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EA-OES 및 IEC TC114 최근 동향

        이진학(Jin-Hak Yi),최종수(Jong-Su Choi),고동휘(Dong-Hui Ko),김경환(Kyong-Hwan Kim),서종범(Jongbeom Seo)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해양에너지 분야는 크게 조력발전, 조류발전, 파력발전 및 온도 차 발전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하며, 이미 상용화 되어 있는 조력발전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실증 및 준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에너지 시스템의 상용화 및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하여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ttee)에서는 지난 2007년 조류발전 및 파력발전 등에 대한 해양에너지 기술위원회(TC114 Marine energy-Wave, tidal and other water current converters)를 구성하고, 관련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국제에너지기구의 경우 해양에너지시스템 기술협력프로그램(IEA-OES)을 구성하여 국제 기술교류 및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 발표에서는 이들 두 기구의 최근 활동 및 미국, 영국 등 여러 회원국의 시스템 개발 및 기술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In the ocean energy research fields, major interests ar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tidal range, tidal current, wave, and ocean thermal energies. The tidal range energy is already commercialized, and other ocean energy systems are entering the stage of pre-commercialization through open-sea tests and validations. To commercialize these ocean energy systems and promote industrialization,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has been working on the technical committee, TC114 marine energy-wave, tidal, and other water current converters, and carry out related standardization activities since 2007. There is another international cooperation organization, IEA-OES(Ocean Energy Systems), established in 2001 to promote international technology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member counties. This presentation introduces IEC TC114 and IEA-OES's recent activities and introduces the action plan related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tandardiz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OLED 조명 국제표준화 추진 현황 및 전략

        강정모 표준인증안전학회 2018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8 No.3

        우리나라는 지난 2010년 세계 최초로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 조명용 OLED 패널 국제표준을 제안하여 제정을 완료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2016년 IEC TC 34(조명분과, Lamps and related equipment)에 OLED WG을 신설하고 WG 컨비너를 수임하여 국제표준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인 OLED 조명의 국제표준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대응 전략 도출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경쟁국인 일본은 자국의 OLED 조명 국제표준에서의 지배력 강화와 주도를 위해 다양한 관련 표준을 IEC에 활발히 제안 중이며 중국도 OLED 조명 국제표준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 향후 OLED 조명 국제표준의 새로운 경쟁국으로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2018년 1월 TC 34 시드니 회의에서 2인의 공동 컨비너 중 한명의 후임을 일본에서 수임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OLED 조명의 국제표준을 선도하고 IEC에서의 영향력을 제고해 나가기 위해서는 표준 진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국내 OLED 기업의 표준화 참여를 활성화 하여 국내 표준화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OLED 조명 관련 IEC의 국제표준화 추진 현황, OLED 조명 제품 및 기업의 주요 동향 및 주요 현안 들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OLED 표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In 2010, Korea proposed the first international standard for lighting OLED panel to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Based on this, in 2016, the OLED WG was newly established in IEC TC 34 (Lamps and related equipment). However, in order to maintain the leadership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OLED lighting, which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urgent to develop a more systematic strategy. In particular, Korea and its competitor Japan are actively proposing various related standards to the IEC for strengthening and leading dominance in their own position in OLED lighting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hina is showing great interest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OLED lighting as an emerging competitor. Therefore, in order to continuously lead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OLED lighting and to enhance the influence in IEC, it is required to share the standard progress status in real time and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standardization of domestic OLED companies.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OLED lighting, OLED lighting products, major trends and issues of companies, and draw out strategies for securing Korean OLED standard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 한글자판 국제표준 제정전략

        김하진 한국어정보학회 2018 한국어정보학 Vol.20 No.2

        Hereafter, It is very important project for KS X and KCS,KO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is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the ISs(International Standards) and o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establish the ISs from Korean National Standards of keyboards on the Hangul, and on the general procedure to produce the ISs. Lastly, we have studied on the strategies to achieve them.

      • KCI등재후보

        유방촬영용 방사선발생장치의 관전압과 관전류 시험 분석

        정홍량(Hong-Ryang Jung),홍동희(Dong-Hee Hong),한범희(Beom-Hui Ha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4 방사선기술과학 Vol.37 No.1

        유방촬영용 방사선발생장치의 성능 관리 및 품질관리에 적용되는 관전압과 관전류량을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 전기 기술위원회) 60601-2-45에서 제시한 표준을 근거로 시험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관전압에 따른 제조년도별 표준편차 값은 2001∼2010 사이에서 3.15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관전류량에 따른 제조년도별 표준편차 값은 2000년 이전에서 6.38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2011년 이후에 제조된 장치에서는 PAE(Percent Average Error; 백분률표준오차)의 표준편차가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에 제조된 유방촬영용 방사선발생장치의 관전압과 관전류량이 정확한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유방촬영용 방사선발생장치의 성능 및 품질 관리를 유지하므로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진단용 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3년 검사주기 동안에 자가 점검으로 방사선발생장치의 방사선에 대한 안전성 확보와 사용하는 X선 장치의 성능을 일관성(constancy) 있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궁극적으로 방사전에 대한 국민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는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reast shooting performance management and quality control of the generator is applied to the amount of current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601-2-45 tube voltage and tube current are based on standards that were proposed in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were as follows. Tube voltag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standard deviation by year of manufacture from 2001 to 2010 as a 42-3.15 showed the mos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year of manufacture by tube amperage value of the standard deviation to 6.38 in the pre-2000 showed the most significant, manufactured after 2011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devices, the PAE(Percent Average Error) was relatively low. This latest generation device was manufactured in the breast of the tube voltage and tube diagnosed shooting the correct amount of current to maintain the performance that can be s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the basis for radiography diagnosed breast caused by using the device's performance and maintain quality control, so the current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bout the safety of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 rule" specified in the test cycle during three years of self-inspection radiation on a radiation generating device ensure safety and performance of the device using a coherent X-ray(constancy) by two ultimately able to keep the radiation dose to the public to reduce the expected effect is expected.

      • 태양광 발전기술의 표준화 동향 및 대응 방안

        윤재호(Yun, Jae-Ho),송진수(Song, Jin-Soo),윤경훈(Yoon, Kyung-Ho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06

        태양광발전기술의 국내 보급 및 세계 시장 진출에 있어서 표준화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국제 표준화에 대응하여 국제 표준화 동향을 국내에 신속히 적용하고 국내 기술을 국제 규격에 제안하는 것이 그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 표준화는 IEC TC 82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용어, 태양전지 모듈 시스템 주변기기 등 분야별로 WG에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의 국제 표준화 대응은 미미하다고 할 수 있으나, 2004년도부터 정부에서 태양광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3대 중점분야 국제 표준화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추진하고 있다. 태양광 분야의 경우도 태양광 표준화 사업을 통해 태양광 표준화 전문가 회의를 구성하고 참가 전문가들이 IEC TC 82 총회 및 분야별 WG에 참석하고 있다 이후 계속적인 활동을 통해 국제표준화 동향을 국내 규격에 적응하고 규격 개정 작업에서부터 IEC TC 82 WG에서의 주도적인 활동이 전개되어야 한다

      • 해양수산 기자재 표준화 사업 및 해양에너지 기술표준화 추진 현황

        이진학(Jin-Hak Yi),고동휘(Dong-Hui Ko)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우리나라의 해양수산산업은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국제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표준 및 인증체계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해양수산 기자재 분야의 표준화를 위하여 해양수산부에서는 동 과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 주관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과제에서는 수산, 양식, 레저, 해양에너지 분야의 국내표준 및 국제표준을 개발하고 있으며, 해양에너지 분야의 기술표준화에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을 비롯하여 여러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해양수산 기자재 표준화 사업에 대한 소개와 함께 IEC TC114의 해양에너지 기술표준화 추진 현황 및 국내 현황, 그리고 본 과제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해양에너지 분야 표준문서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Korea is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in the marine and fishery industry and possesses a very high level of technology in the world. However, the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necessary for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re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promoting this project for the standardization of marine and fishery industry equipment, and the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is currently managing this project as the leading institute. In this project,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fields of fisheries, aquaculture, leisure, and ocean energy are being developed, and various organizations including th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are participating in the technical standardization of ocean energy systems. In this presentation, the project for the standardization of marine and fisheries industry equipment is briefly introduced, and the international status of ocean energy standardization by IEC/TC114, a domestic status, and the standard documents for ocean energy systems to be developed in this project are introduced as well.

      • 해양에너지 용어 표준(안) 개발

        고동휘(Dong-Hui Ko),이진학(Jin-Hak Yi),최종수(Jong-Su Choi),서종범(Jong-Beom Seo)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최근 국내에서는 탄소중립 정책과 관련하여 해양에너지에 대한 연구개발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시험·인증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조류발전 및 파력발전 실해역 시험장 구축 연구가 진행되면서 시험 인프라와 연계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한 국가표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서는 해양에너지 분야 국제표준 개발과 적합성 평가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기술문서는 TC(Technical Committees) 114에서 62600 시리즈를 발간하고 있다. 이처럼 국제표준이 마련된 현 상황에서는 WTO/TBT 협정에 따라 국제표준 부합화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양에너지 산업 및 관련 산업 분야의 조직과 개인 사이의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통일된 용어를 정리한 해양에너지 용어 표준(안)을 개발하였다. 이 문서는 IEC TS 62600-1, Part 1: Vocabulary 기술문서를 근거하여 작성되었으며, 해양에너지와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였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주로 파력, 조류 및 기타 수류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를 다루고 있으며, 국제표준과 달리 해수온도차에 대한 내용을 신규 추가하였다. Recently in Korea, as the R&D demands of marine energy with carbon-neutral policy increase, establishing a testing and certification system is needed. In particular, as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sea test bed for tidal current energy converters and wave energy converters is underway, it is necessary to develop KS (Korean Industrial Standards) considering the domestic marine conditions in connection with the testing infrastructure. Meanwhile, the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operat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development and conformity assessment system for marine energy, and TC (Technical Committees) 114 publishes the 62600 series of technical specifica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nternational standards have been published, we have to apply international standards to KS according to the WTO/TBT agre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KS (draft) for marine energy vocabulary that lists the terms was developed to assist the communication between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in the marine energy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This document was developed based on IEC TS 62600-1, Part 1: Vocabulary technical specification, and defined the terms relevant to marine energy. In addition, this document mainly deals with devices that convert wave power, tidal currents, and other water curren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However, unlike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 content of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was newly ad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