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대학 신입생들의 학습 감정 연구: 녹화 강의와 실시간 화상수업을 중심으로

        박옥희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COVID-19의 확산으로 전면 비대면 온라인(녹화 강의 및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전환된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한 대학 신입생들의 학습 감정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B대학 신입생 170명을 대상으로 학습감정검사지(Academic Emotion Questionnaire; AEQ)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통계 처리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긍정의 감정과 부정의 감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긍정의 감정은 녹화 강의수업에서, 부정의 감정은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 더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라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한 학습 감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 < .01), 수준과무관하게 긍정의 감정은 녹화 강의에서 높았고, 부정의 감정은 실시간 화상수업에서 더 높았다. 셋째, 신입생들의 전공에 따라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한 학습 감정은 긍정의 감정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자연이공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보다 동영상수업에 대한 긍정의 감정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신입생들의 성별에 따라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한 학습 감정은 부정의 감정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온라인 수업유형과 무관하게 여학생의 부정 감정이 남학생의부정 감정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분석

        백상현 ( Sanghyon Bae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2020학년도 대학에서 전면적으로 실시된 비대면 온라인 수업유형(동영상 강의형, 실시간 화상수업형, 혼합형)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여 실제적인 비대면 온라인 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A대학 재학생 1,884명의 설문 결과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비대면 온라인 수업유형 중 동영상 강의형의 수업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유형별로 소속계열, 학년, 교과목계열에 따른 만족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년과 전공계열에 따라 효율적인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지원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urse satisfaction for non-face-to- face online classes (NFO)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lecture types (recorded lectures, real-time video lectures, hybrid of real-time and recorded lectures). The data was collected by enrolled students of A university and 1,884 cases were analyzed in total. For data analysis, we examined the course satisfaction on NFO using independent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on recorded lectures were highest among all lecture types.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NFO varies according to class types, major field and grade. Based on these results, detailed supportive plans for effective operation of NFO are proposed. This result has a limitation of being a case of a one colle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