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文科及第者의 分館實態에 관한 硏究 - 1623년~1720년 시기를 중심으로 -

        이창걸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논총 Vol.31 No.-

        This is to study the appointment tendency of passers of the Munkwa Examination (文科及第者, Civil Service Examination) to the temporary office positions (Bungwanjik, 分館職) in Samgwan (三館, Three Influential Offices) before they were trusted with first official duty in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The temporary post is similar to the internship of these days. I made research on the appointment patterns of the passer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o the temporary posts of Three Influential Offices (Bungwanjik, 分館職) and the periods needed for the promotion to their highest governmental posts (最高職) from the initial office duties (初職) with sample group. As we can see in any other researches, the promotion process is not easy as a bureaucrat in Joseon dynasty. At the time being temporarily appointed as intern in Samgwan (三館, Three Influential Offices), meaning Seonggyungwan(成均館), Seungmunwon(承文院) and Gyoseogwan (校書館), the passers were already discriminated. Gyoseogwan Bungwan official (校書館 分館者) were shut out of the route to key positions of the government. Those Gyoseogwan (校書館) officials were mainly born of concubine and from the northwestern provinces of Joseon. Mostly, they were appointed to the position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and other marginal governmental offices. Their elevation route looks very simple relatively to the other groups. On the other side, Seungmunwon (承文院) was regarded as more important government division than Gyoseogwan (校書館) even in the time of temporary appointment to the Three Influential Offices (三館分館). The passers of the Munkwa Examination who were appointed to the Seungmunwon (承文院), generally inhabited in Hanseongbu (漢城府, capital area of Joseon), were descendants of good families in power. Those who were appointed to the Seonggyungwan were descendants of Ruling Elites inhabiting in local areas of Joseon (在地士族). The Gyoseogwan (校書館) officials were obviously treated discriminatingly than Seungmunwon and Seonggyungwan. While Seungmunwon (承文院) officials advanced to Seungjeongwon (承政院), Yemungwan (藝文館), Sejasigangwon (世子侍講院), Uigeumbu (義禁府), and office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as their first office duties (初職) and Seonggyungwan (成均館) officials advanced mainly to Seonggyungwan (成均館), Seungjeongwon (承政院), Six Ministries (六曹), and office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and the Gyoseogwan (校書館) officials were mostly ordained to the office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In the temporary appointment and promotion process thereafter of the Munkwa examination (文科) passers, family background (出身背景) and the lineages class (門地)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ose who were appointed as Seungmunwon (承文院) officials built up the power bloc (權力同盟) through their superior family power and marital connection (婚姻網). Comparing to the Seungmunwon Bungwan officials (承文院 分館者), the Seonggyungwan Bungwan officials (成均館 分館者) were inferior in family background(出身背景) and influence(影響力). The Gyoseogwan Bungwan officials' (校書館 分館者) were in lowest class for family lineage(門地). The passers who were residing in Hanseongbu(漢城府) were mostly appointed to Seungmunwon and Seonggyungwan in their internship period. They were positioned at Chamha Cheongyojik(參下 淸要職), for example Seungjeongwon(承政院), Seonggyungwan(成均館), Samsa(三司) and Sejasigangwon(世子侍講院) as their first office duties. 본 논문은 조선시대 문과급제자들의 分館 실태와 그 경향성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문과 급제자들 중에서 일정한 부분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이들의 분관유형과 분관직에서 初職으로 임명되는 시기, 그들의 초직에서 최고관직으로 이르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추정하여 보았다. 실제 이들의 관직 승진 조사에서 드러난 것은 기존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조선시대에 관료들의 승진과정이 순탄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 三館으로 分館되는 시점에서 성균관, 승문원, 교서관에서 이미 차별화가 되고 있었다. 교서관은 핵심관직으로 승진하는 과정에서 배제되어 왔으며 교서관 분관자에는 서북지역의 인물과 庶子 출신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관직임명에 있어서 대부분은 外官職과 기타 주변부(Marginal) 관직에 임명되고 있었다. 관직의 경로도 비교적 단순한 유형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승문원은 교서관에 비해 분관되는 시점에서 이미 핵심 관직으로 주목받고 있었다. 승문원에 분속되는 급제자들은 주로 한성부에 거주하며 그들의 가문과 威勢가 매우 높은 名文家들의 후예임이 밝혀졌고 성균관 분관자들은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 在地士族의 후예였으며 校書館 分館者들은 承文院과 成均館 分館者에 비해 철저하게 차별받았다고 할 수 있다. 승문원 분관자는 승정원ㆍ예문관ㆍ세자시강원ㆍ의금부ㆍ외관직 등의 초직에 진출한 반면, 성균관 분관자들은 사헌부ㆍ성균관ㆍ승정원ㆍ육조ㆍ외관직 등에 주로 진출하였다. 교서관 분관자는 주로 周邊部 外官職에 보임되고 있었다. 급제자들의 분관과 그들의 관직 승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출신배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승문원 분관자의 父祖들은 그들의 우세한 가문의 영향력과 ‘혼인’을 매개로 한 ‘婚姻網’으로 權力同盟(Power Bloc)을 지속적으로 구축하였으며, 성균관 분관자들은 승문원 분관자의 출신배경과 영향력에는 크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교서관 분관자는 출신배경이 매우 미미하였다. 한성부 거주자는 승문원과 성균관에 주로 분관되었으며 初職入仕에서는 承政院, 成均館, 三司와 世子侍講院 등 ‘參下 淸要職’에 주로 임명되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예문관 분관 실태와 한림의 관직 승진 양상

        원창애 조선시대사학회 2011 朝鮮時代史學報 Vol.57 No.-

        This paper has figured out some trends of chroniclers, or Hallim, how they were placed and promot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y were composed of low rank officials who were out of court-audience duty, or Chamha-kwan, from six through nine: two positions of Pongkyo from the higher seventh rank, two positions of Taekyo from the higher eighth rank, and four positions from higher ninth rank. Statistically, every year witnessed a steady growing number of placement, one time of two more low officials, to the Bureau of Chronicler, or Yemun-kwan, up until late 16th century when the so-called political factions were seriously prevailed. It was King Youngjo, in 1741 A.D., who changed the system from recommendation to total agreement, from composition to royal examination. The chroniclers' family backgrounds and their way to start official positions were also interpreted with relevant statistics. They were normally promoted to the three censorial Bureau: Saheon-pu, Sakan-won, and Hongmun-kwan. If they were promoted to the middle rank officials from three to six, they were restricted, in early days, to censorial body, or Un-kwan but gradually they also began to be assigned to other body such as Six Ministries and Prince Teachers as well. About 66% of them had been ascended towards the key government posts, or Tangsang-kwan. Then, two third of them were ultimately elevated to noble subject posts, or Konggyong-taypu. 조선시대 한림이라 칭하는 예문관 참하관은 정7품 봉교 2명, 정8품 대교 2명, 정9품 4명이다. 이들은 예문관 분관으로 서용되었다. 분관 대상은 문과 신급제자로부터 8품에 이르는 문과 출신 관원이다. 분관은 한림이 분관 후보자를 자천한 후 취재를 거쳐 이루어졌다. 예문관 분관은 평균적으로 1년에 1회 정도 실시되었고, 매회 2명 이상의 분관자가 배출되었다. 예문관 분관 인원은 16세기 후반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분관 인원이 16세기까지 지속적으로 늘어난 것은 역사 기록과 평가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서 그것을 담당한 한림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16세기 후반 사림정치기에 한림의 위상은 한층 높아지게 되었고, 한림의 인원도 가장 많았다. 17세기 이후 분관 인원이 줄어든 것은 분관이 순조롭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림의 자천으로 분관 후보자가 결정되는데 각 당파 간의 이견으로 후보자 천거가 쉽지 않았다. 또한 천거에 실패한 한림은 대간의 탄핵으로 사직하는 사례가 많아 한림이 전혀 없는 경우도 발생했다. 한림의 자천을 위해 별겸춘추라는 관원이 선정되어 천거를 시행하기도 하였다. 영조는 파행적인 예문관 분관 운영 체제를 개혁하기 위해서 1741년(영조 17) 한천제를 회권법으로 바꾸고, 시험 방식도 제술로 하는 召試法으로 바꾸었다. 영조의 한림 임용 방식의 개혁과 함께 정조는 규장각 각신에게 새로운 강목체 역사서인 『일성록』을 편찬하게 하고 한림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18세기 후반 분관 인원이 더욱 감소하였다. 예문관 분관 기준은 門地, 인품, 재능이다. 한림의 재능은 전원 문과급제자 출신이라는 데서 검증된다. 이들의 학문적 소양은 문과 급제시 전력에서 알 수 있다. 한림의 71.1%가 생원․진사시와 문과를 거친 인재였다. 한림 출신 관원은 문과 급제 후 거의 5년 이내 예문관에 분관되어, 30대 초․중반에 한림으로 활동하였다. 한림의 문지를 가늠할 수 있는 것은 첫째 한림의 71%인 1,105명이 비정기시 급제 출신이며, 문과 급제시 거주지는 서울이 82%이다. 둘째 한림을 배출한 성관은 총 212개이나, 32개 성관에서 한림이 중점적으로 배출되었다. 한림을 배출한 성관의 특징은 배출한 한림 인원과 상관없이 성관 내 특정 가문에 한림이 집중되고 있다. 한 가문 내에서 한림이 배출되는 중에도 특히 8촌 이내 친족인 경우가 63%나 되고 있다. 이를 통해서 한림은 주로 서울에 거주하면서 정치적 지위가 계속 유지되는 현달한 관료 가문에서 배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림의 주요 승진 경로는 언론 기관인 삼사였다. 조선 전기에는 한림이 출육할 경우 의례히 언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점차 육조 낭관직이나 세자시강원의 관직에도 제수되었다. 한림으로 참상 청요직을 거쳐 당상관에 진출한 경우는 약 한림의 66%이다. 한림 출신 당상관 가운데 2/3가 넘는 인원이 국가 경영을 주도하는 2품 이상 公卿까지 승진하였다. 이처럼 한림은 최고의 淸職이며, 公卿에까지 승진할 수 있는 통로이었다. 조선 후기에 예문관 분관과 한림 운영 체제는 변화를 겪었지만 한림의 승진로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오히려 19세기에 한림이 세력 있는 특정 가문에 더욱 집중되고, 한림의 90% 이상이 당상관까지 승진하는 현상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