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추 력광 품종의 저장 중 1-MCP에 대한 반응

        홍세진(Sae Jin Hong),김병섭(Byung-Sup Kim),김병삼(Byeong-Sam Kim),엄향란(Hyang Lan Eu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2

        배추를 저장하는 동안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1-methylcyclopropene(1-MCP) 처리효과를 확인하였다. 수확된 배추는 즉시 실험실로 옮겨와 4개의 그룹(차압예냉 (forced-air cooling, FAC) 처리구, FAC + 0.03mm LLDPE film(Liner) 처리구, FAC + 2μL·L<SUP>-1</SUP> 1-MCP(1-MCP) 처리구, FAC + 1-MCP + Liner 처리구)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처리를 실시한 후 2℃, 95% RH 저온에서 저장하였다. 저장중 품질변화는 무게 감모율, 가용성 고형물 함량, 경도, 그리고 색도(CIE L<SUP>*</SUP>, a<SUP></SUP>ㅇ, bㅇ, chroma, hue angle)를 통해 확인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각 실험구의 감모율은 Liner 처리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저장기간 6주가 경과되면 FAC + 1-MCP + Liner 처리구는 12.5%의 감모율을 보이면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서 감모율을 최소화하였다.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수확 시 2.5<SUP>o</SUP>Brix였으며, 저장기간이 3주 경과되면서 FAC+ 1-MCP + Liner 처리구에서 수확 시의 값이 유지된 반면, 다른 처리구 들은 증가하였다. 배추의 경도는 수확 직후 24.0N 이었으며, FAC + 1-MCP + Liner 처리구에서 저장 6주 경과 후 22.6N으로 수확 당시의 경도가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기간 동안 배춧잎의 색 변화는 CIE a<SUP>*</SUP>와 hue angle 값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1-MCP 만을 처리할 경우에는 색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1-MCP를 처리한 다음 Liner 포장을 실시하면 CIE a<SUP>*</SUP>와 hue angle의 변화를 최소화 시키면서 수확 당시의 색도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1-MCP 처리는 배추 력광 품종 저장에는 효과가 미비하나, Liner와 함께 처리할 경우 6주까지 품질유지가 가능하였다. The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1-MCP) in the storability of kimchi cabbage at cold storage condition was investigated. Kimchi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cv Ryouckgwang) was divided four groups, forced air cooling (FAC), FAC + 0.03 mm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iner (Liner), FAC + 2 μL·L<SUP>-1</SUP> 1-MCP (1-MCP), and FAC + 1-MCP + Liner. After each treatment kimchi cabbage was stored at 2℃, 95% RH. Quality parameters were weight loss, soluble solids content (SSC), firmness, and color (CIE L<SUP>*</SUP>, a<SUP>*</SUP>, b<SUP>*</SUP>, chroma, hue angle). Weight loss during storage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Liner treatment. In particular FAC + 1-MCP + Liner treatment showed 12.5% reduction after 6 weeks of storage period and minimized the weight loss rate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SSC of kimchi cabbage was 2.5 oBrix at harvest and FAC + 1-MCP + Liner treatment maintained the SSC until 3 weeks, while in other treatments gradually were increased. The firmness of kimchi cabbage was 24.0 N immediately after harvest and the firmness at harvest time tended to be maintained at 22.6 N after 6 weeks of storage in FAC + 1-MCP + Liner treatm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color change of the kimchi cabbage leaf can be confirmed by CIE a <SUP>*</SUP> and hue angle value. 1-MCP treatment alone did not affect the color change, however 1- MCP + Liner treatment was able to maintain the chromaticity at harvest time while minimizing the change of CIE a <SUP>*</SUP> and hue ang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1-MCP treatment is not effective for the storage of kimchi cabbage but can be maintained for up to 6 weeks when treated with Liner.

      • KCI등재

        숙도가 머스크멜론( Cucumis melo L.)의 유통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병삼(Byeong Sam Kim),김지영(Ji Young Kim),이혜옥(Hye Ok Lee),윤두현(Doo Hyun Yoon),차환수(Hwan Soo Cha),권기현(Ki Hyun Kwon)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머스크멜론의 숙도를 정식일수(90, 92)에 따라 적숙과와 완숙과로 구분한 후 10℃ 및 25℃에서 유통시키면서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에서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중량 감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일한 저장일 에는 적숙과가 완숙과 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경도는 적숙과와 완숙과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 10일까지는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높게 유지되어 10℃저장이 25℃저장에 비하여 경도의 감소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직후 완숙과의 가용성고형분함량은 14.6%로 적숙과의 12.8%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색 변화에서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저장초기 완숙과가 적숙과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모든 시료에서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호흡속도는 25℃에서 저장한 경우 적숙과와 완숙과 모두 저장 1일 일시적으로 증가되어 climacteric형 과실의 특징이 나타난 반면 10℃에서는 그러한 특징이 관찰되지 않았다. 관능 평가에서 맛과 향은 시료간에 큰 차이가 없었지만 조직감 항목에서는 25℃에서 저장한 완숙과를 제외하면 저장기간이 경과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전체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10℃에서 저장한 경우 적숙과와 완숙과 모두 12일 까지 높게 유지된 반면 25℃에서는 적숙과가 7일, 완숙과는 5일까지 높게 유지되었다(P<0.05). The quality change of musk melons, divided into ripened (90 days) and over-ripened (92 days) set by the formal day maturing melons, was investigated during marketing period at both 10 and 25℃. The rate of weight loss was increased in all samples as the storage period passed and greater in ripened melons than over-ripened melon. The hardness decreased in both well and over-ripened melon as the storage period passed. Furthermore, changes in hardness were prevented in fruit stored at 10℃ compared to fruit stored at 25℃. Immediately after harvest, the solid solubility of over-ripened melon was 14.6%, while that of ripened fruit was 12.8%. The respiration rate of both well and over-ripened melon increased temporarily when stored at 25℃, which is characteristic of climacteric fruits during the first day of storage; however, no change in respiration rate was observed in fruit stored at 10℃. When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there were no differences observed in flavor and taste among samples.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over-ripened melon, the texture of all sampl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storage time when melon was stored at 25℃. The score of overall acceptability remained high for 12 days in both well and over-ripened melon, while that of ripened melon stored at 10℃ and over-ripened melon stored 25℃ remained high for 7 and 5 days, respectively (p<0.05).

      • SCIESCOPUSKCI등재

        GA<sub>4+7</sub>+BA의 처리방법이 사과 '갈라' 품종의 수체생장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윤태명,최석원,SaGong, Dong-Hoon,Yoon, Tae-Myung,Choi, Seak-Won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GA_{4+7}$+BA는 유목의 측지 발생 및 과실비대를 목표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로써 본 실험에서는 밀식 과수원의 '갈라' 사과품종을 공시하여 4년 동안 여러 가지 살포방법을 이용하여 과실비대 및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A_{4+7}$+BA 처리시 과실 종경, 과중, L/D율은 증가되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엽면적, 엽록소함량 등은 변화가 일정하지 않았다. 과실 내 종자 수는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미발육 종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수관전체 살포는 신초생장을 증가시켰으나 착과 부위에만 살포시에는 영향이 없었다. 살포시기에 있어서는 과실 세포분열이 끝나는 시점인 5월말에서 6월초에 살포하는 것이 과실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고농도 $GA_{4+7}$+BA처리는 과실의 경도를 감소시켜 과실의 저장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갈라' 같은 소과종에 있어 고농도의 $GA_{4+7}$+BA 살포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GA_{4+7}$+BA, a plant growth regulator for induction of feathering in young apple tree and increasing fruit size, was applied by various methods on 'Gala'/M.9 apple trees in high density orchard for 4 years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fruit and shoot growth. $GA_{4+7}$+BA($80-300mg{\cdot}L^{-1}$) increased fruit length, fruit weight, and L/D ratio regardless of application methods, but it did not affect soluble solid content, acidity, leaf area, and chlorophyll. Seed number was not affected by $GA_{4+7}$+BA application, however, more immature seeds was observed in treated 'Gala' fruit. Shoot growth was increased when spraying $GA_{4+7}$+BA at tree crown but not affected when spraying at fruit directly. More significant fruit growth was observed when $GA_{4+7}$+BA was applied on the fruits between late of May and early of June when fruit cell division ended;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GA_{4+7}$+BA resulted in lower fruit storability because of lower firmness. Henc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when applying high concentration of $GA_{4+7}$+BA to small sized fruit cultivars like 'Gala'.

      • KCI등재

        수확 전 염화칼슘 및 키토산 처리가 ‘베니카’ 체리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영숙(Young-Suk Lee),천미건(Mi-Geon Cheon),정용모(Yong-Mo Chung),김희대(Hee-Dae Kim),헤라쓰 무디얀셀라지(H.M. Prathibhani C. Kumarihami),김진국(Jin-Gook Kim) 한국원예학회 2020 원예과학기술지 Vol.38 No.1

        본 연구는 수확 전 염화칼슘과 키토산 처리에 의한 ‘베니카’ 체리의 열과 억제와 저장성 향상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베니카’ 체리(6년생)의 만개 후 30일에 0.5% 염화칼슘을 한번 처리, 100㎎·L<SUP>-1</SUP> 키토산을 만개 후 30일부터 5일 간격 5번 처리, 0.1% 염화칼슘과 100㎎·L<SUP>-1</SUP> 키토산 혼용액을 만개 후 30일부터 5일 간격 5회 처리 그리고 무처리 하였다. 각 처리별 과실 특성을 조사하였고 25°C 상온의 물에 24시간 동안 체리를 침지 한 후 시간에 따른 열과 비율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경도는 0.5% 염화칼슘 처리, 100㎎·L<SUP>-1</SUP> 키토산 처리, 0.1% 염화칼슘 + 100㎎·L<SUP>-1</SUP> 키토산 혼용액 처리가 무처리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열과 비율은 0.1% 염화칼슘 + 100㎎·L<SUP>-1</SUP> 키토산 혼용액 처리가 낮은 경향이었다. 수확 후 ‘베니카’ 체리의 과피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키토산을 처리한 처리구의 과피가 무처리 보다 매끈하였다. 키토산 처리구의 과피가 매끈한 것은 과피에 보호막이 형성된 것으로 여겨졌다. 수확 전 염화칼슘과 키토산 처리는 ‘베니카’ 체리의 경도를 향상시키고 열과를 줄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re-harvest application of calcium chloride and chitosan, separately and in combination, on fruit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nica’ sweet cherry fruit during postharvest storage was investigated. Six year old ‘Benica’ sweet cherry plants were foliar sprayed once with 0.5% calcium chloride at 30 days after full bloom. Chitosan was foliar sprayed at 100 ppm,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0.1% calcium chloride five times at five day intervals starting from 30 days after full bloom. Untreated plants served as control. Fruits were harvested at 53 days after full bloom, packaged in transparent plastic boxes, and stored separately at either 4℃ or 22℃. The fruit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fter 5 and 7 days of storage. The cherry fruit cracking ratio was recorded after immersed the fruit in water for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25℃). Fruit firmness and soluble solids content were higher with 0.5% calcium chloride and 100 ppm chitosa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0.1% calcium chloride, compared to the control. The fruit cracking ratio was lower with the combination of 0.1% calcium chloride and 100 ppm chitosan. Based 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s of ‘Benica’ sweet cherry fruit skin, chitosantreated fruit had smoother skin than the control, which may be due to the formation of a protective layer formed by chitosan on the fruit skin. In summary, pre-harvest treatment of calcium chloride and chitosan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cracking and improving the firmness of ‘Benica’ sweet cherry fruit.

      • KCI등재

        GA4+7+BA의 처리방법이 사과 ‘갈라’ 품종의 수체생장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윤태명,최석원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GA4+7+BA, a plant growth regulator for induction of feathering in young apple tree and increasing fruit size, was applied by various methods on ‘Gala’/M.9 apple trees in high density orchard for 4 years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fruit and shoot growth. GA4+7+BA(80-300 mg・L-1) increased fruit length, fruit weight, and L/D ratio regardless of application methods, but it did not affect soluble solid content, acidity, leaf area, and chlorophyll. Seed number was not affected by GA4+7+BA application, however, more immature seeds was observed in treated ‘Gala’ fruit. Shoot growth was increased when spraying GA4+7+BA at tree crown but not affected when spraying at fruit directly. More significant fruit growth was observed when GA4+7+BA was applied on the fruits between late of May and early of June when fruit cell division ended;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GA4+7+BA resulted in lower fruit storability because of lower firmness. Henc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when applying high concentration of GA4+7+BA to small sized fruit cultivars like ‘Gala’. GA4+7+BA는 유목의 측지 발생 및 과실비대를 목표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로써 본 실험에서는 밀식 과수원의 ‘갈라’ 사과품종을 공시하여 4년 동안 여러 가지 살포방법을 이용하여 과실비대 및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A4+7+BA 처리시 과실 종경, 과중, L/D율은 증가되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엽면적, 엽록소함량 등은 변화가 일정하지 않았다. 과실 내 종자 수는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미발육 종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수관전체 살포는 신초생장을 증가시켰으나 착과 부위에만 살포시에는 영향이 없었다. 살포시기에 있어서는 과실 세포분열이 끝나는 시점인 5월말에서 6월초에 살포하는 것이 과실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고농도 GA4+7+BA 처리는 과실의 경도를 감소시켜 과실의 저장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갈라’ 같은 소과종에 있어 고농도의 GA4+7+BA 살포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SCIESCOPUSKCI등재

        GA₄??+BA의 처리방법이 사과 ‘갈라’ 품종의 수체생장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Dong-Hoon Sagong),윤태명(Tae-Myung Yoon),최석원(Seak-Won Choi)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GA₄??+BA는 유목의 측지 발생 및 과실비대를 목표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로써 본 실험에서는 밀식 과수원의 ‘갈라’ 사과품종을 공시하여 4년 동안 여러 가지 살포방법을 이용하여 과실비대 및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A₄??+BA 처리시 과실 종경, 과중, L/D율은 증가되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엽면적, 엽록소함량 등은 변화가 일정하지 않았다. 과실 내 종자 수는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미발육 종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수관전체 살포는 신초생장을 증가시켰으나 착과 부위에만 살포시에는 영향이 없었다. 살포시기에 있어서는 과실 세포분열이 끝나는 시점인 5월말에서 6월초에 살포하는 것이 과실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고농도 GA₄??+BA 처리는 과실의 경도를 감소시켜 과실의 저장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갈라’ 같은 소과종에 있어 고농도의 GA₄??+BA 살포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GA₄??+BA, a plant growth regulator for induction of feathering in young apple tree and increasing fruit size, was applied by various methods on ‘Gala’/M.9 apple trees in high density orchard for 4 years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fruit and shoot growth. GA₄??+BA(80-300 ㎎ㆍL?¹) increased fruit length, fruit weight, and L/D ratio regardless of application methods, but it did not affect soluble solid content, acidity, leaf area, and chlorophyll. Seed number was not affected by GA₄??+BA application, however, more immature seeds was observed in treated ‘Gala’ fruit. Shoot growth was increased when spraying GA₄??+BA at tree crown but not affected when spraying at fruit directly. More significant fruit growth was observed when GA₄??+BA was applied on the fruits between late of May and early of June when fruit cell division ended;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GA₄??+BA resulted in lower fruit storability because of lower firmness. Henc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when applying high concentration of GA₄??+BA to small sized fruit cultivars like ‘Ga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