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두만강 하류지역의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러시아 핫산지역과 녹둔도를 중심으로-

        안재섭 국토지리학회 2004 국토지리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지역 중 핫산지역과 녹둔도 지역의 토지이용상황에 대해 현장답사에서 수집한 자료와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해 분석한 토지이용자료를 기초로하여 토지개발 가능성에 대한 잠재력을 파악해 보기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 이 지역의 토지이용상황은 초지(pasture), 관목(bush), 습지(wetlands)등으로 대부분의 중심부분은 모두 초지와 습지로 구성되어 있다. 핫산지역은 3면서 아울러 가장 인구규모가 큰 중심지이다. 그리고 현재 북한의 나진-선봉지대와 중국의 훈춘과도 철도 및 육상교통의 연계망이 구축되어 있는 상황에서 이 지역이 현재의 엄격한 통제로부터 벗어나 보다 자유롭게 개방된다면 실질적인 지역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녹둔도지역의 토지는 불규칙하게 발달한높고 낮은 사구지역, 사구와 사구 사이에 발달한 초지지역, 넓게 발달해 있는 저습지 등 모두 세가지 유형으로구분된다. 그리고 두만강 하류지역은 하천과 해양 환경이 접하는 곳으로 생물종의 다양성과 특이한 경관생태가나타나는 곳이다. 특히, 두만강 하구의 사구, 호수, . 이는 녹둔도지역이 생태관광 및 두만강지역 자연사박물관 건립과 같은 환경친화적인 지역개발로 진행될 경우, 중요한 자원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녹둔도 영속문제는 통일 후 우리나라가 제기해야 할 국경영토 문제이며, 이에대비한 지속적인 연구와 지리적 자료수집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The study has purpose that to analysis of landuse on the Khasan area and Nokdun-do in the lowerTumen river area using field work and artificial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to estimate potential developmentpossibility of this area. The most parts are consisted of all grasslands, marsh, pasture, bush, and wetlands. Themeasure of wetland is amount to 42.82% in study area. The west part of lower of Tumen river is evaluated thataccess is difficult to convention marsh place area that overflow in summer. Khasan area has possibility that candevelop into real area center if is opened freely possess. Nokdun-do area is place that variety and singular spectaclemode of life of biospecie appear to place that marine environment borders with rivers. So, it is important area thatcan be developed by eco-environmentally. The border territory problem of Nokdun-do in the lower tumen rivershould institute suer after unity, and can assert that Nokdun-do is our unique territory by historic and geographicviewpoint. Therefore, it is to persist that the study of lower Tumen river area and Nokdun-do, also to collect thegeographical data of that.

      • KCI등재

        두만강 하류지역 고고학 문화‧유적의 최근 연구 동향과 쟁점

        오대양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1

        As you noted, since the downstream area of the Duman River is a very sensitive region that contacts the borderlines of many countries,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s would be nominal without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Therefore, the things to be prepared in the current situation are to clearly grasp the present status of survey and research so far on the related sites in this area and to share them with academia. With the awareness of this issue, the main body of this study reviews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trend of archaeological cultures and relics that have been made in this area and reflects on the major issues of the recent 20 years. 주지하다시피, 두만강 하류지역은 현재 여러 국가들의 국경이 접한 민감한 지역이니 만큼 국제적인 공조와 협력이 없으면 공동조사와 개발계획은 유명무실해 질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현재적상황에서 준비되어야 할 사안은 그간에 진행된 이 지역 관련유적의 조사와 연구현황을 명확하게파악하고, 이를 학계와 공유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그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문에서는 그간에진행된 이 지역 고고학 문화‧유적의 조사 및 연구 동향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고, 그중 최근 20 년간 주요 쟁점이 되어온 주요 현안들을 반추해 봄으로서 남겨진 과제와 그 방향성에 대한 검토를 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