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노동속성변화에 관한 연구 - 장애인과 비장애인 가구주 비교 -

        김선희 ( Kim Sunny ),이정자 ( Lee Jeong Jar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 장애인복지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여 취업애로계층이 실질적으로 가구를 대표하고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가구주의 노동속성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장애여부에 따라 근로형태, 근로능력, 근로형태별 불완전취업자의 직종, 실업자의 구직 중 어려운 점, 비경제활동상태의 경우 비경제활동 사유, 그리고 균등화 소득에 따른 분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근로형태는 공식적인 실업률은 안정적인 반면, 연도별 패널이 진행됨에 따라 취업의사가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질병 또는 부상이나 노령으로 인한 심신무능력으로 비경제활동인구에 머무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장애인 가구주 중 취업자의 경우 비장애인 가구주에 비해 임시직 또는 일용직으로 불완전취업 상태에 있고, 직업 분포는 단순노무직, 기능원 및 기능 관련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전문직 종사자는 아주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셋째, 공식적인 실업상태에 있는 장애인 가구주의 경우 구직과정에서 건강을 주요한 걸림돌로 느끼고, 패널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나이, 기술이나 경력부족의 비율이 점점 높게 차지하였다. 비장애인 가구주의 경우는 나이, 기술부족이나 저임금, 열악한 근무환경, 경력부족을 주요 요인으로 들고 있다. 넷째, 장애인과 비장애인 가구주 모두에서 비경제활동 사유로 ‘근로무능력’은 점차 낮아진 반면 ‘근로의사가 없거나 구직활동을 아예 포기’하는 비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다섯째, 균등화 소득에 따른 취업애로계층 가구주의 소득변화는 장애인 가구주가 비장애인 가구주에 비해 저소득층에 포함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종단연구 중 짧은 기간 동안의 동태를 살펴봄으로써, 취업애로계층의 장애인 및 비장애인 가구주의 노동속성의 변화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성을 알 수 있었고, 향후 취업애로계층의 고용지원정책 마련에 기여함과 동시에 지원된 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실질적인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is aimed to analyze changes of labour properties from the head of the household who belongs to a class of the unemployed but is responsible for living expens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works, implemented by KWPS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2006, 2007, and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 (1)The official unemployment rates of underclass' households continue to be stable; as KWPS continued, however, the rates of unemployment are gradually increased because their willingness to work has been decreased, they intended to transfer to another job, or they suffered from mental and physical incapability from injuries and aging. (2)The most participants are employed as lower non-manual, unskilled manual workers and technical services, but only a few are manual workers. But The official unemployed rates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are gradually increased, which is categorized as they have a desire to be employed, working arrangements or disabilities by aging and an injuries. (3)In case of the disabled households who are under official unemployed conditions, they point health problems out as the important barrier on the process of job search. As the KWPS proceeded, they felt increasing problems in aging and lack of functions, skills, and experiences. (4) The reasons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are unwillingness to work and giving up to be employed, rather incapability to work. (5)Regarding the equal income, the possibility belonging to the low-income bracket tends to be included in a group of the disabled rather a group of non-disabled. The findings of this quantitative study which implemented in a longitudinal study revealed the basic trends in changes of labour properties from the underclass, disabled, and non-disabled households, and as a result, it can provide a practical base in the future, which contributes to set up an employment supporting policy as well as to improve the effects of supporting policy.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황신영,성지민,이의빈 한국장애인개발원 2023 장애인복지연구 Vol.14 No.1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는 자녀의 발달과 재활을 위해 일평생 지속적인 돌봄을 제공하고, 이러한 돌봄부담으로 여가생활을 비롯한 일상생활 전반에 자유롭지 못한 제약을 경험하기 쉽다. 본 연구는 Pearlin과 그의 동료들이 제시한 돌봄스트레스 과정모델(1990)을 기반으로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과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영향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패널조사 3차년도(2020)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발달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사례 260개의 사례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으며,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은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B=.147, p<.01), 여가만족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B=-.134, p<.01). 더불어 여가만족은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과 우울을 매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존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과 우울 간 관계에서 소외되어 왔던 여가만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돌봄부담으로 인한 어려움을 완화하고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여가생활의 향유와 여가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 장애인고용 및 취업활성화방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유승주 ( Yu Seung-ju ),김오자 ( Kim Oh-ja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3 장애인복지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과 취업활성화 방안에 대해 직업재활 종사자를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장애인고용 실태는 보건복지부 통계자료와 유사하게 20~30대 장애인, 남자, 청각장애인과 경증 지체장애인 그리고 지적장애인 순서, 단순노무직 중 생산직에 근무하는 형태를 나타냈다. 둘째, 장애인 고용의 긍정적인 요인과 한계점은 ‘꾸준한 정부지원제도’, ‘장애인식 효과’, ‘취업관련 프로그램 진행’, ‘구직 장애인의 강점’ 등으로 나타났고, 한계점은 ‘전시성 정부정책’, ‘고용주 편견’, ‘장애인 이직 충동’, ‘새로운 갈등’, ‘고정된 신념체계’ 등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장애인 취업 활성화 방안은 ‘실효적인 정부정책’, ‘노동자의 권리와 의무 확립’, ‘직업재활 실천주의적 방안’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부는 장애인 고용정책의 현실적 문제와 개선방안에 대한 다채널 마련과, 장애인 직업재활 현장에서는 구직 장애인과 고용주의 ‘만남의 장’ 프로그램을 활성화, 장애인고용촉진공단과 장애인고용개발원은 성공사례 미디어사업과 아이디어 공모, 종사자 처우개선에 주력함을 제언 한다. This research applie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arget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rkers to investigate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rsons and promotion plan for employment. The result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ctual situation of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rsons in Korea showed the form that the disabled persons in the order that those of the age of 20~30, male, deaf and minor disabled persons, and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were production employees of simple labor, which is similar to the statistical data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cond, positive factors and limitations of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rsons were 'steady government- aided institution', ‘awareness effect of disability', 'program progress related to employment’, ‘strong points of disabled job seekers’, etc., and limitations were apprehended as 'exhibition policy of government’, ‘employer's prejudice’, ‘disabled person's impulse of change jobs’, ‘new conflict’, ‘fixed belief system’, etc. Third, the plan for the promotion of employment of disabled persons appeared as 'effective governmental policy', 'establishment of laborers' right and obligation', and 'practical plan for occupational rehabilitation'. To conclude,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for the multichannel regarding the realistic problems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disabled persons and its improvement plan, and that the vitalization of 'meeting place' program between disabled job seekers and employ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site for the disabled should be prepared, also,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and Development agency for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should concentrate on media project for successful cases, idea contest, and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 of employees.

      • 한·일 장애인예술 발전 과정에 관한 고찰

        방귀희 ( Bang Gui Hee ),김언지 ( Kim Eon-ji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2 장애인복지연구 Vol.3 No.2

        장애인복지서비스로 장애인의 생활 환경이 많이 개선됐다. 그런데 왜 장애인은 아직도 차별을 느끼고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는 것일까? 그것은 장애인이 무엇을 하며 살고 싶은지에 대한 재능 욕구를 무시하고 단순히 생명권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지원을 했기 때문이다. 장애인복지라는 일방적인 서비스로는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없다. 장애인이 원하는 것 가운데 예술이 있다. 그것을 장애인예술이라고 하는데 장애인 예술이 한국과 일본에서 어떻게 시작해서 어떤 과정으로 발전해갔는지에 대한 연구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예술을 비교 분석해서 보다 발전적인 장애인예술의 방향을 모색함으로서 장애인이 복지서비스의 대상이 아니라 다양한 능력 가운데 예술에 재능이 있는 예술인으로 살아가며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그리고 사회에 이바지하며 성공적인 사회 참여자가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본은 장애인 예술활동 지원 단체로 1994년 일본장애인예술문화협회를 창립해서 에이블 아트 운동을 제창했다. 에이블 아트는 장애가 있는 사람이 무능한 것이 아니라 다른 가능성의 표현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용어이다. 반면 한국은 장애예술인 당사자 개인이 활동을 하며 1980년대 후반부터 장애예술인들이 모여 농미회, 솟대문학, 한국장애인미술협회를 구성하여 단체 활동을 해오고 있다. 일본이 장애예술인을 지원하는 형식으로 에이블 아트를 전개했다면 한국은 장애예술인 스스로 장애인예술 분야를 개척해오고 있다. 양국 모두 장애인예술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은 장애예술인이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다. 장애인의 예술적 재능을 개발해서 그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주면 예술을 통해 자신의 삶을 발전시켜나가는 장애인이 많아질 것이다. 한국과 일본이 장애인예술에 관심을 갖고 장애인예술을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해서 시행한다면 장애예술인의 삶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장애인복지 발전 더 나아가 예술을 통한 국가 발전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the welfare service of disabled persons, their environment of life was improved so much. But, why do they feel discrimination and experience social exclusion? Its reason is that talents and desire of disabled persons were ignored and supports were provided for protecting the right of life simply. With one-sided servic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their quality of life cannot be improved. Among the what disabled persons want, there is an art. It is called as art of disabled persons. There is no study on the start and process of development for the art of disabled persons in Korea and Japan.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and analyze art of disabled person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seek mor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art of disabled persons so that disabled persons can be artists who have talents in art among the various abilities, not an object of welfare service, and become successful social participants by living a happy life and contributing for the society. Japan established Japanese disabled persons art association in 1994 as a supporting association for disabled persons artistic activities and shouted able-art movement. Able-art emphasizes that disabled persons can express other possibilities, not are incompetent. On the other hand, each disabled artists have conducted group activities by organizing Deaf art association, Sosdae literature and Korea disabled art association since the late 190s. If Japan unfolded able-art under the form supporting disabled artists, Korea has pioneered the field of disabled art for themselves. Both of two countries should prepare an opportunity that disabled artists can display their talented for the development of disabled art. If letting them display their talents by developing their artistic talents, there will be lots of disabled persons who develop their life through the art. If Korea and Japan develop and perform the policy which can develop disabled art with interests in the art of disabled art, the life of disabled artists will be improved and welfare of disabled people will be develope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play a big role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art.

      •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주연 ( Seo Ju Youn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 장애인복지연구 Vol.1 No.3

        ‘자립생활 패러다임’은 장애인 복지의 핵심패러다임으로서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의 질적인 성장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과정으로 적용되어 질 수 있으나 정신보건 영역에서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에게 자립생활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그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연구하기 위한 것으로 조사 대상자는 20세이상 60세 미만의 정신병 진단을 받고 지적장애와 중복되지 않은 정신장애인으로 시울시 내 정신보건시설 및 센터에서 사례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2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 통계방법을 사용하였고 신체적 자립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일상생활능력, 자아존중감, 가족·사회적지지, 나이순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립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자아존중감, 가족·사회적지지, 일상생활능력순이며 사회적 자립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자아존중감, 가족·사회적지지, 일상생활능력, 나이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정신장애인이 자립적으로 생활하기 위해서는 첫째, 정신장애인이 사회적 차별이나 인권침해를 받았을 때 정신장애인의 필요와 사례에 따라 공적시스템 하에서 맞춤형 정보제공은 의무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정신건강서비스의 조기개입과 고등교육 수준까지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셋째, 가족, 친구를 포함한 이웃주민, 지역전체, 전문가를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정신건강교육을 통해 사회적 낙인감 제거 및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하여 가족·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자조모임과 동료상담을 통한 프로그램으로 주인의식을 갖고 지역사회 참여자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Independent Living Paradigm’ is so called the model viewpoint of the services advantaged as consumers, putting the importance of ‘self-determination’. In this context, this paradigm is placed the emphasis on the principle of coverage of all physically and mentally-handicapped people. Nevertheless, the research on mental health is rarely made, so the research on independent living of mentally-handicapped people is required. The research theme was factor to influence self-assistance among mentally-handicapped peopl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thesis studied about the relatively greatest variables. To do it,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of 289 mentally-handicapped people, who were diagnisd as having merely mental disabled, instead of mental disorder and etc, Seoul mental health centers who were more than 20 and under 60 years old. The research thesis conducted the statistic analysis with the statistically research tool of SPSS Win, 12.0.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each factor, and relative influences with the prevented gender disorder dependent variables. First, the tailored information fit for cases of mentally-handicapped people ought to be provided under public service systems, by all means, so that mentally-handicapped people could seek help for their social discriminations or human rights infringements, and they could stand on their feet and live independently. Second, taking policy measures is important to help them receive high education. Third, the assessments of mentally-handicapped people ought to be made through individual selective services based on what's called ‘voucher’ form, which guarantees self-determination to mentally-handicapped people. Fourth, this research can refer to as reduce social stigma and build extensive social relation networks, and strengthen family and social supports by providing right mental health education training on mental disorder to family, friends, neighbors, local people and experts. Fifth, it can be cited as self-assistance programs and daily life training methods necessary for self-assistance with the focus on counselors.

      • KCI등재

        장애인표준사업장에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고용유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

        권성민,정연구,김종인 한국장애인개발원 2020 장애인복지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장애인표준사업장에 취업한 발달장애인 근로자들의 고용유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발달장애인들에게 실질적인 취업 확대와 고용유지를 이루어 자립에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카이검증 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빈도분석을 통해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대부분은 남성이고 연령은 20대와 30대, 그리고 교육수준은 고졸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급은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을 졸업한 근로자 비율이 높았다. 둘째, 카이검증을 통해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취업형태에서 정규직이 비정규직에 비하여 근속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발달장애인의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으로 대인관계에서 적절한 인사와 직장에서 지각, 조퇴, 결근하지 않고 업무에 충실히 하는 근로자가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사업장 내에서 근무시간을 상황에 맞게 조절하고 지원하는 사업장에서 고용유지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근거로 향후 장애인표준사업장에서 발달장애인 근로자들이 더욱 적합한 환경 속에서 안정된 직업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이론과 발달장애인들의 고용유지에 필요한 정책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mployment maintenance factors of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ployed in the standard workplace for the disabled, and to help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become self-reliant by expanding employment and maintaining employment.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chi-tes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first, through frequency analysis, most of the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male, and the age was in their 20s and 30s. The percentage of the workers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was high, and also, the class had a high percentage of the workers who graduated from speci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Second, through the chi-test, it was found that full-time workers have longer service period than non-regular workers in the employment type of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logistic regression has shown that appropriate personnel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orkers who are faithful to their duties without being late for work, early leave or being absent from work affect the employment statu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workplace that adjusts and supports working hours in the standard workpla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maintenance.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a ground theory that could help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a stable career in more suitable environment in future standard workplaces for the disabled and a policy proposal necessary to maintain employment of the disabled were suggested.

      • 한·중·일 장애인복지정책 비교연구

        김정희 ( Kim Jung-hee ),김경란 ( Kim Kyoung-ran ),이율희 ( Lee Yull-hee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장애인복지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지리적으로 인접할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도 많은 동질성을 확보하고 있는 한·중·일 3개국의 장애인복지정책 비교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아시아 사회복지의 최근 변화와 동일한 맥락에서 동아시아 장애인복지 정책을 살펴보는 것은, 장애인복지정책에 대한 동아시아 국가에서의 논의를 촉발할 수 있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사례비교연구설계방법을 분석틀로 비교기준을 소득보장, 고용보장, 의료재활보장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소득보장 측면에서는 지급대상자격과 재원에서 상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고용보장측면에서는 제도변천의 지속적인 발전이라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의료재활보장측면에서는 3개국 모두 장애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반영된 정책을 전개해나가고 있었다. 연구결과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다양한 장애유형별 법령의 구비 및 확대, 둘째, 1981년 UN ‘장애인인권선언’ 발표 및 ‘세계장애인의 해’ 선포의 영향으로 인한 장애인 권리에 기반한 정책의 전개, 셋째, 사회통합 및 공생이념의 확산, 넷째, 인구학적 요인을 고려한 정책수립의 필요성이다. 한·중·일 3국의 고령화 속도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향후 인구고령화 속도에 따른 장애인구의 추이에 관심을 갖고 장애인의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정책을 설계하여야 한다. This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present conditions of each area of social welfare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Those countries are geograph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both socially and culturally, they are considered to be very much alike. How this study looks into social welfare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recent changes in social welfares in East Asia could be a chance for the countries in East Asia to open a discussion over social welfare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has proceeded with its investigation and came up with implications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methodological strategy utilized in this study, called 'most similar systems' comparison design is fairly clear. In exercising these comparative logics, we have selected four comparative variables as income security, job security, medical rehabilitation security. In the light of income security, we have much in different of payment object qualification and finance, in terms of job security, there are some in common aspect of continuous development. In addition, in terms of medical rehabilitation security, three nations have steady policy of health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flected their desire. The implications are provided as follows. First, the three countries need to secure and expand various acts to cope with all those different types of disability. Second, in 1981, UN declared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ternational Year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ince then, the countries made a progress with their systems in relation to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rd, it is the social integration and spread of co-existence philosophy. When the ultimate goal of a welfare state is believed to be going for goals of individuals in a stabilized society, improving quality of individual life, quality of the disabled’s life will be in a grea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a society. Fourth, the three countries need to take demographic factors into consideration when they try to establish any new relevant policies. Korea, China and Japan are rapidly changing into an ageing society and because of that, they should pay attention more to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a life cycle of those people when they design a relevant policy.

      • KCI등재

        장애인단체 운영 성과 및 한계점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문영임,김지혜,이채식 한국장애인개발원 2022 장애인복지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ts performance and limitations throug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and activity of disabled group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disabled groups in the future. The resultls of the research, literature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groups for the disabled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group employe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disabled groups contributed to the promotion of independ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business operation centered on them. It was also found to be playing a pivotal role in improving the social integration and awareness of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s of group operation include poor treatment and frequent turnover of workers, overload of work, lack of manpower, perception gap and discrimination between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workers, unstable financial status due to insufficient budget, and lack of an objective evaluation system for group operation. was pointed out a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lan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successful disabled groups was suggested. 본 연구는 장애인단체의 운영 및 활동의 특성 분석을 통해 그 성과와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장애인단체의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단체 운영에 대한 문헌분석 및 단체 종사자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단체는 당사자 중심의 사업 운영을 통해 장애인의 자립 및 사회참여 증진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회통합 및 인식개선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종사자의 열악한 처우와 잦은 이직, 업무과중, 인력 부족, 장애인 근로자와 비장애인 종사자간 인식 괴리 및 차별 대우, 부족한 예산으로 인한 불안정한 재정 상태, 객관화된 단체 운영 평가시스템 부족 등이 단체 운영의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장애인단체 운영 개선 및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내 장애인 운동프로그램의 특징 및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김지영,민지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8 장애인복지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llect approved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y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re were 43 different related research publications collected according to the searched by ʻʻexercise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ʼʼ from Korean research publication database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using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 methods. As a result, exercise programs were conducted under the supervision with categorized according to different disability classification, different age groups and purpose of the exercise. In addition, exercise programs effect on improvements in the body composition, metabolic profiles, mental health and mobility function due to their disability in people with disability.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exercise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y and supports the policy decision making for the adaptive sports at the national level and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exercise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운동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검증된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 학술논문 한국학술정보시스템(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ʻʻ장애인 운동프로그램ʼʼ, ʻʻ장애인 운동 프로그램ʼʼ으로 검색한 후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PRISMA)의 형식으로 수집하여 총 43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운동중재는 감독 하 운동프로그램(supervised exercise program)으로 진행되었으며, 운동프로그램은 장애유형, 연령, 운동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시행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운동프로그램은 장애인의 체구성, 체력, 정신건강 및 기능적 제한을 개선하고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 장애인 체육 정책 및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근거기반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중증장애인 생활실태조사 분석: 서비스욕구를 중심으로

        김정희 ( Kim Jung-hee ),유경민 ( Yoo Kyung-min ),이진숙 ( Lee Jin-sook ),이정현 ( Lee Jung-hyun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장애인복지연구 Vol.2 No.4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한 ‘중증장애인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이에 중증장애인을 위한 정책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실태조사 영역을 세분화 하고, 중증장애인의 기본적 삶의 질 제공을 위하여 사회 참여 및 세부 욕구 등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중증장애인 생활실태조사 크게 개인관련 사항, 보건/의료, 소득 및 경제, 심리·사회적응, 문화·여가, 이동 및 편의시설, 자녀양육, 교육, 임신 및 출산, 서비스 욕구 등 10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이 중에서 본 지에서는 서비스욕구측면의 분석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기로 한다. 서비스 욕구 영역에서는 중증장애인의 욕구에 기반한 지원 확대와 편의시설 및 보조기구 지원확대를 시사점으로 도출하였으며, 중증장애인 생활실태조사영역 중 중복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중증장애인의 욕구가 생의 주기를 통해 연속선상에서 표출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즉, 장애유형이 다양하듯이 각 장애인 당사자의 욕구 또한 자신의 환경과 여건에 따라 달리 표출된다는 것이다. 정책입안 시 다양한 계층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의무가 국가에 있음을 상기할 때, 근사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려는 의지가 매우 중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a 'severe disability survey' conducted by, such changes in policy environment for severely disabled according to the survey area is divided, and severe disabilitie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quality of life, social participation and details about the specific needs, etc., and was performed in order to access empirically. severely disabled individuals living survey largely related items, health / medical, income, and economic and psycho- social adjustment ·, culture and leisure, move, and facilities, child care, education, pregnancy and childbirth, service needs, and was composed of 10 regions, of which not seen how the analysis of service needs with a focus on aspects to look at. Service needs based on the needs of severely disabled persons in the area support the enlargement and expansion of facilities and support for aid was drawn to the implications, of the areas with severe disabilities living survey, which is redundant with the needs of severely disabled continuously through the life cycle indicates that it is expressed in line. In other words, just as there are several types of failures of the party each person needs also change depending on their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will be expressed. When policy makers meet the diverse needs of various levels in the country that the duty to recall, to reach the approximate center of consumer willingness to support the personalized service is very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