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장성 동단과 낙랑군 수성현

        윤병모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3

        본고는 진장성 동단과 갈석 그리고 낙랑군 수성현 문제를 검토한 것이다. 진서 「지리지」와 사기색은 , 통전 에 보인 낙랑군 수성현은 진장성과 연계되어 나타난다. 이 문제는 태강지리지 에 의해서도 연결된다. 진장성과 갈석, 낙랑군 수성현이라는 3개의 키워드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통전 등에 인용된다. 그럴 경우 진서 「지리지」에 나온 낙랑군 6현 중의 수성현은 평양의 낙랑이 요동으로 이전한 것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통전 에 나오는 갈석은 요동과 요서의 경계에 있는 갈석으로 인정된다. 곧 낙랑군 수성현은 의무려산 갈석의 인근으로 판단된다. 낙랑군 수성현은 432년 이후에 다시 유주 부근으로 이전한다. 이는 낙랑군이 북경 인근으로 교치된 상태에 해당한다. 500년대 이후 북위인들의 묘지명에서 나타나는 낙랑수성인들은 바로 이 시 기의 내용을 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대 원정군의 명칭에서 보이는 수성도는 실제 편성된 군의 명칭으로 이는 요동 낙랑군 수성현에서 명칭이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eastern end of the Great Wall of Qin and the Jieshi and Lelangjun Suichengxian issues. Lelangjun Suichengxian shown in Jinshu Geography , Shijisuoyin and Tongdian appears in connection with Great Wall of Qin. This problem is also linked by Taiikang Geography . These three keywords, Qin’s Great Wall, Jieshi, and Lelangjun Suichengxian, are complexly connected and cited in Tongdian . In that case, Suichengxian among the Lelangjun 6xians in Jinshu Geography can be said to correspond to the transfer of Lelang from Pyeongyang to Liaodong. Jieshi in Tongdian is recognized as Jieshi on the border of Liaodong and Liaoxi. Soon Lelangjun Suichengxian is judged to be Yiwulu Mountain Jieshi. Lelangjun Suichengxian moved to the vicinity of Youzhou again after 432. This corresponds to Lelangjun’s move to the vicinity of Beijing. The Lelangjun Suichengxians appearing in the tombstones of Beiwei people after the 500s are judged to convey the contents of this period. In addition, Suichengdao, seen in the name of the Sui country expeditionary force, is the name of the actually organized arm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name originates from Liaodong Lelangjun Suichengxian.

      • KCI등재

        秦 長城 東端인 樂浪郡 遂城縣의 위치문제

        공석구(Kong, Seok-Koo)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1

        필자는 각종 사서에 기록된 ‘낙랑군 수성현에 위치한 갈석산에서 진나라가 축조한 장성이 시작되고 있다’라고 하는 사료를 검토하였다. 연구목적은 이 사료에 나타나는 ‘秦 長城 東端’과 ‘낙랑군 수성현’의 위치가 어느 곳이냐 하는 문제를 추적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관련 사서에 나타난 관련내용을 실증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특히 『太康地理志』를 인용한 역사서의 관련내용과 『진서』 지리지 평주 관련기록을 비교 검토하였다. 사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낙랑군 수성현’이 ‘갈석산’, ‘진 장성’ 등의 용어와 결합한 사료는 唐代이후 편찬된 사서에서부터 나타난다. 사료의 내용은 모두가 요서지역에 위치했던 낙랑군 수성현과 秦 장성을 설명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 사료는 4세기 晉代 이후의 낙랑군 수성현을 설명한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4세기 대 낙랑군이 요서지역으로 교치된 이후의 상황을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사료의 내용을 가지고 평양지역 낙랑군의 위치문제와 연결시킨 종래의 연구들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秦나라 장성이 평양지역까지 연결되었다고 파악한 종래 중국학계의 견해는 사료를 잘못 이해한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cate the eastern end of Qin Great Walls, which is implied in the record stating “Qin Great Walls start from Galseok mountain(碣石山) in Suseong prefecture of Nanglang county”. The research included analyzing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this issue and examining their historical authenticity. The two main accounts for investigation were Taikang Geography Treatise(太康地理志) and Geography Treatise of the Jinshu(晉書地理志). The focus was made to closely evaluate value and implication of both sources. As a resul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astern end of the Qin Great Walls was located in the Liaoshi region(present-day the western part of Qin Huang-do city of Chinese Liaoning province). Also, this work reached a conclusion that it was actually in Suseong prefecture of Nanglang county in Liaoshi, where lies the Galseok mountain. Thus, these records indicate the situation of Nanglang county after it was reloc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Liaoshi region in the 4th century A.D.. Therefore, an effort to understand the location of the Four Han Commanderies located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se documentations is clearly mistaken. Chinese academia claims that the Qin Great Walls have been connected to Pyeongyang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also suggests that such view is also wrong.

      • 이나바 이와기치(稻葉岩吉)의 「진장성 동단 및 왕험성 고(秦長城東端及王險城 考)」1) 번역 및 비판

        이덕일 바른역사학술원 2018 역사와융합 Vol.- No.2

        조선총독부는 한국 강점 후 한국사를 반도사의 틀로 가두는 역사 왜곡에 나섰다. 한국사에서 대륙사와 해양사를 삭제해서 반도사로 축소한 후 그 북부에는중국의 식민지인 한사군이 있었고, 남부에는 일본의 식민지인 임나일본부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한사군=한반도설’의 핵심은 ‘낙랑군=평양설’이었는데, 일본인학자들은 이를 위해서 여러 논문을 쓰고 고고 유적·유물을 조작했다. ‘낙랑군= 평양설’을 주장한 주요 논문의 하나가 이나바 이와기치(稻葉岩吉)의 「진장성 동단 및 왕험성 고(秦長城東端及王險城 考:1910년)」이다. 이나바는 이 논문에서 낙랑군 수성현이 황해도 수안군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논리는 한국 국사학계의 태두로 불렸던 이병도의 『한국고대사 연구(1976)』에 그대로 채용되었다. 또한 동북아역사재단은 국고 47억원을 들여서 『동북아역사지도』를 제작하면서 낙랑군 수성현을 황해도 수안군으로 표기했다. 2015년 대한민국 국회에서 동북아역사재단에 그 근거를 물었을 때 이병도의 『한국고대사연구』의 148쪽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나바 이와기치는 위 논문에서 낙랑군 수성현은 황해도 수안군이고, 진(秦) 나라 만리장성의 동쪽 끝이 황해도 수안군에서 시작한다고 주장했다. 이나바는이런 사실이 『한서 지리지(漢書 地理志)』에 나오니 ‘의심할 것이 없다’고 주장했는데, 『한서 지리지』에는 황해도 수안군은커녕 한반도에 대한 기술 자체가 없다. 모두 이나바 이와기치가 한사군을 한반도에 있던 것으로 왜곡하기 위해서 만든창작인데, 일체의 사료적 근거가 없는 가짜 역사가 지금까지도 한국 고대사학계에 그대로 수용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고조선 및 낙랑군 시기의 ‘浿水’의 위치에 대한 새로운 고찰

        강종훈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6 No.-

        There have been the academical debates on the location of the Pae-su River during Kojoseon and Lolang periods, which was the border between Kojoseon and Han Empire. The two major theories are the Cheongcheon-gang River theory and the Yalu River theory. But a close investigation shows that both of them have the logical defects. As a result of seeking new alternatives, it is judged that the Daeryeong- gang River between the Yalu River and the Cheongcheon-gang River is likely to have been the Pae-su River. And it is thought that the recently known ‘the long wall of Daeryoung-gang’ can be a good evidence to prove it. Based on this, the location of the prefectures of Han Empire near the Pae-su River can newly be determined. Especially Suseong-hyun prefecture’s location is presumed to be Pakcheon,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Daeryeong-gang River and the Cheongcheon-gang River. 고조선과 한(漢)의 국경이었던 것으로 알려진 ‘패수(浿水)’의 위치를 놓고 그동안 청천강으로 보는 설과 압록강으로 보는 설이 양립해 왔다. 사료를 면밀히 검토해 보니 두 설 모두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새로운 대안을 모색한 결과, 압록강과 청천강 사이에 있는 ‘대령강’이 패수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근래 알려진 대령강장성이 패수가 대령강임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로 파악되었다. 이를 근거로 낙랑군에 속한 현들 가운데 패수 부근에 있던 현들의 위치를 새로 비정하였는데, 특히 ‘수성현(遂成縣)’은 대령강과 청천강 사이에 위치한 박천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中國歷史地圖集 의 평양지역까지 연결된 秦 長城에 대한 검토

        공석구 한국고대학회 2015 先史와 古代 Vol.43 No.-

        중국역사지도집(中國歷史地圖集) 의 한반도관련 지도를 분석하였다. 진(秦)왕조의 동북 방영토는장성(長城)으로그한계를표기하였다. 이장성은평양부근지역까지연결된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장성표기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평양부근까지 연결된 진(秦)나라 장성은 학술적인 측면에서 인정하기 어렵다. 중국역사지도집 에구체적으로제시된진 장성 노선도에문제가있다. 고고학적인조사내 용이 뒷받침되지 않았다. 더군다나 압록강을 건너 평양지역 부근까지 연결시킨 진 장성도 이를뒷받침할만한학술적인근거를찾기가어려운것으로나타났다. 중국역사지도집 출간 이후 발견조사된 대령강장성은 중국학계의 관심을끌었다. 근래까지중국학계의연구동향은 대령강장성을 진(秦) 장성(長城) 유지가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학계는대령강장성이진(秦) 장성(長城) 관련유적이라고 파악할 만한학술적근거를설득 력있게제시하지못하고있다. 사실, 이장성을조사한북한학계는고려, 고구려시대의유적으 로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더군다나 청천강유역에서부터 대동강유역까지 연장하여 축조하 였다고 표기된 중국역사지도집 의 내용은또 다른장성의 존재를 말하고있다. 하지만 청천 강유역에서 대동강까지 연결되는 또 다른 장성의 존재에 대하여는 고고학적, 문헌적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그렇다면 한반도지역에존재하지도않았던장성을 중국역사지도집 에표기하게된배경 은 무엇일까? 그것은 사료에 나타나는 일부 지명관련 기록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선행(先行) 연구업적을 계승하여, 그 위치를 평양의 대동강 지역에다가 비정하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그러다보니 존재하지도 않는 가상의 선을 한반도지역까지 연결하여 표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중국역사지도집 에 제시된 대동강까지 연결된 진 장성의 실체와 이와 같은 중국역사지도집 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이후 중국학자들의 연구내용은 문헌적 인측면, 고고학적인사실관계등을고려해볼때학문적으로 신뢰하기어렵다는결론에이르 게 되었다. I have made an effort to analyze ancient map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Historical Atlas of China , in which the northeastern territorial limits of Qin China has been marked with its the Great wall. These walls were indicated to have stretched all the way into regions in the vicinity of Pyeongyang area. This study was therefore conducted to discuss the problems of such long walls declaration. In conclusion, Qin's Great wall connected to the nearby areas of Pyeongyang is academically preposterous. Most of all, hardly any archeological evidences were discover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However, there are certain backgrounds to this false cartographical indication. Such phenomenon was bound to appear due to the arbitrary designation of place names like Lolang county, Susung prefecture, and Galsuk mountain in the Pyeongyang district by the Chinese side. Thus, it is obvious that such Chinese theory is out of the qu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