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와의 관계에 대한 칼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입장에 관한 비판적 고찰

        백충현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2010 장신논단 Vol.0 No.37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와의 관계는 현대 삼위일체 신학을 뜨겁게 달구는 중요한 주제들 중의 하나이다. 이 논문은 내재적-경륜적 삼위일체 관계에 관한 칼 바르트의 입장 즉 상호상응(mutual correspondence)의 입장을 밝히려고 시도한다. 먼저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라는 용어들을 바르트가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그의 입장을 상세하게 파악한다. 다음으로는 바르트의 입장을 분석하되 존재론, 인식론, 그리고 신비의 개념의 관점으로 그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입장은 경륜적 삼위일체가 내재적 삼위일체로 나아가는 인식론적 통로라는 점과 내재적 삼위일체가 경륜적 삼위일체의 존재론적 원형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바르트가 이러한 상호상응의 관계를 확립한 것은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 양자 사이의 내용적 동일성 또는 내용적 일치성을 확보하기 위한 의도이며 아울러 형식 면에서의 차이성을 확보하려는 의도이다. 그러나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관계의 입장은 이 입장의 존재론적 측면과 그의 신학방법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에 의하여 그리고 이 입장의 인식론적 측면과 그의 신학방법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에 의하여 얽혀 있다. 이러한 긴장은 근원적으로 그의 신학방법 즉 계시의 실재에서 출발하고 이것을 분석하여 삼위일체의 여러 개념으로 나아가는 신학방법 때문에 나타난다. 그의 신학방법은 이러한 긴장을 양산해내지만 해결해주지는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긴장을 해소하기 위하여 바르트는 신적 신비의 개념을 도입하고 의존한다.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와의 관계에 관한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존재론과 인식론이 내재적-경륜적 삼위일체 관계에 관한 바르트의 논의 속에 복잡하게 얽혀져 있다는 점과 둘째, 바르트의 입장이 내포하고 있는 존재론적 우선성 또는 존재론적 독립성으로 인하여 초래된 인식론적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바르트가 신적 신비의 개념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은 현대 삼위일체 신학의 여러 논의들 중에서 바르트의 입장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정위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칼 바르트와 위르겐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적 차이에 관한 탐구

        오성욱 ( Sung Wook Oh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위르겐 몰트만은 칼 바르트의 신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신학적 자리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전개한 탁월한 신학자이다. 그러나 삼위일체론과 관련하여,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은 바르트의 삼위일체론적 강조점을 “단일 군주론”으로 비판하고, 성령의 인격성에 관한 진지한 성찰의 부재를 문제 삼고 있다. 몰트만은 성령의 인격성이 담보된 내재적 삼위일체를 탐구하는 길의 시작을 경세적 삼위일체로 지목하는 새로운 방향성 즉, 군주론적, 역사적, 그리고 성만찬적 삼위일체에서 삼위일체론적 영광송으로 향하는 초월과 신비를 제시했다. 이러한 삼위일체론의 탐구방향성에서 인간의 경험과 역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바르트가 은유적으로 주장하는 “하나님의 반복”으로서 삼위일체는 내재적 삼위일체 하나님의 계시사건이 삼위일체를 탐구하는 토대가 되고 방향성이 된다. 이러한 방향성에서는 인간의 경험과 역사는 삼위일체 탐구의 일차적 자료가 될 수 없다. 본 논문은 바르트와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적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런데 이 삼위일체론적 차이는 옳고 그름, 혹은 보수와 진보라는 내용에 관한 차이를 넘어서 삼위일체론이 지향하는 방향성의 차이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 차이를 내용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면밀하게 검토해 보면, 그 차이가 보다 명확해 진다. 내용과 구조적인 관점에서 전망해 보면 서로 다른 견해를 제출하고 있지만, 양자택일의 관점에서 바르트와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을 전망하지 말고, 양자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전망하여 복음주의 삼위일체론의 수립을 위한 진지한 대화의 파트너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이를 기반으로 할 때, 삼위일체 교리가 현대 신앙인들에게 여전히 살아있는 믿음의 비밀과 신앙의 기준이 될 수 있는 포괄적이면서도 종합적인 복음주의 삼위일체론의 모색에 착념할 수 있을 것이다. Jürgen Moltmann positively imbibed the theological perspective of Karl Barth, newly interpreted Barth’s theology from his Sitz Im Leben, and proposed his own specific theological thoughts. Concerning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owever, Moltmann castigated Barth’s Trinitarian perspective as Monarchianism, pointing out that there is no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personhood of the Holy Spirit in hi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Instead, Moltmann suggested that we should begin with the economic Trinity to arrive at the immanent Trinity, which includes the personhood of the Holy Spirit. That is to say, we can understand the personhood of the Holy Spirit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Monarchial, historical, eucharistic Trinity to the doxological Trinity, transcending the economic Trinity. This article aims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Karl Barth’s and Jurgen Moltmann’s perspectives of the Trinity. While Barth focuses on the divine unity of the Three Persons found in the jargons of the “three modes” and “repetition of God,” Moltmann strives to interpret the Trinity from the perspectives of pneumatology, anthropology, Christology, soteriology, ecology, eschatology. Such a comprehensive Trinity challenges us to review the immanent Trin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conomic Trinity. We must synthesize these strong points of the Trinity proposed by these two theologians. Moreover, through forming a dialogue between Barth/Moltmann and other evangelical theologians, the Christian community strongly stands on a Trinitarian basis.

      • KCI등재

        사회적 삼위일체론이 현대 삼위일체론의 실천적 의미에 끼친 영향

        박상언(Sang-Eon Park)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2 신학논단 Vol.69 No.-

        This article traces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 about the Trinity in contemporary christian theology. In the development of trinitarian doctrine, there have historically emerged positively profound insights such a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mmanent and economic Trinity and the doctrine of vestiges of the Trinity in creation. These insights have led to further creative explorations about the nature of God and God’s activity in the world.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ere are two kinds of the Trinity: the immanent Trinity and the economic Trinity. The immanent Trinity refers to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of the Father, Son, and Holy Spirit immanent within the essence of God. The economic Trinity, by contrast, refers to God’s relationship with creation, i.e., the acts of the triune God with respect to the creation, history, salvation, the formation of the Church, the daily lives of believers, etc., describing how the Trinity operates within history in terms of the roles or functions performed by each ofthe persons of the Trinity. In the twentieth century, social trinitarians including Jurgen Moltmann and Leonardo Boff started to have a deeper appreciation of the economic Trinity than in previous centuries, by making it even more economic, i.e., by exteriorizing it toward the realm of creation more, than before. For Moltmann and Boff, the Son of the economic Trinity is no longer identical with God the Son of the ontological Trinity. For Moltmann, the exteriorization process goes even further because he regards not just the Son but all the three persons of the economic Trinity as three distinct centers of consciousness and action. Theology must contribute to make Christian practice a ‘theologically-based’ action and confession. This aspect is important for the practical theology. In order to be Christian worship, liturgy and life, it must refer to God as Father, Son, and Holy Spirit in our prayers, praises, and baptism as it is written in Scripture. In this article, we have studied how the social Trinity relates the Christian life with social practices. This article traces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 about the Trinity in contemporary christian theology. In the development of trinitarian doctrine, there have historically emerged positively profound insights such a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mmanent and economic Trinity and the doctrine of vestiges of the Trinity in creation. These insights have led to further creative explorations about the nature of God and God’s activity in the world.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ere are two kinds of the Trinity: the immanent Trinity and the economic Trinity. The immanent Trinity refers to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of the Father, Son, and Holy Spirit immanent within the essence of God. The economic Trinity, by contrast, refers to God’s relationship with creation, i.e., the acts of the triune God with respect to the creation, history, salvation, the formation of the Church, the daily lives of believers, etc., describing how the Trinity operates within history in terms of the roles or functions performed by each ofthe persons of the Trinity. In the twentieth century, social trinitarians including Jurgen Moltmann and Leonardo Boff started to have a deeper appreciation of the economic Trinity than in previous centuries, by making it even more economic, i.e., by exteriorizing it toward the realm of creation more, than before. For Moltmann and Boff, the Son of the economic Trinity is no longer identical with God the Son of the ontological Trinity. For Moltmann, the exteriorization process goes even further because he regards not just the Son but all the three persons of the economic Trinity as three distinct centers of consciousness and action. Theology must contribute to make Christian practice a ‘theologically-based’ action and confession. This aspect is important for the practical theology. In order to be Christian worship, liturgy and life, it must refer to God as Father, Son, and Holy Spirit in our prayers, praises, and baptism as it is written in Scripture. In this article, we have studied how the social Trinity relates the Christian life with social practices.

      • KCI등재

        양자 삼위일체론 : 삼위일체를 이해하려는 하나의 시도

        김도현(Kim Do Hyun)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신학과 철학 Vol.- No.32

        본고에서는 삼위일체론의 주요 특징들을 양자물리학의 두 개념, 즉 ‘양자 얽힘’ 및 ‘중첩과 측정 문제’를 통해 유비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 새로운 시도에 따르면, 내재적 삼위일체는 특별한 비국소적 원거리 작용인 성령에 의한 성부와 성자 간의 얽혀진 가능한 모든 상태들의 중첩으로서 설명된다. 그리고 이 얽혀있는 두 위격 중에서 특별히 인간의 인식 영역인 세상 안에 존재하는 성자를 관측하게 되면 이는 구원경륜적 삼위일체로 여겨질 수 있다. 인간의 인식 영역 바깥의 성부와 인간의 인식 영역인 세상 안의 성자 간에는 얽힘을 통해 하나로 일치되어 있으며, 구원경륜 안에서 순명하는 성자의 상태를 인식함으로써 바로 동시에 하명하는 성부에 관해서도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구원경륜적 삼위일체는 인간의 인식 작용에 의한 성자의 상태 측정을 통해 시공간상의 역사 안에서 측정된 삼위일체의 하나의 상태로서 이해된다. 이 새로운 ‘양자 삼위일체론’은 소수의 양자물리학적 개념들만으로 설명이 가능하며, 삼신론 및 양태론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장점도 보여준다. The present work tried to explain analogically main points of the Trinitarianism by using two concepts of quantum physics, i.e., both the ‘quantum entanglement’ and the ‘superposition/measurement problem’. According to this approach, the immanent Trinity is explained as the superposition of all possible entangled states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via the Holy Spirit, i.e., the special non-local action-at-a-distance of love. When the Son is located inside the world or our epistemological region, the Holy Trinity can be the economic one. Knowing the obedient Son’s state in the economy gives the simultaneous knowledge of the ordering Father’s state. The economic Trinity is thus interpreted as a specific state of the Trinity known by a measurement of the Son’s state via an epistemological action in human history at space-time coordinate. Strong points of the ‘Quantum Trinitarianism’ are that it can explain the Trinity using just a little concepts, and that it is free from Tritheism or Modalism.

      • KCI등재

        The Story of the Trinity according to Jürgen Moltmann

        Yong Won Song(송용원)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1 신학논단 Vol.106 No.-

        본 논문은 오늘날 하나님의 인격과 활동에 관한 근본 질문을 탐구하는 이야기 신학이라는 관점에서 몰트만의 삼위일체 이야기가 지니는 신학적 함의를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몰트만의 삼위일체 신학의 체계 전반을 ‘이야기’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가운데 고통과 자유의 이야기, 내재와 경륜의 상승과 하강의 이야기, 하나님 나라와 종말론적 삼위일체의 이야기라는 세 부분으로 직조된 주요한 신학 자리들(loci)을 차례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먼저, 삼위 하나님의 하나되심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로 ‘개념’이 아니라 ‘이야기’가 제안되면서, 삼위 하나님의 자기계시 사건과 설명 또한 형이상학적 차원이 아니라 성서 안에 담긴 역사적 차원에서 일어난다는 주장에 적절성이 부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삼위일체 이야기’가 어떻게 하나님과 창조세계가 고통에서 자유로, 경륜에서 내재로, 현재에서 미래로 개방되어 가는지 교차 논증 방식이 지속적으로 채택된다. 그러한 가운데 몰트만은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유형으로 구성된 십자가 이야기를 기반으로 삼아 하나님과 인간의 고통과 자유를 수직과 수평 모든 차원에서 연결하면서 창조세계를 현재와 미래의 준-궁극 차원과 궁극 차원 모두에서의 회복으로 이끌고자 한다. 몰트만의 신학적 공헌은 현대 신학에서 이야기의 구조와 성격이 하나님의 삼위와 일치를 연결하는 데 매우 생산적이고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설득력 있게 제안하는 가운데 삼위일체 신학을 이야기 신학의 중심으로 떠오르게 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이야기 유형이 고통과 자유, 관계와 사람, 시간과 영원, 사랑과 주권, 역사와 존재와 같이 하나의 통합된 방식으로 연결되고 수렴되기 쉽지 않은 여러 대립 개념들을 삼위일체 하나님과 창조세계 사이의 페리코레시스 이야기 방식으로 화해되고 종합될 수 있다는 것을 성경과 역사만 아니라 현대의 맥락까지 고려하며 적절히 논증한 점에 있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의 이야기 신학에서 다시 주목해야 할 지점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신적 삶에 초점을 두는 삼위간 교제에 내재된 일치가 삼위일체 양식으로 ‘살아가는’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지향하는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비전 가운데 이루어가는 일치와 상호 순환 관계를 구축한다는 데 있다. 그의 통찰은 고립과 배제의 고통에 처한 인류 공동체의 회복을 지향하는 교회 공동체의 대안적 이야기 재구성에 유효한 신학적 패러다임을 이미 제시했다는 점에서 현재 상황에도 적절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ims to show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story of the Trinity according to Jürgen Moltmann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theology which explor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God’s person and activity in modern day.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consists of three parts: (1) the story of suffering and freedom of the trinity, (2)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tory between immanent and economic trinity, and (3) the story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eschatological trinity. By reconstructing Moltmann’s trinitarian theology through a ‘story’ method, this article analyzes the major theological loci woven into one another. This analysis first suggests that a ‘story,’ not a ‘concept,’ is the only tool capable of clearly explaining the unity of the Triune God. In so doing, it is suggested that the self-revelation events and explanations of the Triune God were not on a metaphysical level but on a historical level contained in the Bible. Furthermore, a multifaceted argument method is adopted to see how the “Trinity Story” is open to God and the world from suffering to freedom, from economy to immanence, and from present to future. At the center of these thoughts, Moltmann connects God and human’s suffering and freedom in all dimension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ased on the story of the cross composed of the trinitarian perichoresis type. Hence, Moltmann’s idea makes it possible to lead the world to recovery at both quasi-ultimate and ultimate levels in the present and future. Moltmann’s theological contribution lies in the fact that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narratives are effective in linking the three persons and unity of God, thereby bringing Trinitarian theology to the center of narrative theology in modern theology. In addition, the narrative type binds several confrontational concepts—such as suffering and freedom, relation and person, time and eternity, love and sovereignty, history and existence—and reconciles and synthesizes in the way of perichoresis story. In this regard, Moltmann contributes to this line of reasoning,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the biblical and historical context, but also the contemporary context. In conclusion, Moltmann’s narrative theology emphasizes the unity inherent in the Triune fellowship, which focuses on the glorious divine life of the Triune God, and builds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unity in the eschatological vision of the kingdom of God, which the Christian community living in the triune style aims to resemble. Moltmann’s insight is to some degree relevant to today’s society in its current form as he has presented a theological paradigm that is effective for the reconstruction of an alternative narrative of the ecclesial community that aims to restore the human community suffering from isolation and exclusion.

      • KCI등재

        이정용의 상호포월의 정식

        백충현(Chung Hyun Baik) 한국기독교학회 201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0 No.-

        Unlike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have witnessed a rediscovery and renaissance of Trinitarian theology. One of the major issues animating contemporary discussions of Trinitarin theology is the relation between the immanent Trinity and the economic Trinity. This paper first observes that Jung Young Lee, through a critical conversation with Karl Rahner and Karl Barth, proposes his own unique position regarding the immanent-economic Trinity relation. Due to his theological interest in the pathos of God, Lee is very concerned with Rahner`s rule of identity, pointing out that Rahner` s rule of identity might lack an appropriate distinction between the immanent and the economic Trinity. And Lee also has a critical look at Barth`s position of correspondence, arguing that there might be no guarantee of perfect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them. Thus in order to appropriately maintain both the distinction and the unity between the economic and the immanent Trinity, Lee suggests his own revisionist position, stating "The economic Trinity is in the immanent Trinity and vice versa." Here Lee grounds both the distinction and the unity in the bi-polar mutual inclusiveness of Eum and Yang. Lee arrives at such answer to his theological conundrum through the Eum-Yang way of thinking by studying the Book of Changes. This paper goes further to show through a critical analysis of Lee`s revisionist position that his unique position is ultimately grounded in his theology of change. It includes ontology of change and epistemology of change, which regard the ultimate quality as change. It is also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God as the incomprehensible mystery, which is unknowable and untenable.

      • KCI등재후보

        성령을 통한 교회의 연합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이해

        조동선 ( Dong Sun Cho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4 조직신학연구 Vol.46 No.-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 연합을 위한 성령의 역할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견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도나투스파와의 논쟁을 통해 완전히 순결한 교회를 세우기 위한 목적으로 가톨릭교회(the catholic church)에서 분리되는 것을 죄로 정죄한다. 이 논쟁의 과정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경세적 삼위일체(the economic Trinity)의 역사로 이루어지는 교회 연합의 신학적 근거로서 내재적 삼위일체(the immanent Trinity)에서 성령이 가지고 있는 그분의 고유한 위격적 속성을 제시한다. 삼위일체의 연합은 성부와 성자의 친교이시며, 두 위격 상호 간의 사랑이신 성령 안에서 발견된다. 성령이 성부와 성자에게서 동시에 발출하기 때문에 성부와 성자 공통의 영으로서 두 위격의 연합자가 되신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성령이 교회의 연합자이신 이유는 바로 그분이 영원한 내재적 삼위일체에서 성부와 성자의 연합자이시기 때문이다. 성령은 교회의 영혼으로서 교회 구성원들을 하나로 묶으시며 모든 교회 구성원들을 성자와 성부와 연합하게 만든다. 참 교회에서 분리된 자는 성례의 모양은 가지고 있지만, 성령이 약속한 은혜는 받을 수 없다. 왜냐하면, 성령은 그리스도의 몸인 참된 교회 안에만 거하시기 때문이다. 성령이 주시는 다양한 은사는 교회의 유기적 연합을 위해서 사용되어야 한다. 인간 사역자는 은사의 수여자가 아니라 다만 봉사자일 뿐임을 기억하고 성령의 주권적 역사 앞에 겸손해야 한다. 하나님의 사랑이신 성령 안에서 교회의 구성원은 서로 간에 있는 견해차를 인내하며 교회의 연합을 지켜내야 한다. 성령은 분파주의자들이 교회로 돌아오도록 그들에게 사랑의 간청을 하신다. 교회는 그들과 논쟁하고 다투기보다는 참된 교회와 다시 연합되도록 사랑으로 권면해야 한다. 그러나 아우구스티누스는 사랑의 간청과 함께 분파주의자들에 대한 교리적 교정의 필요성 역시 제기한다. 성령은 진리를 희생시키지 않고 오히려 진리 안에서 교회의 연합을 이루신다. 교회 연합에 대한 5세기 아우구스티누스의 모든 주장을 21세기 개신교 상황에서 특별히 복음주의 교회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오늘날 복음주의 교회엔 아우구스티누스가 가지고 있던 가시적인 하나의 가톨릭교회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령을 통한 교회의 연합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적 통찰력은 복음주의 교회들의 영적 연합에 유익을 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Augustine’s view of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the unity of the church. In his debate with the Donatists, Augustine condemns as a sin their separation from the catholic church in order to establish a completely pure church. In the course of this debate, Augustine presents the unique hypostatic property of the Holy Spirit in the immanent Trinity as the theological basis for the unity of the church, which the work of the economic Trinity accomplishes. The unity of the Trinity is found in the Holy Spirit, who is the communion of the Son and the Father and the mutual love between the two Persons. Since the Spirit proceeds from the Father and the Son simultaneously, He is the common Spirit of both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us the unifier of the two Persons. For Augustine, the reason the Holy Spirit is the unifier of the Church is because He is the unifier of the Father and the Son in the eternal immanent Trinity. As the soul of the church, the Spirit binds the members of the church together and unites her members to the Father and the Son. Those who are separated from the true church have the form of the sacraments but cannot receive the grace promised by the Holy Spirit, for the Holy Spirit dwells only in the true church, the body of Christ. The various gifts given by the Holy Spirit are to be used for the organic unity of the church. The ministers of the church should humble themselves before the sovereign work of the Holy Spirit, remembering that they are not the givers of the gifts, but only the servants. In the Holy Spirit, the love of God, the members of the church must endu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themselves and preserve the unity of the church. The Holy Spirit makes a loving plea for the schismatics to return to the church. Rather than arguing and quarreling with them, the church should lovingly exhort them to reunite with the true church. Along with the plea of love, however, Augustine also presents the need for the doctrinal correction of the schismatics. The Holy Spirit does not sacrifice truth but rather unites the church in truth. Not all Augustine’s arguments for church unity in the fifth century can be applied specifically to the evangelical church in the Protestant context of the 21st century. The evangelical church today does not have the one visible catholic church that Augustine had. Nevertheless, Augustine’s theological insights into the unity of the church through the Holy Spirit will benefit the spiritual unity of evangelical church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