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재조사 좌표변환 대상지역 선정의 적정성 분석

        김화성(Kim, Hwa Sung),권재현(Kwon, Jay Hyoun),이지선(Lee, Ji Su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1

        지적재조사의 목적은 지적공부 디지털화 및 도상경계와 지상경계 불일치 해소로 추진방법은 직접측량과 좌표변환으로 구분된다. 좌표변환방식 적용지역은 도해지역 지적부합지로 도상경계와 지상경계가 일치하는 지역이나, 실제부합지 내 불부합지가 다수 존재하고 있어 부합지 중 좌표변환 대상지로 선정 된 지역에 대한 적정성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해지역 부합지 내 존재하는 불부합지 분포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좌표변환방식에 있어 지적재조사 개념의 재정립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필요한 선행사항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천시와 광주시를 대상으로 2007년에 조사한 지적불부합지를 포함하는 지적부합지 지적도를 세계측지계로 좌표 변환하여 세계측지계 기반의 실측자료와 중첩하고, 지적도와 실측자료 폴리곤간 중심점간 이격거리와 면적중첩비율을 부합지와 불부합지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부합지 지역에 다수의 지적불부합지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존 부합지로 판정된 좌표변환방식 적용 지역에 대한 적정성 검증을 수행하여야 성공적인 세계 측지계로의 좌표변환을 이룰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cadastral resurvey is to digitalize the cadastral records and to remove the inconsistencies between the boundaries on the cadastral map and those on the ground. A detailed business promotion methods are divided into direct survey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In principle,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 should be applied to the area where boundary on the map and the boundary of the ground are coincide each other. However, there are many non-coincide areas inside the region where classified as coincide areas. Therefore, adequacy examination on the selected target area for the transformation is required before applying the method. This paper analyzed the non-coincide areas inside the pre-determined coincide areas especially for the areas of graphical cadastre and suggested a required process fore cadastral resurvey. For a quantitative analysis, the cadastral maps of Icheon and Gwangju cities are transformed into the world geodetic system and overlapped with survey data. T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s of polygons on the cadastral map and from survey data are analyzed.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overlapped areas are analyzed for the cases of coincide and non-coincide areas.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many non-coincide areas inside the areas determined as coincide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areas where determined as coincide areas for the successful coordinate transformation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 임야지역 국공유지의 효율적인 지적재조사 방안 연구

        홍성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7 No.1

        우리나라는 지적의 선진화와 디지털 지적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2012년부터 지적재조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적재조사사업은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이용상황과 실제 토지이용상황이 불부합하는 것을 바로잡아 정확한 디지털 지적정보를 구축함으로써 선진화된 국가토지 행정의 기반을 확립함은 물론 국민의 토지재산권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지적재조사사업의 방법은 주로 토지부분에 핵심을 두어 추진하고 있을 뿐 기타 지역에 대해서는 세계좌표 변환 방식을 적용한다는 것 외에는 별도의 세부적인 방법들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사업의 효율적인 추진과 사업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위해 임야지역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공유지에 대한 효율적인 지적재조사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임야지역 국공유지에 관한 기초 현황분석과 지적재조사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에 기초해 임야 국공유지의 지적재조사 추진 방안으로서 국공유지의 사전 정비 후 경계 재설정 방안, 도해지역 성과결정 방식에 기반 한 토지․임야 경계 일치 방안, 향후 임야 국공유지의 지적재조사 확대 추진 계획을 수립․제시하였다. The Republic of Korea is implementing a cadastral re-survey project from 2012 for the advancement of land registration and construction of a digital cadastral management system.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is being implemented not only for the establishment of a basis for advanced national land administration by constructing accurate digital cadastral information through rectifying the non-coincidences between the land use state registered in cadastral records and actual land use state, but also for the stable protection of the land property rights of the public. The method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currently being carried out merely focuses on land parts, and fails to suggest specific detailed methods for other areas, except that a converting global coordinate system method is being applied. This study sought to suggest an efficient cadastral re-survey method for public land that occupies a considerable part of forest areas,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and completion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is study provided a basic analysis of current status on the public land in forest areas and suggested a cadastral re-survey method. Based on such, this study established and suggested a re-establishment method of land boundaries after pre-organization of public land, a method of econciling land and forest land boundaries based on the method of decision-making of the cadastral surveying result in graphical map-based area, and a roadmap for expanding public land in the future, as ways to implement cadastral re-survey of public land in forest areas.

      • KCI등재

        도해지역에서의 합리적인 지적측량 성과결정을 위한 표준절차의 정립 연구

        홍성언(Hong, Sung Eon),이용호(Lee, Young Ho),김창기(Kim, Chang Kee) 한국지적학회 2011 한국지적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도해지역에서의 성과결정 현황 및 실태분석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통일화된 표준절차를 정립하여 봄으로써 도해지역에서의 지적측량 성과의 일률성 및 통일성의 확보로 민원발생의 최소화와 지적불부합지 발생의 최소화를 유도하여 보고자 하였다. 실태분석결과 현행 도해지역에서는 사정선에 의한 성과결정, 기존 등록선에 의한 성과결정, 지형․지물 등 현황에 의한 성과결정 등 현장 상황별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성과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태분석을 토대로 기지점이 부합하는 경우와 부합하지 않는 경우를 구별하여 성과결정 방법과 절차를 규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도해지역에서의 성과결정 방법 및 절차를 지침화하여 규정하고, 이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성과결정의 통일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unified standard process based on the result of the current decision making and a fact-finding survey and to effort the decrease boundary disputes and disparity of cadastral map through insurance of uniformity and unification for cadastral survey result in graphical map based area. I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are showing the diverse type for decision making of cadastral survey using by the original demarcation boundary, land registration boundary, feature・fixed object in the current graphical map based area. Thus this paper proposed the new rules of decision making methods and process either case of coinciding with the boundary that having well-know facts, or case of not coinciding based on research result. It is possible to respect the establishing unification and safety of cadastral survey if the methods and processes of decision making can be documented in cadastral regulation as well as introduced the effective training for the cadastral surveyors.

      • KCI등재

        지적재조사를 위한 지적기준점 일원화 구축 방안

        강천중(Kang, Cheon Joong),박종오(Park, Jong Oh),홍성언(Hong, Sung Eon) 한국지적학회 2011 한국지적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충북지역을 대상으로 지적재조사측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적기준점 일원화 구축 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분석해 보고 이에 대한 구축방안을 고찰하여 봄으로써 지적재조사사업 추진 시 전국 통일망을 구축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충북지역의 중부원점 지역과 동부원점 지역을 GPS관측 실험지역으로 선정하고 지적기준점에 대하여 관측을 실시한 결과 기존 성과와의 차이는 중부원점지역의 경우 X좌표의 RMSE는 ±0.2972m, Y좌표의 RMSE는 ±0.2699m로 나타났고, 동부원점지역은 X좌표의 RMSE는 ±0.4329m, Y좌표의 RMSE는 ±0.5399m로 나타났다. 중부원점지역과 동부원점지역 모두 성과는 비교적 양호하지는 않았으며, 특히 동부원점지역이 더 큰 오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해지역에서의 세계좌표 전환의 한계성과 전국적인 통일망 구축시 문제점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다만, 관측 전 예상했던 오차 수준 보다 전체적으로 m단위의 큰 오차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는 현행 도해지역에서 현형에 의한 조정방법으로 충분히 소거될 수 있는 범위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세계좌표 전환과 전국적인 통일망 구축은 어렵다 해도 지적재조사를 대비한 국지적인(지역별) 지적기준점망 구축의 일원화는 물론 현장 적용 가능성은 있다고 판단된다. Our study aimed at analyzing problems in unifying cadastral control poin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cadastral re-surveying of Chung-Buk, and suggesting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so providing basic data in unifying cadastral control point of South Korea.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By observing cadastral control point after setting the central datum area and eastern datum area of Chung-Buk as GPS observed target areas, there are differences with the existing results in RMSE ±0.2972m of X-coordinate and RMSE ±0.2699m of Y-coordinate at the central datum area, and in RMSE ±0.4329m of X-coordinate and RMSE ±0.5399m of Y-coordinate at the eastern datum area. All results are not good, and especially the results at the eastern datum area show greater error. This shows the limit of converting global coordinate system at graphical map based area, and there can be problems in building a nation-wide standard network. Nevertheless, the scale of errors is below 1 meter and small, and this means that the error can be resolved by the current adjusting methods at the current graphical map based area. Therefore, the regional standardization of cadastral control point network for cadastral re-survey is feasible although converting global coordinate system and building a nation-wide standard network are difficult.

      • 효율적인 지적재조사를 위한 지적좌표체계의 개선 연구

        홍성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3 No.1

        In this study, the method to improve the cadastral coordinate system to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was sought by separating graphical cadastral areas and numerical cadastral areas. And for future efficient cadastral re-survey projects, the method to improve the cadastral coordinate system in conjunction with cadastral re-survey projects was to presented. It is review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adastral coordinate system to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is needed for building the unified coordinate system of a country, is needed for establishing the location information unity globally and the standardized system, and is needed for ensuring consistency and uniformity of cadastral information supply. As the improvement method, numerical cadastral areas may be converted to the global coordinates without problem, however the need of dual result management was proposed to avoid confusion and to manage efficiently until graphical cadastral areas are completely converted to the global coordinates. In addition, for the coordinate conversion, the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ethod was proposed in the way that global coordinates are directly acquired for newly acquired and registered parcels and the coordinate system of existing parcels are converted by coordinate conversion. However, for accurate and stable conversion, it was proposed that preemption of accurate control points and thorough pre-test for parameter determination are required in the conversion process. For graphical cadastral areas, the step-by-step execution strategy was proposed in parallel with cadastral re-survey projects for improvement to global coordinates. It was proposed that firstly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is performed from the areas which graphical areas are converted to numerical cadastral areas and the coordinate conversion should be performed without failure in parallel with cadastral re-survey projects for accurate and stable conversion and efficiency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s. 본 연구에서는 도해지역과 수치지역을 구분하여 지적좌표체계를 세계좌표체계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은 물론 향후 효율적인 지적재조사사업을 위해 지적재조사사업과 연계하여 지적좌표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지적좌표체계의 세계좌표체계로의 개선은 한 국가의 통일된 좌표체계 구축을 위해서 필요하고, 전 세계와 위치정보의 통일성 및 표준적인 체계 정립을 위해 필요하며, 지적정보 제공의 일관성과 통일성 확보를 위해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개선방안으로서 수치지역은 세계좌표로의 전환해도 큰 무리는 없으나 도해지역의 완전한 세계좌표변환 이전까지는 업무 혼선 및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이중적인 성과관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좌표변환에 있어 새로이 취득․등록되는 필지는 세계좌표로 바로 취득하고, 기존 필지는 좌표변환 방법으로 좌표체계를 전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만, 정확하고 안정적인 변환을 위하여 변환과정에서 정확한 기준점의 선점작업과 파라메터 산정을 위한 사전 철저한 실험 작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도해지역은 세계좌표로의 개선을 위해 지적재조사사업과 병행한 단계적인 추진 전략을 제안하였다. 먼저 도해지역이 수치지역으로 전환되는 지역부터 세계좌표체계로 전환을 시행하고, 지적재조사사업의 효율성과 세계좌표로의 정확하고 안정적인 전환을 위해 반드시 지적재조사사업과 병행하여 좌표계 전환을 추진할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구계측량 관련 주요 쟁점 및 개선방안 연구

        이현준(Lee, Hyun Joon ),홍성언(Hong, Sung Eon)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현행 지구계측량 관련 주요 쟁점으로서 (i) 그것이 지적확정측량의 일부분이라는 견해, (ii) 지적재조사사업 지구계측량과 동일하다는 견해, (iii) 측량성과 결정과정에서 통일성 유지가 가능하다는 견해에 대한 법리 검토를 수행한 후, 그에 관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지적확정측량의 일부분이라는 견해와 지적재조사사업 지구계측량과 동일하다는 견해는 지구계측량의 기준 및 방법 등에 관한 법리의 오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지구계측량 성과결정과정에서 통일성 유지가 가능하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시기상조인 상태인 점을 인정하되, 그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구계측량을 둘러싼 법ㆍ제도적 개선방안으로서 현행 지적확정측량 규정의 용어 정의에 대한 개정(안)을 제시하였고, 도해지역에서의 지적측량성과결정에 관한 공통된 기준을 마련할 것과 성과검사를 담당하는 지적직공무원의 인력, 장비 및 기술력 등이 보충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key issues of district boundary surveying and to suggest the improving plans for it. The key issues of district boundary surveying are as follows: (i) District boundary surveying is a part of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ii) is equal to cadastral resurvey project’s district, (iii) is able to maintain the uniformity in the process of assessing survey results. As results, we judged that the first and the second issue are mis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including the standard or methods of district boundary surveying. But at the third issue, we still cannot be certain whether it is possible or not because multiple cadastral survey performers are involved.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regulation should be revised. And also, the government has to (i) establish the standard regarding assessing surveying results within graphical area and (ii) support civil employees who oversee the evaluation with appropriate resources.

      • KCI등재

        지구계측량 관련 주요 쟁점 및 개선방안 연구

        이현준,홍성언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key issues of district boundary surveying and to suggest the improving plans for it. The key issues of district boundary surveying are as follows: (i) District boundary surveying is a part of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ii) is equal to cadastral resurvey project’s district, (iii) is able to maintain the uniformity in the process of assessing survey results. As results, we judged that the first and the second issue are mis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including the standard or methods of district boundary surveying. But at the third issue, we still cannot be certain whether it is possible or not because multiple cadastral survey performers are involved.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regulation」 should be revised. And also, the government has to (i) establish the standard regarding assessing surveying results within graphical area and (ii) support civil employees who oversee the evaluation with appropriate resources. 본 연구는 현행 지구계측량 관련 주요 쟁점으로서 (i) 그것이 지적확정측량의 일부분이라는 견해, (ii) 지적재조사사업 지구계측량과 동일하다는 견해, (iii) 측량성과 결정과정에서 통일성 유지가 가능하다는 견해에 대한 법리 검토를 수행한 후, 그에 관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지적확정측량의 일부분이라는 견해와 지적재조사사업 지구계측량과 동일하다는 견해는 지구계측량의 기준 및 방법 등에 관한 법리의 오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지구계측량 성과결정과정에서 통일성 유지가 가능하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시기상조인 상태인 점을 인정하되, 그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구계측량을 둘러싼 법ㆍ제도적 개선방안으로서 현행 「지적확정측량규정」의 용어 정의에 대한 개정(안)을 제시하였고, 도해지역에서의 지적측량성과결정에 관한 공통된 기준을 마련할 것과 성과검사를 담당하는 지적직공무원의 인력, 장비 및 기술력 등이 보충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적좌표 세계측지계 변환성과의 지적공부 적용 및 활용 방안

        홍성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2

        In this stud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we tried to find and present a plan to apply the results of transformation of cadastral coordinates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in stages for cadastral records of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al area. There was a case where the difference in area before and after the transformation occurred irregularly in the transformation result of the cadastral coordinate system currently being promo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ransformation errors in cadastral non-coincidence areas occurred accumulatively, and the period for acquiring world geodetic results for cadastral reference points was insuffici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tudy proposed a plan to provide spatial information and related fields through advancement of continuous cadastral maps, etc. for maps that have been primarily transformed by the end of 2020. In addition, the maps used for cadastral surveying purposes were presented in the direction of applying them to cadastral records in numerical form in the long term to conform to the characteristics of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al area. It is expected that more stable cadastral record will be reflected by applying the world coordinate transformation performance by dividing the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al area.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지적좌표 세계측지계 변환성과를 도해 및 수치지역의 지적공부에 단계적으로 적용․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지적좌표의 세계측지계 변환성과는 변환 전후 면적의 차이가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례가 있었다. 또한 지적불부합 지역의 변환 오차의 누적 및 지적기준점에 대한 세계측지계 성과취득 기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2020년말까지 1차적으로 세계측지계 변환이 완료된 도면에 대해서는 연속지적도 등의 고도화를 통해 공간정보 및 관련 분야에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적측량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면은 도해지역과 수치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장기적으로 수치 형태로 지적공부에 적용하는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세계측지계 변환성과를 도해 및 수치지역을 구분해 적용 및 활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적공부의 반영이 기대된다.

      • KCI등재

        세계좌표 변환성과의 지적공부 반영을 위한 실증분석 연구

        박효원(Park, Hyo Won),홍성언(Hong, Sung Eon) 한국지적학회 2021 한국지적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는 2021년부터 지적공부에 전면 도입되는 세계좌표 변환성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변환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정된 연구지역을 도해지역과 수치지역으로 구분해 실증분석을 시행한 결과, 도해지역은 위치, 면적, 둘레길이 등 차이가 미미하며, 변환성과 검증 허용범위 이내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적불부합이 심한 지역이나 도해 및 수치지역이 접한 지역에서는 변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인다. 수치지역은 해당 실험지역에서는 성과 검증 수치내로 들어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필지에서 경계점과 면적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수치지역은 확정된 좌표와 면적이 등록되어 있어 모든 필지가 오차 없이 완벽하게 변환되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위치와 면적차이가 발생한 지역에서는 별도의 정비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해 및 수치지역 모두 장기적으로 수치화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 세계좌표 변환 오류 지역을 정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단계적인 정비가 요구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world coordinate conversion result, which is fully introduced in the cadastral record from 2021,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by selecting the research area and dividing the graphical cadastral area and the digital cadastral area, the difference in location, area, and circumference length of the graphical cadastral area was insignificant,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version result was within the allowable range. However, in areas with cadastral non-coincidence or areas in adjacency with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al areas, it seems that a problem of conversion may occur. The digital cadastral area was found to be within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value in the test area,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boundary point and the area in some parcels. As the digital cadastral area has the characteristic that all parcels must be completely converted without errors, since the determined coordinates and areas are registered, it was found that a separate maintenance plan is needed in areas where differences in location and area occur. Therefore, in order to stably establish digitization in both the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al areas in the long term,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reorganizing the world coordinate conversion error area in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and a step-by-step improvement.

      • KCI등재

        지적확정지구 주변 도해지역의 수치화 촉진방안에 관한 연구

        이준희,박기헌,이현준 한국지적학회 2017 한국지적학회지 Vol.33 No.3

        At present, concrete alternatives are needed to maximize the practical effects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and the project of computerization graphical cadastral area. Therefore, in this study, as a part of the numerical cadastre transformation of the map, the research area is divided into the block diagram of the connected area in the process of registering the land as the cadastral confirmation district through the land development project in parallel with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and the digital registration project of graphical map based area. Then, the boundary points of the outskirts are acquired with the world geodetic coordinates, and they are incorporated into and managed by the digital cadastral map. In the future, I suggest various ways to utilize it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digital cadastral map. Therefore, in the short term, I proposed detailed matters related to the enforcement of the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 and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the survey related regulations. In the medium and long term, we propose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realization of the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 fees and the problem of opening up business of the division of project boundary.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지적재조사사업과 도해지적 수치화 사업의 실질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실현가능성 높은 구체적인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해지적의 수치지적 전환의 일환으로 지적재조사사업이나 도해지적 수치화 사업과 병행하여 일단의 지역을 토지개발사업 등을 통해 지적확정지구로 등록하는 과정에서 연접한 블록 단위의 도해지역까지 현황측량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외곽의 경계점을 세계측지계좌표로 취득하여 수치지적도면에 편입‧관리함으로써 향후 수치지적으로의 전환과정에 다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단기적 측면에서는 지적확정측량 실시의 강행규정화와 지적확정측량 관련 규정의 신설 및 개정과 관련한 세부적인 사안을 제안하였다. 중‧장기적 측면에서는 지적확정측량 수수료의 현실화와 사업지구계 분할측량의 개방 문제에 관한 신중한 검토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