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양농업교육과 농업문해 비교 분석

        정남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양농업교육과 농업문해의 기원 및 내용을 조사 분석하여 두 용어의 차별성을 제공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의 교양농업교육과 농업문해의 역사, 필요성, 정의, 그리고 내용영역 및 하위요소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교양농업교육과 농업문해는 그 역사와 필요성에 있어서 그 차이가 매우 크다. 둘째, 교양농업교육과 농업문해의 정의는 매우 상이하다. 교양농업교육의 정의는 ‘농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기술, 태도’이고 농업문해에는 ‘농업에 대한 지식과 이해’로 제한되어 있다. 셋째, 교양농업교육과 농업문해의 내용영역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용어의 내용영역에는 큰 차이가 없다. 교양농업교육의 내용영역은 우리나라 교양교육적 성격을 반영한 반면 농업문해의 내용영역은 농업정책의 개발과 실행을 위하여 알아야 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다르게 표현되었을 뿐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erminology, th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agricultural literacy,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ing the origins and the contents of those technical ter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history, needs, definitions, area of contents, and its’ subelement were investigated,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history and needs between th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agricultural literacy. Second, the definitions of th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agricultural literacy were very different. The definition of th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as ‘knowledge of, skills of, and attitude toward agriculture’. On the other, the definition of the agricultural literacy was limited to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Third,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in the contents and its’ subelement between th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agricultural literacy. There was only difference in specifications in describing the contents and its’ subelement of th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agricultural literacy due to their purposed and needs.

      • KCI등재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발전 전략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2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and to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this end, the organizational charts, related tasks, and major business plans of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that operat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analyzed.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city·gun·gu education support offices were promoting tasks such as organizing and operating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ity·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nd city·gu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were operating programs other than the curriculum, such as rural experience, 4-H, and daily horticulture. However, the curriculum operation by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lacked the contents in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ere was insufficient linkage with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Based on these analysis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as divided into a short-term strategy linking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newly established department in charge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and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a medium-term strategy linked by the newly established education organization and a long-term strategy connected by the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 and the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 based on the relevant laws so that it could be implemented in stages. Such a step-by-step development strategy needs to be pursued in parallel with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member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review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formation and continuous discussion of the expert T/F team, and the continuous publicity for the public. 이 연구는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의 운영 현황과 문제를 파악하고,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발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운영하는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의 조직도, 관련 업무, 주요 업무 계획 등이 분석되었다.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해서는 교육 관련 조직인 교육부, 시·도 교육청, 시·군·구 교육지원청에서 초·중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등의 업무를 추진하고, 농업 관련 조직인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시·도 농업기술(원)센터,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에서 농촌 체험, 4-H회, 생활 원예 등과 같은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 관련 조직에 의한 교육과정 운영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에 교양농업교육 내용이 부족하고, 비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농업 관련 조직의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에서는 교양농업교육 전담 기구의 부재, 교양농업교육 운영 기관 및 단체 간 관련 사업의 중복,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국가 수준과 지역 수준의 플랫폼 운영 미흡 등으로 교육 관련 조직과의 연계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분석 및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발전 전략은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의 교양농업교육 담당 신설 부서가 연계하는 단기 전략,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의 교양농업교육 전담 신설 기구가 연계하는 중기 전략, 교육 관련 조직과 관련 법에 근거한 농업 관련 조직의 교양농업교육 전담 신설 기구가 연계하는 장기 전략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단계별 발전 전략은 교양농업교육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인식,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검토, 전문가 T/F 팀의 구성 및 지속적인 논의, 국민 대상의 지속적인 홍보 등과 병행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외국의 동향 분석

        방기혁,김진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4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이 충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미국, 일본, 네덜란드의 교양농업 교육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발전 방향을 탐 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에 해당하는 내용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해당 국가 의 교육부 공식 자료, 농업 관계 기관의 연구보고서 및 연구물, 우수 운영 프로그램 및 사례 등을 분석 하였다. 분석 준거는 교양농업교육을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으로 구분하고, 운영 체계와 교 육 내용으로 하였다. 외국의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은 표준화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다양한 교수·학습 자 료의 개발 및 지원, ‘플랫폼(platform)’ 구축 및 지원, 교육과정을 통한 교양농업교육의 충실한 운영, 교 육과정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의 유기적 연계 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우리나 라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양농업교육 개념과 범위 재설정, 체 계 개편, 교양농업교육 체험을 위한 교과 간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지역별 교양농업교육 지원센 터 설립, 인적·물적 네트워킹, 교육 플랫폼(platform) 구축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중등학교의 교양농업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의해 정상적 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 하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운영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 문가 T/F 팀을 구성하여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위상과 역할, 중요성 등부터 체계적으로 접근하 여 변화와 성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Netherlands, wher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being faithfully operated, and drew implication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official data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country concerned, research reports and research articles of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and excellent operating programs and cases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foreig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cluded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national-level curriculum, development and support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a 'platform', faithful operation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curriculum, and an organic link between the curriculum and other programs. Through these results,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the concept and scope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system reorganization,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nter-subject convergence programs to experienc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establishment of regional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support centers, human and material network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platform were necessary.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t is necessary to seek active measures so that it can be operated normally according to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other than the curriculum, and to come up with various ways to link and operate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 expert T/F team to systematically approach the status, role, and importance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o that changes and outcomes can be achiev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 방안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농업의 변화에 부응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의미와 범위 고찰, 교양농업 교육내용 변화에 대한 교육과정기별 분석 및 문제점 도출,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서는 내용 분석의 준거가 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영역을 ‘농업의 이해’, ‘우리생활과 농업’, ‘자연자원과 환경’, ‘동물 생산’, ‘식물 생산’, ‘농산물 가공’, ‘농산물 유통’, ‘농업 정책’, ‘농업과 진로’ 등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실과교육과정기별로 교육내용의 변화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이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실과교육과정기에 따른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특정 영역에 편중된 편성, 독립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구성, 계열성, 계속성 등의 원리가 반영되지 않은 교육내용의 조직, 실과교육과정기별로 다양성과 일관성이 결여된 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계속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을 위해서는 ‘농업의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의 편성, 통합된 내용의 구성, 계속성과 계열성 있는 내용의 구성, 다양성과 일관성 있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충분한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설정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농업의 변화 및 교양농업교육 구성원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며, 이에 의한 최적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scope of educational contents, to analyse the change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contents, to present th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contents analysis. The criteria of educational contents analysis by review of literature wer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Living and Agriculture’, ‘Natural Resource and Environment’, ‘Animal Production’, ‘Plant Production’, ‘The Crops Processing’, ‘The Crops Distribution’, ‘Agricultural Policy’, ‘Agriculture and Career’ domains.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had various problems : specific and independent organization, deficiency of diversity and consistency, decrease of educational contents etc.(2)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should contain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domain, organize an integrated contents, and be applicable to diversity and consistency. Also it should secure an enough quantity.(3)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that i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have application to needs of constitu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외 프로그램의 연계 방안

        방기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linkage between the curriculum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non-curricular programs. The contents and problems operated by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 for elementary school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as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linkage between curriculum and non-curricular program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as sought. To this end, the organization and work of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major work plans for 2019,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the Korea,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 operated by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linkage plan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led by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at the national level to enact the ‘Basic Act on th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tentative name)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based on this, ‘The (National)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Support Center’(tentative name)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 should be newly established to link general agricultural programs other than the school curriculum by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systematically promote such a linkage plan, the understanding and empathy of the numbers of the organization related to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on the value and necessity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and through the TF team composed of agricultural and educational experts the details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linkage, such as enactment of the basic law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in stages.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으로서,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운영 조직, 교육 및 농업 관련 조직에서 운영한 교양농업교육 내용과 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외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의 조직도 및 주요업무, 2019년 주요 업무계획,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 자료, 농업 관련 조직에서 운영하는 교육과정 외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 등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국가 수준의 교육부, 지역 수준의 시․도 교육청과 시․군․구 교육지원청은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초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등의 업무를 추진하고 있었으며, 국가 수준의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지역 수준의 시․도 농업기술(원)센터와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은 농촌교육 및 체험, 농촌 문화 및 관광, 식생활교육, 동물복지, 도시 숲과 정원 등의 업무를 추진하고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은 교과와 비교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교양농업교육 내용과 농어촌 체험교육, 식생활교육, 치유 농업교육, 농업 진로체험 교육 등의 교육과정 외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운영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강구된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연계 방안은 국가 수준의 농업 관련 조직이 주도적으로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양농업교육기본법」(가칭)을 제정하고, 이에 근거한 국가와 지역 수준의 ‘(국가)교양농업교육지원센터’(가칭)를 신설하여 교육과정 외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이 교육 관련 조직에 의한 교육과정과 연계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연계 방안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교양농업교육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한 교양농업교육 관련 조직 구성원들의 이해와 공감이 선행되어야 하고, 농업 및 교육전문가로 구성된 TF팀에 의하여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기본법 제정 등 연계에 필요한 세부 내용의 단계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방기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3

        The study was to seek a new paradigm to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education by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on the based of the organization and business contents of the educational and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relevant articles and research papers, the original curriculum etc.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the educational-related institutions was managed by practical arts curriculum with the content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Ministry of Education, Offices of Education,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s. had the problems such as non-allocation operation time on 3~4 grade cluster, the composition of content system by the field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ategoriz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reas excluded from agriculture. the composition of content that lacks diversity and future direction,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etc.,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the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was managed by cooperation among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nd Agricultural Technology Service Center, was the programs such as a lack of connection with elementary curriculum, one-time operation of a program based on relevant act, a lack of awareness of need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reflect on the concept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agriculture, a clea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and operating conditions,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interest and support, systematic organization for program running, the development and support of program and material should be pursued. Especially, the connection between and existing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or new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should be sought.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양농업교육을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과의 접목에 의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것으로써, 교양농업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원문, 교육 및 농업 관련 기관의 조직 및 업무 내용, 관련 논문 및 연구 자료 등을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운영 내용 및 문제를 파악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육 관련 기관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은 교육부의 국가 교육과정을 토대로 시·도 교육청, 시·군·구 교육지원청이 초등학교와 연계하여 교양농업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실과 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3~4학년군에 운영 시수 미배당, 실과 학문 분야별 내용 체계 구성, 농업이 제외된 기술과 가정 중심의 영역 구분, 다양성과 미래 지향성이 부족한 내용 구성, 교양농업교육의 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 교수·학습 방법의 수행 과정과 절차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 관련 기관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등이 교양농업 관련법에 의한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도 농업기술원,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등과 협력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미흡, 관련법에 근거한 프로그램의 일회적 운영, 교양농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 등이 문제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운영에서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통합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 농업의 개념 및 환경 변화를 반영한 교양농업교육 내용 개발, 교양농업교육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 및 적용,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원 연수의 확대, 교육과정 및 운영 여건의 개선(이상 교육과정 측면), 교양농업교육에 대한 농업 관련 기관의 관심과 지원, 교육과정 외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체계적 조직, 농업 관련 기관 주도의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과 자료 개발 및 지원(이상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 측면) 등이 요구되고, 교육 관련 기관과 기존 농업 관련 기관의 연계, 교육 관련 기관과 새로운 농업 관련 기관의 연계(이상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의 연계 측면) 등과 같은 새로운 접근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2007~2015 개정 교육과정기의 초ㆍ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 내용 분석

        방기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이 연구는 2007~2015 개정 교육과정기의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 내용에 대한 문제점 및 구성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내용 분석 기준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추출된 ‘농업의 이해’, ‘우리 생활과 농업’, ‘자연자원과 환경’, ‘동물 생산’, ‘식물 생산’, ‘농업의 과학화’, ‘농산물 가공 및 유통’, ‘농업 정책’, ‘농업과 진로’ 등 9개 영역으로 하고, 이 분석 기준에 의하여 2007~2015 개정 교육과정기에 해당하는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 내용을 비교·분석한 후 문제점 및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은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기술의 세계’ 영역에 농업 관련 내용을 구성시켜 기술의 하위요소로 농업을 제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에서는 ‘농업의 과학화’ 영역에 대한 내용만이 제시되고, 초등학교 ‘실과’ 교과에서는 ‘농업의 이해’, ‘농산물 가공 및 유통’, ‘농업 정책’ 영역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실과’ 교과는 개정 교육과정기를 거듭할수록 ‘우리 생활과 농업’, ‘동물 생산’, ‘식물 생산’ 영역에 대한 내용이 축소되고, 2015 개정 교육과정기에서는 ‘농업과 진로’ 영역에 대한 내용이 삭제되어 학교급 간의 연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중등학교의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은 농업 관련 영역을 새롭게 추가하여 교양농업교육 내용이 명료하게 구성되도록 하고, ‘농업의 이해’, ‘농산물 가공 및 유통’, ‘농업 정책’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의 구성과 ‘우리 생활과 농업’과 ‘자연자원과 환경’, ‘동물 생산’, ‘식물 생산’ 등의 영역에 대한 내용의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중등학교 ‘기술·가정’ 교과는 ‘농업의 과학화’ 영역에 해당하는 생명 기술 관련 내용뿐만 아니라 농업의 전반적인 내용을 조화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analyse the content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o 2007~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present the problems and organization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secondary schools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the content analysis. The analysis criteria wer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our living and agriculture’,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animal production’, ‘plant production’, ‘scientific agriculture’,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and distribution’, ‘agricultural policy’, ‘agriculture and career’ domai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secondary schools were to limit the agricultural contents to ‘technical world’ domain in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Accordingly, the contents of ‘scientific agriculture’ domain only were presented to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and distribution’, and ‘agricultural policy’ domains were not presented to ‘practical arts’ subject in elementary schools . Second, the contents of ‘our living and agriculture’, ‘animal production’, and ‘plant production’ domains were gradually reduced to ‘practical arts’ subject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contents of ‘agriculture and career’ domains were removed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rd,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needs to make the new domain related agriculture, to present the content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this domain, to organize the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and distribution’, ‘agricultural policy’ domains, and to extend the contents of ‘our living and agriculture’,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animal production’, ‘plant production’ domains. Fourth,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secondary schools need to contain the contents of ‘scientific agriculture’ domain as well as overall contents of agriculture.

      • KCI등재

        미국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최근 동향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analyzing recent trend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U.S. elementary․secondary schools and deriving the implications for it in Korea through discussion. For this, it was carried out review of literature and content analysis us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research reports of the USDE(U.S. Department of Education) and AITC(Agriculture in the Classroom) program of USDA(U.S. Department of Agriculture). The objects of analysis were Florida, Maryland, and Illinois states which represent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AITC program. The major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needs organic cross-linking between the curriculum and program outside the curriculum. Second,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need to be given greater flexibility in curriculum planning for organic cross-linking with program outside the curriculum. Third, schools, government depart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will develop and support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activat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by the curriculum. Fourth, government departments such as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y have to manage the sub-organization that is able to promote research, workshop, conference, competition related to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activat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by the curriculum. 이 연구는 미국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최근 동향을 교육과정에 의한 교양농업교육과 교육과정 외 교양농업교육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우리나라 교양농업교육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교육부의 자료, 연구보고서 및 연구물, 농업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AITC(Agriculture in the Classroom) 프로그램 등을 국가, 주, 그리고 단위 학교 수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교육과정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을 위하여 미국의 주 중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플로리다와 매리랜드 주로 하였으며, 교육과정 외 교양농업교육을 위해서는 AITC가 적극적으로 운영되는 플로리다와 일리노이 주로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우리나라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양농업교육은 교육과정에 의한 교육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의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고, 프로그램 운영에 요구되는 교사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직무연수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 교양농업교육은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과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하여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에 유연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정부 부처, 유관 기관 등은 교육과정에 의한 학교 교양농업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교사와 학생을 위한 풍부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넷째, 농림축산식품부와 같은 정부부처는 교육과정에 의한 학교 교양농업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교양농업교육 관련 연구, 워크숍, 학술대회, 경진대회 등을 연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하부 조직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교양농업교육의 연구 동향

        방기혁(Bang, Gi-hyeog)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4

        이 연구는 국내에서 발행되는 학술지에 게재된 교양농업교육 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경향성 파악 및 연구 발전을 위한 방향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 대상은 2018년 10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논문 중 학술 Web-DB 중에서 한국학술정보원 (RISS),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에서 추출된 교양농업교육 연구 논문 204편으로 하였다. 분석 자료의 추출을 위해서는 교양농업교육의 주요 검색어인 교양(문해), 농업, 교육, 원예(식물), 경제동물, 애완(반려)동물, 생명과학 등을 적용하였으며, 추출된 논문은 연 도, 주요어, 학술지, 연구 분야, 연구 방법, 주요 통계 방법, 연구 대상, 연구진, 언어로 분석 틀을 마련하여 빈도와 백분비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에 의하면, 교양농업교육 연구 논문은 1990년대 후반부터 연구가 본격화되기 시작하여 2010년대 이후에 더욱 활발해졌으며, 생활원예(식물)교육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으나 경제동물교육 관련 논문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학술지 중에서는 ‘한국실과교육학회지’에 교양농업교육 연구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며, 이 학회지에도 생활원예(식물)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연구 분야별로는 학교농업교육 관련 논문이 거의 대부분이었고,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 방법을 적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주로 초등학교 교육과 관련하여 조사연구, 문헌연구, 실험연구, 개발연구 등을 적용하고 있었다. 또한 양적연구에 적용된 통계 방법은 t 검증 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초등학교 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연구진에 따라서는 단독연구와 2인 공동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거의 대부분의 논문은 한국어로 작성되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한국 교양농업교육의 연구 동향을 보면, 교양농업교육 연구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육, 그리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더욱 확대되고, 농업의 영역 중에서 경제동물교육 등 동물교육과 관련한 연구에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연구 방법 및 통계 방법도 교양농업교육 연구 주제와 목적에 적합하게 다양한 적용이 요구된다. 그리고 다수 연구자가 참여한 연구의 확대가 필요하고, 연구 논문도 영어 등 외국어로 작성된 논문 을 많이 발표하여 국제적 학술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s of academic paper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o achieve these research aims, 204 published academic papers extracted from RISS, KISS, and DBPIA by November 2018 were analyzed . Papers with key words such as literacy, agriculture, education, gardening(plants), economic animal, companion animal, life science were extracted. Extracted papers were classified by an analytical framework containing year, key word, journal, research field, research methods, main statistical methods, research object, researcher, language, analyse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cademic paper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ere gradually increased since the late 1990s, become more active since 2010. Most papers centered on life gardening (plants) education in school agriculture education but no papers on economic animal education. They were published 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Most of them were applied survey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development research related to elementary education, used t-verification, were performed by exclusive and 2 jount researchers, and were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research topics carried out so far, It is necessary to expand studies to middle and high schools, the public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More interest should devote to studies in investigating animal education like economic animal, applying various methods suitable for study subjects and purpose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expanding a joint study of many researchers, and raising international academic value by publishing in foreigm languages.

      • KCI등재후보

        초ㆍ중등학교 농업교육을 위한 운영 조직의 구조화에 관한 연구

        방기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2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농업교육을 위한 운영 조직을 구조화하기 위한 것으로써, 각 조직의 2017년 업무 계획과 홈페이지에 제시된 조직도 및 업무를 이용하여 운영 조직의 현황과 농업교육 관련 부서 및 업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운영 조직은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으로 구분하고, 지역 수준을 국가 수준, 시 수준, 도 수준으로 세분하였다, 초·중등학교 농업교육을 위한 교육 관련 조직은 교육부, 시도 교육청, 시군구 교육지원청이 해당되며, 각 조직이 교육과정 중심의 교양농업교육 및 직업농업교육 관련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교육부가 농업교육을 위하여 국가 수준의 실과(기술·가정), 농업 생명 과학 교과 교육과정,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시도 교육청은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마련하여 단위학교를 지원하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도 농업기술원,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포함되는 농업 관련 조직도 상호 연계하면서 농업교육을 지원하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즉 교양농업교육 관련 업무는 각 조직이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단위학교에 지원되고, 직업농업교육 관련 업무는 농림축산식품부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을 통하여 지원되고 있다. 초·중등학교 농업교육을 위한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은 일반적으로 상호 협력하면서 단위학교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교육부는 국가 수준의 농업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지원을 개선하고, 농림축산식품부는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지원 등이 요구된다. 특히 초·중등학교 농업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교양농업교육센터(가칭)’를 마련하고, 농업 관련 조직에서 현재 지원하고 있는 교양농업교육 관련 업무를 일원화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육 관련 조직과 연계하면서 초·중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콘텐츠 등을 개발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는 초·중등학교의 교양농업교육을 활성화시키고, 농업에 대한 적성과 흥미를 가진 학생들이 농업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 진학할 수 있도록 하여 직업농업교육이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structuring of operating organization for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secondary schools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and agricultural affair using organizational chart and affair presented on the homepage for each organizations. For this, the operating organizations were divided into educational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s. Educational organizations were Ministry of Education(MOE), Office of Education in city, province etc., pursued general and vocational agricultural affairs centered on curriculum. MOE developed national curriculum(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and agricultural life science subject curriculums, vocational curriculum based on NCS), office of education developed guidelines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ng of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supported elementary·secondary schools. Agricultural organizations included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ARES),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ATC) etc. supported agricultural education on elementary·secondary schools in connection with each organizations. The educational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s were generally structured to support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secondary schools. And so, MOE need to improve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gricultural curriculum, MAFRA need to support program development of non-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contents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especially to establish a ‘Center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tentative name)’, unify general agricultural affairs that have supported by the agricultural organizations, and develop and support various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contents for elementary·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in association with the educational organizations. This structure will activat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secondary schools, develop vocational agricultural education in specialized agricultural(meister) high schools by students who have an aptitude and interests for agri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