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운행 모드 기반 배출량 산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허혜정,Christopher Frey,윤천주,양충헌,김진국 대한교통학회 2016 大韓交通學會誌 Vol.34 No.2

        Atmospheric pollutants such as Nitrogen Oxides(NOx), Carbon Monoxide(CO), Carbon Dioxide(CO2), Particulate Matter(PM) and Hydrocarbons(HC) come from vehicle exhaust gases. Emission curves based on average travel speeds have been employed for estimating on-road emissions as well as evaluating environmental impacts of transportation plans and policies in Korea. Recentl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stimation methods of vehicle emissions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vehicle dynamic driving characteristics and emissions, and incorporating such emission estimators into traffic simulation models. MOVES Lite, a simplified version of MOVES, is one of the estimation methods. In this study, the authors performed a study to develop an adaptable version of MOVES Lite for Korea, called MOVES Lite-K. Vehicle types, driving characteristics, emission rates, and emission standards of Korea were reflected in MOVES Lite-K. The characteristics of emission calculation of MOVES Lite-K and NIER emission curves were compared and the adaptability of MOVES Lite-K were examined. 차량의 배기가스에는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입자상 물질(PM), 탄화수소(HC)와 같은 대기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한국에서는 평균속도 기반의 배출계수 곡선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교통 계획과 교통 정책의 대안 평가에서 환경적 영향을 분석할 때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차량의 동적 운행 특성과 배출량의 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여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론과 이 방법론을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에 통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MOVES Lite는 MOVES의 간략 버전으로서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에 통합될 수 있도록 개발된 운행모드 기반 배출량 산정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차종, 주행특성, 배출계수, 배출규제 등을 반영하여 MOVES Lite를 개량한 MOVES Lite-K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국내의 대표적 배출량 산정 방법인 평균속도 기반의 배출계수 곡선식과 MOVES Lite-K의 배출량 산정 특성을 비교하여 두 방법론의 차이와 국내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 KCI우수등재

        지역유형과 탄소배출권 거래 가격을 고려한 국유재산 평가방법 연구

        박윤선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4 國土計劃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국유재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도심지의 비율이 높은 도시형과 산림의 비율이 높은 산지형으로 지역을 구분하여 가치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국유재산의가치산정을 목표로 하였고, 인구수, 사업체수, 도로와의 접근성, 녹지면적과 같은 지표를 활용하였다. 우선, 앞서 언급된 지표들과 현재 국유재산 가치산정의 근간이 되는 공시지가 혹은 지역의환경성을 대표하는 환경가치 사이에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상관성을 판단해 보았다. 이때 환경가치는 탄소배출권거래가격을활용하여 가치평가의 범용성을 높였다. 두 번째로, 상관성평가결과를 토대로 알맞은 가치평가방식을 선정하였고, 회귀모형을 통해 지역특색을 고려한 국유재산 가치평가 회귀식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제시되는 국유재산의 가치와 환경적 가치를 반영한 국유재산 가치를 비교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휴부지를 재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토지가치의 가시적인 부분에만 한정된 가치평가에서 더 나아가 비가시적인 요소인 환경조절기능을 포함한 가치평가가 이루어져 체계적인 국유재산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국유재산의 가치평가 방법을 개선하여 국유재산의 활용에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State-owned property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source of government revenue and public good; however, its inaccurate economic valuation limits its efficient utilization. In particular, the economic value of state-owned property with high environmental value, such as forests, remains unrecognized; consequently, such property cannot contribute to the national goal of achieving carbon neutrality and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valuation method for state-owned property that considers urban types. To this end, we conducted spati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official land price and carbon emission permit trading price for Seoul and Gangwon-do.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official land price is more suitable for urban areas, while the 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carbon emission permit trading price is more suitable for non-urban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the valuation method for state-owned property should be differentia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region. Second, the economic value of state-owned property with high environmental value, such as forests, should be determined. Third, to improve the efficient use of state-owned property,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s management and operation systems, as well as the methods used to determine its economic value. By proposing improvements that can be made to valuation method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t use of state-owned property and to the national goal of achieving carbon neutrality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