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상 표현에 대한 법적 책임의 구조에서 다중채널네트워크(MCN)

        김현귀(Kim, Hyungui) 한국언론법학회 2016 언론과 법 Vol.15 No.3

        다중채널네트워크(MCN)은 유튜브의 등장으로 활성화된 UCC 또는 UGC의 상업화된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일인 미디어인 이용자는 스스로 콘텐츠를 생산하고 그 조회 수에 따라 광고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게 되었다. 다중채널네트워크의 비즈니스 모델은 인터넷 이용자이면서 콘텐츠를 만드는 크리에이터를 도와주고 콘텐츠로 발생하는 수익을 나누어 가지면서 시작되었다. 미국과 유럽연합이 저작권 분야에서 온라인 매개자인 ISP에게 고지 및 제거체제라는 ‘세이프 하버’를 제공하기로 합의한 지 거의 20년이 다 되어간다. 그동안 이 고지 및 제거 체제는 저작권뿐 아니라 온라인 매개자의 법적 책임 전반으로 확대되어왔다. 현재의 인터넷 규제질서는 고지 및 제거 체제에 기초한 자율규제 시스템을 중심으로 확립되었다. 다중채널네트워크 등장의 무대가 되어준 유튜브의 콘텐츠 ID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용자 그리고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라는 공익은 사익을 추구하는 플랫폼 사업자이면서 자율규제의 주체인 ISP에 거의 의존하고 있다. 그래서 이용자는 이 ISP의 불합리하고 불공정한 조치나 오류에 대해 절차적으로나 실체적으로 대응할 능력이 거의 없는 형편이다. 그런 상황에서 다중채널네트워크가 등장했다. 다중채널네트워크는 콘텐츠 제작자이면서 이용자인 크리에이터의 편에 서서 수익을 창출하는 주체이다. 그리고 이들이 유튜브를 상대로 상당히 의미있는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기도 했다. 앞으로 다중채널네트워크와 이용자 및 크리에이터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할지는 모른다. 그러나 현재 다중채널네트워크는 ‘저작권자 > 온라인 매개자 > 인터넷 이용자’의 구도로 확립된 인터넷 규제질서에서 그동안 소외되었던 이용자들의 권리를 대변하고 있다. We can call the Multi-Channel Networks(MCN) a commercial version of UCC or UGC which has been activated by YouTube. Internet users who are me-media themselves can make money by how much click for their creating contents. The Biz-model of MCN is starting from dividing the creators’ money for supporting their creating contents. It is almost 20 years old since USA and EU agree to give a safe harbor to online intermediaries in the copyright area. Meanwhile this safe harbor, that is notice and takedown regime has escalated not only copyright but also liability of intermediaries at large. Today of Internet regulatory regime is mainly established by the private ordering which is based on the notice and takedown, such as YouTube’s Content ID where MCNs has beginning. However the internet user and public interest of their free speech are on the ISP which is the business as a platform operator for its own interest. Therefore a user has little recourse, either procedural or substantive, when there is an irrational and unfair measure or an error of the private ordering. MCN is a player who makes money on the side of the creator who is a user and a contents maker. MCN has made YouTube changes its attitude significantly. We don’t know how can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MCN and the internet user or the creator in future. But now MCN stands by the weak user in the internet regulatory regime of ‘copyrights holders – online intermediaries – internet users.’

      • KCI등재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전송속도 이상 완화를 위한 다중 채널 프로토콜의 성능 비교

        김석형(Sok-Hyong Kim),김동욱(Dong-Wook Kim),서영주(Young-Joo Suh),권동희(Dong-Hee Kwon)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8 No.2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는 저비용으로 유연성 있는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신의 IEEE 802.11 장비들은 다중 채널(multi-channel)과 다중 전송속도(multi-rate) 기능을 지원한다. IEEE 802.11 다중 전송속도 네트워크에서는 높은 전송속도 링크가 낮은 전송속도 링크와 같은 채널을 공유할 때, 심각한 성능 저하를 겪게 된다. 이는 RA(Rate Anomaly) 문제로 알려져 있으며, RA 문제를 IEEE 802.11의 채널로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다중 채널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RA문제를 다중 채널을 사용하여 완화하는 기존 프로토콜들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한다. 또한, 다중 채널을 사용함에 따른 RA 완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RA를 고려하지 않는 잘 알려진 다중 채널 프로토콜과도 비교한다. 비교 결과를 통해 RA를 고려하기 위한 다중 채널 프로토콜 디자인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IEEE 802.11 wireless networks are widely used for flexible network configurations with low-cost. The off-the-shelf IEEE 802.11 devices support multi-channel and multi-rate functionalities. In IEEE 802.11 multi-rate networks, high-rate links experience significant performance degradations when they share the same channel with low-rate links. This is known as rate anomaly problem and various multi-channel protocols are proposed to overcome the rate anomaly problem via channels in IEEE 802.11.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existing protocols through simulations, which mitigate the rate anomaly problem by using channels. Also,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rate anomaly mitigations by using multiple channels, we also compare them with well-known multi-channel protocols without considering rate anomaly. Through comparison results, we provide the research direction of multi-channel protocol designs for addressing rate anomaly.

      • KCI등재

        클러스터 형태의 다중 인터페이스 다중 홉 인지 라디오 네트워크를 위한 제어 채널 접근 기법

        이지운(Ji Wun Lee),전화숙(Wha Sook Jeon),정동근(Dong Geun Jeong)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7 No.4

        이 논문은 클러스터 형태의 다중 인터페이스 다중 홉 인지 라디오 환경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채널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인지 라디오 대역 안에서 전체 네트워크 영역에 걸친 공통 채널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멀티 인터페이스 멀티 홉 인지 라디오 네트워크는 라이센스 사용자의 채널사용 현황과 같은 제어 정보의 교환을 위해 인지 라디오 대역 밖에 제어 채널을 두고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제어 채널에 고정시켜 할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낭비를 초래한다. 이 연구는 인지 라디오 노드들이 다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이웃 노드들과 연결되는 클러스터 구조 하에서 멀티 채널 상황에서의 숨겨진 노드 문제없이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을 수시로 번갈아 가며 접근하는 방식에 대하여 고찰한다.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제안한 방식의 성능을 측정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한 방식이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 채널에 고정적으로 할당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지 않는 방법에 비해 더 높은 네트워크 처리량을 보임을 확인한다. We propose the control channel access scheme for multi-interface multi-hop cognitive radio (CR) environment having a cluster structure. Due to the difficulty of obtaining common channels across the entire CR network, most multi-interface multi-hop CR networks put the control channel outside the CR bandwidth and dedicate one network interface to it in order to exchange the control information such as the activation of licensed users. However, this will be the waste of the network interface. Our focus is how to alternat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data channel without multichannel hidden node problem under the cluster structure where CR nodes connect with neighbors through multiple data channels. By using simulation,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higher network throughput than the dedicated scheme where one network interface card should dedicate to the control channel and cannot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 KCI등재후보

        유튜브를 활용한 대중음악 홍보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주요 음악 관련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김한석(Kim, Han-seok) 한국대중음악학회 2019 대중음악 Vol.- No.23

        본 논문은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대중음악 시장의 변화와 관련하여 최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부상하고 있는 유튜브를 활용한 대중음악의 홍보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국내·외 음악 산업과 관련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중음악 산업은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되어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의 성장이 전체 음악 산업의 발전을 견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 음악 사용자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이용방법 중에서 유튜브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음악 산업은 주로 대형 기획사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으나, 대형 기획사도 고비용 고수익 기반의 제작 방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주요 원인은 소비자의 소비패턴 변화로부터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다중채널네트워크 산업은 주요 플랫폼인 유튜브를 활용하여 온라인 기반 동영상 및 콘텐츠의 기획, 제작, 유통, 지원, 홍보, 수익화, 관리 등과 관련한 일련의 모든 비즈니스 분야에 이르는 사업으로 기존의 전통 적인 영상 제작 비즈니스나 광고, 방송, 홍보 등과는 다른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하여 비교적 적은 비용과 쉬운 방법으로 음악을 홍보할 수 있는 방법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은 소형 제작사나 인디 뮤지션들에게 대형 기획사 중심으로 편중된 국내 대중음악 시장에 대처할 수있는 새로운 가능성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음악 관련 주요 유튜브 크리에이터인 J. Fla, Jung Sung Ha, Raon Lee에 대한 개별 특징과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과 연구를 바탕으로 채널 구성, 독창적인 셀프 브랜딩, 콘텐츠 품질 강화, 멀티채널의 구축, 소통 중심의 채널 운영, 세밀한 고객 분석, 정당한 수익 배분 요구등 7가지의 세부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처하는 구체적인 대중음악 홍보 방안을 제시하여 자본 규모에 상관없이 국내 개인 음악 창작자와 중소형 제작 사가 능동적으로 음악을 창작하거나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통해 아티스트나 소형 제작사가 스스로 시장경쟁력을 갖추어 대형 기획사에 편중되어 있는 국내 대중 음악시장의 불균형을 보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marketing strategies of popular music with MCN(Multi Channel Network) where YouTube, a newly emerging business model, plays a role as a main platform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s of popular music market being reorganized to go on online.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and data related to the music industry at home and abroad indicates that the popular music industry has been reorganized centered on online, thus the growth of music streaming service leads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as a whole, especially it is found that YouTube is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online music service among Korean music service users. Although the Korean music industry has been heavily weighted in favor of large agencies, currently they attempt to change the high-cost and high-profit production method, and the main cause of such shift comes from the changed consumption patterns among consumers. The recently growing MCN industry is a business model that uses YouTube, a major platform, to cover a series of businesses connected to the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 support, marketing, making profit and management of online video clips and contents, which is structured in a different way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s of video producing businesses or advertisements, broadcasting and marketing. The emergence of such an easy way to promote music by utilizing the new media at a relatively small cost suggests a new possibility to small producers or independent musicians regarding how to deal with the domestic popular music market that has been driven by large agencies. This study selected top 3 YouTube Music channels in Korea. Also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success factors of influential YouTube creators in the Korean music category such as J. Fla, Jung Sung Ha and Raon Lee. Also, based on such analyses and research, it drew up 7 specific strategies such as making a channel, creative self-branding, enhancing the quality of contents, establishing multi-channel, making communication-based channels, analyzing customers in detail and requesting for fair profit-sharing. By suggesting detailed marketing strategies of popular music that consider the new media environment, it wishes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domestic individual musicians and small, medium-sized producers could actively be able to create or produce music regardless the size of capital, allowing small producers to have a chance to ease the imbalance of the Korean music industry being dominated by large agencies by equipping with market competitive power.

      • KCI등재

        건물 내 스몰셀 네트워크에서 채널 선택 기반 다중점 협력통신

        반일학,김세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5

        This paper proposes a coordinated multi-point communication (CoMP) method with channel selection to improve performance of a macro user equipment (MUE) in a dense small-cell network environment in a building located within coverage of a macro base station (MBS). In the proposed CoMP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UE located in the building, A small-cell base station (SBS) selects a channel with lower interference to the neighboring MUE and transmits appropriate signals to the MUE requiring CoMP.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CoMP metho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MUE by up to 164% and 51%, respectivley, compared to a random channel allocation based traditional SBS network and CoMP method. 본 논문은 매크로 기지국(Macro base station, MBS) 커버리지에 위치한 건물 내부의 밀집된 스몰셀 네트워크 환경에서 매크로 사용자 단말(Macro user equipment, MUE)의 성능향상을 위한 채널 선택 기반 다중점 협력통신(Coordinated multi-point, CoMP) 방법을제안한다. 제안하는 CoMP 방법에서 건물 내에 위치한 MUE의 성능향상을 위해 스몰셀 기지국(Small-cell base station, SBS)들이 이웃한MUE에게 간섭을 적게 미치는 방법으로 채널을 선택하고 CoMP가 필요한 MUE에게 적절한 신호를 송신한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제안하는 CoMP 방법이 기존의 랜덤채널할당 기반의 스몰셀 네트워크 방법과 CoMP방법보다 MUE의 성능을 각각 최대 164%와 51%까지향상시킨다.

      • KCI등재

        IEEE 802.11 멀티 라디오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위한 요구형 트래픽 기반 채널 할당 및 라우팅 프로토콜

        나형원(Hyeong-Won Na),김석형(Sok-Hyong Kim),서영주(Young-Joo Suh)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8 No.6

        무선 메쉬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 WMN)는 무선 링크를 멀티홉 방식으로 사용하여 무선 백본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WMN를 위해 IEEE 802.11 기술이 널리 쓰이고 있으며, IEEE 802.11는 표준에 따라 최대 3개 또는 12개의 겹치지 않는 채널을 지원한다. 하지만, WMN는 멀티홉 환경이기 때문에 홉수가 증가함에 따라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채널 할당 기법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멀티 채널 WMN에서의 트래픽 요구에 맞춘 채널 할당과 경로 탐색을 분산적인(Distributed) 방식으로 실행하는 OnCAR(Ondemand Channel Assignment and Routing)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OnCAR는 트래픽 요구에 따른 채널 할당이 가능하고, 채널 다양성(diversity)을 고려한 경로 탐색 기법을 제공한다. NS-2에서의 실험을 통해 OnCAR가 기존에 WMN을 위해 제안된 채널 할당 프로토콜들에 비해 향상된 네트워크 성능을 제공함을 입증하였다. Wireless Mesh Networks (WMNs) provide Internet accesses to users by forming backbone networks via multi-hop wireless links. IEEE 802.11 is widely used for WMNs, and IEEE 802.11 standards support 3 or 12 orthogonal channels. However, in multi-hop WMNs, the performance falls sharply with increasing hop count. To solve this problem, channel assignment is very important. H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On-demand Channel Assignment and Routing (OnCAR) protocol that uses distributed channel assignment and routing designed for on-demand traffic. OnCAR can assign channels in a traffic on-demand fashion and provides routing by considering channel diversity. Through NS-2 simulations, we demonstrate that OnCAR shows improved network performance compared with existing channel assignment protocols for WMNs.

      • KCI등재

        다중채널네트워크 개인방송 서비스의 이용 만족과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상연(Sangyun Han),최세경(Se Kyoung Choi),곽규태(Kyu Tae Kwak)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4 No.4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성장한 다중채널네트워크(MCN) 개인방송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장된 후기수용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MCN 개인방송 서비스의 특성인 양면네트워크 효과가 일정기간 이용 후 또는 이용 도중에서 유발함을 착안하여 MCN 개인방송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 콘텐츠 다양성, 상호작용성, 즐거움 그리고 인지된 위험 등의 특성이 MCN 개인방송의 이용 만족에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지속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이를 검증했다. 분석결과 MCN 개인방송 서비스의 인지된 유용성과 콘텐츠 다양성, 상호작용성, 즐거움은 이용자의 만족감 형성에, 그리고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만족이 이용자의 지속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이용자의 SNS 이용량에 따라 MCN 개인방송 서비스의 이용 만족과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자의 효과는 상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성장기에 접어드는 MCN 개인방송 서비스의 특성 맥락을 반영해 해당 이용자들의 이용 만족 요인과 지속이용 영향인자를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rapidly growing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s a multi-channel network(MCN) service on th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age by using Extended Post Acceptance Model(PAM). We considered that the two-sided network effects, a characteristic of the MCN service, may occur after a period of use or during use.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at perceived usefulness, interactivity, contents diversity, enjoyment, and perceived risk affect the satisfaction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s a MCN service. And we assumed that it has an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continuously of MCN service.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n consumer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interactivity, contents diversity and enj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And also we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t effect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the MCN service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ccording to the usage amount of SNS. Considering that the MCN service industry is in growing phase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investigation of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 KCI등재

        음식관련 MCN 개인방송 이용동기, 소비자태도, 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지응(Kim, Jieung),김수인(Kim, Suin),이수경(Lee, Suyou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8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성장한 다중채널네트워크(MCN: Multi Channel Network) 개인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청자들이 개인방송에서 소개되는 음식관련 상품들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했다. 조사 대상자 200명 중 자주 시청하는 개인방송 장르는 게임 28%, 먹방 25.5%, 뷰티 15.5%, 유머 12%, 스포츠 7.5%, 쿡방 6.5%, 기타 5% 순으로 음식과 관련된 먹방과 쿡방을 합하면 32%으로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하루 평균 개인방송을 시청하는 시간은 1시간-2시간이 33%로 가장 많았다. 음식관련 MCN 개인방송 이용 동기중 정보적동기, 상호작용적동기, 습관적동기는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음식관련 MCN 개인방송 콘텐츠 이용동기는 상품에 대해서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며 구매의사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food-related products introduced in MCN: Multi Channel Network personal broadcasting service which has recently grown rapidly. Among the 200 surveyed, the personal broadcasting genre that they watched frequently was game 23%, mukbang 25.5%, beauty 15.5%, humor 12%, sports 7.5%, cookbang 6.5%, and others 5%. It was found that 32% were the highest when combining mukbang and cookbang which were related to food. And the average time of watching personal broadcasts per day was the most in 1 hour-2 hours (33%). Among the use motivations for food-related MCN personal broadcasting、informative motivation, Interactive motivation, and Habitual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onsumer attitudes amd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is, the use motivations for food-related MCN personal broadcasting contents demonstrated a friendly attitude toward the product and also having a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이기종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접속 기술간 주파수 이격 분석

        이경재 ( Kyoung-jae Lee ),조한신 ( Han-shin Jo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5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대표 무선접속 기술인 WiMAX, CDMA, 무선랜 간의 주파수 공유 분석을 수행하였다. 3가지 접속기술은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대역외 방사특성으로 인해 타 무선접속 기술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간섭 허용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최소 인접채널 간섭률을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섭/피간섭 시스템간의 최소 주파수 이격(보호 대역)을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WiMAX와 무선랜 간에는 적어도 20 MHz의 보호대역, WiMAX와 CDMA시스템 간에는 적어도 15 MHz의 보호대역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coexistence of typical radio access technologies (WiMAX, CDMA, WLAN) in heterogeneous networks. Although the radio accesses employ different frequency band, they can interfere with each other due to out-of- band emission. We compute the minimum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ratio (ACIR) to satisfy the allowable level of interference, and the resulting minimum frequency separation (guard band) between interfering and victim system. We observe that WiMAX-WLAN coexistence and WiMAX-CDMA coexistence are feasible with at least 20 MHz and 15 MHz guard bands, respectively.

      • KCI등재

        시변 수중 음향 채널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폐루프 전력 제어 기법

        서보민(Bo-Min Seo),조호신(Ho-Shin Cho) 대한전자공학회 2015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2 No.12

        코드 분할 다중 접속 기법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과 다중 경로 페이딩에 강인할 뿐만 아니라 주파수 재사용 효율이 좋으므로 수중 환경에서의 유망한 매체 접속 제어 기법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변 수중 음향 채널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폐루프 전력 제어 기법을 설계한다. 본 기법에서는 싱크 노드가 센서 노드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수신 전력을 바탕으로 시변하는 상향 링크를 분석하고 각 센서 노드의 경로 손실의 크기를 포함한 제어 패킷을 센서 노드로 전송한다. 센서 노드는 이를 바탕으로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시변 수중 채널에서 효율적인 전력 제어가 가능하다.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is one of the promising medium access control scheme for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s due to its beneficial features such as robustness against frequency-selective fading and high frequency-reuse efficiency. In this paper, we design a closed-loop power control scheme for the underwater CDMA, to adapt time-varying acoustic channel. In the proposed scheme, sink node sends to sensor nodes the associated path loss which is acquired by uplink-channel analysis based on received packets from the sensor nodes. Then, sensor nodes adjust their transmission power in an adaptive manner to time-varying underwater acoustic channe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s sent by the sink n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