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근세 동아시아의 인기 무역품, 일본도(日本刀)

        윤유숙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5 No.-

        This paper examines the fact that Japanesemade swords were distributed as international “trade goods” in recognition of their excellence as weapons in the Early Modern period of East Asia. For about 200 years from the end of the 14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Japanese swords were transported in large quantities in the form of tribute trade goods by Japanese envoys or trade ships sailing to Joseon and China or by Japanese pirates. During the period from the early 15th to the mid16th century, the total export volume was beyond imagination, as more than 100,000 swords were dedicated by the Muromachi Shogun to the Ming emperor.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Edo Shogunate prohibited the export of Japanese armaments by national law and promoted a policy of closure, leaving Japanese sword to disappear from the “authorized” trade items of the East Asian world. Even in this situation, Ming and Qing's interest in Japanese swords did not disappear, and as a result of asking Joseon to dedicate Japanese swords as gifts, it is confirmed that Japanese swords moved from Joseon to China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Meanwhile, the influence of Japanese swords on traditional weapons systems and manufacturing in Joseon and China was different. Joseon was interested in the 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technology in Japanese swords from the first half of the year.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Japanese sword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ircumference in form and manufacturing Hwando(環刀), considering that the traditional Hwando with little bending was still used even in the late Jose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ing Dynasty, due to its economic advantages and quality excellence, Japanese swords were actually used in the military as a practical weapon. 이 논문은 일본제(日本製) 일본도가 중근세 동아시아 지역에서 무기로써의 우수성을 인정 받아 국제적인 ‘무역품’으로 유통된 실태를 검토한 것이다. 15세기 이후 일본도가 조선과 중 국으로 유입되는 양태와, 조선과 중국의 전통적인 무기에 끼친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14세기 말부터 17세기 초까지 약 200년간 일본도는 조선과 중국으로 도항하는 일본의 사 절단이나 무역선에 의해 진공품의 형태로, 혹은 왜구에 의해 대량으로 운반되었다. 15세기 초 에서 16세기 중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무로마치 쇼군이 명 황제에게 바친 부탑품 도검만도 10만점 이상에 달하므로 수출된 총량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막대했다. 에도 막부가 17세기 초 일본제 무구류의 해외수출을 국법으로 금지하고 쇄국정책을 추진 하면서 일본도는 동아시아 세계의 ‘공인된’ 무역품목에서 모습을 감추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 서도 일본도에 대한 명과 청의 관심은 사라지지 않아서 일본도를 예물로 바치도록 조선에 요 구한 결과 17세기 전반까지 조선에서 중국으로 일본도가 이동한 사례가 확인된다. 한편 일본도가 조선과 중국의 전통적인 무기체계와 제조에 끼친 영향은 제각기 달랐다. 조 선은 전기부터 일본도 제조기술의 도입에 관심을 가졌지만 조선후기에도 여전히 날의 휨이 거의없는전통적인환도가애용된것으로보아, 일본도가형태나제조면에서환도에큰영 향을 끼쳤다고 보기 어렵다. 반면 명의 경우에는 경제적 이점과 질적 우수성으로 인해 일본 도가 실제 군대에서 활용되었고 일본도술이 중시되는 등 실용무기로 사용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