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고고학의 고대 국가형성 연구를 위한 일 검토

        고일홍(Ilhong Ko) 중부고고학회 2014 고고학 Vol.13 No.1

        본고에서는 한국 고고학의 국가형성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유럽 고고학의 연구경향을 중심으로 고대 국가의 형성에 관한 다양한 해석적 접근을 검토하고 있다. 유럽 고고학에서 진행된 고대 국가형성에 관한 연구는 한국 학계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두 지역에서 고대의 국가가 유사한 환경적, 지정학적 조건 속에서 성장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두 지역의 고고학자들은 사회과학의 시각 보다는 역사학의 시각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 왔다. 그간 한국에 소개된 고대 국가형성에 관한 세계 고고학의 연구사례들은 주로 유럽 이외의 지역을 대상으로 한 것들이었기에, 유럽 고고학의 해석적 시각을 다루고 있는 본고의 시도는 한국 고고학의 학문적 저변을 넓히는 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의 제II장에서는 지금까지 한국 고고학에서 고대 국가형성에 관한 논의들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는 바를 밝히고 있다. 제III장에서는 고대 국가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유럽 고고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이론적 틀을 살펴보고 있다.‘사회발전단계론적 국가 모델’,‘국가에 관한 구조주의적-마르크스주의 시각’,‘국가에 관한 정통 마르크스주의 시각’,‘헤테라키적(heterarchical) 국가’가 그것이다. 제IV장에서는 국가에 관한 각각의 이론적 시각을 견지할 때 실제 고고학 자료에 대한 해석이 어떤 방식으로 진 행되고, 또 어떤 성격의 설명으로 이어지는지를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이 사례연구들은 유럽 중부지역 켈트족의 국가형성,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에 걸친 북부 유럽지역에서의 국가형성, 청동기시대 스페인 남동부 지역에서의 국가형성, 그리고 철기시대 남부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의 국가형성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V장에서는 이런 유럽 고고학의 논의가 한국 고고학의 고대 국가형성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국가의 등장을 양적 발달이 아닌 질적 전환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또 유럽의 사례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연구 계발적(heuristic) 도구로서의 가능성도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interpretative approaches that have been used in archaeological studies of ancient state formation in Europe in order to consider new pathways for research on the state in Korean archaeology. The reason that archaeological research undertaken in the European context can provide new insights for Korean archaeology is because state formation in the two regions occurred in similar environmental and geopolitical conditions. Therefore, an overview of previous studies on ancient state formation carried out by Korean archaeologists is first undertaken in order to illuminate the potential merits of the current study. Then the various theoretical frameworks that have been used in the study of the state in ancient Europe are considered. They comprise the‘social evolutionary concept of the state’,‘the structural-Marxist concept of the state’,‘the traditional Marxist concept of the state’, and‘the heterarchical state concept’. Following this is an examination of four case studies on ancient state formation in Europe which have adopted, respectively, each of these state concepts. They explore the formation of the Celtic state, state formation in Iron Age Northern Europe, the Bronze Age Argaric state, and the South Scandinavian heterarchical state. Finally,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the interpretative approaches adopted in these case studies (which are meant to be used as a heuristic tool by Korean archaeologists) are discussed.

      • KCI등재

        21세기 새로운 중세성(中世城) 쌓기 프로젝트 -역사·문화 체험으로서 실험고고학-

        박성진 중부고고학회 2022 고고학 Vol.21 No.3

        This article first briefly introduces the history of experimental archaeology in France, and then discusses two large collective experimental archeology projects: the Archéodrome project and the Guédelon medieval castle construction project. French experimental archeology can be traced back to the 19th century like other Western European countries, but experimental archaeology in the true sense developed in earnest after World War II. Unlike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Western Europe, French experimental archaeology is characterized by its development centering on the production of stone tools. First opened in 1978, the Archéodrome was the first archaeological theme park in France. The Archéodrome was successful in the early days with a lot of public interest, but it suffered from operational difficulties from the late 1990s and was eventually closed in 2004. Excessive competition among similar institutions, failure of specialization, failure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nd ambiguous identity are presumed to be the reasons for the failure of the Archéodrome. Meanwhile, the Guédelon medieval castle construction project, which started in 1997 and is still ongoing, is a good example of collective experimental archaeology. In this main body, the background, progress of this project, and the reason why this project was successful are explained in detail, and instead of the conclusion, we reflect on what the French experimental archeology cases examined in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이 글에서는 먼저 프랑스 실험고고학계의 발자취를 간략하게 소개한 다음, 두 가지 대형 집단 실험고고학 프로젝트, 즉 아르케오드롬(Archéodrome) 프로젝트와 게드롱(Guédelon) 중세성 건설 프로젝트에 대해논하였다. 프랑스 실험고고학은 다른 서유럽 국가들처럼 19세기까지 그 연원이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나, 진정한 의미의 실험고고학은 2차대전 이후에 본격적으로 발달하였다. 프랑스 실험고고학은 주변 서유럽 국가들과 달리 석기 제작을 중심으로 개인적 차원의 실험고고학이 발달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1978년에 문을 연 아르케오드롬은 프랑스 최초의 고고학 테마공원으로서, 집단 실험고고학은 이 고고학 테마공원의 개장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그렇게 탄생한 아르케오드롬은 초반에 많은 대중적 관심 속에서 원활히 운영되었지만, 90년대 후반기부터 운영난에 허덕이다가 2005년에 결국 폐쇄되었다. 유사 기관 간의 과당 경쟁, 전문화실패, 대중과 소통 실패, 모호한 정체성 등이 실패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1997년에 시작되어 현재까지도진행 중인 게드롱 중세성 건설 프로젝트는 집단 실험고고학의 모범적 사례로서, 본문에서는 추진배경, 진행과정 그리고 이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제시한 다음, 결론에서는 프랑스 실험고고학 사례들에서 국내 고고학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교훈을 찾고자 하였다.

      • KCI등재

        중부지방 구석기고고학의 쟁점과 유적형성과정의 이해

        성춘택(Seong, Chuntaek),김태경(Kim, Taekyeong) 중부고고학회 2020 고고학 Vol.19 No.1

        2000년대 들어 구석기시대 고고 자료의 양적 성장에 맞춰 구석기시대 문화변화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도 진전이 있었다. 이 글은 그동안 발굴된 중부지방(서울ㆍ인천ㆍ경기, 강원)의 구석기 유적을 종합하고, 기존의 연구경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특히 후기 구석기문화의 자료와 문화를 이해하는 틀을 점검한다. 뗀석기를 비롯해 유물의 분포, 복수 유물층의 판단 등에서 구석기고고학의 대상인 물질 자료가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지를 학문적 엄격성을 견지하면서 논증하는 접근방법이 중요하다. 만년이 넘는 시간 척도를 다루는 구석기고고학에서 유적이 잘 보존돼 있음을 전제하는 것보다 비바람과 동식물, 그리고 동결, 점토교란작용 등 자연현상의 결과일 가능성을 가설(영가설)로 삼고 이를 반증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자료는 이동 수렵채집민이 남긴 것이기 때문에 그 이동성과 사회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후기 구석기문화의 확산과 전개를 분석할 수 있다. 이 시각에서 경기도와 강원도의 구석기 유적과 출토유물을 개괄하면서 드러나는 몇 가지 지역적 패턴은 단순히 과거 문화의 단면이라기보다 상이한 유적형성과정과 조사의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덧붙여 이 논문은 슴베찌르개와 세석기, 양면찌르개, 돌화살촉을 비롯한 여러 중요한 석기형식의 등장과 소멸, 그리고 규질셰일과 규질응회암, 혼펠스, 흑요석 같은 정질 암석의 획득과 사용 등 중요한 이슈에 접근하는 분석 틀을 제안한다 This essay discusses current issues of Paleolithic archaeology with a special attention to the study of Jungbu region (Seoul, Incheon, Gyeonggi and Gangwon) based on critical reviews of previous research trend. Issues such as analyses of chipped stone artifacts, artifact distributions and determination of multiple cultural horizons at individual sit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cientific reasoning of how the human behavior’s material remnants of tens of thousand years ago underwent complex formation processes. In addition to vagaries of climate related processes, the archaeological record went through bioturbation, cryoturbation and argillioturbation even after the deposition. The scientific reason starts with a null hypothesis that all the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artifacts were results of natural processes and tries to falsify the hypothesis. In this vei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ite distribution across the Jungbu region is likely the result of site formation processes rather than cultural differences during the Paleolithic. Late Paleoltihic culture change is considered in terms of the diversity of lithic assemblages focusing on the emergence and disappearance of tanged points, microliths and bifacial points. Also, the technological transi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use of quality raw materials such as silicified tuff, shale and obsidian that were to have been obtained from distance sources. The rapid dispersals of the microlithic along with the use of obsidian are discussed with a special emphasis placed upon the climatic change during the final Pleistocene.

      • 樣式과 社會 -三國時代 土器樣式에 대한 解釋의 問題-

        李盛周 ( Lee Sung-joo ) 중부고고학회 2003 강원고고학보 Vol.2 No.0

        이 論文은 토기양식의 分布範圍를 통해 政治勢力의 領域을 추론해 왔던 연구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삼국시대 고고학연구에서 樣式과 社會에 대한 이해의 방식이 어떠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정치사적인 해석을 위해 토기자료를 사용하는 현실을 반성해 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첫째, 양식의 본질과 의미에 대한 현대고고학의 논의와 대비시켜 볼 때 三國時代 土器硏究에서는 樣式 그 자체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고 토기양식의 본질이나 의미, 즉 樣式 그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가 없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었다. 土器樣式의 분포를 통해 정치세력의 범위를 추론했던 연구 중에 脫과정주의 고고학자들이 양식의 능동적인 역할과 표상전략 등에 대한 제안을 인용하여 전제로 삼았던 예도 있었지만, 정작 脫과정주의 고고학자들의 의도는 그러한 인용의 관점과 같이 비교문화적 일반화의 원칙을 제안하고자 한 것은 아니었다. 그래서 삼국시대 토기양식을 정치세력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이용하려 하지말고 土器樣式의 本質과 意味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야 하며 이제부터는 양식 그 자체의 연구를 시작해야 한다고 보았다. 둘째로, 사회와 그 영역에 관해서는 遺物의 樣式이나 物質文化의 位階化된 분포패턴으로 사회영역을 정의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겠지만, 과거사회에서 영역을 어떻게 관념화했으며 물질문화에 그것을 어떻게 표현하였는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사회를 단위로서의 실체로만 보지말고 크고 작은 집단들의 關係網으로 이해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사회를 집단과 집단이 연결된 關係網으로 볼 때, 토기양식의 분포문제도 그러한 양식의 토기가 생산, 분배되었던 關係網을 분석하는 연구방식을 취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領域化된 단위사회를 토기양식의 분포범위로 정의하는 것보다 生産과 分配의 關係網을 분석해 보는 것이 과거사회를 더 잘 이해하는 방식이라고 제안하였다. 셋째로는, 三國時代 土器에 대한 분석들을 硏究史的으로 검토하면서 토기, 혹은 토기양식 그 자체의 연구가 극히 적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었다. 土器의 編年이나 樣式分布의 記述을 제외하고는 土器自體에 대한 考古學的인 問題提起나 접근의 사례가 매우 적다는 것이며 이는 考古學의 연구가 정치사의 下位問題 解決에 치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古代史와 考古學의 共助가 절실한 것은 사실이지만 고고학은 우선 그 自體의 目的과 問題提起,연구프로그램을 가지고 고고학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해야만 한다. 그렇게 생산된 고고학의 지식이 고대사에 참고될 때 그것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共助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a critical review of the studies that have inferred the boundaries of social groups from the distributions of ceramic styles. Unlike prehistoric earthenwares, the stonewares have been analyzed in relation to the questions of the narrative history of Three Kingdoms. For example, where had the polity whose name appeared in ancient documents taken it’s position? how much area it occupied? what period did it expand it’s political influence to the neighbouring polities and so on. It has, therefore, been naturally assumed that the monotonous distribution of a certain ceramic style should be an indicator of the territory of a polity, and that the expansion of political influence be reflected in the distribution of ceramic style. There have been few archaeologists who reject these assumptions. There must be considerable problems as to the studie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ceramic studies. It is not until the 1980’s that the various questionings other than chronological studies had never been attempted about the spatio - temporal variation of ceramic styles. Although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used the distributional data of the ceramic styles in the last decade, little discussion have been made on the nature of style itself and the specialized system of the ceram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 archaeologists who have dealt with the ceramic data have shown much interest in explicating the problems originated from the narratives of the political history. In this paper, it need to be suggested that the distribution of ceramic styles should rather be analyzed to reconstruct the networking between production center and consuming sites than define the political entities. To adjust our analyses and interpretations of ceramic style to the improved aim, we must change the concept of the society. Adopting the model that consider the society as the multiple interacting networks among the various leveled local groups instead of unit concept of sociality, we could better understand the social practice on the ceramic styles.

      • KCI등재

        지질고고학(Geoarchaeology)의 새로운 연구 경향과 전망

        이희진(Heejin Lee) 중부고고학회 2006 고고학 Vol.5 No.1

        본고에서는 환경고고학의 한 분야인 지질고고학의 새로운 연구경향과 고고학적으로 활용 가능한 분석방법들이 간략하게 소개되었다. 지질고고학은 토양과 지형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하여, 과거 인간의 토지 이용 및 활동의 흔적을 복원하고, 자연과 인간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주 연구목적이다. 특히 지형과 토양에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 중 인간에 의한 것(anthropogenic agents)을 구별해 내는데 주력하고 있다. 화학 분석으로는 인산염분석, 대자율분석, 산성도 측정 등이 응용되고 있다. 또한 토양 미세형태분석법은 토층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퇴적토의 생성과정을 비롯하여 식물 및 동물의 미세한 잔존물들을 확인할 수 있어서 고고학적 연구에 효용성이 높다. 이러한 분석법들은 유럽에서는 주거지의 생활면 분석, 지역단위의 고환경 복원 등에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고고학에서 수전 등의 연구에 활용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general concepts or geoarchaeology and methodologies applicable to archaeology are briefly introduced, Geoarchaeology aims to reconstruct dynamic land-use and human activities which have affected the pedogenesis. It also focuses on distinguishing anthropogenic agents from natural agents whim cause soil transformation. Several geochemical methods and soil morphological analysis had been employed to geoarchaeology. Phosphate analysis appears to be efficient to detect combination or phosphorus and other elements which originated from human occupation and animal use. Redox potential, pH, MS and other chemical testings can provide information which shows human intervention on the soil and depositional conditions. Soil micromorphological analysis enables us to investigate soil profile, soils and sediments at micro-scale without disturbing soil internal matrix. Soil micromorphologial analysis primarily affords identification or soil and sediments, and further it can be used to build up spatial, tempor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of the site. It has a great potential in Korean archaeology relating to the investigation of prehistoric rice paddy cultivation, the use or space in houses and landscape formation caused by human activities.

      • KCI등재

        고려시대의 고고학 연구와 역사학

        안병우(Ann Byung woo) 중부고고학회 2007 고고학 Vol.6 No.1

        고려시대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은 고고 자료를 매우 단편적으로 이용하고 있을 뿐이며, 근래 고고학계에서는 고려시대 고고자료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도 고려시대를 고고학의 대상 시대로 여기지 않는 분위기가 강하다. 현대의 고고학과 역사학은 역사상 혹은 문화상을 복원하려고 하며, 그러한 역사상 혹은 문화상이 왜 생성되었고,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규명하려고 한다. 그런 점에서 두 학문이 학문적으로 추구하는 목표가 같다. 다만 이용하는 자료와 연구 방법이 다를 뿐이다. 이제 고려시대의 모습을 규명하기 위해 고고학자와 고려사 연구자가 행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식의 전환과 상호 학문에 대한 이해 및 지식이 필요하다. 하나의 대상을 놓고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그를 통하여 고려시대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historians working on Goryeo period are likely to use archaeological data partially. Albeit the interest in archaeological data dated to Goryeo becomes more increased in archaeology, there still remains a tendency to regard Goryeo period as not being a research area for archaeology. The comtemporary archaeology and history attempts to reconstruct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and to probe the reason why those aspects were produced and how they were changed. In this respect, two disciplines share the same aim to pursue in academics. There is, however, only a difference in the data used and research method. It is neccesary for both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to corperate with in order to examine the feature of Goryeo period. For this work, prerequite is a conversion of thought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knowledge between those two disciplines. Various joint researches need to be executed for a common object, and based on these, new methodologies can be developed for the research on Goryeo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