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개념사의 이론적 탐색에 대한 고찰과 전망

        송인재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0 No.-

        The Korean Conceptual History started with the aim of reading the modernity of Korea newly and solving the academic confusion and regional conflicts by conceptual studies. Early the role model of Korean Conceptual History was German Conceptual History. Korean Conceptual History searched for his own way of being different from Germany in the aspects of place, material, theory. Conceptual History secures East Asian horizons in two aspects. On the one hand, the concept of modern China and Japan historically became the context of the modern Korean concept.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Conceptual History of China and Japan is a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partner of Korean Conceptual History. Digital Humanities can contribute to conceptual history through the advantage of the method of Big data analytics. Furthermore, it can build an open system that provides the basis for improved recall and innovation in research. The theoretical exploration of Korean Conceptual History has been through reflection on precedents, diverse self-conquest efforts, and methodological innovation through Digital Humanities. Through this, the identity, tasks, and prospects of Korean Conceptual History are getting clearer. 한국 개념사는 개념으로 한국의 근대를 새롭게 독해하고 학문적 혼란과 지역적 갈등을 해결하겠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초기 한국 개념사의 롤모델은 사회사적 전통 위에서 언어를 역사연구의 분석단위로 설정하면서 형성된 독일 개념사였다. 한국 개념사는 동아시아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자각, 일상사와 문화사에 대한 주목, 독일 개념사 이론과 성과에 대한 성찰을 통해 독일과 구분되는 진로를 탐색했다. 개념사는 두 가지 측면에서 동아시아적 지평을 확보한다. 한편으로는 역사적으로 근대 중국, 일본의 개념이 근대 한국 개념의 컨텍스트가 된다. 다른 한편으로 현재 수행되는 중국, 일본의 개념사가 한국 개념사의 협력과 소통 파트너가 된다. 디지털인문학은 장기간 축적된 다량의 텍스트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으로 개념사와 결합한다. 아울러 연구의 재현율 향상과 혁신의 토대를 제공하는 열린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개념사에 기여한다. 한국 개념사의 이론적 탐색은 선례에 대한 성찰, 다각적인 자기맥락 확보 노력, 디지털인문학을 통한 방법론적 혁신을 거쳤다. 이를 통해 한국 개념사 정체성과 과제, 전망은 점점 선명해지고 있다.

      • 프랑스의 역사 연구와 개념사

        고원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1 No.1

        프랑스 역사가들은 개념사에 별다른 흥미를 보이지 않았다. 프랑스 역사가들 스스로가 프랑스에는 독일이나 영국과 같은 개념사 연구의 조류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언할 정도로 프랑스 역사학은 개념사에 무관심했다. 왜 프랑스 역사가들은 개념사에 관심을 갖지 않았을까? 언뜻 보기에 프랑스 역사학은 개념사가 발전하기 위한 유리한 여건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사, 비사건사 등 독일 개념사의 주요한 이론적 전제들을 공유하고 있었고, 무엇보다 개념사의 이론적 토대 가운데 핵심 축을 구성하고 있는 언어의 역사적 연구에 대한 문제 설정이 프랑스 역사가들 사이에서 충분히 확산되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념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이유는 구조주의의 영향 때문이었다. 1950년대와 70년대 프랑스에서는 역사학과 구조주의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로 생겨난 프랑스 역사학의 실증주의적 특성은 해석학적전통에 기반하는 개념사가 들어설 여지를 완전히 제거해 버렸고, 언어의 역사적 연구에 대한 요구는 실증주의적 담론 분석으로 해소되었다. 그렇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프랑스 역사학은 실증주의적 횐상에서 깨어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정치사상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개념의 역사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게 된다. 특히 마르크스주의계열의 학자들 가운데 일부는 자신의 작업에 개념사 연구를 활용하기 시작한다. 물론 이들의 연구는 독일의 개념사와는 다른 문제설정과 다른 지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독일과 프랑스 사이의 상이한 역사적 조건을 고려한다면 아주 당연한 모습일 것이다. For a long time, French historians took little or no interest in conceptual history, openly asserting: “there are not veritably currents of conceptual history in France.” So, why were they indifferent to this new German historiography? France outwardly had good circumstances to ensure its adoption of such a conceptual history: important elements of this historiography, such as social history, histoire non-evenementielle-especially the historical analysis of language-also held interest for French historians. But, they did not introduce a conceptual history, owing to the influence of structuralism. In the 1960s and 70's, French history joined the current of structuralism, an encounter which ensured the positivism of French history. In other words, a positivist history did not leave any room for the introduction of a conceptual history founded on hermeneutics. It was the analysis of discourse that appeared to reply in a positivist way to a requirement of the historical analysis of language. Subsequently, French history would awake from the illusion of positivism, in the 1980's, and it was then that it began to display an interest in conceptual history. Nevertheless, French conceptual history differed from German history, which was a matter of course, if we consider the dissimilar historical conditions of France and Germany.

      • KCI등재후보

        한국 개념사 연구의 모색과 논점

        양일모 ( Ii Mo Yang ) 한림과학원 2011 개념과 소통 Vol.0 No.8

        21세기에 들어와 동아시아 각 지역에 유럽에서 기원한 개념사가 거의 동시에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중국에서는 개혁개방과 함께 찾아온 새로운 역사관의 요청으로 개념사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이에 대한 근본적 비판도 적지 않다. 일본에서는 자국의 사상사 연구의 전통 위에서 개념사 연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일본의 근대적 사유 체제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지난 세기에 서양을 수용하는 데 뒤처졌다고 평가되던 한국이 개념사를 둘러싼 논의에서는 중국과 일본에 비해 보다 활기를 띠고 있다. 그만큼 한국의 근대가 유럽과는 달리, 중국과 일본과도 달리 개념 연구 혹은 개념사적 방법을 통해 근대를 성찰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서양의 근대와 동아시아의 전통이 여전히 경합하고 있는 한국에서 개념사 연구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인식론적 방법론적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 ``방법``으로서의 개념사: 개념사가 단지 서양 이론의 수용에 멈추지 않기 위해서는 유럽의 다양한 개념사 연구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의 근대가 지닐 수 있는 또 다른 특질, 서양 또는 중국과 일본의 영향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 속에서 생성된 근대적 개념의 의미론적 투쟁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2. ``의미``로서의 개념사: 한국의 근대 개념은 중국이나 일본의 번역을 경유하여 수용됨으로써 번역의 부재라는 특성을 지니지만, 번역이 필요로 하지않았던 문화적 전통과 연계하여 번역 없는 번역된 근대가 지니는 의미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3. ``소통``으로서의 개념사: 한국의 개념사 연구는 자국의 정체성의 확립을 위한 근대적 기획을 넘어서, 지난 세기 세계사적 모순 속에서 야기된 동아시아의 갈등과 충돌을 직시하면서, 이 지역에서 경제와 정치적 통합을 넘어선, 상생과 소통을 위한 새로운 인문학적 패러다임의 모색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Recently, intellectual circles in East Asia, nearly at the same time, began to discuss the conceptual history study having emerging in German and England. Conceptual history is now underway in China to meet demand for a new history, yet there is not a little criticism against it. Japan accom-modated some part of conceptual history on the basis of its own tradition of the intellectual history, calling on itself to reflect on its own modern system of ideas. Discussion over conceptual history is rather active in Korea, that is considered to fall behind in accepting the West in the last century. In Korea, where the Western modernity and the East Asian tradition are still competing each other, discussion about conceptual history has to take the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in the following into consideration to lead to meaningful results. 1. Conceptual History as ``Method``: It is necessary to incoporate a variety of conceptual history in Europe into Korean conceptual history not to end into the mere acceptance of the Western theory. It has to grope for its own modernity, unlike not only the West but also even other nations in East Asia. Therefore it could be said to pay attentions to semantical struggle caused by the Korean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 besides the impact of the West, China, Japan. 2. Conceptual History as ``Historical Meaning``: Modern Korean language has a tendency of absence of translation in its nature since it was accepted by way of Chinese or Japanese translation.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for us to focus on social practice and formation of discourse in this conditions. 3. Conceptual History as ``Communication``: Korean conceptual history has to face up to the East Asian reality of conflict and collision brought by the World-historical contradiction of the last century, and positively contribute to a new humanistic paradigm for mutual prosperity and intercommunication, which should go beyond simple economic and political combinations.

      • 프랑스의 역사 연구와 개념사

        고원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0 No.1

        For a long time, French historians took little or no interest in conceptual history,openly asserting: “there are not veritably currents of conceptual history in France.”So, why were they indifferent to this new German historiography? France outwardlyhad good circumstances to ensure its adoption of such a conceptual history:important elements of this historiography, such as social history, histoire nonévénementielle—especially the historical analysis of language—also held interest forFrench historians. But, they did not introduce a conceptual history, owing to theinfluence of structuralism. In the 1960s and ’70’s, French history joined the current ofstructuralism, an encounter which ensured the positivism of French history. In otherwords, a positivist history did not leave any room for the introduction of a conceptualhistory founded on hermeneutics. It was the analysis of discourse that appeared toreply in a positivist way to a requirement of the historical analysis of language. Subsequently, French history would awake from the illusion of positivism, in the1980’s, and it was then that it began to display an interest in conceptual history. Nevertheless, French conceptual history differed from German history, which was amatter of course, if we consider the dissimilar historical conditions of France andGermany. 프랑스 역사가들은 개념사에 별다른 흥미를 보이지 않았다. 프랑스 역사가들 스스로가“프랑스에는 독일이나 영국과 같은 개념사 연구의 조류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언할 정도로 프랑스 역사학은 개념사에 무관심했다. 왜 프랑스 역사가들은 개념사에 관심을 갖지 않았을까? 언뜻 보기에 프랑스 역사학은 개념사가 발전하기 위한 유리한 여건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사, 비사건사 등 독일 개념사의 주요한 이론적전제들을 공유하고 있었고, 무엇보다 개념사의 이론적 토대 가운데 핵심 축을 구성하고 있는 언어의 역사적 연구에 대한 문제 설정이 프랑스 역사가들 사이에서 충분히 확산되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념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이유는 구조주의의 영향 때문이었다. 1960년대와 70년대 프랑스에서는 역사학과 구조주의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로 생겨난 프랑스 역사학의 실증주의적 특성은 해석학적전통에 기반하는 개념사가 들어설 여지를 완전히 제거해 버렸고, 언어의 역사적 연구에 대한 요구는 실증주의적 담론 분석으로 해소되었다. 그렇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프랑스 역사학은 실증주의적 환상에서 깨어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정치사상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개념의 역사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게 된다. 특히 마르크스주의계열의 학자들 가운데 일부는 자신의 작업에 개념사 연구를 활용하기 시작한다. 물론 이들의 연구는 독일의 개념사와는 다른 문제설정과 다른 지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독일과 프랑스 사이의 상이한 역사적 조건을 고려한다면 아주 당연한 모습일 것이다.

      • KCI등재후보

        『철학 역사사전』과 『역사적 기본개념』의 비교 고찰 -자유 항목을 중심으로-

        이상명 ( Sang Myung Lee ) 한림과학원 2011 개념과 소통 Vol.0 No.8

        독일 개념사 연구의 대표적인 산물로 알려진 코젤렉의 『역사적 기본개념』과 철학 영역에서 개념사 사전으로 알려져 있는 『철학 역사사전』을 비교 고찰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그리고 두 사전의 비교를 통해 사전의 기획 단계에서 편집자들이 개념사 방법론에 대해서 어떤 입장을 가졌는지를 살펴본다. 철학적 개념사 연구의 성과물로 알려진 『철학 역사사전』은 알려진 것과는 달리 개념사 방법론을 수용하는 데 부정적이었다. 개념사가 철학 개념을 해명하는 데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코젤렉의 『역사적 기본개념』은 역사를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는 역사철학적 이해를 토대로 개념사 연구를 실행한 큰 성과물이다. 두 사전의 차이는 실상 구체적 사례로 살펴본 자유 항목에서도 나타난다. 즉 『철학 역사사전』은 자유 항목을 철학적으로만 다루고 있고, 『역사적 기본개념』은 정치, 사회적으로만 다루고 있다. 개념사 연구의 중요한 성과물이라기보다는 개념 연구의 중요한 성과물로서 두 사전은 개념사 방법론의 적용에 개념에 대한 역사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he comparison between Historical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Koselleck`s Historical Basic Concept : the former is known as a concept-historical dictionary in philosophical area and the latter is a representative product of the concept-historical research in German. And through this comparison I will attempt to examine, in what position the editors are on the history of concept as methodology in the planning stage. Historical Dictionary of Philosophy is known as the result of the concept-historical research in philosophical area, but contrary to this recognition it is negative for acceptance of that history of concept as methodology. For it is not appropriate for explication of philosophical concepts. On the other hand Koselleck`s Historical Basic Concept : is the great product, that conduct concept-historical research on foundation of a history-philosophical understanding, that man can understand history through concepts. This difference of two dictionaries appears in fact in case of the article ``freedom``: the article ``freedom`` is treated only philosophical in Historical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only political and social in Historical Basic Concept : This two dictionaries as the important results of concept research, not of concept-historical research imply that the concept research should be preceded in the application of the history of concept as methodology.

      • KCI등재

        동아시아 개념사와 디지털인문학의 만남

        송인재 ( Injae Song ) 한림과학원 2016 개념과 소통 Vol.0 No.18

        최근 한국 학계에서 디지털인문학이 새로운 경향으로 부상하고 있다. 2012년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한 후 2014년부터 디지털인문학이 정부지원사업의 항목으로 지정되었으며, 전국단위 학술행사에서 디지털인문학을 다루는 횟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기존의 관심 대부분은 연구 성과를 콘텐츠로 가공해서 대중화하는 작업, 디지털시대에 발맞춘 교육과정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것과 차별화되는 사례로 대만의 디지털인문학은 연구의 설계와 과정에서 방법론적으로 디지털기술을 활용하는 연구에 중점을 둔다. 한편 본질적으로 디지털인문학의 방법은 개념사연구와 친화성을 지닌다. 언어분석을 통해 개념의 형성과 변천을 거시적으로 조망하는 개념사 연구에 디지털인문학의 언어정보분석과 빅데이터분석이 그 성격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인문학은 개념사 연구의 혁신을 성취하는 계기가 된다. 한국과 대만의 개념사 연구자들은 이미 상당 기간 개념사와 디지털인문학의 결합이 갖는 긍정적 의미에 공감하고 장기적 전망 속에서 지속 발전과 협력을 도모해 왔다. 한국에서 디지털인문학과 개념사의 결합은 디지털인문학의 외연을 기존의 문화/ 인문콘텐츠, 자료전산화, 디지털인문학 교육에서 연구 혁신 분야로 확장한다는 의미도 갖는다. 궁극적으로 개념사와 디지털인문학의 결합은 개념사와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모두에게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된다. Recently, the Digital Humanities (DH) have arisen as a new trend in Korean academic studies, starting from 2012, when the Korean Government launched a DH project. The focus of these efforts has been in the cultural sphere, transforming our understanding of the achievements of the humanities b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DH has also flourished in Taiwan, where digital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all kinds of research processes, and in particular to conceptual history, which has a natural affinity with DH. The main methods of conceptual history, language analysis and macro-analysis, are closely related to the analysis of linguistic information and big data investigated by DH. Conceptual history researchers in both Korea and Taiwan have already found the combination of conceptual history and DH to be a fruitful partnership which shows long-term potential. This combination also promises to help enlarge the area to which DH is applied in Korea, by examining cultural content through digitizing texts and constructing databases; and DH education should provide a spur to innovation in academic research. Ultimately it is hoped that the combination of conceptual history and DH can raise the profile of both fields.

      • KCI등재후보

        특집 : 한국 개념사 연구, 무엇이 문제인가 : 지나간 미래와 오지 않은 과거 -코젤렉과 개념사 연구 방법론-

        황정아 ( Jung A Hwang ) 한림과학원 2014 개념과 소통 Vol.0 No.13

        한국 개념사 연구는 그간 동아시아의 근대를 적절히 해명할 독자적인 개념사 연구방법론을 모색해 왔으며 이 과정에서 핵심적으로 제기되는 물음은 개념 사의 개척자로 알려진 라인하르트 코젤렉의 이론을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어 떻게 ‘번역’할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 이 논문은 먼저 코젤렉의 개념사가 실제 로 수행하는 바가 근대에 대한 역사적 이해라는 데 초점을 두고 근대라는 시 대 구분을 둘러싼 이론적 논란을 살펴본다. 이어 하이데거나 벤야민의 근대 에 관한 사유와 비교하면서 코젤렉이 개념사에서 근대를 묘사한 태도가 근본 적으로 근대주의의 지평에 머물러 있음을 고찰한다. 그런 점에서 한국 개념 사가 독자적인 방법론을 갖기 위해서는 근대 역사를 이미 완결된 ‘지나간 미 래’로 이해하는 대신 ‘오지 않은 과거’의 실패가 갖는 가능성을 소급적으로 해 석하는 ‘근대 다시 쓰기’의 작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Korean conceptual history research has been seeking a methodology which properly addresses modernity and the ‘modern’ in East Asia, and one of the key questions encountered in this effort has been how to ‘translate’ Reinhart Koselleck’s theory. Considering that Koselleck actually used his conceptual history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modern period, this paper first examines some theoretical problems concerning the historical periodization of his theory and then attempts to show that Koselleck’s conceptual history remains essentially within the typically modernist semantic horizon, which can be seen by comparing Koselleck’s thinking on the modern with that of Marin Heidegger and Walter Benjamin. Thus,Korean conceptual history research needs to create its own methodology by retrospectively rewriting modern history in terms of potential ‘pasts that never came’, rather than following Koselleck’s approach which sees history as the completion of the ‘futures of the past’.

      • KCI등재후보

        특집 : 개념사의 아론 지평 ; "근대"의 의미론 -라인하르트 코젤렉(Reinhart Koselleck)과 한스 블루멘베르크(Hans Blumenberg)-

        박근갑 ( Geun Gab Bak ) 한림과학원 2012 개념과 소통 Vol.0 No.9

        해석학의 전통을 비판적으로 이어받은 역사적 의미론은 ``근대``를 하나의 시간단위로 파악한다. 그러면서 그것은 근대성 의식의 역사성을 하나의 특정한 세계 상황의 표현으로 성찰함으로써 언어적으로 구성된 근대의 증거들을 밝힌다. 역사적 의미론이 시간경험들의 언어적 구성을 탐색한다는 점에서, 그 과제는 개념사의 방법과 다를 바 없다. 독일어 개념사전을 이끌었던 라인하르트 코젤렉의 개념사 기획이 모범사례이다. 그가 이해하는 개념사는 시대적 변화를 신호하는 동시에 그것을 이끄는 ``중심개념들의 의미론``이다. 이러한 방법론의 전제에서 사전 항목들의 중심에는 ``스스로 가속하는`` 시간을 지시하는 전망개념들이 자리한다. 이를테면 역사, 진보, 혁명, 공화제, 민주주의, 시민사회, 헌법, 자유주의 등이 곧 그것이다. 이러한 정치적·사회적 개념들은 그 가운데 작동하는 운동성과 가속성의 요소들을 통해 새로운 의미론을 얻었다. 이로써 ``근대``의 역사서술은 방법의 공간을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인식론의 영역에서 자기성찰의 계기를 얻었다. 이러한 근대적 개념들은 미래로 향한 운동지향성을 표출하면서도 전통적 요소들을 상당 부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이중성은 어떻게 해명될 수 있을까? 개념사의 방법은 이 질문에 제대로 대답하지 못한다는 결함을 지니고 있다. 이맥락에서 개념사의 명제들을 보완하는 은유법에 주목할 만하다. 은유는 개념처럼 하나의 지표로 작용하는 역사적 증언이다. 그러면서 그것은 개념의 자산보다도 더 원초적인 의미를 전달한다. 그 방법은 곧 한 시대의 이념이나 정치행위의 밑바탕에 축적된 상징체계에 알맞다. 이로부터 은유의 역사는 ``개념형성의 앞마당``에서 규정되지 않은 채 임시적으로 존재하는 의미의 구성요소에 가까이 갈 수 있다. 한 사회가 계몽의 시간을 보다 늦게 경험할수록 근대적 개념형성의 저변에 보다 많은 전통요소가 잔존한다고 보면, 은유의 의미지평은 보다 생생하고 원초적인 역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바탕에서 개념사와 은유학의 명제들이 서로 보완하면서 긴장관계에 선다면, 거기로부터 새로운 발견적 예견이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historical semantics which succeeds to the hermeneutic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recognizes ``Neuzeit`` as a temporal unit. Considering the historicity of modern consciousness as expressive of some specific conditions of the world, the historical semantics reveals the proofs of ``Neuzeit`` which is linguistically constructed. Its task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onceptual history in that it also explores the linguistic construction of temporal experiences. Reinhart Koselleck`s project of conceptual history provides a model for us. He regards conceptual history as ``a semantics of main concepts`` both signalling and leading the changes of the times. This methodological premise renders prominent the prospective concepts referring to time which is ``accelerating of its own accord`` in the selection of the items for the dictionary; for example, concepts like history, progress, revolution, republicanism, democracy, civil society, constitution, liberalism, etc. These political and social concepts come to gain new semantics from the elements of mobility and accelerating nature inherent in them. As a result, the historical presentation of ``Neuzeit`` not only extends its methodo- logical scope but also acquires a chance of self-examination in its epistemology. These modern concepts show an orientation toward the future but include some traditional elements at the same time. How is this double- sidedness to be explained? Conceptual history does not answer this question quite well. Metaphor is worthy of notice in this context, which can supplement the propositions of conceptual history. Metaphor is a historical testimony which, like concepts, can act as an index. Indeed, it can deliver meanings more primitive than those of concepts. The study of metaphor is appropriate for the symbolic system which underlies some ideology of the period or political act. The history of metaphor can bring us one step closer to the constituents of meaning existing as temporary and unspecified in ``the front yard of conceptual formation``. The more a society falls behind in going through enlightenment ― eventually, many traditional elements underlie the formation of modern concepts in it ― the more vivid and primitive the history the semantic horizon of metaphor can offer becomes. When conceptual history and the propositions of metaphorical study supplement each other and maintain their strained relations at the same time, some new heuristic foresight will show itself from the combination.

      • KCI등재후보

        연구 논문 : 개념사의 학문적 구성과 사전적 기획 사이에서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을 중심으로-

        이진일 ( Jin Il Lee ) 한림과학원 2011 개념과 소통 Vol.0 No.7

        개념은 우리가 일상에서 드러내는 언술을 통해 나타나지만, 그 속에는 한 시대의 경험과 입장이 녹아 있으며, 처음 만들어진 이래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해 왔다. 이에 따라 연구는 언어나 명칭이 갖고 있는 고유의 의미론적 역사를 추적하는 일과 그 대상이 만들어져 실제로 진행된 역사의 탐구 사이를 왕복하는 일이 된다. 즉 개념사 연구란 한 개념이 겪는 진행사(Sachgeschichte)와 의미사(Bedeutungsgeschichte)를 통시적(diachron) 차원과 공시적(synchron) 차원을 함께 엮어 내어 재구성하는 시도이다. 근대의 정치-사회적 기본개념을 정리하여 사전으로 출간하는 계획은, 1963년 오토 브룬너, 베르너 콘쩨, 라인하르트 코젤렉 등 하이델베르크 대학 역사학부의 ``근대 사회사 연구모임``(Arbeitskreis fur Moderne Sozialgeschichte)이 중심이 되어 시작되었다. 사전기획의 기본의도는 "유럽의 과거로부터 우리의 오늘날까지 걸쳐 내려오면서 근대로의 전환을 증언하고, 이를 규정하거나 이들 의미내용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 적응하고, 그런 한에서 그 의미들이 변화되는 그런 개념들을 파악하는 일에 둔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첫 성과물인 제1권이 출간된 1972년 이래, 25년이 지난 1997년, 마침내 모든 기획이 종료된다. 18세기 중반부터 개념의 고전적 지형에 근본적인 의미변화가 진행되었고, 옛 단어들은 새로운 의미내용을 얻게 되었으며, 그 이후 궁극적으로 모든 개념들은 새로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 자연과 역사, 세계와 시간에 대한 변화된 관계, 즉 ``근대(Moderne)``의 시작이 그것이었다. 이 시기를 코젤렉은 ``자텔차이트(Sattelzeit)``로 표현하였다. 최근 한림대에서 번역 출간된 일련의 개념사 사전 시리즈 중에서 코젤렉의 ``자텔차이트``라는 가정을 가장 충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은 단연 ``진보``(2010)와 ``문명과 문화``(2010)이다. In the last few years, a number of German historians have become aware of ``History of Concepts``(Begriffsgeschichte). Modern ``History of Concepts`` emerged in contrast to a history of events and politics, which oriented merely toward a chronological series of events. Its most influential advocate are Otto Brunner, Werner Conze and Reinhart Koselleck in Germany. They edited the Historisches Lexikon, consist of 6 Volumes with articles on ca. 120 ``Grundbegriffe`` from 1972 to 1997, nearly a quarter century. In them was Reinhart Koselleck the most exponent and pioneer of this school. He studies a methodology of historical concepts, whose major work combines intellectual and institutional history. In his programmatic introduction, Koselleck defines the subject of the Lexicon as "leading concepts of historical movements which, in the course of time, are the subject of historical research". Begriffsgeschichte deals with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interpretation of words and lead concepts of historical movement. His central concept is the change and progress of modernity through the ``Sattelzeit``. These hypotheses are merely heuristic anticipations. Koselleck characterized in this concept sometime between 1750 and 1850, a modern phase, which the European begins to transform the society, to develop the technology revolutionary. This period achieves cultural renaissance and most important meanings especially of those ``History of Concepts``. We can verify Koselleck`s hypotheses clearly through the Begriffsgeschichte of ``progress`` or ``culture/civilization``.

      • KCI등재후보

        특집 : 개념사의 아론 지평 ; 개념사 연구: 역사서술과 언어학의 상호작용 -구조의미론, 원형의미론 및 텍스트언어학을 중심으로-

        박여성 ( Yo Song Park ) 한림과학원 2012 개념과 소통 Vol.0 No.9

        역사적 사고에 일반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은 자연법칙이 아니라 의미론이라고 선언한 카시러(E. Cassirer)의 입장은 ``개념``을 문화사적 연관관계의 대변자로 간주하는 공식이다. 이에 개념사 연구와 역사의미론은, 개념을 어휘적 의미(lexikalische Bedeutung)와 더불어 역사적 현실에서 유래하는 여러 성분의 응축물로서 역사 발전의 지표(Indikatoren)이자 요인(Faktoren)으로 관찰하여 특정한 시대의 역사적·사회적 지식을 재구성하는 일에 매진해 왔다. 1970년대 역사학에 나타난 언어학적 전회(linguistic turn), 특히 낱말밭 이론(Wort-feldtheorie)과 구조의미론(Strukturelle Semantik)이라는 방법론적 출발점은 오늘날 기호학(Semiotik), 텍스트언어학(Textlinguistik)과 화행론(Sprechakttheorie)의 이론소까지 섭취하면서 확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호학적 전체성의 시각에서 기본개념들(Grundbegriffe)의 단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코드값(Code-Wert)을 규명하는 의미론(Semantik: 개념밭), 통합체(Paradigma) 속에서 단위들의 문맥 가치를 규명하는 통사론(Syntax/Syntaktik) 그리고 텍스트와 텍스트종류(Textsorten)의 층위에서 텍스트성(Textualitat)과 발화수반행위(Illokution)를 판정하는 화용론(Pragmatik)의 원근법에 비추어 역사적 기본개념을 연구하는 언어학적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향후의 과제로서 주목할 부분은 한편으로 주체가 ``기의``를 지각하는 과정에서 활성화되는 인지-틀(Frame)과 원형(原型, Prototypen)이며, 다른 한편으로 개념사 연구에서 거의 주목하지 않았던 빌레펠트 사회학파의 거두 루만(N. Luh-mann, 1927∼1998)이 정립한 체계이론(Systemtheorie)의 함의이다. 특히 사회적 체계들의 독립분화(Ausdifferenzierung sozialer Systeme)를 작동시키는 "차이의 동일성(Einheit der Differenz)"은 ``기본개념``의 설정에 의미심장한 단서를 제공한다. 언어학과 역사학이라는 얼핏 이질적으로 보이는 분과를 학제적 의제로 결집시켜 온 개념사 연구는 이론과 실제 양면에서 역사전개의 역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Cassirer`s viewpoint, the common basis for historical thinking should lie in Semantics, rather than in the laws of nature. In this respect, `` Begriffsgeschichte`` and Historical Semantics consider Begriffe as lexical meanings, as well as representatives of various components derived from historical realities, and, finally observe them as indicators and factors of social change and of knowledge of particular eras(e. g.: Sattelzeit: 1750∼ 1870). Starting with a linguistic turn of Historical Science in the 1970s, especially with the theory of the Lexical Field( Wortfeldtheorie) and of Structural Semantics( Strukturelle Semantik, E. Coseriu & F. Rastier), research into Conceptual History is now taking advantage of adjacent disciplines, such as Semiotics, Prototype-Semantics, Text-Linguistics and Speech-Act Theory. In this paper, in accordance with semiotic holistics, we put ``Basic- Concepts``( Grundbegriffe) on the level of semantics, in order to decide the value of conceptual-units; on the level of syntactics, to identify the code-meanings in proper syntagmatic relations; finally, on the level of pragmatics, to evaluate the illocutionary characteristics of text-genres in the layers of discourse and intertextuality, even important to perceive the process of cognition activated by Prototype in certain conceptual frames. Noting the challenges of the future as a task of Conceptual Historiography, we would like to emphasize the Systems-theory(Systemtheorie) by Niklas Luhmann(1927∼1998), pioneer of the Bielefeld School in Germany, to whom historians have paid unjustly little attention. In particular, the notion of ``differentiation of social systems``( Ausdifferenzierung sozialer Systeme), which operates on the basis of ``the equality of difference``( Einheit der Differenz), will provide decisive clues for further consideration. These approaches, at first glance, appear to be heterogeneous, but this interdisciplinary agenda will be able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for Historiography, on conceptual dynam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