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컨설팅의 학문적 정립에 관한 연구

        리상섭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 No.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 정립을 통해 교육컨설팅학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태동과 현황 및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과제를 확인하였다. 국내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은 2012년 3월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 교육컨설팅전공 석사과정이 처음으로 개설되었다. 국내 대학원 3곳의 일반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및 국내 교육대학원 9곳의 석사과정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이 개설되어 있었다. 교육컨설팅학의 독립된 전문학회인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는 2017년 6월 창립되었고,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의 전문학술지인 교육컨설팅코칭연구는 2022년 1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다.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해 교육컨설팅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영역 확립, 이론과 연구 방법 확립, 국내 대학과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설치의 확대, 교육컨설팅학 관련 전문학회와 전문학술지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컨설팅학의 연구 대상, 이론, 연구 방법, 대학원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개설, 전문학회의 설립과 전문학술지의 발행 등을 통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에 관하여 연구한 최초의 논문으로 교육컨설팅학 학문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education consulting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s a discipline.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s and current status of education consulting and the challenges for establishing education consulting as a discipline. The Korean graduate schools, domestic academic institutions, were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consulting in the world. In March 2012, the first master's program in education consulting was opened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the Major in Education Consulting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of three Korean graduate schools and in the master's programs of nine Korea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 Consulting and Coaching, a professional society of education consulting, was founded in June 2017, and its professional journal, the Journal of Education Consulting and Coaching, was selected as a KCI accredited journal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January 2022. In order to establish education consulting as an academic discipline, this study proposed to establish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areas of education consulting, establish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expand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departments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and expand professional societies and professional journals related to education consulting. This study is the first paper to study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through the research objects,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of education consulting, the establishment of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graduate schools,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societies, and the publication of professional journals, and has significance as a basic study for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 KCI등재

        교육컨설팅의 학문적 정립에 관한 연구

        리상섭(Sang Seub L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202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 정립을 통해 교육컨설팅학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태동과 현황 및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과제를 확인하였다. 국내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은 2012년 3월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 교육컨설팅전공 석사과정이 처음으로 개설되었다. 국내 대학원 3곳의 일반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및 국내 교육대학원 9곳의 석사과정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이 개설되어 있었다. 교육컨설팅학의 독립된 전문학회인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는 2017년 6월 창립되었고,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의 전문학술지인 교육컨설팅코칭연구는 2022년 1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다.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해 교육컨설팅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영역 확립, 이론과 연구 방법 확립, 국내 대학과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설치의 확대, 교육컨설팅학 관련 전문학회와 전문학술지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컨설팅학의 연구 대상, 이론, 연구 방법, 대학원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개설, 전문학회의 설립과 전문학술지의 발행 등을 통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에 관하여 연구한 최초의 논문으로 교육컨설팅학 학문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education consulting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s a discipline.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s and current status of education consulting and the challenges for establishing education consulting as a discipline. The Korean graduate schools, domestic academic institutions, were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consulting in the world. In March 2012, the first master's program in education consulting was opened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the Major in Education Consulting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of three Korean graduate schools and in the master's programs of nine Korea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 Consulting and Coaching, a professional society of education consulting, was founded in June 2017, and its professional journal, the Journal of Education Consulting and Coaching, was selected as a KCI accredited journal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January 2022. In order to establish education consulting as an academic discipline, this study proposed to establish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areas of education consulting, establish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expand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departments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and expand professional societies and professional journals related to education consulting. This study is the first paper to study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through the research objects,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of education consulting, the establishment of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graduate schools,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societies, and the publication of professional journals, and has significance as a basic study for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 KCI등재후보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 교육과정 분석

        리상섭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2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the keywords were limited to ‘education consulting’, and data were collected in the order of Daehakalrimi(https://www.academyinfo.go.kr), Naver and Google keyword search, and each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s websi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re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general graduate schools in South Korea, and nine master’s programs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outh Korea were in operation, and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were organized based on the faculty members’s major and expertise according to new department and major or name changed department and major.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analysis the current status and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and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of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s disciplin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의 현황과 교과목 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개설 현황과 교육과정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키워드를 ‘교육컨설팅’으로 한정하여 대학의 주요 정보를 제공하는 대학알리미, 네이버와 구글 키워드 검색, 각 대학과 대학원의 홈페이지 확인 순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 결과 3개의 국내 일반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및 9개의 국내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이 운영되고 있었고, 신설 또는 변경에 따라 해당 교수진의 전공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개설 현황과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써 교육컨설팅학 발전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의 의의를 지닌다.

      • Gordon Lippitt과 Ronald Lippitt 및 Oscar Mink의 컨설팅 프로세스 모형 비교 연구

        리상섭(Sang Seub L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18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Gordon Lippitt과 Ronald Lippitt 및 Oscar Mink의 교육컨설팅 프로세스 모형을 국내에 제시하는데 있다. Lippitt & Lippitt은 6기의 15단계의 컨설팅 프로세스 단계를 제시하였고, Mink는 6기의 19단계 컨설팅 프로세스 단계를 제시하였다. Lippitt & Lippitt은 1기 “초기 접촉 및 시작 참여”, 2기 “계약 공식화 및 도움 관계수립”, 3기 “진단 분석을 통한 문제 확인”, 4기 “목표 설정 및 실행 계획”, 5기 “실천 및 피드백 순환”, 6기 “계약 완료(지속, 지원, 종료)를 제시하였다. Mink은 1기 “접촉 및 시작”, 2기 “계약 공식화”, 3기 “문제 확인 및 진단 분석”, 4기 “목표 설정 및 계획”, 5기 “실천 및 피드백 순환”, 6기 “완료: 지속, 지원, 종료를 제시하였다. 2007년 Oscar Mink의 컨설팅 프로세스 모형은 한국 글로벌 A사 컨설팅 프로세스 단계에 처음 적용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nsulting process model between Gordon Lippitt & Ronald Lippitt and Oscar Mink. Lippitt & Lippitt suggested 6 phases and 15 steps consulting process and Mink suggested 6 phases and 19 steps consulting process. Lippitt & Lippitt s consulting process is consisted of 6 phases: phase 1 is engaging in initial contact and entry, phase 2 is formulating a contact and establishing a helping relationship, phase 3 is identifying problems through diagnostic analysis, phase 4 is setting goals and planning for action, phase 5 is taking action and cycling feedback, and phase 6 is completing the contract(continuity, support, and termination). Mink s consulting process is consisted of 6 phases: phase 1 is contact and entry, phase 2 is contact formulation, phase 3 is problem identification and diagnostic analysis, phase 4 is goal setting and planning, phase 5 is action taking and feedback cycling, and phase 6 is completion: continuity, support, evaluation, and termination. Oscar Mink s consulting process model was applied to A Korean Global Corporation s consulting process model in 2007.

      • KCI등재후보

        평생학습 실태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 분석 : S구 구민과 평생교육 담당자를 중심으로

        김인숙(Kim, In-sook),박현경(Park, Hyun-kyung),김은성(Kim, Eun-su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0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S구 구민의 평생학습 실태 및 구민과 평생교육 담당자 간의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차를 조사하고,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시 S구 구민과 평생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S구 구민은 평생학습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주로 집 근처에 있는 기관에서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학습 관련 정보는 주로 소식지를 통해 얻고 있으며,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주된 목적은 개인의 삶을 윤택하게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학습에 대한 S구 구민과 평생교육 담당자 간의 인식차 분석 결과, 구민이 평생학습 정보를 얻는 경로와 평생교육 담당자가 홍보하는 경로,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유, 평생학습 환경 만족도 부분에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민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의 우선순위는 스포츠와 외국어, 인문교양, 문화예술, 시민참여 관련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S구는 구민의 요구에 부응하는 평생학습도시를 구현을 위해 평생학습원을 중심으로 각 분야 평생교육 사업을 구민입장에서 조망하고,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각 기관이 네트워크 형성, 정보교류 등의 파트너십과 상호 유기적 협업을 통해 지역사회 상생발전을 도모하는 지속 가능한 평생교육지원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가 구민의 요구에 부응하는 평생학습도시 구현과 평생학습 활성화 방안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lifelong learning among residents of S District and lifelong education personnel, and analyzes the need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o realize a lifelong learning city that meets the needs of residents of S District. It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and provide a plan for 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idents of S District recognized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found that institutions near the home mainly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was mainly obtained through newsletters, and the main purpos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was to enrich the lives of individua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the residents of S District and lifelong education personnel, the paths for resident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lifelong learning, the paths promoted by lifelong education personnel, the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and the satisfaction of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were different. In addition, the priority of residents need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as in the order of sports, foreign languages, humanities, culture, arts, and citizen participation. Overall, S District looks at lifelong education projects in each area, focusing on lifelong learning centers, in order to realize a lifelong learning city that meets the needs of residents, and each institution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establishes networks, partnerships with information exchanges, etc.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stainable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that promotes win-win development in the community through mutual organic collabor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realization of a lifelong learning city that meets the needs of resid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a plan to promote lifelong learning.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구직역량 개발을 위한 경력별 교육요구 분석

        이희은,리상섭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2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for employment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areer status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vocational education to have a job in the SW-related field. To this end, 345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SW-related vocational education at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A were surveyed to analyze the current level and future needs of adult learners, consisting of 4 competency groups and 20 sub competencies. As a result of using the t-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check the educational nee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future needs for the entire competency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and job commitment sub-competencies among sub-competencies. Also, if you look at the top areas with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experienced learners were in the order of job document writing ability and job communication ability, and learners without experience were in the order of job search document writing ability, job decision-making ability, resource utilization ability, and self-understanding. Based on the needs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SW vocational education, systematic support measures such as customized curriculum and counseling will be available to produce SW talents with the job search skills needed by society. 본 연구는 SW관련 분야 직업을 갖기 위해 직업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경력유무에 따라 구직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직업훈련기관의 SW관련 직업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 345명을 대상으로 구직역량을 조사하여 구직지식, 구직기술, 구직태도, 직무적응 4개 역량군과 20개 하위역량으로 구성된 구직역량에 대한 현재수준과 미래필요도를 전체 및 경력 유무에 따라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고자 t 검정, The Locus for Focus Model 을 활용한 결과, 전체 역량군에 대한 현재수준과 미래필요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하위역량 중 조직 및 직무 몰입 하위역량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최우선영역을 살펴보면 경력이 있는 학습자는 구직서류작성능력, 구직의사소통능력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이 없는 학습자는 구직서류작성능력, 구직의사소통능력, 구직의사결정능력, 구직희망분야이해, 자원활용능력, 자기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SW 직업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경력유무에 따른 구직역량 교육 요구를 토대로 맞춤형 교육과정, 상담 등 체계적인 지원방안이 마련된다면 사회가 필요로 하는 구직역량을 갖춘 SW 인재를 배출해낼 수있을 것이다.

      • 대학에서의 수업컨설팅 현황과 과제

        김경이 한국교육컨설팅학회 2013 교육컨설팅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수행되고 있는 수업컨설팅의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검토하는 것이다. 최근 수업컨설팅은 교수자의 강의를 개선하는 종합적 접근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수업컨설팅을 실시하고 있는 교수학습센터는 165개 가운데 94개소이며 이는 전체 교수학습센터의 56%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온라인 조사에서 살펴본 현황은 수업컨설팅 실시 여부, 참여 인원, 컨설턴트의 전문성 관련과 교육현황, 교수자들의 수업컨설팅 대한 만족도 등이다. 본 조사에 참여한 교수학습센터 38개 가운데 수업컨설팅을 운영하는 곳은 30개로 이들로 부터 수합한 자료에 기초하여 종합한 수업컨설팅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의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전환. 둘째, 수업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 셋째, 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 넷째 수업컨설팅에 대한 학문적 연구 수행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 higher education. Recently,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is accepted as one of the effective approaches to improve teaching quality. Now 94 out of 165 CTLs are running for instructional consultation and it is 56% of total. The 38 CTLs respond out of 137 in this survey, and 30 CTLs are running instructional consultation, and according to this 30, the followings are considering as the challenges. Firstly, the faculty's understanding of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should be changed. Secondly, the professionalism of the instruction consultant are required. Thirdly,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nstructional consultant are needed. Lastly, researches for the effectiveness and evaluation of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should be followed.

      • KCI등재

        대학 창업 교과목 운영 사례 : 사회적 기업가정신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김인숙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 정규 창업 교육과정 내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교과목 운영 사례를 통해 창업 교육방법과 창업 교과목의 실천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가정신 교과목의 수업전략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업 전과 후에 자기평가식 설문조사, 수업 후 성찰보고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과 중요 사건을 중심으로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설문조사 결과, 기업가정신의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모든 요인에서 창업 교과목 수업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성과 진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친사회성의 공동체의식, 공감, 돕기 모든 요인에서 창업 교과목 수업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체의식과 공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후 성찰보고서에서 학습자의 협력적 참여 중심의 실천적 교수전략의 긍정적 효과는 팀활동을 통한 기업가정신 발현 활동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학습활동 참여 효과, 진로의 선택지로서 창업에 대한 인식 제고, 교수자의 팀활동 퍼실리테이션과 학습 코칭 효과로 나타났으며, 애로사항으로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철학에 맞는 창업 아이디어 도출 및 개발 과정의 어려움과 팀원 모두의 적극적 참여에 대한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창업교육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학습자의 협력적 참여 중심 실천적 교수전략을 제안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창업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지원을 위한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tart-up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art-up courses through the opera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s in the university's regular start-up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operate,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evaluation surveys and post-class reflection repor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important events. First,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l factors of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taking in entrepreneurship increased after the start-up course class, and innovation and initiativ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all 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empathy, and help in prosociality increased after the start-up subject clas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empath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rd, in the post-class reflection report, the positive effects of learners' cooperative participation-oriented practical teaching strategies were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results through team activities, raising awareness of start-ups as career options, and difficulties in the start-up idea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 practical teaching strategy centered on the coopera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evidence for supporting effectiv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 KCI등재

        컨설팅, 코칭 분야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KCI 등재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김인숙,양지희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 No.S

        본 연구의 목적은 컨설팅, 코칭 분야의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2019년부터 2023년에 발간된 국내 학술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 연구는 지속적으로 전개되었으며, 2020년~2021년에 239편(53.95%)으로 나타났다. 둘째, 게재저널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는 타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해 전개·확장되었다, 셋째, 연구방법 분석결과, 컨설팅은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코칭은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전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분야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에서 모두 교육 관련 영역에 대해 주로 논의되었으며, 코칭은 스포츠, 군 코칭에 대한 논의가 전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주제 분석결과, 컨설팅 분야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진 반면, 코칭은 변인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컨설팅, 코칭 관련 연구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교육 분야의 컨설팅, 코칭 관련 연구 영역별 키워드를 범주화 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2020년~2021년 동안의 사회 환경적 배경, 연구 주제, 방향성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컨설팅과 코칭이 다양한 분야와 연관성을 가지며 상호작용하는 영역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컨설팅과 코칭 분야의 연구에서 연구 방법 차이에 대한 맥락을 확인할 수 있는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컨설팅과 코칭 연구 분야의 지속적 확장과 동시에 학문적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컨설팅, 코칭 분야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컨설팅과 코칭 분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As a result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443 papers were selected. The selected papers were 116 consulting-related papers and 327 coaching-related papers.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by research period, journal, research method, research field, research topic.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the following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First of all, in-depth research is needed that categorizes keywords for each research area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in the education field. Second, in-depth research on soci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s, research themes, and directions between 2020 and 2021 is needed. Third,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the process in which consulting and coaching evolve into areas where they are related to and interact with various fields. Fourth,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context of the differences in research methods between consulting and coaching. Fifth, academic establishment is needed at the same time as continuous expansion of consulting and coaching research field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domestic research trends in the consulting and coaching field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공간에 대한 선호도 분석

        김인숙(Insook Kim),양지희(Jihee Ya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0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4 No.2

        평생교육은 제 4차 산업혁명, 사회적 갈등 증폭 등 불안정하고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지속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핵심전략으로써 그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 필요 공간에 대한 평생학습의 주체인 시민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향후 평생교육 공간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평생교육 공간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평생교육의 필요 공간 및 구성안을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평생교육 공간별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도출된 평생교육 공간은 힐링공간, 첨단 스마트공간, 복합문화공간, 집중 학습공간의 4가지 대분류와 18가지 소분류로 분석되었다. 최종 제안된 4가지 공간의 세부 공간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힐링공간은 녹지공간, 카페 등 소통공간, 오락공간, 전신안마기 등이 비치된 휴식공간, 독립된 명상공간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첨단 스마트공간은 3D프린팅룸,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존, 드론체험장, 사물인터넷(IoT) 기술 융합 체험장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복합문화공간은 소공연장, 미술, 사진 작품 전시장, 세공, 드로잉 등의 실습장, 음악감상 및 악기 연주실, 사진 촬영 스튜디오로 구성하였다. 넷째, 집중 학습공간의 경우 도서관, 토론, 토의가 가능한 회의실, 개별 스터디룸, 오픈 스터디룸으로 구성하였다. 최종 도출된 18개의 평생학습 공간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평생학습 공간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간은 첫 번째가 도서관, 두 번째가 녹지 공간, 세 번째가 카페 등 소통공간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평생학습 주체인 시민의 요구에 맞는 효과적인 평생교육 공간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calating social conflict, Lifelong education is increasingly needed as a core strategy for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amid unst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itizen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spa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 derived necessary space and composition plan for lifelong education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confirmed the preference of each lifelong education space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the lifelong education space was analyzed in 4 sections and 18 subsections: The healing space, The high-tech space,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The intensive learning space. First, the healing space is composed of the green space, communication space, recreational space, rest space and independent meditation space. Second, The high-tech space is composed of 3D printing room, eXtended Reality zone, drone space and Internet of Things(IoT) technology space. Thirdly, The complex cultural space is composed of concert hall, exhibition, workroom for craftsmanship and drawing, music room for listening and playing and photo studio. Fourth, The intensive learning space is composed of library, conference rooms for discussion, individual study room and open study room. According to a survey on preferences of lifelong learning spaces, the first is a library, the second is a green space, and the third is a communicatio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create an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space that meets the needs of citizens who are the subjects of lifelong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