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작자(女作者)’라는 전략 혹은 함정-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론

        최은경 ( Choi Eunkyung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翰林日本學 Vol.- No.41

        본고에서는 일본 근대초기 대표적 여성작가로 활약했던 다무라 도시코에 주목하여 당시의 작가 자신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소설 「여작자」를 분석했다. 불안정하고 불투명한 존재로서의 ‘여작자’를 도시코는 어떤 전략으로 전경화(前景化)하였으며 또한 어떤 함정을 유발하는지, 그 역설적 이면까지 추적했다. 도시코는 스스로 여성작가를 ‘여작자’로 개칭함으로써 ‘(남성)작자’와 대칭되는 위치를 확보하려고 했다. 원제인 ‘유녀’가 여자의 직업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여자의 영역이라는 것을 명시하고 있듯이 ‘여작자’는 성별을 명기함으로써 여자의 또 하나의 직업명과 범위를 표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당당히 ‘여성’임을 강조하고 새로운 여성상을 제시하며 기존의 남성들과는 다른 묘사기법을 구사한 것은 (남성)작가와의 차별된 전략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동시에 그러한 생존 전략은 (남성)문단에서 기대하는 ‘여작자’의 역할을 연기하면서 결국에는 불완전하고 모순된 존재로서의 ‘여성’을 노정(露呈)하는 함정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해도 여작자 도시코의 ‘여작자’로서의 선도적 시도는 일정 부분 평가받아 마땅할 것이다. In this paper, Tamura Toshiko's Female Writer is considered. Toshiko is one of Japan's leading female writers in the early modern period. And her novels provide a glimpse into the real life of her Toshiko. Toshiko described herself as a ‘woman’ and presented a new image of a woman. She used a description technique that was different from that of (male) writers. This is interpreted as a strategy differentiated from (male) writers. At the same time, such a survival strategy is to play the role of the expected ‘female writer’ in the (male) literary world. In conclusion, it brings the trap of representing ‘woman’ as an incomplete and contradictory existence.

      • KCI등재

        사타 이네코가 그리는 여작자의 표상 - 『여작자(女作者)』를 중심으로

        이상복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0 No.-

        사타 이네코와 다무라 도시코의 복잡한 인연은, 도시코가 남편 스즈키 에쓰(鈴木悦) 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18년 만에 캐나다에서 일본으로 돌아올 때 밝힌 선중담화(船中 談話)에서 이네코를 높이 평가한 것이 계기가 되어 시작된다. 일본에 돌아온 도시코는 다시 평론, 엣세이, 소설 등을 발표하며 작가활동을 재개하 지만, 독자들의 관심을 얻어내지 못했다. 이런 어려운 가운데 있던 도시코가 구보가와 쓰루지로(窪川鶴次郎,이네코의 남편)에게서 에쓰의 모습을 발견하고 특별한 관계로 발 전한다. 두 사람의 정사(情事)가 세상에 알려지자, 곤란해진 도시코는 서둘러 중국으로 떠난다. 그 후, 이네코가 중국으로 전지(戰地) 위문 갔을 때, 어느 신문기자의 도움으로 도 시코와의 어색한 재회가 이루어진다. 그때 본 도시코의 늙음과 초췌함에 이네코의 마음 을 움직였으며, 무엇보다 돌연사(突然死)하기 직전에 도시코가 보낸 편지에서 이네코는 도시코가 과거의 잘못으로 무거워했던 마음을 읽어낼 수 있었다. 이런 이네코의 마음이 도시코가 이미 1913년에 발표한 『여작자』라는 동명(同名)으로, 도시코 사후(死後) 1주년 인 1946년에 발표하게 된다. 개인적으로 여러 가지 갈등을 안고 있던 두 사람이었지만, 도시코의 『여작자』가 남 성과 동등한 입장에서 활동을 하고 싶어하는 여작자의 모습을 그렸다면, 이네코는 자신 을 포함한 ‘여작자’의 삶과 여권신장을 표방한 신여성으로서의 도시코를 기리기 위한 오마졔(hommage)로서 붙인 작품명이라는 것을 읽어 낼 수 있다.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Ineko Sata and Toshiko Tamura began when Tamura highly valued Ineko on her way back from Canada after 18 years. Toshiko's husband, Etsu Suzuki suddenly passed away just before then. After coming back to Japan, Toshiko restarted writing critiques, essays, and novels, but failed to gain popularity. In the difficulty, Toshiko found out an image of her lost husband, Etsu into Tsurujiro Kubokawa, the husband of Ineko, and they started off a romantic relationship. Finally, the fact was widely known in the society, and consequently, Toshiko escaped to China. After that, when Ineko visited the military units to comfort soldiers in China, a journalist helped Ineko to meet Toshiko again. Ineko was depressed because Toshiko looked tired and old then. Toshiko also wrote a letter to Ineko and expressed her apology on her death bed. Then in 1946, Ineko commemorated the first anniversary of Toshiko's death, and published “Woman Writer”, which is the same title as a Toshiko's novel in 1913. Personally, they had many conflicts.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is novel is a homage to Toshiko who lived as a new woman and pursued women's lights if Toshiko drew female authors, attempting to live equally to men.

      • KCI등재

        하서(河西) 김린후(金麟厚)와 조선(朝鮮) 중기의 성리학

        조남남 ( Nan Nan Zhao ),유나(번역) 퇴계학연구원 2012 退溪學報 Vol.132 No.-

        16세기는 조선성리학이 크게 발전하고 학자들도 많이 배출된 시기였다. 호남의 河西 김인후 선생은 바로 조선성리학의 초창기에서 성장기로 넘어가는 과정 중의 인물로서, 그의 학술적 내용과 사상적 요지는 대체적으로 이 시기 조선성리학이 주목하고 있던 문제점과 이론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태극 음양 사단칠정 인심도심 등 조선성리학의 핵심적 내용에 착안하여 수직적으로는 이런 문제에 대한 河西의 관점을 파악하고 수평적으로는 河西가 다른 학자들과 이런 문제를 처리하는데 지니고 있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비교해 보려하며, 더 나아가 조선중기성리학이 程朱理學을 발전시키고 풍부하게 한 이론적 대응 방식과 특징을 분석해보려 한다. In the 16th century, the Neo-confucianism of Chosun Dynasty had a tremendous development, many famous scholars emerged. KimHa-Shu is the watersheds in the period from the beginning to the maturity stage of the Neo-confuciansim of Chosun Dynasty. His acdemic content and thought`s orientation can reflect the core of the subjects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thoeries concerned by the academic field of this period. This article bases on some important concepts and discussion, T` ai-chi and Yin Yang, Si-duan and Qi-ch`in, Jen-hsin and Dao-hsin, etc, then tends to horizontally grasp Kim Ha-Shu`s points about these question and vertically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im Ha-Shu and other scholars. The final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sis the new pattern and characteristic in the terms of thoery to develop and enrich the Neo-coufucianism by the scholars of Chosu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