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80년대 아파트 이름과 아파트 외벽 글자 레터링의 조형적 특징

        정재완 ( Jeong Jae W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아파트 외벽 글자는 거리 글자의 한 부분이다. 거리 글자 연구는 도시―인간―문자가 공존하는 타이포그래피의 생태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글자 레터링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고 타이포그래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거리 글자 연구의 학술적 가능성을 제안하고 타이포그래피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1970-80년대에 지어진 아파트의 외벽 글자 레터링이다. 3장에서는 아파트 이름의 사회적 함의를 살펴봤으며, 4장에서는 이것을 시각화한 아파트 외벽 글자 레터링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했다. 연구자는 아파트 이름이 담고 있는 사회적 함의를 ① 욕망의 기호, ② 위치 좌표, ③ 교환 가치, ④ 자연 친화, ⑤ 스펙터클의 구호 등으로 분류했다. 1970-80년대 아파트 이름을 통해 도시화, 서구화를 달성한 경제 부흥과 도시민의 긍정적 희망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시골과 도시를 이분법으로 구분했던 당시 정부의 성장 위주 부동산 정책과 맞물려 있으며, 한국의 아파트가 개인에게는 신분 상승과 환금의 실물이었음을 보여준다. 아파트 이름은 이러한 당시의 사회적 함의를 함축하고 있었다. 아파트 글자 레터링의 조형적 특징을 ① 부리, ② 둥근 민부리, ③ 각진 민부리, ④ 테두리, ⑤ 입체, ⑥ 그림, ⑦ 장식으로 분류했다. 아파트 외벽 글자 레터링은 1950~60년대 거리 간판에서 흔히 보이는 굵은 붓글씨들과 비슷하게 `써진` 글자도 있고, 납작한 페인트 붓으로 `그려진` 글자들도 있다. 글자의 형태는 제작의 용이성과 함께 재료와 제작 환경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또 1970년대부터 레터링 전문가가 활약하여 표현 의도를 담아낸 계획적인 글자 레터링도 등장한다. 아파트의 시각적 정체성을 뚜렷하게 만들어가고자 하는 디자인도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글자들은 정방형을 벗어난 탈네모의 형태도 보인다. 특히 그림 글자와 장식 글자에서는 이름의 느낌이 글자 형태에서 시각화되어 나타난다. 의미와 형태의 관계가 직접적으로 드러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당시 표준화된 활자의 제약을 벗어나 추상적/구상적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개성이 담긴 한글의 형태를 실험한 것들이다. 이것은 한글의 이미지성을 관찰할 수 있는 사례이다. 이에 연구자는 1970-80년대 아파트 외벽 글자 레터링의 타이포그래피 의미가 `언어 담론`의 한글에서 `시각 담론`의 한글로 확장된 것이라고 보았다. Apartment letters are a part of street letters. Street letter studies focus on the coexistene of city, human beings and letters in terms of typographic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typographic meaning of apartment letters,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academic values of streetletter studies and broading the spectrum of typography studies. In addition, the paper raises the necessity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typography studies. In this study, apartment letters of the apartment buildings constructed in the 1970s and 80s were examined. In chapter three, the social implications of apartment names were examined, followed by chapter four, in which the letterforms of the apartment letters were investigated. The social implications of the apartment letters were classified into signs of desire, location coordinates, exchange values, nature friendly concept and finally, slogans of spectacle. The names of apartment buildings of 1970s and 80s were the positive spirit of economic growth of urbanization and westernization. Besides, the letterforms were categorised into paint brush, round gothic, square gothic, outlined, three-dimensional, illustrative and ornamental ones. There were various kinds of letters written with calligraphic characteristics or painted with paint brushes. Letters painted with wide bruch strokes seemed to the be result of easy application, availability of material and production environment. A number of letterings could be observed due to the rise of letterers in the 1970s. There were also a group of illustrative and ornamental letterings to make the identity of the aparment buildings clear. Meanwhile, out-of-square letters also appeared. As observed, apartment letters themselves were a platform of unique expressive Hanguel letterings, breaking the boundaries of standardized typeface design. In conclusion, the paper views apartment letters written and painted on apartment blocks built in Korea in the 1970s and 80s in terms of visual design perspective.

      • KCI등재

        한글의 ‘글자-소리 체계성’ 수량화의 방법과 의미

        지하나 한글학회 2023 한글 Vol.- No.340

        한글의 소리와 문자 사이의 체계적 관계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관계가 ‘얼마나’ 체계적인지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한글의 글자와 소리 사이의 체계적 관계를 수량화하고 다른 철자법들과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한글의 모든 음소 사이의 거리와 그에 해당하는 글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한글 음소는 조음위치와 조음방식에 따라 2진법의 벡터로 변환되었으며 그 벡터들 사이의 거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한글 글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두 글자가 공유하는 획의 비율을 계산하는 방식과 두 글자를 이미지로 처리하여 그 유사도를 수량화 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비슷한 소리가 비슷한 글자를 갖는다는 한글의 특성을 수치화 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다른 철자체계와 비교하여 한글이 갖는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어와 한글의 연구 방향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남성작가의 가부장적 전략: 『주홍글자』(The Scarlet Letter)와 『매기: 길 위의 소녀』(Maggie: A Girl of the Street)를 중심으로

        손병용 ( Son¸ Byung Yong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3 영어권문화연구 Vol.6 No.2

        The works of male writers have been written to inject male dominant conventions and customs to readers. Accoding to Simone de Beauvoir, the image of woman represented by male writers is everything that man desires and fears. Therefore, the images of women in the fictions are distorted as the males demand and desire. The strategies of them are performed very confidentially. The writers tend to expose their ideas broadly that the females also have their own identity and will. However, the hidden aspects of the works have more crucial intention to control and organize typical object secretly. Therefore, I observe and examine the two works written by male writers, Scarlet Letter by Nathaniel Hawthorne and Maggie: A Girl of the Streets by Stephen Crane to conclude that they also tried to keep and confirm male dominated feminity.

      • KCI등재

        한국인과 외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읽기과정 중 도약과 회귀 비교 -시선추적 기법(Eye-tracking)을 활용하여-

        김현진 이중언어학회 2015 이중언어학 Vol.61 No.-

        Hyunjin Kim. 2015.12.31. Comparison of Saccade and Regression between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during Reading Process-Utilizing Eye-tracking Technology-. Bilingual Research 61, 67-9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differences on eye fixation, saccade, and regression between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during a reading process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To comprehend the reading process between two groups, the need for precise and scientifically quantified data was evident. By using eye-tracking devices, the following was discovered.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on number of eye fixation was determined. The number of eye fixation for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was 66 and 114.3,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Koreans automated eye movements, instead of fixation, during the reading process. Second, the following was measured between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total saccade length, saccade counts average, saccade length average, and the number of saccade letters. Total saccade length and saccade counts average were higher for the advanced non-Korean learners, but this is because the task took longer to complete for the non-Koreans. Saccade length average for the Koreans was 181.5px, while that for the non-Koreans was 143.8px. After converting the pixels to number of letters, the Koreans saccade 8 to 9 letters, while the non-Koreans saccade 6 to 7 letters, which corresponded to the result from Rayner(1997). Third, regression counts and regression rate average of the Area of Interests(AOIs) for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were investigated, and regression rate average for the non-Koreans(14.2 times)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Koreans(11.4 times). However, after investigating regression rate average between the groups, the Koreans(17.2%) showed higher rate than the non-Koreans(14.6%). Hence, Koreans showed smaller saccade counts average and regression counts, indicating that Koreans ha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Ewha Womans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