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

        김광연 ( Gwang Yeon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6 No.-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성품은 이미 타고난다고 말한다. 그는 타고난 성품 만으로 온전한 성품에 도달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온전한 성품은 어떻게 갖출 수 있는 것인가? 탁월성은 일시적이거나 순간적인 변화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는다. 성품의 탁월성에 이르는 길은 순식간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습관이나 실천적 지혜를 통해 절제된 삶을 살아갈 때 터득할 수 있다. 그는 한 마리의 제비가 여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성품의 탁월성은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질 때 가능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은 타고난 성품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만약 우리가 여기에서 멈춘다면 도덕적 성품을 갖추지 못한 유아기적 단계에 머물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우리가 본성의 덕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자연적 탁월성에서 성격적 탁월성으로 이행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는 우리가 도달해야 할 궁극적인 목표는 지적 탁월성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지적 탁월성에 이르기 위해서는 실천적 지혜를 통해서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가 공동체에서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적 탁월성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우리가 공동체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동시에 바른 행위를 하기 위해서 우리는 개인의 본성을 잘 작용하게 하는 ‘실천적 지혜’를 필요로 한다. 사회 구성원이 성격적 탁월성을 갖추고 이에 더 나아가 실천적 지혜를 갖추게 되면 눈에 띄는 도덕적 성품을 지니게 될 것이다. 끝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현대인들에게 도덕적 성품에 대해 말한다. 그는 우리가 타고난 성품에 머물러 있지 않고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도덕적 성품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한다. 지적 탁월성을 소유한 사회 구성원들은 모인 사회는 도덕적으로도 더욱 성숙하게 될 것이다. Aristotle says that human character is already innate. He said that innate character alone cannot reach full character. If so, how can one be equipped with a perfect character? The excellence of character is not created by temporary or instantaneous change. The road to the excellence of character does not happen in an instant, but can be learned by living a restrained life through continuous habits or practical wisdom. He says that one swallow doesn't make summer. The excellence of character is possible when continuous effort is followed. Aristotle says that human should not remain at his innate character, and if we stop here, we will be at the stage of infancy where he do not have a moral character. He says that we must not remain by virtue of nature, but must move from natural excellence to character excellence. And he says that the ultimate goal we have to reach is intellectual excellence. To reach intellectual excellence, he says, we can reach it through practical wisdom. Aristotle also says that we need intellectual excellence in order to live together in community. In order for us to make the right decisions in th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do the right things, we need “Phronesis(practical wisdom)” to make the individual nature work well. When a member of society is equipped with personal excellence and Phronesis, they will have outstanding moral character. Finally, Aristotle tells modern people about moral character. He says that we should not stay in our innate character but develop a moral character through continuous training. A society where members of a society with intellectual excellence are gathered will become more morally mature.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구조적 분석

        성기산(Sung, Ki-S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3

        고대 그리스인들은 아레테가 무엇인가를 밝히고 그것을 가르치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다. 호메로스 이래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와 문인, 그리고 소피스트들은 아레테의 의미를 밝히고 그것을 통해서 사람들을 착하게 만드는 일에 큰 관심을 갖고 있었다. 어떤 의미에서 보면 그리스 고대 교육철학은 아레테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레테의 의미를 밝히는 것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고대 그리스인들의 교육철학은 후대의 도덕교육에 관한 이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어떤 교육철학자들은 도덕적 판단 능력을 기르는 것이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또 어떤 교육철학자들은 도덕적인 행위를 하려면 올바른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덕은 관습적인 행위의 산물인가, 아니면 근본적 원리의 파악에 근거한 행위인가? 한편에서는 습관과 전통, 그리고 잘 양육하는 것이 강조되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비판적 사고와 선택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성과 습관의 역할을 둘 다 강조했다는 이유로 도덕적 추론 능력의 발달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도덕 이론가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계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도덕교육의 구조를 분석하고, 그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밝히는 일을 하였다. 특히 지적 탁월성과 도덕적 탁월성의 측면에서 그의 영혼에 관한 이론을 규명하는 과정을 통해서 행복의 특성을 찾고, 행복의 실현을 위한 도덕교육은 어떤 것인가를 밝힌 다음, 그것을 바탕으로 그가 주장한 도덕교육은 오늘날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규명하였다. After looking at Aristotle's basic assumptions in the areas of human nature, excellent activities of soul, happiness, intellectual excellence and moral excellence, the implications of all this for his theory of moral education were explored. He held that moral virtue was mainly acquired by practice. As he says “we become just by performing just acts, temperate by performing temperate ones, brave by performing brave ones.” If one is accustomed to the right habits from an early age, doing the right thing will become second nature to one. This has become a very influential model for moral education ever since. For an act to be fully moral Aristotle says three conditions are necessary. First, we must act with knowledge. Second, we must deliberately choose the act for its own sake. Third, the act must spring from a fixed disposition of character. On the contrary, acts in accordance with morality can be performed just out of habit. So Aristotle has resolved his own problem. Namely, it is possible to perform acts that correspond to morality before we are fully moral. This is in fact the only way to begin one’s moral education. Hence, Aristotle claimed that intellectual excellence is for the most part both produced and increased by instruction and therefore requires experience and time. However, moral excellence is the product of habit. Hence, moral education proceeds on the basis of instruction as well as practice. To be brief, moral character is formed not only by habitual action but by the deliberate taking of thought.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변형에 관한 연구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5 No.3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철학 안에 있는 교설들을 토마스 아퀴나스가 어떻게 해석하고 변형시켰는지를 논의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런 의미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안에 있는 ‘목적 구절’의 중요성을 충분히 잘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올바른 실천적 지식을 획득하고 보존하는 것 안에서의 도덕적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의 역할에 관한 『니코마코스 윤리학』안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검토한다. 그런데 이러한 간략한 논의는 두 가지의 주된 문제점들을 제기한다. 첫째, 도덕적인 삶의 목적은 어떻게 알려지는가? 둘째, 도덕적 탁월성은 올바른 목적에 관한 우리의 지식에 어떻게 공헌하는가? 연구자는 이러한 질문들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답변은 무엇인지를 좀 더 세밀하게 검토한다. 첫 번째 질문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해결책은 도덕적인 삶의 일반적이고 특수한 목적들이 ‘우리가 어떻게 행위 해야 하는가?’에 관한 일반적인 표준이 되는 ‘보편적인 실천적 원리들’에 의해서 알려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보편적인 실천적 원리들은 좀 더 특수한 도덕학의 결론뿐만 아니라 자명한 실천적 전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 문제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대답은 도덕적 탁월성은 탁월성이 있는 개인이 진정으로 행위 하는 목적들이라 할 수 있는 ‘특수한 실천적 원리들’을 보증함으로써 올바른 목적에 대한 지식에다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러한 맥락 안에서 ‘자기에게 고유하게 되는 것에 의한 판단’이라는 그의 교설에 의해서 또는 논증적이지 않은 실천적 지혜의 판단이라고 할 수 있는 ‘경향성에 의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직관’을 한층 더 발전시킨다. 그러므로 보편적인 그리고 특수한 실천적 원리들이라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설은 그의 윤리학 안에 있는 ‘목적 구절’의 자리를 이해하는 데에 적절한 체계를 제공해준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안에 함축되어있는 것을 단지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는 실천적 지혜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개선한다. 그는 근본적으로 실천적 지혜의 의미와 범위를 변경한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을 기본적으로는 충실한 철학적 주해를 했다는 것, 그리고 언뜻 보아서는 잘 알 수 없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을 명료화했을 뿐만 아니라 더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설명을 제시했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그로 인하여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을 그 자신의 주해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의 사고의 원리들과 범주들의 도움으로 한층 더 발전적으로 확장했다고 결론을 내린다. It is a very meaningful task that we discuss that how Thomas Aquinas exegetes and transforms teachings in Aristotle’s ethical philosophy. In that sense, In order that fully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the goal passage in Aristotle’s ethics, Above all I examines his Nicomachean account of the role of moral virtue and prudence in acquiring and preserving correct practical knowledge. By the way, This brief discussion raises two main questions. First, how are the ends of the moral life known? Second, how do the moral virtues contribute to our knowledge of right ends? I examine more closely What is Thomas Aquinas’s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omas Aquinas solution to the first question is that the general and specific ends of the moral life are known by means of ‘universal practical principles,’ which are general standards for ‘how one should act?’ They include self-evidence practical propositions as well as more specific conclusions of moral science. His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is that the moral virtues provide an affective support for the knowledge of the right end by securing ‘particular practical principles,’ which are the ends for which the virtuous individual does act. In this context, Thomas Aquinas further develops intuitions by way of his theory of the ‘judgment by connaturality’ or ‘by the inclination,’ which is a non-discursive prudential judgment. Therefore Thomas Aquinas’s theory of universal and particular practical princip;es provides the proper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lace of the goal passage in his ethics. Thomas Aquinas only making more explicit what is implicit in Aristotle. He improves the Aristotelian account of prudence. He fundamentally alter prudence’s meaning and scope. In conclusion, I insist that Thomas Aquinas basically made philosophical notes on the goal passage in the philosophical faithfulness, and clarified Aristotle’s underlying goal passage aand offered more systematic and coherent presentation. Then, I conclude that Thomas Aquinas developed Aristotle’s goal passage within his own notes with the help of Aristotle’s own principles and categories of thought.

      • KCI등재

        창의ㆍ인성의 개념에 대한 교육목적론적 검토

        박창남(Park Chang Nam),이승철(Lee SeungChul)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1

        이 글은 우리나라 교육이 지향하는 창의성과 인성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검토를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현재 통용되는 창의성과 인성의 결합 어구 중, '창의적 인성'과 '창의ㆍ인성'에 대하여 입론과정과 용례의 한계를 살펴보고 있다. 이후 창의성과 인성이 교육의 본래적 지향으로서의 지적 탁월성과 도덕적 선에 상응하는 현대적 표현임을 드러내고, 이를 통해 창의성과 인성의 관계에 대한 해석의 한 단면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personality pursued in Korea's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ㆍpersonality' among combined phrase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accepted in Korea's education currently, and then discusses the process of argument and limit of examples for those phrases.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rm, creativity and personality, means contemporary expression which corresponds to intellectual excellence and moral virtue as essential orientation of education. Also, this study. Based on the discussion, this study suggests a way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personality.

      • KCI등재

        도덕성 강화에 대한 덕윤리적 비판

        정연재 ( Yeon Jae Jeong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7 No.1

        첨단과학기술이 지향하는 강화(enhancement)가 인간의 도덕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주장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은 도덕적 행위주체(moral agent)의 자율성과 그 주체가 펼쳐낼 수 있는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이다. 신경기술을 통한 도덕성 강화가 인간의 도덕적 행위능력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도전에 대한 확실한 비판은 어떤 이론적 틀거리와 내용을 기반으로 해야 하는가? 이 글은 그 비판의 출처로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과 매킨타이어의 덕윤리를 선택할 것이다. 우선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 윤리학』 6권에서 밝힌 ‘사유적 욕구’ 혹은 ‘욕구적 지성’이라는 핵심 개념에 주목하여, 도덕판단에서 감정의 중요성과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신경과학 연구의 동향이 일면적 주장임을 논증할 것이다. 나아가 정서주의에 대한 매킨타이어의 핵심 비판을 적용하여 신경기술을 통한 도덕성 강화의 핵심전제, 이른바 인간의 감정에 대한 완벽한 조작가능성의 한계가 무엇인지 찾아볼 것이다.첨단 과학기술은 인간의 도덕성보다 더 큰 진전을 이루고 있다. 치료와 강화의 경계선이 불분명한 상황에서 특히 신경과학기술의 활용과 관련하여 윤리적 한계 설정은 그만큼 중요해지고 있다. 인간의 도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정한 방식이 무엇인가에 대해 정교한 접근이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글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도덕성 강화 기획이 진정한 의미에서 인간의 도덕적 행위능력을 고양시키지 못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결국 포스트휴머니즘이 설정하는 인간, 사회 변화에 대한 보다 정교한 철학적 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ethical implications raised by the current and emerging forms of moral enhancement by neurotechnologi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alls in question the legitimacy of moral enhancement project. This project suggests the possibility to control human behavior through technological means. Neural moral enhancement emphasize the central role of emotions over reasoning as a source of moral enhancement. But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moral enhancement by neurotechnologies is not entirely comprehensive of the nature of morality and the capability of moral agent.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the role of emotions and reason in moral philosophy based upon aristotelian analysis on virtues of thought. Moral emotions and reasoning are two different mental processes during moral judgement. They work in synergy and reciprocally influence each other. Phronesis(Practical wisdom) requires deliberation. To deliberate on moral questions demands a particular vision of human flourshing based on the autonomy of the moral agent. Thus, the control and manipulation of moral emotions by technological means reduce and threaten the essence of moral agency, that is autonomy.The second section summarize MacIntyre``s critique of emotivism and show its relevance to an assessment of neural moral enhancement. The transhumanist hope to achieve a total manipulation of emotions, and an improvement of human character implies moral neutrality. Accoding to MacIntyre, this neurality is illusionary. Each individual orders his life according to a set of practices that implies particular ends or goods within a social order. The morality always presupposes rationality situated in a particular social enviornmen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s a moral agent, each individual goes through a process of learning, making mistakes, correcting those mistakes and so moving towords the achievement of excellence.The conclusion can be briefly stated as follows. Moral agents are not engineered but train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vision of the good life and an understanding of human flourishing. Thus, moral enhancement by neurotechnologies is a one-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of moral agency that does not reflect the fullness of human mor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