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文科及第者의 分館實態에 관한 硏究 - 1623년~1720년 시기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Appointment Tendency of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 (文科及第者) to the temporary governmental positions(分館職) in Joseon dynasty - Centered on the period 1623~1720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19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o study the appointment tendency of passers of the Munkwa Examination (文科及第者, Civil Service Examination) to the temporary office positions (Bungwanjik, 分館職) in Samgwan (三館, Three Influential Offices) before they were trust...

      This is to study the appointment tendency of passers of the Munkwa Examination (文科及第者, Civil Service Examination) to the temporary office positions (Bungwanjik, 分館職) in Samgwan (三館, Three Influential Offices) before they were trusted with first official duty in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The temporary post is similar to the internship of these days. I made research on the appointment patterns of the passer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o the temporary posts of Three Influential Offices (Bungwanjik, 分館職) and the periods needed for the promotion to their highest governmental posts (最高職) from the initial office duties (初職) with sample group.
      As we can see in any other researches, the promotion process is not easy as a bureaucrat in Joseon dynasty. At the time being temporarily appointed as intern in Samgwan (三館, Three Influential Offices), meaning Seonggyungwan(成均館), Seungmunwon(承文院) and Gyoseogwan (校書館), the passers were already discriminated. Gyoseogwan Bungwan official (校書館 分館者) were shut out of the route to key positions of the government. Those Gyoseogwan (校書館) officials were mainly born of concubine and from the northwestern provinces of Joseon. Mostly, they were appointed to the position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and other marginal governmental offices. Their elevation route looks very simple relatively to the other groups.
      On the other side, Seungmunwon (承文院) was regarded as more important government division than Gyoseogwan (校書館) even in the time of temporary appointment to the Three Influential Offices (三館分館). The passers of the Munkwa Examination who were appointed to the Seungmunwon (承文院), generally inhabited in Hanseongbu (漢城府, capital area of Joseon), were descendants of good families in power. Those who were appointed to the Seonggyungwan were descendants of Ruling Elites inhabiting in local areas of Joseon (在地士族). The Gyoseogwan (校書館) officials were obviously treated discriminatingly than Seungmunwon and Seonggyungwan.
      While Seungmunwon (承文院) officials advanced to Seungjeongwon (承政院), Yemungwan (藝文館), Sejasigangwon (世子侍講院), Uigeumbu (義禁府), and office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as their first office duties (初職) and Seonggyungwan (成均館) officials advanced mainly to Seonggyungwan (成均館), Seungjeongwon (承政院), Six Ministries (六曹), and office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and the Gyoseogwan (校書館) officials were mostly ordained to the office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In the temporary appointment and promotion process thereafter of the Munkwa examination (文科) passers, family background (出身背景) and the lineages class (門地)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ose who were appointed as Seungmunwon (承文院) officials built up the power bloc (權力同盟) through their superior family power and marital connection (婚姻網). Comparing to the Seungmunwon Bungwan officials (承文院 分館者), the Seonggyungwan Bungwan officials (成均館 分館者) were inferior in family background(出身背景) and influence(影響力). The Gyoseogwan Bungwan officials' (校書館 分館者) were in lowest class for family lineage(門地).
      The passers who were residing in Hanseongbu(漢城府) were mostly appointed to Seungmunwon and Seonggyungwan in their internship period. They were positioned at Chamha Cheongyojik(參下 淸要職), for example Seungjeongwon(承政院), Seonggyungwan(成均館), Samsa(三司) and Sejasigangwon(世子侍講院) as their first office du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시대 문과급제자들의 分館 실태와 그 경향성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문과 급제자들 중에서 일정한 부분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이들의 분관유형과 분관직에서 初職으로 임명되...

      본 논문은 조선시대 문과급제자들의 分館 실태와 그 경향성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문과 급제자들 중에서 일정한 부분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이들의 분관유형과 분관직에서 初職으로 임명되는 시기, 그들의 초직에서 최고관직으로 이르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추정하여 보았다.
      실제 이들의 관직 승진 조사에서 드러난 것은 기존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조선시대에 관료들의 승진과정이 순탄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 三館으로 分館되는 시점에서 성균관, 승문원, 교서관에서 이미 차별화가 되고 있었다. 교서관은 핵심관직으로 승진하는 과정에서 배제되어 왔으며 교서관 분관자에는 서북지역의 인물과 庶子 출신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관직임명에 있어서 대부분은 外官職과 기타 주변부(Marginal) 관직에 임명되고 있었다. 관직의 경로도 비교적 단순한 유형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승문원은 교서관에 비해 분관되는 시점에서 이미 핵심 관직으로 주목받고 있었다. 승문원에 분속되는 급제자들은 주로 한성부에 거주하며 그들의 가문과 威勢가 매우 높은 名文家들의 후예임이 밝혀졌고 성균관 분관자들은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 在地士族의 후예였으며 校書館 分館者들은 承文院과 成均館 分館者에 비해 철저하게 차별받았다고 할 수 있다.
      승문원 분관자는 승정원ㆍ예문관ㆍ세자시강원ㆍ의금부ㆍ외관직 등의 초직에 진출한 반면, 성균관 분관자들은 사헌부ㆍ성균관ㆍ승정원ㆍ육조ㆍ외관직 등에 주로 진출하였다. 교서관 분관자는 주로 周邊部 外官職에 보임되고 있었다.
      급제자들의 분관과 그들의 관직 승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출신배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승문원 분관자의 父祖들은 그들의 우세한 가문의 영향력과 ‘혼인’을 매개로 한 ‘婚姻網’으로 權力同盟(Power Bloc)을 지속적으로 구축하였으며, 성균관 분관자들은 승문원 분관자의 출신배경과 영향력에는 크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교서관 분관자는 출신배경이 매우 미미하였다. 한성부 거주자는 승문원과 성균관에 주로 분관되었으며 初職入仕에서는 承政院, 成均館, 三司와 世子侍講院 등 ‘參下 淸要職’에 주로 임명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泳謨, "李氏王朝시대의 지배층의 형성과 이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2 : 1967

      2 吳洙彰, "조선후기 평안도민에 대한 인사정책과 도민의 정치적 동향" 서울대학교 1995

      3 배재홍, "조선후기 서얼허통" 경북사학회 10 : 1987

      4 金昌鉉,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출신배경과 진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1996

      5 金昌鉉,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진출" 조선시대사학회 7 : 1998

      6 박홍갑,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분관과 진출" 한국사학회 50 : 1995

      7 박홍갑, "조선초기 承文院의 성립과 그 기능" 한국사학회 62 : 2001

      8 李昌杰, "조선중기 지배엘리트의 충원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고려대학교 1993

      9 정홍준, "조선중기 정치권력구조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10 이원명, "조선조주요 성관문과급제자 성관분석 -『문과방목』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73) : 93-131, 2004

      1 金泳謨, "李氏王朝시대의 지배층의 형성과 이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2 : 1967

      2 吳洙彰, "조선후기 평안도민에 대한 인사정책과 도민의 정치적 동향" 서울대학교 1995

      3 배재홍, "조선후기 서얼허통" 경북사학회 10 : 1987

      4 金昌鉉,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출신배경과 진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1996

      5 金昌鉉,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진출" 조선시대사학회 7 : 1998

      6 박홍갑,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분관과 진출" 한국사학회 50 : 1995

      7 박홍갑, "조선초기 承文院의 성립과 그 기능" 한국사학회 62 : 2001

      8 李昌杰, "조선중기 지배엘리트의 충원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고려대학교 1993

      9 정홍준, "조선중기 정치권력구조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10 이원명, "조선조주요 성관문과급제자 성관분석 -『문과방목』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73) : 93-131, 2004

      11 박홍갑, "조선시대 문음제도 연구" 탐구당 1994

      12 차미희, "조선시대 문과제도연구" 국학자료원 1999

      13 元昌愛,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14 원창애,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의 관직 진출 양상" 조선시대사학회 (43) : 5-50, 2007

      15 오수창, "인조대 정치세력의 동향 In: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태학사 2003

      16 鄭萬祚, "영조대 초반의 정국과 탕평책의 추진 In: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태학사 2003

      17 원창애, "문과급제자의 전력 분석 In: 조선시대의 과거와 벼슬" 집문당 2003

      18 "韓國系行譜"

      19 "萬姓大同譜"

      20 "經國大典"

      21 "淸選考"

      22 "朝鮮王朝實錄"

      23 鄭求先, "朝鮮前期 官吏任用制度에 대한 一考察-權知의 別薦과 南行의 官界進出을 중심으로-" 25 : 1991

      24 "承政院日記"

      25 "國朝文科榜目"

      26 "受敎輯錄"

      27 차미희, "16세기 전반기 문과 급제자의 6품직 승진" 조선시대사학회 (20) : 79-106, 2002

      28 車美姬, "16세기 문과급제자의 분관과 진출" 한국사학회 50 :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