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암 이삼만, 工拙을 벗어난 서예

        이성배(Lee, Sung-Bae) 한국서예학회 2007 서예학연구 Vol.11 No.-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and Changma, Samman Lee's calligraphy by dividing calligraphy into schools of rational and emotional calligraphy. This approach helps to provide a more various and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s of calligraphy and presents a new way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Korean calligraphy. Changam, Samman Lee(1770-1847) possessed a very unique calligraphy styl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Changam's calligraphy from his predecessors in terms of both his rational and emotional calligraphy styles. In the late Josun Dynasty, Changam freely pursued both rational and emotional calligraphy styles, not clinging to elaboration. His calligraphy practice and theory had two special aspects. His rational calligraphy style was shown in epitaphs or printed-style tablets, and his emotional style was written with printed, semi-cursive and cursive style. Both of his styles resulted from his unique consciousness of calligraphy. Changam's rational calligraphy style was based on his strict academic standards, serious consideration of process, and his endless endeavor to enter the ideal world of calligraphy. Meanwhile, his emotional calligraphy style was based on Jinhanwe's calligraphy which was different from Jindang calligraphy that had aesthetics of ugliness, pursuing strong strokes and a temperament overcoming the soft beauty. Changam's calligraphy presents Jinhanwe's style of strong, simple and honest strokes as well as reflecting the calligraphy trend of the late Joson Dynasty which focused on Jongyo, Wangheji. That is, his calligraphy crosses the boundaries between rational and emotional calligraphy and his aesthetics of calligraphy, as one of ugliness, shows another trend of Joson's calligraphy. 본고는 서예를 이성파와 감성파로 구분하고 이를 한국 서예사와 창암 이삼만 서예에 적용해 고찰한 글이다. 이성과 감성의 시각으로 접근하는 것은 기존의 서예자료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폭넓은 이해를 위한 한 방도이며, 한국 서예의 정체성을 이해하려는 새로운 방도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매우 독창적인 글씨로 알려진 창암 이삼만(1770-1847)에 대해 이성서예와 감성서예의 시각으로 그의 서예와 서론이 이전과 어떠한 同異點이 있는지에 관해서도 살펴볼 수 있겠다. 조선 말기의 창암은 감성서예와 이성서예를 추구하면서 공교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추구하려 하였다. 그의 많은 서예작품과 서론은 이 두 가지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이성서예는 비문이나 크고 작은 楷書, 편액 글씨 등에서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에 비해 감성서예는 해서와 行書草書를 막론하고 다양하게 보였다. 창암의 이성서예와 감성서예는 그의 독특한 서예의식에서 비롯된다. 그의 이성서예는 엄격한 학서기준과 과정을 중시하고, 끊임없이 서예의 眞境에 들고자 엄청난 노력을 통해 나타났다. 이에 비해 감성서예는 당시 서예에서 추구하던 晉唐서예에서 벗어나 秦漢魏의 서예에서 古法을 추구하고, 연미함에서 벗어나 골기와 필세가 강한 愚拙의 美感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암의 서예는 조선 말기의 鍾繇? 王羲之를 중시하는 당시의 서예경향을 반영하면서도 한 단계 더 나아가 骨氣가 강하고 질박한 秦漢魏시기의 서예미감을 추구하였다. 이에 그의 서예는 이성서예와 감성서예를 넘나들었고, 그의 서예의식 은 愚拙의 美感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또한 당시 조선 서예가 추구하는 한 서예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初等學生들의 書藝 敎育이 感性 指數에 미치는 影響

        문계성(Moon, Kye-sung) 한국서예학회 2006 서예학연구 Vol.9 No.-

        우리 민족의 정서가 담긴 서예 교육으로 아동들의 우뇌기능을 향상시키는 교육 방법을 찾고자 본 연구에 착수하였다. 인간의 뇌는 좌뇌와 우뇌 두 개의 반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은 서로 하는 일이 다르다. 좌뇌는 지성의 뇌요, 우뇌는 감성의 뇌라 한다. 이들은 상호 조화를 이루었을 때 최상의 능력을 발휘한다. 그런데 우리의 현실은 좌뇌에만 편중된 교육을 해왔다. 그러므로 우뇌기능을 향상시켜 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미지력을 키우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미지력을 키워주면 우뇌가 계발되고, 우뇌가 계발되면 감성지수가 향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첫째, 서예 교육에서 우뇌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훈련안을 어떻게 제작하여 투입할 것인가? 둘째, 제작된 서예 교육용 이미지 훈련안은 감성지수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① 이미지화된 잔상을 모눈판에 나타내는 능력이 연구 전 32%에서 연구 후 86%로 향상되었다. ② 생활 장면이나 서제를 이미지화하는 능력이 연구 전 39%에서 84%로 향상되었다. ③ 서예에 대한 흥미도 반응 결과는 연구전 74%에서 연구후 92%로 향상되었다. ④ 감성 지수는 연구 전후 비교해서 +반응이 22명, -반응이 6명으로 나타났다. ⑤ EQ TEST 결과는 +반응 18명, -반응 6명, 무반응 5명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find an educational method to improve children's right-cerebral functions, through calligraphy which contains our national emotion. The human cerebrum consists of two hemispheres, namely, the right cerebrum and the left cerebrum. They are different in functions. The left is called that for intelligence and the right that for emotion. They can act to the best of their ability with harmonious interaction. We, however, have performed education biased to the left. Therefore, we have to improve right-cerebral functions. To do so, it is effective to raise the power of image. With improvement of the power of image, the right-cerebrum is developed, then with development of the right-cerebrum, Emotional Quotient is improved as well. The task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 1. How to make and input a training plan to raise right-cerebral functions in calligraphy education? 2. What effect has a image training plan made for calligraphy education to Emotional Quoti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ability to express the afterimage on the plotting board ① increased from 32% before study to 86% after study. ② The ability to image a living situation or a calligraphic theme increased from 39% before study to 84% after study. ③ The responsive degree of interest in calligraphy increased from 74% before study to 92% after study. ④ The result of Emotion Quotient showed responsiveness of 22 students as plus and 6 students as minus after study in comparison with before study. ⑤ The result of EQ Test showed responsiveness of 18 students as plus, 6 students as minus, and 5 students as no change.

      • KCI등재

        <배비장전> 서사의 현대적 수용 양상 연구 - 판소리 <배비장전>과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유경 ( Lee Yu-ky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6 No.-

        <배비장전>은 실창 판소리로, 남아있는 두 이본은 20세기 초중반에 문자로 정착된 것이며 관련 기록도 적다. <배비장전>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텍스트의 불확실성이 항상 문제가 되었으나, <배비장전>이 실창 판소리이면서도 근대 이후에 다양한 장르와 매체로 활발하게 수용되고 있는 점을 볼 때, 남아있는 이본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이후의 변화 양상에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배비장전>을 현대적으로 수용한 작품 중 <살짜기 옵서예>는 국내 최초의 창작뮤지컬로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전통 음악극인 판소리를 계승한 20세기의 대중 음악극으로서 인물의 성격, 작품의 구조, 주제의 측면에서 큰 변화를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비장전> 서사의 현대적 수용 양상과 그 의미를 판소리 <배비장전>과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의 비교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배비장전> 서사는 소화에서 시작하여 판소리로 정착된 후 근대에 이르러 실창 판소리로는 가장 먼저 창극으로 공연되고, 이후 뮤지컬로 수용된다. 판소리, 창극, 뮤지컬은 모두 대중 음악극 형식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는데 서사적 측면에서는 점차 변이를 보인다. <배비장전> 서사는 소화, 판소리, 창극에 이르기까지는 희극이지만, 현대에 이르러 그 내용에 변화가 나타나고 그런 양상은 <살짜기 옵서예>에서 두드러진다. 먼저 판소리 <배비장전>의 희극성을 살펴보면, <배비장전>은 배비장의 경직성과 비사회성이 웃음을 유발하며, ‘내기와 공모’를 통한 속이기의 구조를 통해 배비장에 대한 거리두기를 가능하게 하여 그에 대한 연민이나 동정 없이 마음껏 웃게 한다는 점에서 희극성을 지닌다. <배비장전>은 이러한 내용을 통해 풍자와 해학을 통한 웃음으로 배비장과 관객 모두를 개선시키고 교정하는 해피엔딩의 주제를 드러낸다. 이에 비해 <살짜기 옵서예>에서는 배비장과 애랑이 순정적인 인물들로 변모하며, 사랑을 이루기까지의 내적 갈등과 감정의 변화가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이들의 성격 변화는 작품의 서사 구조에도 영향을 미쳐서, 내기와 공모의 구조가 시련 극복을 통한 사랑 성취의 구조로 변하면서 희극적 서사에서 멜로드라마적 서사로 변화한다. 위선적인 인물이 주변인들의 공모로 훼절하여 크게 망신당하는 이야기에서, 낮은 지위의 순수한 남성 주인공이 상층 인물의 주도로 발생하는 시련을 극복하고 사랑을 이루는 이야기로 변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풍자와 해학의 주제는 사랑과 감동의 주제로 변모한다. 이러한 <배비장전> 서사의 현대적 수용의 의미는 사회 변화에 따른 장르 혼성과 수용층의 감성 변화로 볼 수 있다. 조선후기에 형성된 <배비장전> 서사는 20세기 중반 이후 전 사회가 근대화를 거치는 배경 속에서 당대의 가장 인기 있는 대중서사양식인 멜로드라마와 결합하여 익숙한 이야기에 새로움을 더함으로써 상업적이고 대중적인 작품으로 재탄생한다. 또한 신분제가 사라지면서 웃음의 주체가 신분 계층에 따른 집단에서 일반 대중 개개인으로 이동하여 공격적 웃음이 아닌 공감의 웃음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비장과 애랑의 사랑을 자연스럽게 만들고 이에 감동하게 한다. < Baebijangjeon > is a lost song pansori, and its two remaining versions were recorded in written forms in the early and middle part of the 20th century. Moreover, not many written records of it exist. The uncertainty of its text has always presented a problem in the study of < Baebijangjeon >. However, given that, while < Baebijangjeon > is the lost song pansori, it is actively accepted in various genres and the media,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 Baebijangjeon > has changed, focusing on the two remaining versions. Among the various modern styles of the works < Baebijangjeon > that were accepted, < Saljjagi Opseoye >[sweet, come to me stealthily] was successful as the first creative korean musical. As a popular modern musical drama succeeding the traditional musical drama style, it is worth studying since < Saljjagi Opseoye > significantly altered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structure, and theme in < Baebijangjeon >.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how < Baebijangjeon > narratives are accepted in modern times by comparing the pansori < Baebijangjeon > and the musical < Saljjagi Opseoye >. < Baebijangjeon > narratives began as sohwa[funny story], settled down as pansori, and, in modern times, as the lost song pansori, were performed as changgeuk, eventually transforming into musical. Pansori, changgeuk, and musical possess a common feature in that they are all musical drama. However, in terms of narrative, it has gradually changed. < Baebijangjeon > narratives were comedic from sohwa, and pansori, to changgeuk. But, the contents has changed in modern times, and is conspicuous in < Saljjagi Opseoye >. This study considers the comic aspects of < Baebijangjeon >. The rigidity and un-sociability of Baebijang[military attache Mr. Bae] produces laughter, and, the structure of deceiving him by "bet and conspiracy" is comedic, separating the audience from Baebijang, and enabling them to laugh at him without feeling pity. < Baebijangjeon > reveals the happy ending by improving and correcting both Baebijang and the audience through satire and humor. In contrast, in < Saljjagi Opseoye >, Baebijang and Aerang are characters with pure hearts, and the work reveals their internal conflicts and emotional transformation until they come to love each other. Their change of personality influences the work's narrative structure as well, as the bet and conspiracy transforms into success in love by overcoming an ordeal. Thus, the story changes from a comic narrative to a melodramatic narrative. The story is modified from one wherein a hypocritical person is humiliated by relinquishing his integrity through the conspiracy of people around him to one where a sincere lower class protagonist wins love by overcoming difficulties caused by upper class characters. The theme of satire and humor is altered to a theme of love and empathy. The implications of the modern acceptance of < Baebijangjeon > narratives can be understood as a hybridity of genres and emotional differences in the audience following societal changes. < Baebijangjeon > narratives construc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renewed as popular commercial works by combining melodrama, popular contemporary narrative styles, and adding novelty to familiar stories. Moreover,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class system, laughter was transferred from groups of different classes to common individuals, changing aggressive laughter to emphatic laughter, thus ensuring that Baebijang and Aerang's love became natural and touching.

      • KCI등재

        백제 웅진시기 서예 다시읽기

        이성배 ( Sung Bae Lee ) 한국동양예술학회 2006 동양예술 Vol.11 No.-

        We believe the isolation of time and space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calligraphy. While writing calligraphy, a writer can capture the specific moment. By examining the calligraphy, it is possible to reminisce that particular moment in the future. Hence if we interpret those moments from a novel point of view, the isolation will no longer be considered as a characteristic. Since the paleolithic period, mankind carved or drew images on stones that are now considered very meaningful. We can infer different thoughts and unique cultural traces through rock-carvings of the paleolithic period, oracle bone and bronze inscriptions of the Shang and Zhou, and stone and brick inscriptions of the Qin and Han. Thus, because the calligraphy sometimes reveals and sometimes hides various cultural sensibility of each period, it is necessary for us to reinterpret the calligraphy in a wide range of angles. In that case, what interpretation can we do on the Baekje calligraphy? Since then, excavated calligraphic relics of the Baekje are Muryeongwangjiseok, Sataekjijeokbi, Changwangmyeongsarigam. In addition, there are inscriptions on potteries, roof tiles, and wooden tablets that are recently discovered. In comparison to the various shapes of relic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Baekje calligraphy were not diverse.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explore a wide variety explanations through calligraphic relics rather than limited and narrow interpretations of calligraphy known in the past. Focusing on the Ungjin period, I attend to rethink all Baekje items. Next, based on my findings, I will propose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that in the past, which seems to be passively influenced by China. I believe Baekje calligraphy was developed by its people and then had a calligraphic relationship with China. Through this, the Ungjin period calligraphy of the Baekje has vivid tastes and se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