한 발전된 해석기법과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tends the constraint force design method allowing topology optimization for planar rigid-link and string mechanisms. To our best knowledge, by applying conventional machine and mechanism design theories, it is likely that it is possible to find out optimal locations of joints and lengths of rigid-links but somewhat difficult to find out optimal topology of rigid-links. To achieve optimal topology of rigid links, there is our previous contribution so called the new constraint force design method with the binary design variables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the auxiliary forces imposing apparent lengths among unit masses. By adding new binary design variables, this research extends the constraint force design method to find out optimal mechanism consisting of stringy links as well as rigid links that seems impossible in the conventional machine and mechanism design theories.

      • KCI등재

        패시브 디자인을 위한 설계기법들의 개념적 특성에 관한 고찰

        민상충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6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인증제라는 제도권에 반하는 친환경건축에 있어서 공기대류현상에 의한 자연순환방식에 국한한 5가지 설계기법의 유형을 소개하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개념적 특성과 대표적인 사례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기술하고자 했다. 결론과 관련하여 친환경건축설계는 일반적인 건축설계와 비교하여 계획의 출발점이 차별화되어야 함을 주장하며 이와 관련하여 현행의 제도적 틀 내에서의 항목별 적용에 의한 요소설계를 넘어서 진정한 친환경설계의 메커니즘 측면에서 본다면 공학적 측면의 정확한 과학적 상세계획을 요구하는 바 이와 관련한 설계기법의 지속적 개발은 친환경건축의 궁극적 목표를 실현하는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다. 따라서 현행 인증제 중심의 친환경정책과 평가항목 중심의 설계방식으로는 친환경건축물이 지녀야 하는 본질적 가치로서의 ‘자연순환체계에 의한 살아있고 숨쉬는 건강한(Vibrant & Breathing Healthy Architecture) 친환경건축을 실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으로 공기에 의한 대류순환체계의 구축을 토대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는 패시브 디자인(Passive Design)과 관련한 친환경건축설계기법의 지속적인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environmental-friendly architecture(EFA), focusing on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design techniques by investigating the key design tools out of cases of the foreign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The design technique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mainly divide into passive design and active design. Passive design only will be considered to extract the expected result from the case study. It shows how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develop with the design techniques related to emerging tools and details. With five building examples,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s key design techniqu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arly design process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First of all, it is explained how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is related to design techniques and tried to describe how the conceptual techniques is applied to the system design based on the natural convective circulation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specially related to the passive design. The design techniques, which are selected for the case analysis, also will be significant methodological tools in order to lead and develop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in the future.

      • KCI등재

        부재력 특성을 고려한 설계변수를 사용한 고층건물 변위조절설계법 개발

        서지현,박효선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7 No.2

        재분배기법을 이용한 변위조절설계법이 고층건물의 실용적인 변위제어 기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재분배기법을 이용한 변위조절설계법은 일률적으로 단면적을 설계변수로 사용하고 있으나, 부재 특성에 따라 지배적인 부재력이 다르므로 부재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변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재별로 부재력 특성을 고려한 설계변수를 사용한 변위조절설계법을 제안하고 이를 20층 강접골조-전단벽 구조물의 변위조절설계에 적용하여 기존의 단면적을 설계변수로 사용한 변위조절설계법과 비교 평가하였다. 적용 결과, 부재 특성을 고려한 변위조설설계법이 부재별로 지배적인 부재력에 해당하는 부재 단면성능을 설계변수로하여 부재별 변위기여도를 직접 조절하므로 물량 및 변위 예측의 정확도 측면에서 비슷하거나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Drift design methods using resizing techniques have been presented as a practical drift control methods of high-rise buildings. Most drift design methods using the resizing techniques have adopted the cross-sectional area as the design variables for all structural members in a structure. However, the cross-sectional area is not always governing sectional property for the structural members, but the governing sectional property of each member is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member forces. In this paper, a drift design method using the sectional property related to the governing displacement participation factor as the design variable of each member is presented and applied to the drift design of 20-story steel frame-shear wall system. It can be noted from example test that drift design method considering member characteristics shows similar or somewhat better results in the view point of structural weights and the accuracy of displacement estimation.

      • KCI등재

        부재력 특성을 고려한 설계변수를 사용한 고층건물 변위조절설계법 개발

        박효선,서지현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7 No.2

        재분배기법을 이용한 변위조절설계법이 고층건물의 실용적인 변위제어 기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재분배기법을 이용한 변위조절설계법은 일률적으로 단면적을 설계변수로 사용하고 있으나, 부재 특성에 따라 지배적인 부재력이 다르므로 부재력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변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재별로 부재력 특성을 고려한 설계변수를 사용한 변위조절설계법을 제안하고 이를 20층 강접골조-전단벽 구조물의 변위조절설계에 적용하여 기존의 단면적을 설계변수로 사용한 변위조절설계법과 비교 평가하였다. 적용 결과, 부재 특성을 고려한 변위조절설계법이 부재별로 지배적인 부재력에 해당하는 부재 단면성능을 설계변수로하여 부재별 변위기여도를 직접 조절하므로 물량 및 변위 예측의 정확도 측면에서 비슷하거나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Drift design methods using resizing techniques have been presented as a practical drift control methods of high-rise buildings. Most drift design methods using the resizing techniques have adopted the cross-sectional area as the design variables for all structural members in a structure. However, the cross-sectional area is not always governing sectional property for the structural members, but the governing sectional property of each member is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member forces. In this paper, a drift design method using the sectional property related to the governing displacement participation factor as the design variable of each member is presented and applied to the drift design of 20-story steel frame-shear wall system. It can be noted from example test that drift design method considering member characteristics shows similar or somewhat better results in the view point of structural weights and the accuracy of displacement estimation.

      • 플랜트 엔지니어링 설계 품질 검증 방법론(SEND기법) 개발 : Batch Plant Engineering을 중심으로

        최하준 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 2011 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본 연구는 플랜트 엔지니어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프로세스인 설계 단계의 품질 향상 방안에 대한 것이며, 설계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설계 품질 검증 방법론을 새로 고안하여 제시한다. 플랜트 엔지니어링의 특징이 단위 생산 설비의 ‘단품 제작 설계’보다는 설비의 선정, 배치 그리고 결 합 방법에 대한 설계 즉, ‘상호 연결 설계’에 있으나 현재의 설계 품질 검증이 주로 ‘제작 설계’에 치우쳐 있어 ‘연결 설계’ 품질에 대한 검증 방법론으로 ‘S.E.N.D. 기법’을 소개한다. ‘SEND 기법’은 양식화, 형식 지, 수치화, 결함박멸의 첫 글자를 딴 것으로 [(1)Check Sheets Making → (2)형식知발굴 및 Sheet에 내용 포함 → (3)Check Sheet내용을 수치화 → (4)결함박멸 수준 설정]의 방법 모형을 말한다. 설계자는 본인의 설계 수준을 Check Sheet를 이용하여 쉽게 스스로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몇 가지 대표적인 지표로 설계 수준과 결함 정도를 가늠할 수 있어, SEND 기법이 설계 Miss를 줄이는 Negative Remedy Tool 일 뿐만 아니라 설계 품질 자체를 높이는 Positive Improvement Tool 이라는 것을 밝힌다.

      • KCI등재

        횡하중과 연직하중을 받는 고층건물의 변위설계를 위한 재분배기법 개발

        한국전산구조공학회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7 No.1

        고층 건물의 구조시스템 및 물량은 최대변위 및 층간 변위 제어를 포함하는 강성설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향이 있으나 강도설계와는 달리 특정 소수 부재의 단면 변화로 강성제한 조건을 만족시키기는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이제까지의 고층건물 구조설계는 설계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한 반복적인 설계과정을 피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민감도 해석이나 반복적인 구조해석 없이 변위를 제어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층건물 변위제어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개발된 재분배기법은 구조물이 횡하중을 받는 경우만을 고려하였으나 실제 구조물은 횡하중과 연직하중을 동시에 받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재분배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횡하중과 연직하중을 고려한 재분배기법을 강도설계모듈과 결합하여 고층건물 변위설계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변위설계모델을 20층 강접골조 전단벽 구조물과 60층 아웃리거 구조물의 변위설계에 적용하여 기존의 횡하중 만을 고려한 변위설계모델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Drift design of a high-rise building is a governing factor in the determination of structural weights and lateral resisting systems. However, high-rise buildings are composed of tens of thousands of structural member, designer can not know which members are active to lateral drift control and how much they contribute to lateral drifts. Resizing technique was proved to be a practical method for drift design of high-rise buildings. However, no resizing algorithm has been considered the effect of vertical loads in drift designs. Thus, in this paper, a resizing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for drift designs of high-rise buildings subjected to both lateral and vertical loads. The drift design model has been applied to drift designs of two high-rise building examples.

      • KCI등재

        횡하중과 연직하중을 받는 고층건물의 변위설계를 위한 재분배기법 개발

        서지현,박효선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7 No.1

        고층 건물의 구조시스템 및 물량은 최대변위 및 층간 변위 제어를 포함하는 강성설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향이 있으나 강도설계와는 달리 특정 소수 부재의 단면 변화로 강성제한 조건을 만족시키기는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이제까지의 고층건물 구조설계는 설계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한 반복적인 설계과정을 피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민감도 해석이나 반복적인 구조해석 없이 변위를 제어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층건물 변위제어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개발된 재분배기법은 구조물이 횡하중을 받는 경우만을 고려하였으나 실제 구조물은 횡하중과 연직하중을 동시에 받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재분배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횡하중과 연직하중을 고려한 재분배기법을 강도설계모듈과 결합하여 고층건물 변위설계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변위설계모델을 20층 강접골조 전단벽 구조물과 60층 아웃리거 구조물의 변위설계에 적용하여 기존의 횡하중 만을 고려한 변위설계모델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Drift design of a high-rise building is a governing factor in the determination of structural weights and lateral resisting systems. However, high-rise buildings are composed of tens of thousands of structural member, designer can not know which members are active to lateral drift control and how much they contribute to lateral drifts. Resizing technique was proved to be a practical method for drift design of high-rise buildings. However, no resizing algorithm has been considered the effect of vertical loads in drift designs. Thus, in this paper, a resizing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for drift designs of high-rise buildings subjected to both lateral and vertical loads. The drift design model has been applied to drift designs of two high-rise building examples.

      • KCI등재

        반성적 성찰기법 활용을 통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능력 향상 전략 탐색

        강정찬(Kang, JungC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를 위한 반성적 성찰기법을 활용한 수업설계 능력 향상 전략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실천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과정 및 절차에서 발생하는 실제적 어려움과 문제점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밝혀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수업설계능력 향상 전략, 반성적 성찰 기법 및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 도출된 반성적 성찰기법 활용을 통한 수업설계 능력 향상 전략은 첫째, 수업설계 준비, 실행, 평가의 세 단계로 나누어 수업설계 과정 및 절차, 각 과정별 핵심내용, 그리고 활용 가능한 반성적 성찰기법 및 도구를 통합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수업설계의 세 단계에 따라 세부 수업설계 과정 별로 반성적 성찰도구를 활용한 수업설계 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셋째, 예비교사의 수업과 수업설계에서 발생하는 이론과 실천의 괴리, 통 합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론적 이해와 실제적 실천 간의 연계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수업설계 능력 향상 전략은 예비교사를 지도하게 될 교수자(지도교사)에게 예비 교사들이 실제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할 때 무엇을 준비해야 하고, 어떠한 고려 및 주의사항을 지원하고 안내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제적 지침이나 정보를 제공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비교사 양성 교육과정이나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거나 개발하고자 할 때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of the pre-teacher through using self-reflexive reflection techniques. Theses strategie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were developed with action research that based on literature reviews, reflective journal, and depth interviews. This study produced several results. First, the strategies have three steps (preparation, implementation, evalu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that include the processes and procedures needed for instructional design, the core content of each process, a self-reflexive reflection techniques and tool. Second, the specific practice strategies of three steps are suggested to improve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of Pre-teacher through using self-reflexive reflection techniques. Third, these strategies include that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practical linkages between the strategy practice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integrating and distance of theory and practice does in the lesson and instructional design of pre-teacher. These strategie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of pre-teachers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provide guidelines and information for teachers or professor, what pre-teachers need in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 Also, these strategies give useful information and resources, when people design and develop curriculum and program for pre-teacher.

      • 탄소저감량 산정 사례를 통한 도로 설계요소별 기법 적용방안 마련 연구

        손원표,강전용,박경석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3 No.09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는 자연재해의 발생 등 큰 피해를 초래하여, 범지구적 차원의 기후변화 협 약이 체결되고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가시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탄소배출의 주요 원인으로 교통부문이 부각되면서 도로는 자연환경을 훼손하고 자동차는 탄소발 생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 기존의 도로는 기능성과 경제성, 안전성 위주로 조성되어 주변 자연환경을 훼손하고 탄소배출에 대한 고려가 소홀하여, 도로건설에 따른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자연환경에 순응하여 탄소발생을 저감시키는 설계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재 도로부문에서의 탄소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은 일부 시설물에 국한된 초기단계에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도로의 선형, 횡단면, 환경시설대, 구조물(교량)을 주요 설계요소로 하는 탄소 저감을 위한 ‘그린네트워크 도로설계 기법’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도로의 설계요소별 기존 도로설계 대비 그린네트워크 도로설계기법 적용을 통한 탄소배출량과 저감량을 산정하여 요소별 탄소저감 효과분석에 따른 최적의 설계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도로설계시 설계요소별 탄소저감량 산정 사례 연구를 통하여 최적의 도로설계 기법의 적용 방 안을 마련하고, 그린네트워크 도로설계 절차를 정립하여 향후 과제 도출을 위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표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