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남아시아 지역학의 정체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담론 연구

        현시내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2 아시아리뷰 Vol.12 No.3

        The article examines the discourses around the identity and sustainability of Southeast Asian Studies since the Second World War and compares them to those of Korean Southeast Asian studies. The article consists of four main parts, the first two being dedicated to the study of the Southeast Asian stud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nd the last two focusing on the Korean case. After briefly surveying the debates around autonomous history, regional identity, and the “Thailand controversy”, the second part delves into the so-called area studies crisis in the 1990s and the rise of “indigenous” and “home scholars” in the area studies. The same part elaborates on the “transition” of the area studies from West to Southeast Asia and how the local scholars have responded to the socalled “Asianization of the Asian Studies”. In the latter half of the paper, these historical discourses become a lens to view Korean Southeast Asian studies. The third part examines the debates around the beginning of the area studies in Korea and research methodologies and approaches. The fourth part deals with the feasibility of taking the “Korean perspectives” in Southeast Asian studies. 이 글은 동남아시아 지역학이 본격적으로 발전한 제2차 세계대전부터 현재까지 제기되었던 지역학의 정체성과 지속가능 성에 대한 주요 담론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럽이나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지역학의 역사가 짧고 규모가 작은 한국의 동 남아시아 지역연구가 당면한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본다. 글의 전반부에서는 1940년대부터 급성장한 북미지역 의 지역학이 제기했던 동남아시아라는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연구의 방향성 문제, 그리고 윤리성과 실용성에 대한 논의를 살펴본다. 이어서 1990년대의 세계화 시대에 등장한 동남아시아 지역 출신 학자들의 지역학의 현지화 노력과 이를 둘러 싼 논쟁을 살펴보면서, 토착 학자들의 소속감과 정체성의 딜레마에 대해 생각해 본다. 후반부는 한국에서의 동남아시아 지역학의 발전과정에서 등장한 담론들과 문제점들이 앞서 논의한 쟁점들과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를 살펴보고 한국에서의 동남아시아 지역학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탐색한다.

      • KCI등재

        한국의 아세안 연구: ‘아세안학’의 모색?

        김형종(Hyung-Jong K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7 아시아리뷰 Vol.7 No.1

        한국 내 아세안 연구는 아세안의 설립과 제도화 진행에 따른 전략적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양적·질적으로 성장해왔다. 아세안의 발전이 동남아시아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듯이 아세안 연구는 전통적 분과학문과 지역연구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차원의 동남아시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 글은 국내 아세안 관련 학위논문, 학술논문, 단행본 등을 검토하여 아세안 연구 동향과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아세안공동체의 출범, 동아시아 지역주의 확대, 한-아세안 관계의 심화 등은 아세안의 가치와 관련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국제관계 분야의 전공자 그룹이 매우 제약적인 상황에서 다양한 학문적 접근이 증가하고 있다. 아세안공동체 건설에 따른 정책적 연구를 넘어 ‘아세안학’ 모색을 위한 정책적·학문적 노력이 필요하다. Studies on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in Korea have developed with the incremental institutionalization of ASEAN and its growing strategic importance. The development of ASEAN has contributed on the formation of regional identity in Southeast Asia. ASEAN Studies are expect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utheast Asia as a single entity by bridging traditional disciplines and area studies. This article aims to draw the characteristics of ASEAN studies in Korea by reviewing academic researches publish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PhD dissertations and MA thesis, journal articles and books. It is discovered that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ASEAN community, East Asian regionalism, ASEAN-Korea relations have also encouraged ASEAN-related studies in Korea. ASEAN has increasingly attracted a wide range of research groups beyond the traditional IR approach. Greater institutional support and academic attention are needed to explore “ASEAN studies” beyond policy studies.

      • KCI등재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함의

        윤종석(Jongseok Yoon),최경희(Kyungee Choi),이주현(Joohyun Le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아시아리뷰 Vol.11 No.2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 지역을 넘어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장될 필요를 제기하면서, ‘동아시아 지역’의 수평적 외연·내포와 역내외의 상호 관계(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등)를 통해 재구성되는 동아시아의 함의와 과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를 제기한다. 메가아시아적 접근방식은 기존 동아시아담론과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비판과 대안으로 제시되기보다는, ‘동아시아’란 질문을 아시아와 세계 차원으로 확장할 필요와 가능성을 제기한다. 아세안적 방식으로 지역형성을 해 온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경험을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등장한 ASEAN+N 전략을 통해 한국을 포함한 역내 국가들이 자기구성하는 ‘동아시아 지역’과, 다른 지역과의 상호작동을 통한 ‘지역’의 활용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필요를 제시한다. 그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연구가, 국가단위뿐만 아니라 지역 단위와 다양한 행위자들을 포함한 네트워크적 접근의 필요를 제기하면서, 지역과 지역이 연동하는 아시아로서 메가아시아적 접근방식의 과제와 함의를 도출한다. This study raises the need to expand the ‘East Asia’ concept beyond Northeast Asia centered on the Korean Peninsula to Southeast Asia, and to more actively examine the implications and tasks of East Asia, which are reconstructed through horizontal and external interactions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Rather than being presented as a criticism and alternative to existing East Asian discourse and East Asian community perspective, the Mega-Asian approach raises the need and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question of ‘East Asia’ to the Asian and global dimensions. The ASEAN+N strategy, which emerged through experiences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that have formed regions in an ASEAN way, as a platform, suggests the need to start researching the use of ‘East Asian regions’, and ‘regions’ unit/concept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regions. In the process, studies of socially constructed ‘East Asian regions’ derive challenges and implications of the Mega-Asian approach as a networked whole region, raising the need for a network perspective, including regional units and various actors.

      • KCI등재

        부상하는 메가아시아: 역사와 개념

        신범식(Beom Shik Shin)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아시아리뷰 Vol.11 No.2

        아시아가 제국주의 시기에 경험한 대상화된 수동성과 냉전 시기의 진영 논리에 의해 제약된 존재성을 넘어 세계사의 중심축으로 다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 유럽이라는 타자에 의해 부여된 명칭과 공간적 구획을 넘어서 아시아를 새롭게 정의하려는 노력이 폭넓게 시도되고 있다. 새로운 아시아의 현재와 미래는 ‘메가아시아’로 이해될 수 있다. 메가아시아를 적절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메가지역으로서의 아시아를 구축해 가는 동력으로 지구화와 지역화 및 지역주의의 동학이 빚어낸 신대륙주의와 신해양주의가 아시아 내 지역들을 연결해 가는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부상하고 있는 메가아시아 개념은 네트워크화된 지역으로서 아시아가 급변하고 있는 현실을 적절하게 포착할 수 있는 분석적 도구이며, 동시에 미-중 경쟁이란 강대국관계가 규정하는 한계를 넘어 아시아인들이 스스로 만들어 갈 아시아의 미래를 담아낼 전략적 개념으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Asia is emerging again as the central axis of world history beyond the passivity objectified during the imperialism era and the existence restricted by camp logic during the Cold War era. Efforts to redefine Asia beyond the names and spatial divisions given by others as European powers in the past are being widely attempted in Asia. The present and future of a new Asia can be understood as ‘Mega-Asia.’ In order to capture and understand Mega-Asia,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in which ‘new continentalism’ and ‘new oceanicism’ as the driving forces for building Asia as a mega-region, created by the dynamics of globalization, regionalization, and regionalism, are connecting the regions in Asia. Thus, the concept of emerging ‘Mega-Asia’ can be an analytical tool that adequately captures the rapidly changing reality of Asia as a networked whole region. We need to develop the concept into a strategic concept that will embrace the future of Asia, that Asians themselves are subjectively constructing beyond the limit from the strategic rivalry of great powers such as the US and China.

      • KCI등재후보

        21세기 자본주의와 아시아 탐색하기

        글렌 모건(Glenn Morgan),김다진(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6 아시아리뷰 Vol.5 No.2

        최근 지구화, 신자유주의, 그리고 2008년 세계금융위기의 충격을 계기로 자본주의의 유형이 어떻게, 그리고 왜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동아시아 자본주의에 대해서 더욱 그러하다. 이 글은 국가 자본주의 사이의 상호의존성과 금융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서구 자본주의 유형과 아시아 자본주의 유형 간 상호의존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금융화가 아시아 자본주의에 어떠한 방식으로 등장하며, 그러한 것이 서구 자본주의들의 금융화 과정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그리고 이 둘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논한다. 서구 자본주의는 지난 20년 동안 더욱 금융화되었다. 이러한 금융화 과정은 서구 자본주의의 제도적 틀을 상당히 변화시켰고, 불평등, 안전, 복지 정책, 조세, 혁신과 공공 서비스 제공 등에도 충격을 가했다. 금융화가 동아시아 자본주의의 형태를 관통하고 있는가?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관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과 한국의 금융기관은 주요 행위자가 아니며 최근 몇 년간 상대적으로 약한 위치에 놓여 있다. 중국의 경우 정부는 거대한 금융 자원을 자신의 이익을 위해 대내ㆍ외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그 결과 중국은 자산 호황을 겪고 은행의 손실이 커지면서 중국 금융체제의 불안정성 증가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금융기관이 독립적으로 위기를 불러온 것은 아니다. 아시아의 금융화에서 가장 흥미로운 측면은 인구전반에 대한 신용과 채무의 확장이다. 이러한 경향을 좀더 깊이 이해하고 규제의 변화와 임금의 변화, 국가와 기업복지의 변화, 그리고 미래에 대한 예측의 변화가 이러한 경향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 The study of institutions is increasingly dominated by discussions of change; how and why forms of capitalism are changing, particularly in light of the impact of globalization, neo-liberalism and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specifically related to East Asia.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dependencies between national capitalisms and examines interdependencies across regional contexts, for example between the forms of Western and Asian capitalism. This paper is an effort to consider in what ways financialization is emerging in Asian capitalism, how this connects it to the processes of financialization in the Western forms of capitalism and what the consequences of these interactions might be. Western forms of capitalism have over the last two decades become increasingly financialized. The processes of financialization has changed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Western forms of capitalism to varying degrees with impact on inequality, security, welfare policy, taxation, innovation and the provision of state services. Is financialization penetrating into these East Asian forms of capitalism? Overall, the answer seems to be that this is not the case. Financial institutions are not the dominant players, and in Japan and Korea in particular have been relatively weak over the recent years. In the Chinese case, the government has massive financial resources which it directs internally and externally for its own interests. Perhaps the most interesting aspect of financialization in the Asian case is the expansion of credit and debt to the population as a whole. It would be interesting to understand this further and more specifically how financialization is related to changes in regulation, changes in wages and salaries, changes in state and corporate welfare and changes in expectations.

      • KCI등재

        아시아란 무엇인가? 인식과 정체의식

        김경동(Kyong-Dong K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리뷰 Vol.1 No.1

        ‘아시아의 21세기’를 점쳐보는 서방지성의 목소리를 배경으로 근대화 과정에서 서방지성의 눈에 비친 아시아의 후진적 특성을 개관하고, 20세기 후반부터 등장한 오리엔탈리즘 비판을 중심으로 하는 서방의 아시아관에 대한 자가성찰을 살펴본 다음 근대화에 성공한 아시아에 대한 서방의 재평가를 고찰한다. 다음으로 아시아 내부에서 바라본 아시아의 모습에 대해 논한다. 아시아의 지식인들은 근대화 초기에 유행하던 오리엔탈리즘적 시선을 수용하여 자기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나, 이후에는 자기 주장을 펼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결론 부분에서는 아시아란 무엇인가를 아시아의 사회문화적 다양성, 아시아 자체의 내재적 아시아 이해, 아시아의 대안적 담론의 성격에 대한 성찰, 21세기 전지구적 무대에서 아시아의 역할, 신문명 시대의 도래와 관련한 아시아의 역할, 아시아 자체의 자아정체의식, 소위 ‘아시아의 21세기’를 위한 아시아의 과제등 다양한 시각에서 점검한다. Against the backdrop of the notion ‘the 21st century as the Century of Asia,’ this paper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Western views on Asia, from the incipient phase of modernization, to the stage of its reactions to Orientalism, and to the current period of Asia as a model of economic success. Then, this paper examines the views on Asia as seen from within, including its self-critical attitude prominent during the early stage of modernization that reflects its admiration for the popular ways of the West as well as its later attitude of assertiveness with which Asia began to insist on the ways of their own rather than blindly imitating the West. In the closing section, the central question of ‘What is Asia?’ i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issues of diversity within Asia, Eurocentric stereotyping of Asia, alternative discourses on Asia, the status and role of Asia in the 21st century, and the question of how Asia could make the 21st century the ‘Century of Asia’?

      • KCI등재

        그리스도교의 중심 이동과 도(道)의 신학

        김흡영(Heup Young K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2 아시아리뷰 Vol.2 No.2

        아직까지도 현대문명을 주도하고 있는 서구사상의 기조는 서구 그리스도교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싱가포르, 베트남 등 전통적으로 유교문화권에 속한 동아시아 국가들을 주도하는 동아시아 문화의 사상적 배경은 유교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가 서구가 주도한 현대문명의 만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교 사상(신학)과 유교 사상(유학)의 비교와 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세계 그리스도교의 중심은 이미 전통적 그리스도교 문화권이던 유럽과 북미주로부터 이탈하여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글로벌 그리스도교의 지형에서 특히 유교는 그리스도교가 역사적으로 조우한 종교문화 전통들 중 마지막 변경이라고 할 수 있어, 동아시아의 그리스도교 신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서구 문명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서구 그리스도교 신학과 동아시아 문화의 기조라고 할 수 있는 유교(신유학)와의 만남을 유교-그리스도교 대화의 두 실례(왕양명과 칼 바르트, 이황과 요한 칼뱅)를 통하여 고찰하고, ‘도의 신학’을 이러한 세계 그리스도교의 중심이 이동하는 맥락에서 새로운 글로벌 그리스도교 신학의 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One cannot deny that Western Christianity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Western thought, and that it continues to influence the contemporary Western civilization. Likewise, Confucianism provided the traditional basis for the East Asian cultures, such as that of Korea, China, Japan, Singapore, and Vietnam. Therefore, a comparative study through the examination of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the Confucian thought and the Christian theology is necessary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East Asia vis-a-vis the contemporary Western civilization built upon the Western thought. Furthermore, the center of Christianity is no longer Europe―the home of Christendom―and North America, but rather, it has shifted to Africa, Latin America, and Asia. In this new map of the globalizing Christianity, the East Asian theology becomes significant for its bond with Confucianism, the last of the religio-cultural traditions historically encountered by Christianity. This paper examines the encounter between the Western Christian theology (the basis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Confucian thought (the basis of the East Asian cultures), by drawing on two examples of a Confucian-Christian dialogue (between Wang Yang-ming and Karl Barth, and between Yi Hwang and John Calvin). By doing so, this paper argues for the “theology of Tao” as the alternative paradigm in the new context of the center-shifting, globalizing Christianity.

      • KCI등재
      • KCI등재

        인도-동남아시아의 해양 실크로드와 7~9세기 밀교(密敎)의 확산

        심재관(Jaekwan Sh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9 아시아리뷰 Vol.8 No.2

        6세기 힌두교의 쉬바파 딴뜨라의 영향으로 시작된 인도불교의 밀교적 경향은 7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스리랑카를 포함한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자바, 말레이시아 반도에 영향을 끼친다. 7세기 이후에 밀교가 광범위하게 퍼진 것은 해양항로가 발달한 것뿐 아니라 각 왕국의 정치적 필요성, 불교의 생존전략, 그리고 상인 집단의 후원 등이 시의 적절한 교점을 찾았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종교적 전파는 이미 기원전부터 인도와 스리랑카 그리고 동남아 사이에 발전해 왔던 오랜 해상 무역로를 토대로 확산한 것이며, 당연히 밀교의 중심지는 항로를 따라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주요 무역항으로 전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산한 동남아시아의 밀교 전통과 학문적 네트워크는 동아시아의 구법승들이 새로운 전통과 경전을 찾아 인도와 동남아시아를 찾았을 때 더 큰 역할을 보여준다. 구법승들은 자신이 구하고자 했던 학문의 전통과 경전의 입수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었는데, 현장과 의정과 같은 중국의 구법승들이 그러한 노정을 잘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인도에서 중국으로 건너갔던 인도의 밀교 승려들에게도 인도와 동남아시아에 형성된 해상 무역로는 동아시아에 밀교 전통이 정착할 수 있는 무형의 문화적 토대가 되어주었다. Around 7th century A. D., the Buddhist tantric tradition of India quickly spread across neighboring countries like Śri Lanka and other Southeast Asia areas like Sumatra, Java, and Malaysia peninsula; the speed of its influence was even faster than that of the Śaiva tantric tradition, which was also spreading around the same time. This was due to the conjoint result of few different conditions: the international maritime trade network, missionary zeal, Buddhist mariner communities, and the political interests of the royal family. The rapid proliferation of the Indian tantric Buddhism into Southeast Asia, however, depended heavily on the maritime trade route that had been in long-time use in business between India and Southeast Asia. This provides the answer for the question, in India or Southeast Asia, of why we have found many historical remains of Tantric Buddhism in the ancient port areas or the sites that can be reached through the rivers from the sea port. The network of Tantric tradition established in Southeast Asia from the 7th century is well attested by the YiJing’s travelogue that appears to have been a quest for the learning of the tantra system and the collection of tantric texts. Like the Chinese monks pursuing Tantric study on the sea trade route, Indian Tantric masters took to the very same sea route to go to China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per lineage of tantric transmission.

      • KCI등재

        한국의 중앙아시아 연구 동향

        엄구호(Gu Ho Eo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2 아시아리뷰 Vol.2 No.1

        지역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은 인문학적 지역연구와 사회과학적 지역연구의 학제적 통섭, 순수 기초 연구와 응용 정책 연구의 유기적 연계성, 국내적 연구와 국제관계적 연구의 체계적 시각 정립일 것이다. 그러나 2005년 이후 본격화된 한국의 중앙아시아 연구는 아직 역사가 일천하여 위의 기준에서 보면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스탄국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탄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주로 사회과학 배경연구, 스탄 외 국가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문학 배경 연구로 편중되어 있다. 또한 학제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최근의 연구 지원 동향을 보면 순수 기초 연구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 특히 중앙아시아사 연구에 집중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중앙아시아 지역의 내적 연관성을 모색하는 연구가 부족하다. 중앙아시아의 지리적 개념이 매우 모호하고 국내 학자 간 합의가 부족한 상황을 감안하면 서투르키스탄 연구자와 동투르키스탄 연구자들 사이의 소통이 시급하다. 넷째, 몽골연구에 비해 위구르·티벳 연구가 급감하고 있어 이 지역 연구의 지속가능성이 염려된다. 다섯째, 스탄국가의 경우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연구는 사실상 걸음마 단계에 있다. 여섯째, 1차 전문 연구자의 양성이 시급하다. 특히 스탄국가들의 경우 러시아 연구자들이 병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국내 대학원에서도 중앙아시아 학위과정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연구방향으로 세 가지를 제언할 수 있다. 첫째, 독립 후 중앙아시아 지역은 개인적ㆍ민족적ㆍ국가적 정체성의 급격한 변화와 재구성의 과정 속에 있다. 정체성을 키워드로 삼아,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다종교ㆍ다문화ㆍ다민족이 공존하면서 그려내는 복합적, 중첩적 정체성의 전체적 지형도를 그려내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중앙아시아 지역연구를 위한 공통의 목적 아래 각 학문 분과의 통합보다는 각 학문 분과의 개별적 특성을 존중하고 그것을 심화하며, 공존하게 함으로써 중앙아시아 지역연구의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 셋째, 중앙아시아 연구가 스탄국가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역사적으로 보아 중앙아시아의 지리적 개념은 민족적으로 동투르크인, 동이란인, 몽골족의 분포에 모두 초점을 두어야 한다. 현대 지정학적 관점에서도 스탄 공화국들과 신장과 아프가니스탄을 중앙아시아의 문명 지대의 핵심 지역으로 하고 여기에 이란의 호라산 지역, 파키스탄의 북부지역, 러시아의 타타르스탄 지역, 인도의 라자스탄에서 아그라에 이르는 지역이 포함하는 대중앙아시아 개념을 엄밀히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위에서 제시한 정체성 중심의 연구와 학제적 연구 지향도 이러한 포괄적인 지리적 개념하에서의 내적 연관성 모색에 기초하지 않으면 그 결실을 보기 어려울 것이다. The recommendable directions for area studies today all have the word ‘interdisciplinary’ as a ke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pure arts and science studies and applied policy studies, and regional area studies and international relation studies. Judging by these standards, the Central Asian studies in Korea seems to be at its infant stage, which is only logical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is academic field was founded in Korea only in 2005. Some of the problems that the Korean academia faces are as follows: First, recent studies in both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ave tended to focus on the stan countries, but only a few of these studies have been interdisciplinary in character. Secondly, financial support for researchers of pure arts or pure science studies have been far from sufficient, and this is especially true for researchers of Central Asian history. Thirdly, more studies focusing on the internal relations within the Central Asian region are required. Meanwhile, the geographical conception of the Central Asian region remains as a contested one among scholars, and therefore, academic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scholars studying West Turkestan and those studying East Turkestan are urgently needed. Fourthly, studies on Uyghur-Tibek have fallen short in number, in comparison to studies on Mongolia. Fifthly, although studies on the stan countries have been accumulating, those on Tajikistan, Kyrgyzstan, and Turkmenistan, however, remain in their infant stage. Sixthly,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raining our Korean specialists in specific areas. For instance, studies on the stan countries have been dominated by Russian specialists. More courses on Central Asia should be offered by graduate schools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ways: First, the Central Asian region has undergone rapid changes in terms of reconstructions of an individual after the independence, such as the individual’s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In this respect, studies focusing on the individual’s ‘identity’ as a key word are required to sort out the complex map of individual identities in the Central Asian region, as well as to shed a new light onto its multilayeredness, namely its multi-religious,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Secondly, I suggest that every study field be respected for its distinctive character, and that we help to build on them, which will ultimately benefit the field of Central Asian area studies as a whole. Thirdly, the Central Asian studie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tan countrie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geographical conception of Central Asia should be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Turks, East Iranians, and Mongol. Even from the contemporary geopolitical point of view, we need to reset the definition of Greater Central Asia as one which claims the stan countries, Xinjiang, and Afganistan as the core region of the Central Asian civilization, and one which encompasses the Horasan region of Iran, the northern region of Pakistan, the Tartar region of Russia, and the region spanning from Rajasthan to Agra in India. For the identity-focused studies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suggested here to become meaningful in any way, it is necessary that they conform to this comprehensive geographical conception of Central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