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입시컨설팅사교육 서비스 상품의 수요실태에 관한 질적연구

        김대준,박명희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4 사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입시컨설팅사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인터뷰 및 사교육 종사자와 공교육 종사자의 전문가적 견해를 탐색함 으로써, 입시컨설팅사교육 서비스 상품의 수요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생 10명, 사교육기관 종사자 8 명, 공교육 종사자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주제분석법을 활용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학생들이 입시컨설팅사교육을 수요하는 목적은 진로 및 진학에 대한 정보 획득, 진 로 및 전공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 도움, 구체적인 입시계획 수립, 불안심리를 완화하는 것이었다. 입시컨설팅사교육에 대 한 만족도는 진학 선택이 진로 선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았으며, 고가일수록 더 긍정적이었다. 둘째, 입시컨설팅사교육 의 수요 경로는 지인추천, 학원 및 사교육 업체 추천, 입시 관련 커뮤니티를 통한 참여, 사교육 기관의 설명회(간담회)를 통한 참여 등 다양하였다. 셋째, 입시컨설팅사교육의 비용은 상담 횟수, 전공에 따라 다양했으며,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 었다. 학생들은 미래의 위험 완화와 안정성을 입시컨설팅사교육에 기대하였고, 높은 비용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고가의 입시컨설팅사교육을 수요하고 있었다. 입시컨설팅 사교육 비용은 학생들이 유리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교육 투자의 성격을 가지는 동시에 불안심리를 완화하는 소비적인 경향이 있었다. 입시컨설팅사교육의 효용성을 높 이기 위해서는 학생 및 학부모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중요하고, 사교육 종사자가 시장의 논리에 매몰되지 않는 서비스 를 제공하여야 한다. 정부는 공교육 내실화의 일환으로 진로전담교사를 양성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사교육분야의 컨설턴 트들과 위탁 및 협조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emand for Admissions Consulting Private Tutoring Services(hereinafter referred to as ACPT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had received admissions consulting tutoring as well as the expert opinions of private tutoring practitioners and public education practition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10 students, 8 private tutoring practitioners, and 6 public education practitioner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demands for ACPTS were driven by the need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career and college admissions, assistance in making decisions regarding career and major choices, formulating specific admissions plans and alleviating anxiety. It was interpreted that satisfaction of college admissions through ACP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career choices, and students’ satisfaction tended to increase as higher costs were paid. Second, the demand paths for ACPTS varied: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recommendations from private tutoring institutions, participation in admissions-related communities and attending information sessions hosted by private tutoring institutions etc. Third, the costs of ACPTS vari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and majors, with regional differences observed. Despite feeling the burden of high costs, students still demanded expensive ACPTS due to expectations of mitigating future risks and providing stability. The cost of ACPTS was perceived as an investment in acquiring valuable information while also serving to alleviate anxiet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CPTS. it is crucial for students and parents to make rational decisions, and private tutoring practitioners have to provide services that are not driven solely by market logic. Additionally, as part of strengthening public education, it is considered the government needs to train career guidance counselors wider and more enough and collaborate with consultants in the private tutoring sector in case needed.

      •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의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 : 조직 구성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대열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3 사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의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를 검토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서비스 기업의 개인적·조직적 주요 변인을 검증하여 교육적 조직으로서의 교육서비스 기업의 실제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 확보 의 토대가 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교육서비스 기업 임직원을 연구대상으로 설 정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40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SPSS 26.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행된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의 학습조직화 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서비스 기업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의 학습조직화에 정(+) 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과 조직의 학습조직화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리더십, 학습조직화, 자기효능감 등 교 육서비스 기업의 개인 및 조직 변인 관계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al leadership of educational service company managers on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Throuh this, researcher tried to verify major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f educational service companies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ervice companies as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will be the basis for securing sustainable growth engines.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setting executives and employees of educational service companies as research targets, and a total of 40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conducted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leadership of the managers of educational service compan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s learning organiz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leadership of the managers of educational service compan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fficacy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of educational service compan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s learning organiza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leadership of educational service company managers and the organization's learning organization. Through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f educational service companies such as educ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and self-efficacy was confirmed,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사교육의 잠재력과 가능성의 실현에 관한 연구

        최항석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2 사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사교육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탐구하여 사교육의 올바른 정체성과 주체성을 정립하고, 이를 근거로 미래 사 교육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사교육은 의도적으로 이미지 화 되었다. 그 이미지화는 부정적인 인식과 문제로 형성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사교육은 필요악이며, 그림자 교육으로 취 급되었다. 그러나 사교육의 부정적 이미지는 교육권력과 학교학자들의 정치적 이념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였다. 공교육 과 사교육은 공간의 경계로 인한 차이이지 차별을 위한 경계 짓기가 아니었다. 사교육은 오히려 교육산업의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에지케이션 실현을 위한 공교육보다 더 중요한 교육자본이다. 또한 공교육과 사교육은 에지케이션 실현을 위한 동반자이며, 사교육은 공교육만큼 사회 속에서 존재 가치가 높은 교육의 현상이다. 그러므로 사교육 기관은 사회적 책임 의 수행을 통해 사교육의 정체성과 주체성 정립에 노력해야 한다. 사교육 기관의 사회적 책임은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 이외에 교육적 책임을 각인하고 성실하게 수행해야 한다. 사교육 기관의 교육적 책임은 교육 원리에 기초한 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교육적 선도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교육 기관과 종사자들은 넓고 깊은 연구에 매진해야 한다. 반성과 성찰을 통한 사교육의 연구는 미래 한국의 교육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초성이 됨을 명 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ivate education from a positive point of view to establish the right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private education, and to realize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 of future private education based on this. In Korean society, private education was intentionally imaged. The imaging was formed with negative perceptions and problems. Private education is a necessary evil in Korean society and has been treated as shadow education. However, the negative image of private education was created by educational power and political ideology of schoolism scholars.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were differences due to the boundary of space, not the boundary for discrimination. Private education is rather more important than public education to realize edge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industry. In addition,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are partners for realizing edgecation, and private education is a phenomenon of education with high value in society as much as public education. Therefore,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strive to establish the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private education through the perform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to economic, legal, ethical, and charitable responsibilitie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must be imprinted and faithfully performed. The educational responsibility of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have educational leadership based on the philosophy of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based on educational principles. To this en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and workers should focus on wide and deep research.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study of private education through reflection will be an important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industry in Korea in the future.

      •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 및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용헌,엄덕수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1 사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 및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구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 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 개선을 유도하고,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원교육 및 학원경영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입시·검정 및 보습학원에서 수강 중인 고등학생 6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BM SPSS StatisticsDHK 25와 AMO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은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응답성 순이고, 변혁적리더십은 지적자극, 개별적배려, 영감적동기화, 이상적영향력 순으로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순이고, 구전의도는 주관적구전의도, 적극 적구전의도, 객관적구전의도 순으로 보통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과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 품질은 변혁적리더십, 자기 효능감, 구전의도에, 변혁적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구전의도에, 자기효능감은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서비스 품질과 구전의도 관계에서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과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원장이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과 학원강사의 리더십을 제고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구전의도를 높이는 구조적 관계 속에서 경영활동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students' thought for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The study targeted specific High school students, registered to private tutoring centers of Daechi-dong, Joong-gye-dong, Gyonnggido bundang, and Suwon Yong-tong which are special private education districts in South Korea. An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the teaching service quality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influences on self-efficacy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help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high school students find the ways to improve the private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to help private education instructors recognize how important they boost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n, the study finally advised private tutoring centers and their instructors on how they show better performance for private education and their company’s management.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researched references & dissertations, and carried out a survey.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hich was carried out by 640 high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analyzed by IBM SPSS Statistics DHK 25 and AMOS 21 program, and it was verified in level of p〈.05. In order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executed, and then bootstrapping was also executed to verify mediated effects. The survey analyzed by the process explained above has four important results. First, here presented analyzing survey on students’ thought for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consisted of reliability> certainty> sympathy> type> responsiveness in order of score rank.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consisted of intellectual stimulation〉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ideal influence in order of score rank, which showed not a high level of score.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self-control efficacy〉 self-confidence〉 assignment level of difficulty in order of score rank. The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subjective word-of-mouth intention〉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 and objective word-of-mouth intention in order of score rank. Second, here is the result that examined the correlation of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showed a mutu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mong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study showed how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had influenced on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β=.83, p<.001)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 positive(+) influence(β=.16, p<.001) on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 positive(+) influence(β=.33, p<.001) o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had influenced on a positive(+) influence(β=.36, p<.001) on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 positive(+) influence o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β=.47, p<.001).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β=.10, p<.01) o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Fourth, here is the result that researched a mediated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 student's self-efficacy between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eaningful was an indirect effect of [teaching service quality ->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word-of-mouth intention]. Also meaningful was an indirect effect of [teaching service quality ->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In addition, meaningful was a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d-of-mouth intention. And also meaningful was an indirect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Therefo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have a mediated effect between private educational teaching service quality and students' word-of-mouth intention. In conclusion, to improve private tutoring center education and management, private tutoring center's manager should make efforts to raise the teaching service quality of his or her institute, and an instructor should lear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how the leadership for his or her students.

      • 다문화가족 학생의 사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의웅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4 사교육연구 Vol.4 No.1

        학업적 어려움을 경험하며, 부모의 교육 지원을 적절하게 받기 어려운 다문화가족 학생에게 사교육은 학습활동을 돕 는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의 개인 차원에서는 사교육 수요 동기와 자기효능감을, 환경 차원에서 는 학교생활 적응 정도를, 가족 차원에서는 부모의 교육적 지원 실태를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다문화가족 학생의 사교육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가족 학생의 개인 특성 과 부모의 특성에 따라 사교육 참여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 학생이 사교육에 참여하는 행위에는 보완적 동기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이 증가할수록 사교육 참여를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공부 를 어려워하고, 적응을 힘들어할수록 사교육 참여가 늘어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족 부모의 교육 지원 활동이 사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모의 학습환경 조성 활동, 학업성적 신장 활동, 자녀 생활 관리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면 사교육 비용이 감소하고, 자녀학교 교육활동이 증가하면 사교육 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 탕으로 다문화가족 학생과 부모가 사교육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나아가 다문화가족 학생과 관련된 교육기관 및 교육 당국이 다문화가족 학생이 사교육에 참여하는 현상을 이해하며, 교육 지원 정책을 수립 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였다. This study noted that private education can be a strategy to help learning activities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experience academic difficulties and do not receive adequate educational support from their parents. We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parent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of students, self-efficacy, parents' educational support at the family level,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t the environment level affect their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was divers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Second, complementary motives strongly influenced the behavior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increased as self-efficacy increased. Third, the more difficult it was to study and adapt to school, the more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increased. Lastly, the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ffected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students and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make decisions related to private education, and furthermor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related to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an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nd can use it as basic data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support policies.

      • 유아 사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수요동기 및 인식,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이 사교육 참여 개수 및 비용에 미치는 영향

        김성욱,박명희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2 사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서울시의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에 소재하고 있는 반일제 이상 교육기관(일명 영어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의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 사교육 수요동기 및 인식,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 들이 사교육 참여 개수 및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부모가 자녀 사교육과 관 련된 요인을 다면적으로 검토하고, 인식을 전환함으로써 과열된 유아 사교육이 완화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부모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사교육 수요동기는 자녀의 인적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자녀를 잘 키우고 자, 자녀가 좀 더 나은 졸업장을 획득하게 하고자, 남들이 사교육을 받기 때문에, 자녀가 경쟁우위를 점하게 하고자 하는 순서로 분석되었다.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기대감이 높은 반면, 부담감과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주거환경 보다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참여 개수는 자녀를 적게 낳는 만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이 클수록, 부모의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의 연령이 올라갈수록 많았다. 사교육비용은 자녀의 인적자본 을 축적하고 싶은 마음이 높을수록, 주거환경이 사교육에 노출되어 있고, 부모의 소득수준과 사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자 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가 해외거주 경험이 없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 수요동기 및 사교육 인식 과 사교육비용 간의 관계에서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 인식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ives and perceptions of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for infant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parents of children attending half-day or higher tutoring institutions (English kindergartens) located in Gangnam-gu, Seocho-gu, and Songpa-gu, Seoul and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number and cost of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Through this, parents review the factors related to their children's private tutor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ways are sought to alleviate the overheated private tutoring for children by changing their perception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399 par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motivation for private tutoring is to accumulate their children's human capital, to raise their children well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o have their children obtain a better diploma, to have their children educated in the same way with others, and to get their children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While parents' perception of private tutoring has high expectations, the economic burden and dependence on private tutoring are relatively low, and parents' perception of socioeconomic status is higher than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 private tutoring are human capital accumulation, consumer choic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level, and the child's age. Factors affecting private tutoring expenses were human capital accumulation, living environment, parents'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income level,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children's ag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motivation for private tutoring, perception of private tutoring, and private tutoring cost.

      •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진학 사교육 참여배경, 서비스품질, 만족도가 비용 및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김대준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2 사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진학 사교육 참여배경, 서비스품질, 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 인들이 사교육비용 및 지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진로·진학 사교육의 전망을 탐색하고, 진로·진학 사교육이 불가피하다면, 비용을 절감하면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 색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5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AS 9.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진로·진학 사교육은 사교육업체가 경영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하는 시 장적 논리, 입시정책의 변화에 발맞추어 진학을 준비하고 미래의 이익을 추구하는 학생들의 대응, 공교육에서 진로·진학 지도의 미흡함이 연계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진로·진학 사교육은 기업(기업의 이익추구 마케팅), 가계(학생/학부모 의 자구책 마련), 정부(공교육의 공공재로써 평등성 가치추구)가 각 주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가운데 발생되고, 이와 관련 된 여건이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진로·진학 사교육은 서비스품질 및 만족도가 보통 이상이고, 서비스품질에 대한 확신성이 낮고, 진로선택 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비용이 높아진다. 이는 진로·진학 사 교육이 품질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진로·진학 사교육의 지속성은 여학생, 대 부분의 고등학교 학생, 소득이 높은 가정의 학생, 참여배경(공교육 미흡, 입시정책 대응, 사교육마케팅)이 그 수준을 높이 고 있다. 결론적으로 진로·진학 사교육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그 비용을 절감하고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교 육업체, 정부, 학부모의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for higher education and career path,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how these factors affect private tutoring cost and sustainability. Through this, the prospects of private tutoring for career path and higher education were explored, and it was sought to find a more effective way to reduce the cost, if the private tutoring is unavoidable.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576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were analyzed using the SAS 9.4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reasons why they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for career path and higher education were because of active marketing of private tutoring companies, because students want to respond to changes in entrance examination, and because counseling for career and higher education was insufficient in public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private tutoring for career and college education was in the order of reliability> certainty> empathy> responsiveness> tangibility, and in terms of satisfaction, the choice of higher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career choice, and th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online companies and consulting companies were higher than other type companies. Second, private tutoring for careers and higher education occurs while high school seniors have complicated and impatient mind because they should decide their university and major in the entrance exam (regular exam path or irregular school record path), when fathers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 worry about their children's future, and when private tutoring for career and college education is expanded both online and offline. Third, the price of private tutoring service for career and college education was high in the following cases: a) when fathers have a high educational background, b) when they use an online company, public education is insufficient, c) when they have low confidence in service quality, and d) when they have low satisfaction with career choice. The level of sustainability is increased by female students, most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from high-income families, and participation background (insufficient public education, response to entrance exam policies, and private education marketing). Private tutoring for career and higher education is expected to continue, and to reduce costs and increase effectiveness private tutoring companies, the government, and parents should make more efforts for the improvement of private tutoring.

      • Appreciative Inquiry를 활용한 사교육기관의 지속가능경영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전온리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3 사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사람과 조직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환경 내에 존재하는 가치 있고 우수한 요인을 협력 기반의 질문을 통해 찾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변화의 방법인 Appreciative Inquiry(긍정적 가치탐색)를 활용하여 사교육기관의 지속가능경영 연구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긍정적 가치탐색 방법이 소개된 1986년 이후 의 국내외 문헌을 웹 기반 전자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총 321건(국외 298편, 국내 23편)을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지속 가능한 사교육기관의 교육 경영을 위해서는 문제 중심의 접근법이 아닌 가치와 강점 중심의 접근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 다. 사교육기관의 지속 가능한 변화와 발전을 위한 가치 중심적 접근과 연구의 중심에는 긍정적 가치탐색이 있다. 사교 육기관은 긍정적 핵심 가치탐색과 활용을 통해 이상적인 교육 경영 모델을 수립하고, 이해관계자들의 의미요소를 파악하 여 소통방안을 마련하며, 기관과 기관 종사자들의 강점과 장점 및 우수요인과 성공 경험을 통해 발전 전략을 세우고, 기 관의 잠재력 활용과 적극적인 구성원들의 참여를 통한 효용성 있는 협력체계를 구성해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issues of sustainable management research for private tutoring institutions using Affirmative Inquiry(AI)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I is a method of change that finds and develops valuable and excellent factors that exist in people, organizations, and their surrounding world through appreciative interviews. For this study, a total of 321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298 overseas, 23 domestic) since 1986 were reviewed and analyzed using a web-based electronic database. For sustainable educational management of private tutoring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use a value-based and strength-oriented approach rather than a problem-oriented approach. AI is at the heart of value-based approach and research for sustainable change and development in private tutoring institutions.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establish an ideal educational management model through AI, identify the meaningful factors from stakeholders, prepare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strengths and success experiences of institutions and institutional workers, and establish an effective cooperative system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의 구조적 관계분석

        류선영,김성길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3 사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직업적합도와 근무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주요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가 자신의 역할수행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영·유아교육기관이 교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 족, 교육신념, 조직몰입의 수준은 보통이었고, 역할수행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는 직업적합도가 높을 수록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보육교사가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경우, 민간 어린이집 또는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직무만족, 조직몰입(정서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교육신념과 조직몰입에, 교육신념은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역할수행에, 교육신념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만 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육신념은 매개효과가 존재하나, 조직몰입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영·유아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국·공립어린이집 수준으로 개선 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보육교사의 교육신 념을 제고시키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from job suitability and workplace types based on job satisfaction, pedagogical belief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ole performance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key variables. Eventually, the ultimate goal is to identify measur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educational services by having educators performing their roles without any issues. To achieve this, a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339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the programs including IBM SPSS Statistics 26.0 and AMOS 26.0 a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job satisfaction, pedagogical belief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are average, and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is above average. Second, when job suitability is higher, the awareness of job satisfaction, pedagogical belief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ole performance are higher. In addition, when the educators work at national or public institutions, their awareness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emotional) commitment, and role performance is higher than the awareness of the educators working at private organizations. Third, the educators’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edagogical belief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ir pedagogical belief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Howev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and pedagogical beliefs do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educators’ job satisfaction on role performance, pedagogical beliefs do show a mediating effect, while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e work environ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be improved to the level of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Also, there should be measures to increase the level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ducators and trainings to enhance their pedagogical beliefs.

      • 교육대학원생의 자기주도성 및 자기효능감이 경력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송기자,김성길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4 사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생이 지각하는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경력개발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주도성이 자기효능감에, 자기주도성과 자기효능감이 경력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3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성(평균 4.1)과 경력개발역 량(평균 3.89)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고, 자기효능감(평균 3.66)은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성의 하위요인으로부터 전반적으로 영향을 받고, 자기주도성의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은 학업적 효능감, 사회적 효능 감, 자기조절 효능감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개발역량은 자기주도성의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의 사회적 효능감, 자기조절 효능감으로부터 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원생의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경력개발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ward self-initiative,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o further analyze the factors, based on those findings, that self-initiative had effects on self-efficacy and self-initiative and self-efficacy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o achieve thes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395 students and graduat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using SPSS 26.0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initiative mean 4.1)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mean 3.89) were above average, and self-efficacy(mean 3.66) stayed at the average level. Second, self-efficacy was generally influenced by the sub-factors of self-initiative, and the self-concept of being an efficient learner with self-initiativ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efficacy, social efficacy, and self-regulation efficacy. Thir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was positive(+) influenced by love and passion for learning, self-concept as an efficient learner, social efficacy, and self-regulation effica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paper had suggested measures to increase self-initiative, self-efficacy,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