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서울 어린이대공원 내 동물원의 변화과정

        김동훈,김아연,Kim, Dong-Hoon,Kim, Ah-Yeo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6

        본 연구는 서울어린이대공원 내 동물원의 개선방향 설정을 위한 변화과정 연구로 어린이대공원 동물원의 시대적 변화를 물리적 변화가 뚜렷한 세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대적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동물원 계획 시 고려해야할 요소를 기반으로 공간계획, 동물복지 및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합테마공원 시기의 동물원은 유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관람객을 위해 동물을 전시하고, 방문객의 수요에 맞게 동물원의 영역을 확장하는 시기였다. 환경공원으로서의 동물원은 분류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동물사를 배치하고, 행동풍부화 등의 동물복지 프로그램과 관람객 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유희적 기능과 교육적 기능의 동물원을 조성하였다. 도시문화공원 속의 동물원은 동물들의 복지를 위해 노후한 동물사와 시설을 개선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종 보존 및 환경 교육을 제공하는 시기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러나 어린이 대공원의 동물원은 여전히 계통분류학적 전시방법에 머물러 있고, 공간의 물리적 확장이 제한된 상태에서 생태적인 서식처 구현에는 못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기별 특징과 변화과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지향점인 생태적 동물원을 구현하기 위한 개선 방향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경관몰입을 통해 동물의 야생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동물사 경계를 개선하고, 둘째, 기존 계통분류학적 분류 방법에서 생태 서식지를 고려한 배치 방법으로 변경하여 서식지가 유사한 동물에게 동일한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전문 교육 인력을 충원하여 다양한 생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어린이들의 자연에 대한 생태적 인식과 체험에 기여하는 어린이 동물원으로 기능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process in order to set the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e zoo in the Seoul Children's Grand Park. The zoo can be reviewed through three significant time periods with noticeable changes. As a framework to analyze the major changes that happened in the zoo, this study looks at the changes in terms of the planning aspect as well as the animal welfare and program operation aspec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ra of general theme park turned out to have focused on exhibiting animals to meet visitor demands by expanding the zoo area of the zoo without enlarging stockyards for the animals. Second, the environmental park era created a zoo having entertaining and educational functions by arranging animal houses with the concept of zoological taxonomy and introducing animal behavioral enrichment, animal welfare programs and visitor participatory programs. The era of the zoo as an Urban Cultural Park improved old animal houses and facilities for the welfare of the animals and increased educational programs to preserve species and provid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zoo turns out not to meet the conditions for creating an ecological zoo, which is the overall goal for contemporary zoos. The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is through three different eras are three-fold. First, the zoo needs to improve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animals to showcase animal wildness through landscape immersion. Second, the zoo should provide a shared environment for animals from the same habitats by changing the classification methods from the existing polyphyletic taxon to a classification that considers ecological habitat. Third, the zoo needs to develop various ecological education programs by supplementing specialists in professional education.

      • KCI등재

        심양동물원을 중심으로 하는 동물원의 설계전략 연구

        박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0

        A zoo used to serve the purpose of displaying the ostentation of power and wealth among the establishment in the past, has played a role as a space for leisure and recreation and now has another important objective of preserving species as one of its major roles today. Undergoing a series of change in its roles, a zoo has seen a constant change in strategic aspects as well, in particular, the expansion of exhibition space that has incorporated the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in method of arrangement along with creation of a variety of cultural spaces as an exampl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has been conduction and presented a number of proposals in terms of future directions for zoos. First,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a zoo, the weather conditions of a target area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designing a zoo. This can be materialized through action plans that incorporate specific localities of the concerned region. Second, a variety of exhibition methods should be applied with primary focus on sustainability. Third, there is a need for stepwise development plans. In planning a zoo of a certain size or more, a variety of factors that affect stakeholders of a zee, including accessibility, circulation, and expansion of major spac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 comprehensive manner based on long-term master development plans. Fourth, zoo designers should also work out a comprehensive master plan that includes all basic concepts and functionalities of a zoo together with thoughts on usability and convenience in designing spaces of a zoo. 동물원은 과거 권력층의 부와 권력의 과시용으로 시작되어, 근대 이후 위락과 휴가를 위한 공간제공의 역할을 해 왔으며, 오늘날에 이르러 종보전의 개념을 추가적인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동물원의 역할 변화과정에서 설계 전략적측면에서 또한 발전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문화공간의 조성을 조성하며, 배치 방식에 있어 생물기후학적 전시 전략의 특성을 반영하고, 확장된 관람공간을 연출하는 특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동물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결론은 첫째, 동물원의 전통적 기능에 더하여 대상지역의 기후를 고려한 설계의 중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지역성을 반영하는 계획안으로 구체화 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관람방식의 적용을 들 수 있으며,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단계별 개발계획의 필요성을 들 수 있다. 일정 규모 이상의 계획시 마스터플랜을 통한 장기 발전계획을 바탕으로 단지로의 접근에서부터 동선체계, 주요 공간의 확장 등 다양한 접근을 통한 계획이 필요하다. 넷째, 동물원 중심의 공간계획에 더하여 이용성과 편의성을 고려한 계획과 함께 동물원이 가지는 기본적인 개념을 담아내는 종합적 마스터플랜의 제안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