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표비(驃비)의 구조적 분석과 전개

        장윤정 ( Yoon Chung Chang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0 文物硏究 Vol.- No.18

        서아시아ㆍ중앙아시아에서 시작하여 중국, 우리나라, 일본 등 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분포한 ??로 불리어지는 棒? 재갈멈추개를 주체로 하여 마구의 전개과정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재갈멈추개와 銜의 결합방식에 주목하여 貫通式, 一體式, 結合式, 揷入式 등 4가지로 분류하였다. 먼저 貫通式은 재갈멈추개 중앙에 뚫린 구멍에 銜 본체가 통과한 후 棒狀 양쪽 끝에 銜 외환을 만든 것이고 一體式은 함 외환에 재갈멈추개를 직접 붙여 고정ㆍ제작한 것이다. 結合式은 재갈멈추개 자체에 뚫린 구멍(銜孔) 혹은 고리에 함 외환이 연결된 것이고 揷入式은 이제까지 ??로 알려진 것으로 함 외환에 棒狀의 재갈멈추개가 삽입된 것이다. 이들 ??라는 특징적인 형태를 가진 재갈은 서아시아ㆍ중앙아시아에서 전파의 종착역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까지 약 1500년의 시공을 초월하여 확인되고 있지만 그 정도와 구체적인 내용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e macro perspective, this study heavily focuses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horse equipment particularly the bits and bridles which have a stick ends. These objects seemed to be introduced here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from West and Middle Asia. Especially it should be highlighted that this work divided four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echnique of the bits and bridles. They are as such: Penetration, All-in-one, Combination and Insertion. Penetration type has a small hole in the middle of the bits and the bridle was penetrated through the hole. At the end of the stick, then, there is a outer circle which to hold the bits. In case of All-in-one, the bridle and the bits are directly combined and stuck together. A hole or circle which is attached to the bridle are connected to the bits and this is a Combination type. Finally the Insertion type is the one which is known as the general bits and bridles and so bridles were inserted to the bits. This kinds of combined bits and bridles seemed to be identified from West Asia, Middle Asia and Japan throughout more than 1500 years in history. However, this is also very interesting to point out that all those findings have distinctive and unique feature which cannot be unified into one certain type.

      • KCI등재

        기장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의 편년 연구

        허선영 ( Sun Young Hur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0 文物硏究 Vol.- No.18

        부산광역시 동북쪽에 위치한 기장군에서 도예촌 조성과 관련하여 2007년 2월부터 7월까지 지표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조사에서 장안읍 일대를 중심으로 모두 7개 지점에서 도요지 관련유적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중 기장군 장안읍에 위치한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는 ‘蔚山長興庫’, ‘耕負祭’ 등의 명문이 있는 분청사기와 炙??희준?보?고족배와 같은 제기가 발견되어, ??경상도속찬지리지?? 울산군에 기록된 도기소?자기소에서 하품을 생산하던 장안리현으로 추정된다. 요지는 후대의 인위적인 훼손으로 가마 유구의 현상 파악은 어려우나 지표조사에서 수습된 다량의 도자편 분석을 통해 이들 유적에 대한 편년연구가 가능하며, 부산?경남지역 도자사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높다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장안리 상장안 자기 요지의 제작시기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요지 도자편의 기종과 기형, 문양, 제작수법을 검토해 보았다. 가장 많이 수습된 기종은 대접과 접시이며, 그 외 기타 도자편과 요도구 등도 확인하였다. 문양은 확인된 도자편의 크기가 대체로 작아 전체적인 문양구성을 살피는 데 한계가 있으나 일반적인 문양 구성과 위치에 근거하여 주문양과 종속문양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제작수법에서는 유태와 굽의 깎음새, 번조수법의 양상은 갑번인지 포개구이 번조인지에 대한 여부와 받침은 어떠한 것이 사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는 광주광역시 충효동 요지의 안정된 6개 층위에서 확인된 유물의 양상, 그리고 제기형태의 변화를 통해 제작시기를 판단하였고, 또한 ??경상도속찬지리지??의 울산군조의 도기소와 자기소 기록에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 받았다.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는 1450~1470년대 사이가 요업의 중심시기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A research of earth surface was conducted by me from February to July 2007 on the subject of ancient formation of ceramic art villages at Gijang county, Busan. The research, though it was just a survey of earth surface, is a significant work since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ill now concerning pottery at Gijang area and reported officially to the learned circles. From the pottery located at Janganri village was discovered ‘Buncheong ware’ that retains inscriptions such as ‘Ulsan Jangheung Go(warehouse)’ and ‘Gyeongbu Je (festival).’ In addition, utensils used in religious services such as ‘Jajeop,’ ‘Hijun,’ ‘Bo’ and ‘Gojokbae’ were confirmed through the Janganri pottery. The place seems identical to ‘Janganri-hyeon’ of Ulsan recorded in ??Gyeongsang-doSokchanJiriji??(geographical book published in Gyeongsang province) where low grade chinaware were produced. The mentioned pottery was marred by posterity, so observation of its remained structure has become difficult. However, I decided that with the recovered slices, chronological research of the three remains is worth trying, so I brought it up as the object of my study. To determine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potteries, I first reviewed the kinds and techniques of production, together with patterns and abnormalities of the slices. Bowls and dishes were focal points of my survey as they are kinds that have been recovered most so far. Other items such as ceramic slices and kiln tools were also investigated. However, I have encountered limitation in studying the whole composition of pattern since most of the excavated slices were small sized. Nonetheless, I have classified them into main pattern and subordinate pattern based on general composition of patterns and their locations as well as their appearing ratio. As for production skill, I observed cutting shape of ‘Yutae’ (special oil painting) and bottom of the slices, their firing technique, whether they are ‘Gapbeon’ (high-grade product) or ‘Pogae Gui’ fired one, and what material was used as prop. As a result of my observing the ceramic slices from Gijang area, I came to know that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the three potteries lie in ‘Yeondang Chomun’ celadon porcelains from Sinri and Daeryong potteries, the ‘Buncheong’ chinaware (with inscription of authorities) from Janganri pottery, and the utensil production for religious service. Through the above analysis, along with study of documentary records and comparison with other remains that were recovered from stable stratum or bearing dates, I could surmise the specific production period of each pottery. As for the pottery at Janganri, I have surmised its production period through shapes of the remains recovered from 6 stable strata of pottery at Chunghyo-dong, Gwangju city, together with changed forms of religious utensils. I was also given important hint from the records on chinaware potteries at Ulsan county described in ??Gyeongsang- doSokchanJiriji??. As the result of my research I conclude that the pottery at Janganri started ceramic production somewhere between 1450?1470.

      • KCI등재후보

        근대 신중도에 보이는 예적금강 도상 변화에 대한 시론

        김재영 ( Kim Jae-young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8 文物硏究 Vol.- No.33

        신중도는 의식집을 기반으로 하여 제작된 불화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새로운 도상들이 추가되기 시작한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신중도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전반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다. 보수적인 성격의 다른 불화들과 달리 구성이나 표현 방식이 자유로워 여러 가지 유형의 신중도가 조성되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변국가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었는데 일본의 영향이 컸다고 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일본 불교 포교소가 국내에 세워져 일본 불교의 영향력이 증가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밀교 도상이 유입되어 이전에 보이지 않던 부동명왕과 예적금강이 불화에 등장하게 되었다. 본 논고에서는 그 가운데 근대기 예적금강을 중심으로 도상변화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근대기 신중도에서 예적금강이 확인되는 작품은 약 25점 가량이다. 특히 예적금강이 표현된 신중도는 20세기부터 활발하게 제작되었는데 영남, 서울·경기, 전라, 충청 순으로 수량이 확인된다. 이러한 근대기 예적금강 도상은 일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인도와 중국의 영향을 받아 토착화된 일본 도상이 국내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편, 한국 신중도에서 보이는 예적금강은 대부분 3목 3면 8비 도상을 하고 있어 유입된 이후 한국적인 모습으로 변모하였다고 사료된다. Sinjungdo (paintings of the guardian deities) are Buddhist paintings made based on ritual guides, but new icons were added as time passed. In particular, those paintings were greatly influenced by surrounding countries, especially Japan. Buddhist mission work stations from Japan were established in Korea after opening the ports, which increased the influence of Esoteric Buddhism. Naturally, Japanese Buddhist icons entered Korea, and Buddhist paintings began to feature Acala (Budong Mingwang) and Ucchusma (Yejeok-geumgang) that had not been found before. There are 24 pieces featuring Japanese Buddhist icons in modern Sinjungdo, and 2 of them portrayed both Acala and Ucchusma, while 22 pieces portray only Ucchusma. Ucchusma is a Japanese Buddhist icon that is relatively more emphasized, showing new patterns of layouts, attires and features in the 20<sup>th</sup> century in addition to the many-sided cremation form. These changes are to lay more stress on Ucchusma. Sinjungdo featuring Acala and Ucchusma had been made actively since the 20<sup>th</sup> century all over the nation regardless of region. Most Ucchusma featured in Korean Sinjungdo are many faces and many arms icons, seemingly changed into a more Korean style after the inflow.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Ucchusma of Sinjungdo in the Daegwangjeon Hall of Pyochungsa Temple built in 1930, it was discovered that they were depicted almost in the same way as Mahakala of esoteric Buddhism in Tibet.

      • KCI등재후보

        고분 축조기법으로 보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의 성격

        정인태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8 文物硏究 Vol.- No.34

        Gyo-dong and Songhyun-dong tombs are the central tombs of the Changnyeong area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mbs can be seen through of distribution, survey status, the construction of mound tomb and excavated remains. The construction of the mound tomb is classified into four period. Ⅰ․Ⅱ-period used stone outer coffin tomb with decorator entrance and stone chamber stomb with horizontal entrance(narrow rectangle type). Ⅲ-period used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Ⅳ-period used stone chamber stomb with horizontal entrance(rectangle type) and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Especially stone chamber stomb with horizontal entrance(narrow rectangle type) is unusual becouse it wasn’t additional burial. Also various construction techniques are used. There are Compartmentalized mound of tomb, distributing installations, circular burial protection stone, ditch enclosure and so on. Excavated remains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Changnyeong type pottery spreads to the west Gyeongnam and downstream areas of Nakdong River. The ornaments and horse harness are influenced by Silla, some are made in Changnyeong. In addition some ornaments and horse harness are relateded Daegaya and Wa. This material is an important resource for revealing ancient history and exchange history of Korea. 창녕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의 고분 축조기법에는 위계성, 시간성, 공간성을 보여 주는 것이 있고, 그 중 위계성을 보여 주는 속성 조합을 통해 총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4기로 나누어 고분군 축조 성격을 검토하였다. 1기는 5세기 중반에 해당하며 고분군의 축조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경사가 급한 지대에 입지하며, 매장주체부의 한쪽 단벽을 입구 공간으로 하고 시신과 부장품을 안치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진 봉토분이 축조된다. 2기는 고분의 규모, 출토유물을 볼 때 최고 위계를 보이는 고분이 축조되는 시기이다. 입구부에 돌출된 수혈을 설치하거나 대형 판석을 세워 쌓는 새로운 축조기법이 확인된다. 3기는 기존 축조기법에 신라적인 요소가 부가되고 적석목곽묘가 출현하는 등 신라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4기가 되면 횡혈식석실분을 마지막으로 대형 봉토분의 축조가 중단된다. 낙동강 동안에 접한 지리적 위치와 광개토대왕 남정의 영향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조성되지만 독특한 축조기법으로 고분을 축조하였다. 또 신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왜와의 교류도 확인되고 있어 고분군 축조집단은 신라와 왜의 교류에 매개 역할을 하였고, 이러한 대외관계를 통해 유력 집단으로 성장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함안 말이산고분군의 계층성과 마장의 변천

        장윤정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22 文物硏究 Vol.- No.41

        함안 말이산고분군 내에서 매장주체부가 수혈식석곽묘인 것에 주목하여 그것의 규모를 중심으로 2개의 그룹 즉, 길이 900㎝ 이상에 해당하고 너비 160㎝ 이상에 해당하는 고분은 초대형(Ⅰ류) 유형, 길이 600~900㎝에 해당하고 너비 120~160㎝에 해당하는 고분을 대형(Ⅱ류) 유형으로 계층을 분류하였다. 또한 시간적으로 5세기 중후엽부터 6세기 전반에 걸쳐 3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출토된 마구의 특징을 살펴보고 마장의 변천을 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매장주체부의 계층성이 마구의 각 요소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1단계에서는 마구의 재질이나 복수 세트의 마장 소유 등에 근거하여 초대형(Ⅰ류) 유형이 대형(Ⅱ류) 유형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입증할 만한 요소가 뚜렷하지 않다. 2단계에는 초대형(Ⅰ류) 유형과 대형(Ⅱ류) 유형 사이에 계층적 차이가 마구에서도 확연하며 그 가운데 행엽의 형태로 신라, 대가야지역 등 다른 지역과의 다양한 교류 및 영향을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대형(Ⅰ류) 유형의 특징은 1)철지금동장제 행엽(편원어미형)을 중심으로 1세트분의 마장을 갖추고 있으며 안장, 운주 및 식금구 등 개별요소에서 금동제 혹은 철지금동장제를 포함하고 있다. 2)철지은장제 편원어미형행엽 혹은 심엽형행엽을 중심으로 2세트분 이상 복수의 세트 마장을 구성하며 마갑과 마주를 공반하고 있다. 이에 반해 대형(Ⅱ류) 유형의 특징은 3)철지은장제 행엽(편원어미형)을 중심으로 2세트분 이상 복수의 세트 마장을 구성하고 있으나, 마갑과 마주는 공반하지 않는다. 4)철지은장제 행엽(심엽형, 검릉형)을 중심으로 1세트분의 마장을 기본으로 한다. 3단계의 경우, 전단계와 마찬가지로 철지금동장제, 철지은장제의 행엽을 각각 중심으로 복원한 마장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초대형(Ⅰ류) 유형 내에서 철지금동장제 행엽을 중심으로 2세트분 이상 복수 세트의 마장이 확인되고 있을 뿐이다. 이를 제외한 초대형(Ⅰ류) 유형은 마장으로 대형(Ⅱ류) 유형과 구분되거나 계층적 차이를 규정하기 어렵다.

      • KCI등재

        新羅 聖德王代 對日관계의 변화와 그 원인

        고창민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22 文物硏究 Vol.- No.41

        본 논문은 신라 성덕왕대 대일관계의 변화의 원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신라 성덕왕대 대일관계는 원만하게 이어지다가 당과의 우호 관계 강화, 친일본정책 추진자였던 김순정의 사망, 신라의 왕성국 표방 등을 원인으로 악화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700~710년대 신라·일본의 사신 교류 당시 상황을 살펴보면 이전의 교류와 달리 양 국의 교류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에서 大寶令을 반포하고 이에 맞는 빈례를 신라에 적용하려 하였다. 신라에서도 이를 파악하고 있었으며, 715년의 경우에는 실제로 마찰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일본의 신년례 중 元日 朝賀에 당시 체류중이던 신라 사신이 참석하지 않은것이다. 이후 양 국은 3년의 공백기를 거치고 나서야 교류가 재개되었다. 하지만 예전과 같은 관계가 유지되지는 않았다. 720년대에 들어서 신라의 견일본사에 대해 일본이 천황 사망의 이유 등으로 방환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신라 역시 722년에 일본 사신들의 이동로인 경주 남쪽 모벌성에 성을 쌓으면서 일본에 대한 경계심과 경고의 메시지를 동시에 들어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 국의 관계를 중재하던 김순정이 사망하고, 대일 관계를 주도하던 宗室·戚里 세력의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어갔다. 결국 727년 발해와 일본의 공식 접촉, 731년 신라·일본의 군사 충돌로 신라는 일본을 적대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양 국은 관계 개선을 위한 외교 조약을 체결하기도 하였으나, 더 이상 우호적인 관계는 아니었다. 이후 733년 당의 군사 동맹국 자리를 확보한 신라는 735년 ‘왕성국 표방’을 통해 일본에 자국의 우위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결국 성덕왕대 양 국의 관계는 여러 상황에 의한 점진적 변화와 신라 내부 정국의 변화로 인한 결과였다.

      • KCI등재후보

        양산의 고대성지와 대증산성 시론

        심봉근,전순신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23 文物硏究 Vol.- No.43

        양산지역 고대성지는 중심부의 양산천 사방에 치소성과 관방성이 함께 밀집분포하여 군사상 요충지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신라의 삽량주(뒷날 양주)설치는 이런 군사적 장점을 이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순지리토성, 마고산성, 고장성은 관방성이고 북부동산성, 신기리산성, 우불산성은 치소성으로 성격상 약간씩 차이가 있다. 신기리산성의 경우 규모에서는 관방성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일반 군현성(郡縣城)보다는 큰 삽량주 치소성으로 축조한 결과라고 하겠다. 순지리토성이 신라 주도로 축조된 관방성일 경우 동일 5세기대에 양산 중심부에 축조된 북부동산성은 신라의 견제 대상지역이며 그 실체는 문헌에 나타나는 박제상과 고고학적인 성황산일대 고분군을 축조한 삽량성 집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삽량성 집단의 생활문화 내용이 신라 영향권을 탈피하지 못한 것은 상호 직간접적인 정치관계를 유지한 상태였다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한편 대증산성은 2세기대에 대증지역에 축조한 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대증은 대증현, 동평현으로 발전되고 경덕왕 때 동래군 영현에 편입되었다. 당시 대증현 지역에서 신라 산성을 찾는다면 부산 서구 암남동 석성봉수대 주변에 분포한 석성을 주목할 수 있다. 자세하지 않지만 천마산(해발 324m) 9부 능선상에 테뫼식으로 축조된 석성은 왜구의 길목인 낙동강 하구와 부산항을 관망하기 매우 용이한 군사상 요충지에 해당한다. 석성의 축조수법과 성내에서 수습된 유물, 인접한 초장동고분군의 유구와 출토유물의 특징에서 신라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파악해도 무리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축조 시기가 문헌상에 나타나는 2세기대보다 다소 늦은 대증현 편제 이후로 추측되어 대증산성보다 대증현성과 유관할 것이 짐작된다. 따라서 사실 확인을 위해 석성에 대한 초축과 수·개축 등 고고학적 검증을 통해서 대증산성, 대증현성, 동평현성 등 그 발전과정과 성격 파악이 꼭 필요하다고 하겠다. 앞으로 이 석성과 함께 양산 물금읍 증산에 대해서도 계속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The ancient fortress of the Yangsan area suggests that Chisoseong (administrative fortress) and Gwanbangseong(defensive fortress) were densely located along the Yangsan-cheon river, suggesting that they were important military position. Silla's installation of Sapryangju (later Yangju)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aking advantage of these military advantages. In other words, Sunjiri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Magosanseong Fortress, and Gojeonseong Fortress are Gwanbangseong, and BukbuDongsanseong Fortress, Singirisanseong Fortress, and Ubulsanseong Fortress are Chisoseong fortress, which are slightly different in their purpose of fortification. In the case of Singiri Fortress, it can be classified as Gwanbangseong fortress in size, but it is the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Sapryangju Chiso-Seong Fortress,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general Gunhyeonseong(same as Chiso-seong) Fortress. If we regard Sunjiri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as a government fortress built by Silla, Bukbu Dongsanseong Fortress, built in the center of Yangsan in the 5th century, is a check area of Silla, and its substance can be said to be a Sapryangseong group that built an archaeological Seonghwangsan ancient tombs. However, the fact that the living culture contents of the Sapryangseong group did not escape the influence of Silla suggests that they maintained a direct or indirect politic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Meanwhile, Daejeungsanseong Fortress was built in the Daejeung area in the 2nd century. The Daejeung area was developed to Daejeung-Hyeon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and Dongpyeong-hyeon, and was belonged to the jurisdiction of Dongnae-gun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of silla dynasty. As for the Silla fortress in Daejeung-Hye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ortresses around the Seok-seong Bongsudae(beacon fire station), located in Amnam-dong, Seo-gu, Busan. Built in a Temoe style on the ninth ridge of Cheonmasan Mountain (Height 324m), this stone fortress is a very important military point that is very easy to see the Nakdonggang river estuary and Busan Port, the road of Japanese pirates.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method, relics unearthed from the fortress site, and the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arby Chojang-dong Ancient Tombs, this fortress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Silla Dynasty. As the construction period is estimated to be after the organization of Daejeung-Hyeon, which is somewhat later than the 2nd century that appears in the literature, this fortress is believed to be more related to Daejeungseong Fortress than Daejeungsanseong Fortress. In order to verify this fac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history of Daejeungsanseong Fortress, Daejeunghyeonseong Fortress, and Dongpyeonghyeon Fortress through archaeological excavation investigations of Seokseong Fortress.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continuous attention will be needed to Jeungsan of Yangsan Mulgeum-eup along with this fortress.

      • KCI등재

        『警策臣工文』에 관한 硏究

        박문열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22 文物硏究 Vol.- No.41

        본 연구는 연산조의 정치·문화적 사정을 비롯하여 『警策臣工文』의 제진과 제진자 및 간행과 반사 그리고 그 가치 등에 관하여 고구한 것이다. 연산군은 재위 12년의 통치 기간에 무오사화(1498)와 갑자사화(1504) 등을 겪으며 치적도 적지 않았으나, 이는 그의 폐정에 비하면 보잘 없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경책신공문』은 연산군 10(1504)년 6월 4일에 金勘과 姜渾에 의하여 제진된 장문의 警策文이며, 그 내용은 敬·誠·忠·直 등 4가지를 표상으로 세우고 이에 역행하는 不敬·不誠·不忠·不直 등에 관한 사례를 제시하면서 경계할 사항을 유시한 내용이다. 목판본 『경책신공문』은 연산군 10(1504)년 7월에 의금부 또는 척흉청에서 35행 561자의 목판으로 간행된 것으로 제진본에 비하여 문장이 더 세련되고 명확하게 몇몇 글자가 수정되었을 뿐 내용이 變改될 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목판본 『경책신공문』은 연산군 10(1504)년의 갑자식년시에 생원 3등 26위로 급제한 ‘趙文瑀’에게 사급되었던 것이며, 당시 최소한 1만부 이상이 인출되어 사급되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목판본 『경책신공문』은 학계에 처음으로 공개되는 귀중한 자료이며, 문화재로 지정하여 연구하고 보존할 만한 가치도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