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조선문명권 형성의 기본구조

        신용하(Shin, Yong-Ha) 고조선단군학회 2010 고조선단군학 Vol.23 No.-

        In the history of the World a lost civilization in East Asia, named ‘Go Joseon Civilization’ existed between 30BCE and 3 BCE. In the Go Joseon Civilization a common Go Joseon language prevailed, and after the disintegration of the Go Joseon state, the population dispersed and migrated to different areas and became the ancestral language of the Ural-Altai Language family. Dangun (Dangul) served as common religious belief of the Go Joseon Civilization, and the Go Joseon state was also uniformly founded on the bronze and iron culture with its unique design. The constituent population was horse-riding race. The Go Joseon Civilization also boasted a unique folk culture and festival culture. Various racial groups who called their ruler “Khan” or “Han” were either the constituent population of the Go Joseon civilization or their descendants.

      • KCI등재후보

        한국사 교과서의 고조선사 서술을 위한 몇 가지 제언

        송호정 청람사학회 2022 靑藍史學 Vol.36 No.-

        한국사 교과서 속 고조선사 서술 내용은 그동안 많은 진전이 있었다. 특히, 중국 동북 지방과 한반도 서북 지역의 청동기문화에 대한많은 관심과 연구를 통해, 이를 ‘비파형동검문화’로 부르고 고조선의초기 문화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교과서 서술처럼 고조선의건국 시기를 문헌 기록보다 올려 보거나 중국 동북 지방의 비파형동검문화권을 고조선의 영역으로 비정하는 서술이 과연 고조선의 실상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는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 문헌 기록상에는 이와 같은 고고 자료를 통한 추론과 해석을 입증하는 내용이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고조선의 건국 과정은 단군신화의 내용을 통해 서술하는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단군신화에는 청동기 시대에 새로운 부족집단이 출현하는 모습이 담겨 있지만 구체적으로 고조선이란 나라가출현하는 과정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고조선의 건국 내용 서술은단군신화를 인용하기보다는 청동기 문화의 성장과 발전 내용을 통해설명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고조선의 건국 시기는 동국통감에 기원전 2333년이라 기록되어있는데, 동국통감 기록은 구체적인 근거가 있는 주장은 아니므로그 역사성을 믿기는 어렵다. 고조선의 건국 연도를 동국통감을 인용하여 기원전 2333년이라고 쓰는 것은 적절하지 못한 서술이다. 현행 한국사 교과서에 실린 고조선의 문화권 지도는 사실상 청동기 시대 고조선의 문화 내용만으로 표현되어 있고 전성 시기인 철기시대의 고조선 문화 내용은 표현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고조선의 영역으로 포함시키기 어려운 요서 지역이나 길림성 지역 등을 포괄하는 등 너무 광범위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오류와 논란이 많은고조선 문화권 지도를 교과서에 싣지 않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한다. 고조선 멸망 후 설치된 낙랑군은 420여 년간 존속하면서 낙랑 지역과 그 주변의 제 민족에게 선진적인 중국 문명을 접촉하게 하였고, 중국문화를 수용해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한군현 및 낙랑군 관련 내용을 교과서에서 일정 정도 서술해 주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조선 건국신화의 계승과 고조선 인식

        김성환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7

        단편적으로 중국 선진 시대의 자료에서 확인되는 고조선 관련 기록을 제외하고 고조선은 멸망 이후 그 존재조차 잊혀갔지만, 고조선 건국신화는 이후 다른국가의 건국신화와 교섭·착종되며 단편적으로 전해졌다. 그 중심에는 부여계국가들이 있었고, 고조선 건국신화는 각저총에서의 곰과 호랑이, 제천의례인東盟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보이는 장천1호분에서의 수목숭배 모티브 등에서볼 수 있는 것처럼 고구려에 전해졌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그 내용은 고구려의사회문화적 요소에 침식되어 점점 변개와 탈락 등이 심해졌다. 고구려의 역사계승성을 지니고 있던 고려의 곳곳에서는 고구려의 문화전통이 전해지고 있었고, 거기에는 고조선의 문화전통이 용해되어 있었다. 고조선은 고려 전중기까지 고려에 앞선 역사체계로 분명하게 인식되지 못했다. 단지 그 단편의 내용과 장소들이 옛 고구려 지역을 중심으로 기억되었다. 평양과구월산에서 단군은 지역의 신격으로 모셔졌다. 그리고 도참사상과 밀착되어전승이 유지되었다. 고조선의 역사성은 거의 탈락되었지만, 하늘과 연결된 신성한 계보, 건국자의 신성성에 가탁한 예언의 기능 등은 보강되었다. 《후한서》의 ‘故朝鮮國’ 용례 이후 ‘故朝鮮’과 ‘古朝鮮’은 중국 및 고려의 자료에서 간헐적으로 등장한다. 고려 이전에 중국과 삼국은 그 관계에서 기자와위만의 이미지 대비를 통해 대외정책의 큰 틀을 운영하였다. 그런 가운데 위만의 그것은 탈락되고 기자의 이미지가 확대되었다. 이 틀은 고려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그러나 원나라의 부마국 체제로 편입된 이후 고려의 입장에서 자국의 자주성과 독립성은 보다 강화되어야 했다. 앞 시기의 다원적 천하관은 당연히 계승되었고, 도참에 토대를 둔 ‘三韓變爲震旦’의 변전론은 삼한 이전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게 하여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의 저술을 가능하게 하였다. 여기에는 원 세조가 고려에 밝힌 ‘不改土風’의 유지도 일정한 작용을 하였다. 특히 일연과 이승휴는 도참의 역기능을 경계하면서도 그 관계에서 전승되어 온 고조선 건국신화에서 역사적 실체를 발견하고 이를 도참과 분리시키려하였다. 아사달산신으로의 좌정이라는 단군의 최후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 방식도 고조선에 대한 역사적 인식이 재정립되면서 새로운 전환을 맞았다. 고조선의 도읍으로 알려진 평양 부근의 檀君墓 전승은 이런 배경에서 형성되었다. 단군묘의 등장은 고려 역사의 출발로서 재정립된 고조선 인식이 확장된 결과였다. 고조선에 대한 역사성 상실과 대중국 관계의 부침 속에 그 영역에 대한 인식 역시 위축되었다.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에서는 그 공간적 범위가 서북한지역으로 제한되어 있다거나, 영역에 대한 적극적 이해가 이루어지지 못하고있다. 그러나 이승휴의 단편에서 확인되듯이 遼瀋 지역에 대한 고조선-부여-고구려로 이어지는 역사 계승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 말 원나라와의관계에서 ‘華’와 ‘夷’의 경계였던 파사부가 공민왕의 반원정책 이후 고려의 舊界이자 國界로 이해되었던 것은 요심 지역이 고조선 이래의 世守疆域이었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었다. In contrast to documents dealing with Ancient Joseon as a developednation, fragmentary though the record may be, Ancient Joseon’sdestruction seems to have been left out of all written records. Yet, themyth surrounding Ancient Joseon’s founding has been fused with thatsurrounding the rise of subsequent nations and, thus, pieces of itscontent were able to be transmitted down through the ages. Thesurviving mythology seems to be centered in the Buyeo period,particularly in the northern and eastern regions of the nation. Also, inthe Gakjeochong tomb(which displays a portion of a Goguryeo tombmural portraying a wrestling match) one can see the images of a bearand a tiger as well as images of the Dongmaeng royal festival, includingsimilar scenes on the first of the Jangcheon tomb murals which alsoshow the images of a bear and forest deities. From this we can gatherthat the myth was also passed down to Goguryeo. Still, during thisprocess, the central historical fact and meaning within the legends ofAncient Joseon’s founding was corroded and gradually lost with theinfluence of Goguryeo’s own myth, the original elements changing andbeing dropped as it was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oin. Goryeo inherited the historical succession of Goguryeo, andGoguryeo’s cultural traditions were spread throughout its ancientterritories. Ancient Joseon’s cultural traditions, therefore, were fused with those of Goguryeo. Ancient Joseon could not be clearly perceivedwithin the historical framework of Goryeo’s early and middle periods. Itcould only be recalled in fragments of literary content and in locationscentered in Goguryeo. Tangun was enshrined as a regional deity inPyeongyang and on Guwolsan mountain. The historicity of AncientJoseon might seem to have been almost entirely eradicated, but thesacred pedigree and connection to heaven of its builders werestrengthened through the function of the divinations appropriated forthis purpose. Combining the faith surrounding the founding of AncientJoseon with the science of divination was a necessary factor of thefounding’s transmission to future generations, but this meant that itsintegrity could not be preserved and that the legends could onlycontinue to be further separated from historical fact. Subsequent to the recording of Gojoseon -guk(故朝鮮國) inHouhanshu , ‘Gojoseon(故朝鮮, 古朝鮮)’ makes intermittent appearancesin Chinese and Goryeo documents. Before this, Goryeo carried out aforeign policy within the framework of a contrast in the display of theimages of Gija and Wiman. As time passed, Wiman’s image was omittedand Gija’s was expanded, a policy that continued throughout the Goryeoperiod. Rather than emphasizing Goryeo’s sense of independence,however, this policy should be considered as belonging within thecontext of its status in Yuan China’s system of rule by son -in -law(“Buma nation” rule). The earlier period of hegemony had beenpassed down, and on the earlier basis of divination the transformationtheory “Samhan will transform into Jindan(三韓變爲震旦)” awakenedinterest in the history prior to the Samhan period and made possible thecompilation of Samguk yusa and of Jewang ungi . Here, also, an“admonition not to change established Goryeo tradition(不改土風)” by Kublai Khan and Yuan China had a definite effect. On this point,especially, Ilyeon(一然) and Yi Seung-hyu(李承休), who wrote Samgukyusa and Jewang ungi , respectively, knew the strengths andweaknesses inherent in divi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s theyguarded against the latter while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the legends of national founding and the divination stories, they tried todiscover the true history behind the myth of the rise of Ancient Joseonthat had been passed down by separating it from the divinationnarrative. The Asadalsan mountain deity, the latest of the traditional methodsto understand Tangun, has undergone a recent transformati...

      • KCI등재

        변진한(弁辰韓) 지역에 영향을 준 고조선계의 문화

        이양수(Yi Yangsu)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5

        변진한(弁辰韓)의 성장배경 중 한 축을 담당하는 것이 고조선일 것이다. 고조선과의 직·간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변진한은 성장하였고 그것에 대해 사서(史書)에 기록이 되어 있다. 그러나 정작 고고학적으로는 고조선과의 관계에 대해서 그리 주목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고조선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부족 그리고 고조선이 멸망한 이후부터 변진한의 문화가 철기를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관련성을 찾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위만조선(衛滿朝鮮)이 성립하고 준왕(準王)이 남하하는 기원전 194년 이전까지 고조선이 변진한에 준 영향에 대해 고고학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고조선의 문화를 변진한의 입장에서 규정하고자 하였다. 백천(白川) 대아리(大雅里) 석관묘와 금천(金泉) 송죽리(松竹里) 4호 지석묘 주변에서 출토된 요령식동검, 연안(延安) 금곡동(琴谷洞)과 청도(淸道) 예전동(禮田洞) 출토 요령식동검 등을 통해 고조선이 변진한의 청동기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청동기시대 후기에는 변진한에서 독자적으로 청동기를 제작하기 시작한다. 그 첫 번째 증거는 거제(居濟) 아주동(鵝州洞) 13호 지석묘에서 출토된 동촉이다. 이것은 울산(蔚山) 검단리(檢丹里) 13·39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석촉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며, 결국 동촉을 모티브로 석촉의 디자인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청동기시대 말기가 되면 변진한의 지역색을 가진 동검이 출현한다. 변한에서는 진동리식(鎭東里式)이라 불리는 세장한 형태의 동검, 진한에서는 봉길리식(奉吉里式)이라 부를 수 있는 짧고 검엽(劍葉)이 얇은 동검이 제작된다. 이러한 지역색의 등장은 독자적인 청동기 제작기술의 확립을 뜻하는 것이며, 그 기술은 고조선의 청동기 제작기술이 모방 등을 통해 한반도 남부-변진한으로 유입된 결과다. 결국 이러한 것은 고조선이라는 세력이 통제하던 청동기 제작기술과 그것을 얻어내려는 지역집단 간의 경쟁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경쟁 속에서 변진한은 성장하였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n Gojoseon brought by Byeonjinhan from the Bronze Age to circa B.C. 194. The culture of Gojoseon is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Byeonjinhan. We have come to know that Gojoseon affected Byeonjinhan greatly in many ways, such as through bronze daggers and mirrors. In the late Bronze Age Byeonjinhan began to produce bronze artifacts independently. The earliest evidence is a bronze arrowhead excavated from Ajudong No. 13 dolmens, in Geoje. This bronze arrowhead has the same shape as a stone arrowhead excavated from Geomdanri No. 39 dwellings, in Ulsan. We can see that the design of a stone arrowhead was a motif derived from that of a bronze arrowhead. At the end of the Bronze Age, daggers in Byeonjinhan may have emerged with their own regional qualities. This would mean the establishment of a unique bronze workmanship that reflected regionalism. The techniques utilized in the production of bronze artifacts were introduced into the societies of Byeonjinhan from Gojoseon. This article shows that the competition among local groups trying to acquire bronze production technology may have provided momentum for developing Byeonjinhan from Gojoseon.

      • KCI등재

        고조선어 분석에 관한 새로운 성과와 절반의 ‘아쉬움’ -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 편, 『고조선의 언어계통 연구 : 양웅의『방언』 수록 고조선어 분석』, 동북아역사재단, 2018-

        정재남(서평자)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5 No.-

        동북아역사재단이 기획 출간한 『고조선의 언어계통 연구』(2018)는 그간 한국 학계의 관심과 연구가 적었던 『방언』에 수록된 고조선지역 어휘를 대상으로 언어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동 어휘의 언어 정체성이 고조선어이였을 개연성에 관한 언어학적 판단 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고조선의 언어만을 단일 전문 주제로 분석한 국내외 최초의 단행본 학술서로서 여러 전문학자의 최근 연구 성과를 정리한 이 책은, 그간 국내 학계의 고조선어 연구 성과를 나름대로 개괄하여 정리하는 한편, 인지도가 낮았던 언어자료인 『방언』 자체와 동 사전에 수록된 옛 고조선지역 어휘를 국내 학계 및 일반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방언』의 ‘조선열수’지역 어휘 32개를 몽골어, 만주어 및 어원커어 등 우리 민족과 가까운 주변 민족들의 관련 어휘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조선열수’지역 어휘의 언어 정체성이 고조선어이였을 높은 개연성을 시사하였다. 결과적으로 ‘고조선사 귀속문제’ 같은 정치적 의도가 짙은 중국 관방학계의 비학술적인 주장에 대해서도 언어학 차원의 학술적인 대응을 하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긍정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고조선의 언어계통 연구』에서는 BC 3세기 초 전쟁으로 燕나라에 상실한 고조선의 ‘서부 영역’이면서, 『방언』의 ‘조선열수’지역과는 상당한 비중의 공통어휘를 사용하였기에 같은 ‘언어권’으로 분류되었던 北燕지역 어휘를 분석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방언』 내 옛 고조선지역 전체 어휘의 언어 정체성이 상고 중국어인 燕方言 및 당시 중원의 언어와도 크게 달랐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자료 기반을 스스로 포기하는 연구방법론상의 오류를 범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방언』의 ‘조선’지역 어휘가 중국어가 아닌 고조선어이였다는 학술적 견해를 명확히 제기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정하였다. 이는 고조선어 연구자가 매우 적고 연구밀도 역시 영성한 한국 학계의 기존 연구수준이 대체로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동 연구서는 향후 이런 문제점과 아쉬움 등을 극복하고 새로운 연구를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과 시각, 학술적 토대를 제공한 성과는 높이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Linguistic Affiliation of Gojoseon(『고조선의 언어계통연구』), published in 2018 by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is a scholarly book of trying to find out the linguistic identity of Gojoseon domains vocabulary through a linguistic research method on FangYan(『方言』) the earliest dialect dictionary of China compiled about 2,000 years ago. As the first academic book in Korea and perhaps in the world to analyze the Gojoseon language under a single specialized subject, this book, compiled by combining the recent research results of several professional scholars, outlines and updates the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Gojoseon language. I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inform the domestic academia and the general public about FangYan, a language material that was not well known, and the vocabulary of Gojoseon area that were listed in the dictionary. In particular, the linguistic identity of the ‘Joseon’ regional vocabulary was implied that it was not ancient Chinese, but ancestral language of Korean by performing a full-scal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ocabulary of the ‘Joseon’ listed in FangYan with the related vocabulary of the neighboring peoples close to Korean as Mongolian, Manchu, and Eowonkur. In this way, it can be positively evaluated that it has achieved an academic response to non-academic claims with strong political intent, such as the problem attributing the history of Gojoseon to China. However, in this academic book made a fatal mistake of giving up lexicon of North Yeon(北燕) region, the former Western territory of Gojoseon on its own analysis data base, therefore complete linguistic proof that vocabulary of Gojoseon was not Chinese became difficult. As a result, it exposed the limitations of not being able to raise an academic opinion in earnest that the vocabulary of the Joseon region in FangYan was not Chinese but Old Korean.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largely reflecting the existing research level of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where there are very few researchers of the Old Korean language and the research density is also rare. Nevertheless, the first achievement of this book to provide the academic foundation necessary to promote new research while overcoming fatal mistake in the future can be highly appreciated.

      • KCI등재

        전북 지역 고조선 계승 의식의 형성과 확산 과정

        김남중 고조선단군학회 2022 고조선단군학 Vol.48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reason why records related to jun, king of ancient joseon and mahan remain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jeollabuk-do and the background of seeing mahan as the orthodox of ancient joseon at the late ancient joseon era. sanguozhi han-chuan records that king jun of ancient joseon had fled to han. There is a negative view of this, but given that the sanguozhi describes mahan as a society without manner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sanguozhi author made up the story that king jun came to the south with a special intention. Since it is fully expected that the caowei dynasty would have passed through mahan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he japanese in zhengshi(240-249),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records related to the king jun in the sanguozhi are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observatio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t can be seen that in iksan, there was a consciousness of mahan, which was distinguished from the self-consciousness of baekje. For this reason, the tomb of king mu of baekje was known as mahan's tomb of king mugang, and the legend of gijun-castle was also handed down.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mahan lineage maintained some power even under baekje's rule and the policy of silla's old baekje region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Since the mahan came from ancient joseon, a consciousness of mahan can be said to be a consciousness of succession to ancient jos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cholars who argue the mahan orthodox theory of viewing mahan as the orthodox successor of ancient joseon instead of wimanjoseon appeared. Hongyeoha said that ancient joseon was divided into the south and the north and became the kingdom of wiman and mahan, and described mahan as orthodox about the history of ancient joseon after gijajoseon, that is, hanjoseon. Hongmanjong and anjeongbok compared mahan to han dynasty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china, and leeik said that ancient joseon's change of its national name to mahan was no different from the change of its national name when the zhou dynasty moved the capital. Although the late ancient joseon was divided into the south and the north, it meant that the country that inherited the orthodoxy of ancient joseon was mahan, the southern dynasty. There are two main reasons why this perception was formed.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expansion of gija worship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critical attitude toward wiman has spread.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perception that ancient joseon and samhan coexisted during the late ancient joseon period has expanded. Before that, it was understood that samhan appeared long after the fall of wimanjoseon. Then, as the perception that wimanjoseon and mahan existed at the same time expanded, discussions arose about who succeeded ancient joseon's orthodoxy among the two countries. Unlike what hanbaekgyeom divided our history into south and north, the late ancient joseon mahan orthodox theor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in a new way that our people maintained the same historical community. Unlike the wimanjoseon, the mahan region continued to be the home of our people, so it can be said that mahan was the legitimate heir to ancient joseon and a representative force of the late ancient joseon after the fall of hanjoseon. This mahan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force in the history of ancient joseon in that it is the ancient joseon dynasty that has more legitimacy than wimanjoseon. 이 글은 전북 서북부 일대에 고조선 준왕 및 마한 관련 기록이 남아 있는 원인과 조선 후기에 마한을 후기 고조선의 정통으로 보게 된 배경을 고찰하였다. 『삼국지』 한전에는 고조선 준왕이 한 지역으로 내려왔다는 기록이 실려 있다.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는 입장도 있으나 마한을 禮俗이 없는 사회로 묘사한 서술 태도로 보면 『삼국지』 찬자가 특별한 의도를 가지고 준왕 남래를 각색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정시(240~249) 연간 조위가 왜와 교류 과정에서 마한 지역을 거쳐 갔을 상황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으므로 『삼국지』의 준왕 기사는 견문을 통해 획득된 정보가 바탕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고려 말 익산에서는 백제 의식과 구별되는 마한 의식이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백제 무왕의 무덤은 마한 무강왕의 무덤으로 알려졌으며, 기준성 전승도 전한다. 이것은 백제 통치 하에서도 마한계 세력이 어느 정도 세력을 유지하였던 점과 통일 후 신라의 舊 백제 지역에 대한 정책과도 관련된다. 마한은 고조선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마한 의식은 곧 고조선 계승 의식이라 할 수 있다. 조선 후기가 되면 위만조선 대신 마한을 고조선의 정통 계승자로 보는 마한 정통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이 등장한다. 홍여하는 고조선이 남과 북으로 나뉘어 위만의 나라와 마한이 되었으며 기자조선 즉 한조선 다음 고조선사는 마한을 정통으로 놓고 서술하였다. 홍만종과 안정복은 마한을 중국 삼국 시대의 촉한에 비유하였으며, 이익은 마한으로 국호를 바꾼 것은 주나라가 도읍을 옮기면서 국호를 바꾼 것과 다를 바 없다고 하였다. 비록 후기 고조선이 남과 북으로 나뉘었지만 고조선의 정통 계승자는 남쪽 왕조인 마한이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인식의 형성 요인으로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하나는 조선 시대 기자 숭배의 확대와 위만에 대한 비판적 태도 확산을 들 수 있다. 둘째는 고조선과 삼한이 후기 고조선 시기에 공존했다는 인식이 확대된 점이다. 그 이전에는 위만조선이 멸망하고 한참 뒤에 삼한이 등장한 것으로 이해했다. 그러다가 위만조선과 마한이 동시기에 공존했다는 인식이 확대되면서 정통을 따지게 된 것이다. 후기 고조선 마한 정통론은 한백겸이 우리 역사를 남과 북으로 나누어 살폈던 것과 달리 우리 민족이 하나의 역사 공동체를 유지했다는 것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마한 지역은 위만조선과 달리 계속 우리 민족의 터전이 되었다는 점에서 마한을 고조선의 정통 계승자이자 한조선 멸망 이후 후기 고조선의 대표 세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마한은 위만조선보다도 정통성을 지닌 고조선 왕조라는 점에서 고조선사에서 중요한 세력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고조선과 秦나라의 대외관계 연구

        조원진(Cho, Won Chin)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29

        본고는 고조선과 秦나라의 대외관계를 살펴보며 양국의 관계와 전쟁원인 및 경계 변화에 주목하였다. 통일제국인 진나라의 등장은 고조선을 비롯한 주변지역에도 큰 위협이 되었다. 진나라는 沛水를 건너 고조선을 공격하고 ‘遼東外徼’를 설치한다. 전쟁 이전 고조선의 西界인 沛水는 나중에 고조선과 한나라의 경계였던 浿水와 동일한 강으로 지금의 혼하로 파악된다. 고조선은 기원전 3세기 초 연나라 진개의 침입으로 천산산맥 동쪽으로 후퇴했으나 연나라가 멸망할 무렵 일부 영토를 회복했을 가능성이 있다. 진나라가 고조선을 침입한 이유는 첫째 전성기 연나라의 영토였던 요동지역을 수복하기 위해서이고, 둘째 진나라에 나라를 잃은 유이민이 조선지역으로 망명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요동∼서북한 지역에서 진나라 및 조나라와 관련된 무기류가 출토된 것은 전쟁의 흔적이거나 나라를 잃은 조나라 유이민들이 이동하며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전쟁후 고조선과 진나라의 경계는 정황상 요동의 천산산맥으로 이해된다. 진나라가 설치한 ‘요동외요’는 혼하~천산산맥에 있었다. 요동군은 진나라에 의해 비로소 체계적으로 설치되었는데 당시 요동군 속현은 천산산맥 서쪽의 15현일 가능성이 있다. 고조선의 否王이 진나라에 조회를 약속한 것은 전쟁을 그칠 명분을 세워주고 독립국의 면모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이때 고조선은 진나라의 요구로 대외적으로 왕호를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내부적으로는 왕호를 계속 사용했다. 고조선은 통일 제국의 위협에도 유연한 외교를 통해 나라를 유지했고, 진시황이 죽고 진나라가 혼란스러워지자 곧바로 반격에 나서 잃었던 영토를 수복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foreign relations between Old Joseon and Qin (秦), focusing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 reasons behind the war, and changes in boundary. Old Joseon (古朝鮮=王儉朝鮮) during King Fou’s generation starts its full-scale relations with Qin as Qin unifies China in 221 BC. After unification, Qin crosses Beishui (沛水) and attacks Old Joseon, installing ‘遼東外徼’ (outer Liaodong fortification of Qin). Beishui (沛水), which appears as 西界(west boundary) of pre-war Old Joseon, is understood as the present-day 渾河(Hun River), the same river as Beishui (浿水) which became the boundary between Old Joseon and Han later on. Old Joseon, due to the invasion of Yan’s Qin Kai (秦開) in early 3rd century BC, retreated to the east of the Qianshan mountain range, but it shows a possibility of recovering the territory on the east side of the Beishui (浿水) during the collapse of Yan. The reasons for Qin’s invasion of Old Joseon are assumed to be twofold: first, to reclaim the Liaodong region which was Yan’s territory during its glory days; and second, because the wandering people who had lost their state to Qin sought asylum in the Joseon area. Bronze daggers and spears related with Qin were excavated from the area from Liaodong to northwestern Korea. These seem to be the traces of the war between Old Joseon and Qin and brought by the wandering peopl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relics concerned with Zhao (趙) are excavated near the Yalu River seems related with Zhao’s collapse. Following the war, the boundary between Old Joseon and Qin is understood as the Qianshan mountain range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The outer Liaodong fortification installed by Qin was located in the area from the Hun River to Tian Shan. The Liaodong Commandery seems to have been systematically installed by Qin, at last. There is no resource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Liaodong Commandery’s specific scope or the number of troops. However,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it is possible that the Liaodong Commandery installed by Qin was 15 troops in the western part of the Qianshan mountain range. After Qin’s invasion, King Fou of Old Joseon promised to subjugate; however, he eventually did not agree to visit. This shows that Old Joseon’s subjugation was temporary or superficial. The promise King Fou of Old Joseon made to Qin was a means to uphold a diplomatic cause to stop the war and to maintain its appearance as an independent state. Old Joseon seems to have temporarily stopped using the royal title externally; however, the royal title was continued to be used internally and Old Joseon maintained its status as an independent state. Old Joseon carries out diplomatic activities flexibly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s Qin becomes chaotic with the death of Qinshihuang, Old Joseon immediately counterattacks to reclaim its lost territory.

      • KCI등재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중심지와 서계의 변화

        박준형(Park, Jun Hyoung)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8

        본고에서 기원전 3∼2세기 고조선과 중국과의 국제관계 속에서 영역의 변천, 즉, 고조선의 西界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시간적 추이에 따라 고조선 서계의 변화과정을 추적한 것이 아니라 가장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는 浿水의 위치를 먼저 확인하고 이어서 연·진과의 경계를 살펴보았다. 고조선 서계 변화를 시간적 추이에 따라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연의 공격을 받기 이전까지 고조선은 심양지역을 중심으로 정가와자 유형의 후기비파형동검문화를 계승한 초기세형동검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기원전 282년 연의 공격을 받은 고조선은 연과 만번한을 경계로 삼게 되었다. 만번한이 오늘날 요하 하류유역인 영구와 개주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보아 천산산맥 이서지역이 연의 요동군에 포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조선은 연의 공격으로 중심지인 심양지역을 상실하게 되자 평양지역으로 그 중심을 옮길 수밖에 없게 되었다. 진은 전국을 통일하고 沛水=渾河를 건너 고조선을 공격하였다. 이로 인해 고조선은 연에 내속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고조선은 압록강을 진과의 경계로 삼게 되었다. 진에게 빼앗긴 천산산맥에서 압록강에 이르는 지역이 사료상에 秦故空地=秦故地라고 할 수 있다. 이후 고조선은 진한교체기의 혼란한 틈을 이용하여 한을 공격하여 진에게 빼앗겼던 浿水=渾河이동 지역을 수복하였다. This study has examined how Gojoseon’s territory was shifted, that is, a transitional process of its west side boundary circumstances of having relationships with China in 3rd to 2nd century B.C. This paper was not intended to trace how Gojoseon’s west boundary was changed with the change of times, but to identify the position of Beishui(浿水) first, which w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and examine its boundary with Yan(燕) and Qin(秦). The changes of the west boundary of Gojose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ith the change of times. Before getting attacked by Yan(燕), Gojoseon grew out of Early Narrow-shaped Bronze Dagger Culture which succeeded the Zhengjiawazi type of Late Mandolin-shaped Dagger Culture, centering on the Shenyang (沈陽) region. After Yen launched an attack against Gojoseon in 282 B.C., it came to share borders with Yen and Manfanhan(滿番汗). Considering that Manfanhan was located between Yingkou(營口) and gaizhou(蓋州), which are equal to the downstream of Liaohe(遼河) now, the western region of Qianshan mountain range(千山山脈) seems to have been included in the Liaodong district of Yan. As Gojoseon lost the Shenyang area due to such attack from Yan, Gojoseon was forced to move its capital from Shenyang area to Pyungyang(平壤). After unifying Chinese Warring-States, Qin(秦) crossed the Beishui (沛水=渾河) to conquer Gojoseon. Then, Gojoseon submitted to Yen. During this process, Gojoseon came to be bordered on the Yalu river(鴨綠江) by Qin. It is suggested that the region lost to Qin, ranging from the Qianshan mountain range to the Yalu river, was equal to Vacant Land of Qin(秦故空地=秦故地)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Afterwards, Gojoseon was successful in attacking Han(漢) to take back the east of Beishui (浿水=渾河) that was lost to Qin, taking an advantage of a political turmoil happened during a Qin-Han transition period.

      • KCI등재

        ‘고조선 문화권’의 海洋經濟에 대한 탐구

        尹明喆(Youn, Myung-Chul) 고조선단군학회 2017 고조선단군학 Vol.36 No.-

        ‘朝鮮(소위 古朝鮮)’은 한민족이 세운 최초의 始原國家이다. 하지만 자료와 유물들의 부족, 이론의 불충분으로 인하여 실체를 구체적으로 규명하지 못했다. 본고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론의 하나로서 해양경제의 한 부분을 규명하였다. 고조선이 출발하고 발전한 한반도 북부와 남만주 일대, 그리고 문화권에 속하는 공간은 해양활동과 어업활동이 활발할 수밖에 없는 공간이다. 해양은 주변의 전 지역을 연결하는 유일한 공간이며 수단이다. 또한 면적이 넓을 뿐 아니라, 해류, 계절풍, 조류, 해안선의 특성, 풍부한 유기물질로 인한 풍부한 해산물, 짧은 항해 거리 등으로 인하여 신석기 시대부터 어업 및 무역활동이 있었다. 黃海 중에서도 渤海는 일종의 小地中海的 성격을 가진 內海(inland-sea) 이므로 지역 간의 이동과 교류가 용이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강들이 흘러들어 해륙교통에 편리할 뿐 아니라 해산물들이 풍부했다. 遼東 반도 남쪽의 해양과 황해북부의 해양도 유사했으므로 해양교류 또는 무역과 어업활동이 활발했다. 이러한 증거로서 무역품목들, 어구들, 해산물 유물들이 이 지역에서 발굴된 선사시대와 고조선 유적지들에서 상당수 발견되었다. 東海의 연해주 남부 일대와 동해중부 이북 등은 고조선 문화권의 주변부에 있었다. 또한 자연환경으로 인하여 원거리 항해를 하기에는 조건이 안 좋았고, 조개채취 등 연안어업에도 부적합한 면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사시대와 고조선 시대의 유적지에서 다양한 무역품들, 다양한 漁具, 해산물의 유물 등 해양경제활동의 흔적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捕鯨業이 발달한 증거들은 암각화 및 유물 등에 구체적으로 남아있어 그 시대 해양경제의 기술적인 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단편적인 증거들 만으로서는 고조선 문화권의 해양경제의 실상을 규명할 수 없고, 해양경제가 발달했다는 주장을 하기에도 부족하다. 하지만 고조선 문화권의 경제적 실체를 규명하는 시도로서 소기의 성과는 거두었다고 판단하며 추후 작업에서 보완하고자 한다. The ‘Kingdom of Gojoseon’,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earliest nation of the Korean nationality, due to insufficient research materials and archaeological relics, the theoretical research of it is still considered as a blank space. In this paper, the author started from methodology, mainly analysis of the marine economy of the kingdom, with purpose of overcoming those shortcomings above. The economic activity area of the kingdom including the South Korean Peninsula and Northern Manchuria and therefore the fishing and hunting activities was especially developed. Sailing was the only way to connect the surrounding area, and always largely influenced by ocean currents, tidal currents and coastal features. Thi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fishery trade had been well developed during the Paleolithic Period.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oceanic characteristics both of the Yellow Sea and the Bohai Sea, considers them to be a Mediterranean in Ancient East Asia. This paper also stressed that those sea areas provided geographical conditions for the ancient fishery exchanges and diversified trades among different kingdoms. The East Sea can be examined with a surrounding area of ‘Gojoseon Civilization Circle’. A large number of original fishery sites were found here to demonstrate that the area was once an important area of fishery civilization in prehistoric times.

      • KCI등재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오현수(吳炫受)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염철론』의 ‘조선’ 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연나라의 침공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는 심양 일대였다. 이 시기에는 요동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정가와자유형의 고조선과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관계가 되면서 ‘예맥교섭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에 연나라가 침입해 오면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무너지고, 고조선의 역할을 연나라의 요동군이 대체하였다. 다음 진나라가 침공했을 시기에는 이전 연나라와는 달리 압록강 이서 지역 전반을 요동군에 포함시켜 직접 통치하였다. 이때 고조선은 청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요동 지역 예맥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다행히 진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고, 고조선은 진?한 교체라는 혼란을 틈타 요동 지역에 재진출한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는 중국 유이민 세력이 고조선 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왔다. 이들 세력중에서 위만은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여 위만조선을 개창하였다. 위만조선은 이전의 예맥교섭망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흉노와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한나라와의 마찰을 가져왔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조?한 전쟁은 한제국과 이에 맞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범 예맥계 세력 사이의 대결이었다. 결국 한나라가 최종적인 승리를 거둠에 따라 고조선의 예맥교섭망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으로 연나라?진나라?한나라의 침입에 따른 예맥교섭망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나라 침입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붕괴되고, 요동 지역의 예맥 세력은 연나라 요동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체계에 포괄되었다. 다음 진나라 침입시, 진나라의 요동군에 대한 직접 통치는 이 지역의 예맥 세력 간 상호작용력을 진나라라는 단일 체체에 완전히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한나라 침입시, 한나라는 고조선과 예맥 지역을 한사군으로 편입시켜 이를 중국 중심의 공고한 체제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맥교섭망의 변동 과정에서 위만조선의 중요한 역할을 찾아볼 수 있다. 위만조선은 예맥교섭망을 재건하였는데, 이는 이전 정가와 자유형 시기의 예맥교섭망이 경제 교류적 차원이었던 것을 뛰어넘어 정치적 연합적인 관계로까지 진행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조?한 전쟁시 위만조선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위만조선의 정치 역학적 역할은 한계가 있었다. 조?한 전쟁에서 위만조선의 패배는 집권 세력이 주위의 소국들을 예맥교섭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에 머물렀던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다. 즉 위만조선은 해당 지역에서 군현 체제와 같은 강한 정치적 합일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예맥교섭망은 시기적 조류에 따라 얼마든지 붕괴될 수 있는 느슨한 통합체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예맥교섭망의 체계속에서 이후 부여와 고구려 및 옥저가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 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various times whenever Chinese powers invaded. At first, Zhengjiawazi-typeculture’s Go-Joseon encompassed indigenous forces and formed the trade system called the Weimo-trade-network(濊貊交涉網), in the Liaodong(遼東) area before the invasions by the Yan state. However, when the Yan state invaded Go-Joseon in the 4th century B.C., the Weimo-trade-network centering on Go-Joseon collapsed and the Liaodong commandery of the Yan state took over the role of Go-Joseon in the Liaodong area. Then, when the Qin empire invaded Go-Joseon, she forced the inclusion of the west side of the Amnok(鴨綠) river with the Liaodong commandery and ruled over it. Finally, when Go-Joseon was destroyed by the Han empire, the "Weimo-trade-network" trade system completely collap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