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하-상사 부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에 대한 부하의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지해인,유태용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지역과 세계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ubordinate-supervisor fit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ubordinate's emotional labor(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toward supervisor.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surface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Using the survey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312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As results, the subordinate-supervisor fit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The subordinate-supervisor fi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urface acting, and positively related with deep acting. Subordinate’s surface acting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nd deep acting was negatively 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subordinate'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had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upervisor fit and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had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surface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That i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surface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was stronger when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was high rather than low.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부하가 지각한 상사와의 부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부하-상사 부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부하-상사 부합과 이직의도 간 관계를 상사에 대한 부하의 정서노동(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부하의 표면행동과 이직의도 간 관계를 조직기반 자긍심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부하-상사 부합은 이직의도와 부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부하-상사 부합은 상사에 대한 부하의 정서노동의 하위차원 중 표면행동과 부적인 관계, 내면행동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상사에 대한 부하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부하의 표면행동은 이직의도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부하의 내면행동은 이직의도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상사에 대한 부하의 정서노동(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부하-상사 부합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하의 표면행동과 이직의도 간의 정적 관계는 조직 구성원의 조직기반 자긍심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