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기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진로특성 변화 및 예측 :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고등학교 3학년 때의 진로특성

        권재기,김진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for developmental changes of the job decision in adolescence and compare the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career worry following the results and also examine influential career propertie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latent classes. In order to resolve our research question, we performed the research using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2004-2008 surveys. We applied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LCGA) and Growth Mixture Models(GMM) with known class in longitudinal studies, and applied the Decision Tree Analysis(DTA) in cross-sectional studies. First, our studies’ results found the four latent trajectory classes(decision class, confusion class, weakening class, indecision class) for the job decision change. Second, in case of students’ career worry, confusion class had the highest initial average(.897, ) and weakening class had the highest linear change rate(.448, ) significantly. Third, among career properties of high school students, gender, indecision reason, aptitude recognition,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influenced prediction for the latent classes significantly. 본 연구는 5년간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여, 밝혀진 잠재계층별로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 변화 양상을 비교하고,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특성을 통해 잠재계층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종단·횡단연구를 수행한 결과, 첫째,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을 탐색하는 잠재성장계층분석에서는 직업결정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 ‘결정 집단’, 직업결정을 번복하는 ‘결정혼란 집단’, 초기 몇 년간은 직업을 결정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미결정 상태가 되는 ‘결정약화 집단’, 그리고 5년간 직업을 결정하지 못한 ‘미결정 집단’이라는 4개의 잠재계층을 확인하였다. 둘째, 잠계계층별 변화양상을 비교하는 다집단 성장혼합모형에서는 대학생 진로고민의 평균 초기치는 결정혼란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897, ), 매년 .276 정도씩 진로고민이 증가하였다. 셋째, 잠재계층의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의사결정나무분석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특성 중에서 직업결정을 못한 이유, 성별, 적성인지 여부, 학교의 진로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잠재계층 예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전통시장 활성화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김준식 ( Jun Sik Kim ),김종진 ( Jon Gjin Kim )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구 사회과학종합연구소) 2013 社會科學論叢 Vol.28 No.1

        소비자들이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는 상품의 유통이라는 기본 기능을 수행해왔던 전통시장은 지역의 전통문화와 지역주민들의 정서가 담긴 곳으로 영세상인들에게 고용의 기회를 제공하고 중·저소득층에게 중저가의 상품구매 기회를 제공하면서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지 기능 등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수행해 오던 도심의 대표적인 상업 중심지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 소매업태의 등장 및 국민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소비자 선호의 변화 등에 의해 전통시장은 지속적인 침체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침체는 영세한 자영업자들의 삶의 터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구도심의 침체 및 공동화 현상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전문가설문을 중심으로 다계층 의사결정모형(AHP)을 구축하여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축된 모형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분류 분석결과 침체된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원이 가장 효과적이며, 노후된 상가건물 등을 개선하거나 개축하는 것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 등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전통시장 관련 문화의 활성화를 통한 방안은 전통시장을 활성화 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4개의 세부 활성화방안을 살펴보면,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부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재래시장 상품권인 온누리상품권 유통확대가 가장 효율적이고 그 외에 대부분의 전통시장의 문제점인 주차장의 확보가 중요하며, 또한 셔틀버스 운행 및 대형마트 규제가 쇠퇴한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방안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중점적으로 지원해온 지속적인 상인교육, 문화적 측면의 재생방안 및 아케이드 설치 등은 기대와 달리 전통시장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재생 측면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시장 활성화 방향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rovement schemes of traditional markets through establishing a revitalization model(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of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In larger category class, It is recognized by experts that the most effective scheme of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s is economic assistance and an physical improvement or redevelopment of the blighted commericial buildings in traditional markets is a somewhat effective scheme. Whereas, a cultural revitalization scheme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ve focused on improving a condition of traditional markets is not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thod by experts. In a specific class level, it is suggested that an expansion supply of an onnuri merchandise coupon that is partly used in traditional marke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followed by running a shuttle bus and a regulation of large modernized markets. However, an education of merchants, Arcade and cultural festival that most local governments has put the first priority is not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thod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direction of a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 KCI등재

        미분양 아파트 해소 방안 모형에 관한 연구

        조영선(Jo, Young-Sun),김종진(Kim, Jong-Jin) 한국주거환경학회 2010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 solving model of unsold houses(apartment) in Korea. To do so, we have conducted a survey on the experts of the housing markets with a view to establish an AHP (multi-layered decision making model) to calculate an effective and efficient solution for the unsold houses. The conclusions an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five major categories, the economic supports gained the highest value in its importance, followed by the facilitation through legal or regulatory supports, roles by the public sectors, roles by the private sectors, and the marketing. This implicates that the experts view the economic subsides a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for the current problem of the unsold houses, and thought the legal and regulatory supports also important. On the other hands, the roles of the private sectors and the marketing received less attention in terms of their importance, which means that as the problem of the unsold houses is a combined result of various factors, such as, not only the problem of over-supply but also the financial, and the affordability of the houses for its potential purchasers. The effort of the private sector alone is no enough to cope with these factors, and the conventional marketing and promotion would not help to mitigate the situation, as they view the ma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