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생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목표 탐색의 과정과 결과

        신혜숙 ( Hye Sook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S No.-

        이 글은 노년기 학습자를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장기적인 목표아래, 기초연구를 통하여 교육적 목표를 선정해가는 탐구과정 전반을 드러내는데 목표를 두었다. 기초연구를 준비하기 위하여 초기 분석의 목표를 확인하고, 의미를 명료하게 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학제적 접근과 문헌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노화’와 관련된 이론적·실제적 환경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파악하는 단계로 나아갔다. 이러한 개별연구와 협동연구를 병행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노년기 학습자를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의 목표로서 ‘성공적인 노화’를 선정하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었다. 또, 기초연구를 수행한 연구진은 뇌교육의 ‘장생’ 개념이 ‘성공적 노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합의하고, 향후 이를 위하여 뇌교육을 교육적 소재로 삼고자 하는 교육적 프로그램의 이름을 ‘장생프로그램’으로 명명하기로 하였다. 이 글의 의의는 학제적 연구의 과정을 드러내는 동시에 교수 체제설계의 절차상으로는 초기 분석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뇌교육을 노년교육에 접목한 이론적·실제적 사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target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performing a basic interdisciplinary research which is a part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for the older learner. As a chief researcher, I selected the themes of ``first-end analysis`` on the view point of ``Instruction Systems Design``, and also managed the whole process of this basic research from organizing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eam to calling them for cooperative works. Before the starting of team research, we consented that to fix the meaning of ``educational goal seeking`` to abstract level and focus on the ``aging`` that is famous for main theme of gerontology. We performed "environment analysis" related to the phenomena of ``aging`` and "learner analysis" related to the meanings of ``aging`` with reviewing. Through these processes of individual and cooperative seeking, we concluded that we have to accept ``successful aging`` as the appropriate aim of educational programs for gerontology, and also ``Jangsaeng`` concept of brain education contains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for ``successful aging`` innately. So, we reached an agreement that to name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successful aging`` with brain educational matters as ``Jangsaeng program``. With this paper, the academics and practitioners on education can see the real first-end analysis`` case study and the interdisciplinary individual and cooperative research processes on educational gerontology.

      • 영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한·일 연구동향 -뇌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

        이혜숙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21 뇌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영유아 창의성과 뇌교육 연구에 관하여 한·일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 기 쉽게 가시화하여, 주력 영역이나 중요시하는 연구 영역을 개관하고 비교에 의한 시 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에서 2000년-2021.10월에 발표된 총 160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뇌기반 교육에 관한 연구 주제의 동 향은 한국은 기초 창의성 관련 연구가 많은 반면 일본은 창의성 요소 관련 연구가 많았 다. 창의성 연구에 관한 연구는 양국 모두 비율이 높았다. 영유아 대상 뇌기반 교육 관 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한국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연구방법의 동향은 한국이 양적연구 의 비율이 높았지만, 일본은 질적연구의 비율이 높았다. 양국 모두 근년에 들어 연구방 법의 혼용도 눈에 띄었다. 연구 주제 동향에서 공통점은 세 가지로 요약했다. 하나, 영 유아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교육적 관점이 강조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 뇌기반 교육 연 구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셋, 많은 연구가 갈수록 영유아의 교육·보육 현장 도입 을 향하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한국은 다양한 프로그램 또는 교육방법의 개발이 주를 이루었다. 일본은 새로운 개발보다는 교사와 영유아가 접촉하는 단계에 많은 관심을 두 었다. 시사점으로는 영유아 창의성 연구와 뇌 관련 연구의 접목과 융합은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리라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visualize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study of creativity and brain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and to analyze the main areas or important areas of research and draw implications by comparison. For this purpose, 160 paper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from 2000 to October, 2021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on brain-based education is that Korea has many studies on basic creativity, while Japan has many studies on creativity factors. Research on creativity has a high proportion in both countries. Research on brain-based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showed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in Korea.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was high in Korea, but in Japan, the rate of qualitative research was high. In both countries, a mixture of research methods has also been noticed in recent years. The research topic trend has been summarized in three things: 1. The educational perspective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early childhood tended to be emphasized. 2. The proportion of brain-based education research is increasing. 3. Many studies are increasingly directed to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and childcare fields for early childhood. As for the difference, Korea has developed various programs or educational methods, and Japan has been interested in the stage of contact betwee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rather than new developments. The implication is that the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f the research on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and brain-related research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 뇌교육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

        이윤진 ( Lee¸ Yun-j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연구소 2022 뇌교육연구 Vol.29 No.-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뇌교육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일환으로 뇌교육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135명과 초·중·고 교사 124명을 무선 표집하여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뇌교육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방향은 첫째, 연구 대상의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연구대상의 지식, 기능, 태도, 정서를 모두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신체 활동을 포함하여 읽고, 쓰고, 말하기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포함하여 연구 대상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연구 대상의 정서지능을 향상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최근 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지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가 늘어나고 효과성이 입증됨에 따라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와 요구분석 및 종합적 검토를 통하여 뇌교육 기반 문학치료를 활용한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함을 보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brain education-based literary therapy programs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s using brain education-based literary therapy program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5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12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irelessly sampled and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 brain education-based literary treatment program is first, a program suitable for the level of the research subject should be develop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strengthen all of the knowledge, functions, attitudes, and emotions of the research subject.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read, write, and speak, including various physical activ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comprehensively evaluate research subjects, inclu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rveys.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gience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help them grow continuously. As the number of applications of literary therapy programs aimed at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for students has increased and their effectiveness has been proven, it is reported that it is urgent to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s using brain education-based literary therapy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analysis, and compreh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 유아 뇌발달 훈련에 따른 뇌기능, 사고력 및 다중지능간의 관련성 연구

        조성제 ( Sung Je Cho ),심준영 ( Jun Young Shim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7 No.-

        본 연구는 만 5세 남녀 유아 90명을 대상으로 뇌발달 훈련에 따른 뇌기능과 다중지능 및 사고력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집단 선정은 뇌교육 훈련자집단 30명과 뉴로피드백 훈련자집단 30명 그리고 통제집단 30명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별 실험처치는 매주 2회, 1회당 20분식 12주간 훈련을 실시하여 훈련 전과 후의 변인간의 상호 관련성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변인간 관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뇌기능 검사는 뉴로피드백 뇌파측정시스템을 사용하였고, 사고력은 색채누리행렬검사(K-Raven CPM)를 하였으며, 다중지능은 교사관찰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다중지능과 사고력은 사전,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지능과 뇌기능은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묶인 뇌기능 하위요인 BQ1(기초율동지수, 정서지수), BQ2(활성지수, 주의지수 우뇌, 자기조절지수), BQ3(주의지수 좌뇌, 항스트레스지수, 좌우뇌균형지수)중 사전검사에서 BQ2와 BQ3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측정기간의 성숙효과를 배제한 집단별 편상관분석 결과, 뉴로피드백 훈련은 다중지능, 사고력, BQ1, BQ2, BQ3의 편상관관계 측면에서 통제집단과 큰 차이가 없으며, 뇌교육 훈련은 MQ(다중지능지수)와 TQ(사고력지수)의 상관관계를 더욱 강하게 하고 BQ1과 BQ3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의 풍부한 뇌가소성은 뇌교육 및 뉴로피드백 프로그램의 훈련 특성에 따라 두뇌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brain function, multiple intelligence and thinking power by brain development training (brain education and neuro-feedback) with 90 five-year old children. Groups selected consisted of 30 brain education group, 30 neuro-feedback group and 30 control group. Experiment by each group was conducted for 20 min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12 weeks and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before and after train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Brain function test to measure relevance among variables was measured by neuro-feedback brain wave measurement system, thinking power test was measured by coloured progressive matrices (K-Raven CPM), and multiple intelligence test by teacher-observational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brain function, multiple intelligence and thinking power, multiple intelligence and thinking powe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pretest and posttest. Multiple intelligence and brain func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BQ2 and BQ3 in sub-factors of brain function such as BQ1 (Basic Rhythm Quotient, EQ), BQ2 (Active Quotient, ATQ right brain, Self-Regulation Quotient), BQ3 (ATQ left brain, Anti-Stress Quotient, Left and Riht Brain Balance Quotient) in pretest,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among them in posttest. As a result of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by groups excluding maturity effect of pre- and post-measurement period to examine concret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neuro-feedback training had no great difference from control group in the side of multiple intelligence, thinking power, BQ1, BQ2, and BQ3, brain education training strengthened correlations with MQ (Multiple Intelligence Quotient) and TQ(Thinking Quotient) more and relations between BQ1 and BQ3.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ich brain plasticity in childhood can influence the brain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training characteristics of brain education and neuro-feedback program.

      • 뇌과학 지식이 적용된 전생애 다중지능계발 교육

        류숙희 ( Sook Hee Ryu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6 뇌교육연구 Vol.1 No.-

        이 글의 목적은 뇌과학 지식이 다중지능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고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뇌의 발달경향성을 정리하고, 다중지능의 개념과 발달과정, 그리고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고찰하였고, 다중지능 프로그램에 뇌과학 지식이 주는 시사점을 추려서 정리하였다. 뇌의 발달과 교육, 그리고 다중지능의 발달과 교육은 서로 다른 측면을 중시하고 있는데, 전자는 유전적인 정보와 심리적 환경, 물리적 환경, 학습의 영향을 강조하고 있으며, 다중지능 발달과 교육에서는 상징체계의 습득과 생산, 주변의 인적·시대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성취수준의 변화에 초점을 두었다. 앞으로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는 뇌발달을 고려하여 전생애의 발달시기에 적절한 교육내용의 배열과 뇌교육에서 추천하는 교육방법들이 응용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plication of the appliance brain science to Multiple Intelligence Educati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ncludes Linguistic, Logical-mathematical, Spatial, Musical, Bodily-Kinesthetic, Interpersonal, Intrapersonal, and Natural Intelligence. There is the difference on development orientation and educational aims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education programs and brain development program. To develop the brain, hereditary information, nourishment, hormones and learning are important. To develop the multiple intelligence, acquisition and creation of symbol system is importan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Multiple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brain science knowledge for whole life span has to include appropriate arrangement of education activities and educational method.

      • 문화적 학습양식과 뇌 발달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6 뇌교육연구 Vol.1 No.-

        이 연구는 인간학습에 기초를 제공하는 두 축으로서 "뇌"와 "문화"를 상정하고, 인간이 획득하는 다양한 학습양식이 문화적 맥락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지, 그것은 뇌 발달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금껏 문화와 뇌의 발달 간 상호관련성에 관한 논의는 그 성격상 실증적 자료를 축적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으며 그에 대한 논의 역시 거의 이루어져 오지 않았다. 그러나 인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그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일이 교육학의 과제라면, ``뇌 발달``과 ``문화``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일은 인간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이해를 토대로 하여 교육에 접근하는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와 ``뇌 발달``의 관련성을 ``문화적 학습양식``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접근하고, 이에 대한 이해가 어떤 교육적 시사점을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의 장면에서 문화적 학습양식의 개념을 수용하고 존중하는 일은 인간의 개별성을 존중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북돋우며 교육환경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의 생물학적 토대인 자신의 뇌 작동 기제와 일상적 삶을 되돌아 봄으로써 스스로의 학습과정을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는 곧 학습자가 자신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태도를 갖게 하는 일과 관련되어 있다. 둘째, 인지체제의 문화구속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독특한 학습양식을 "옳고 그른" 것이 아닌 "다름"으로 존중할 수 있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개별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방식을 허용하고 안내하기 위해 유연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개별학습자의 학습 특성에 대한 원자료들을 풍부하게 확보하기 위해서 학습과정에 대한 기술과 해석의 축적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ntext and learning style, and to find the way of mechanism for brain development. By influencing on the formation of cognitive pattern, culture have potent effect on the learning style. And cultural experiences build the nervous pathway by deciding the way of connection between neurons. Like this, brain and learning have a complementary connection through the interaction. In an educational situation, it is needed the respective attitude of the various learning style, which encourage the demand-driven learning and build a abundant educational environment. I propose some suggestion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situation. First, learners have to understand the self which consist of the brain and daily life and interconnection between them. Second, "difference" should be accepted a logical conclusion in the concrete educational situation. And then, we have to permit the best suited situation for individual learners and appropriate curriculum. Third, we have to pile up the data which descript and interpret the process of individual learning process.

      • 성인수련자의 내러티브에 나타난 뇌교육적 의미

        신혜숙 ( Hye Sook Shin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8 뇌교육연구 Vol.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자발적으로 심신수련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수련자들이 구체적 삶의 맥락 속에서 수련체험을 어떻게 의미화해 나가는지를 이해하고, 그 과정을 뇌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심신수련프로그램 중 특히 뇌호흡 수련에 참여하는 수련자들을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뇌호흡 수련이 뇌교육의 구체적 방법으로서 일련의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연구대상은 수련자 자신의 내밀한 삶에 대한 성찰 내용을 부담감이나 거부감을 가지지 않고 가능한 한 많이 이야기 해 줄 수 있으며, 수련과 일상생활의 관련양상에 있어서 서로 차별성을 가지는 세 명의 수련자들을 선정하였다. 한편 이 연구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는 우리의 경험을 조직하는 가장 근원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따라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주로 대면적 면담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이야기하기(telling)``와 ``다시 이야기하기(retelling)``를 통해 참여자의 경험 세계를 이해하고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수련체험이 자신의 일상적 삶 속에서 인간의 보편적 이상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데까지 나아가도록 하는 원동력이라 정의하고 있었으며, 수련과정에서 형성한 체험적 이론을 통해 세상을 보고 자신을 성찰하고자 하는 노력에 대하여 가치를 부여하고 있었다. 뇌교육의 핵심이 주체적 자아형성과 그에 기반한 실천력을 갖춤으로써 보다 가치있는 삶을 살도록 하는 데 있다고 한다면, 스스로를 삶의 주체자로 인식하고 가치지향적 삶의 태도를 가지도록 이끄는 수련체험은 뇌교육의 목적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수련자들의 체험과 성찰에 대하여 외부와 좀 더 자유롭게 소통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장(場)을 확대하는 일이 수련자 및 수련공동체의 공통적 과제로 남아있다. 수련체험에 대한 폭넓은 교류 자체가 그것을 다양한 방식으로 의미화하고 공유하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그것은 곧 수련의 궁극적 목적을 실현하는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ubstantial meaning of brain respiration trainees` personal experiences in concrete context and to interpret its brain educational meaning. We selected three participants who hold communion with oneself through their training and can talk freely about their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a condition how they have related between the daily life and training. The collected data from this study are focused on human experiences and also followed by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hich is the basic structure of human experiences and the holistic quality.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ere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rough ``telling`` and ``retelling``. The participants defined the training experiences as the motivational power of the cognitive and executive faculty in the daily life. Moreover they have felt self-esteem about their effort to form their own experimental theory and to reflect on their life through the training. Suppose the heart of a brain education is thoroughgoing study of valuable existence, training experiences have the meaning of brain education for a variety of reasons as we mentioned above. In the meantime trainees and training community have a task to enlarge the field which they can communicate the experiences and reflections freely with others who can`t experience the training. Without extensive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 real goal of training can`t be realized.

      • 효과적인 뇌기반 수업 설계 및 적용 방안 탐색 -초등학교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권택환 ( Taeg Hwan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4 뇌교육연구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뇌의 구조와 발달 등 이론적인 특징을 살펴 본 후, 뇌기반 관련 학습 환경 및 교수-학습 방법 등 뇌교육적인 방향성을 정립하고 구체적인 뇌기반 수업 설계 및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좌뇌와 우뇌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특성을 토대로 각급학교 좌뇌형 및 우뇌형 교사들이 실천 가능한 수업 방법과 좌뇌형 및 우뇌형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 방법을 도출 하였다. 둘째, 뇌기반 학습환경 분석, 뇌기반 단원 목표 설정, 뇌기반 한습내용 선정 및 조직, 뇌기반 교수-학습 전략, 뇌기반 단원 평가 계획 수립 등 5단계를 거침으로써 과학적으로 뇌기반 수업을 설계활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셋째, 좌뇌·우뇌·전뇌 등 뇌 특성에 적절한 맞춤형 뇌기반 수업를 설계함으로써 한쪽에 치우친 편향적인 뇌기반 수입이 아닌, 좌뇌·우뇌·전뇌 등이 균형 잡힌 뇌기반 수업을 가능해 질 수 있다. 그러나, 좀 더 발전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 배경 변인, 교육과정 특성 변인, 학생 개별 특성 변인 등을 고려하여 실제 학교급별 특성이 반영된 뇌기반 교육과정 개발은 물론,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뇌기반 수업을 설계·적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oretical features lik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brain to establish direction of brain-based science such as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o seek ways of design and application of brain-based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ing methods that were available for right-brained and left-brained teacher based on structure features of right and left brain and specific learning that would work for right-brained and left-brained students were created. Second, this study prepared the ground for brain-based science class design through five steps, which were analysis of learning environment of brain-based science, brian-based unit goal setting, selection and organizing brain-based contents. bria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y and establishment of brain-based unit assessment plan. Third, by designing customized class suitable for brain characteristic, well balanced brain-based class could be possible not one-sided brain-based class. However, follow-up studies would be necessary for more effective brain-based classes considering various variable such as teachers`` background, nature of curriculum,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 etc.

      •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오진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21 뇌교육연구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personality competency based on brain education by supplementing the existing virtues-centered personality components and the limitations of personality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over the first and second rounds, and the items were composed through classified sub-areas, and the concept of personality competency based on brain education, model, category, competency group concept, and sub-competence concept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1st and 2nd surveys, the questions were deleted, modified, and add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research,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competencies are in 6 areas(Self-management capability, self-belief capability, brain-friendly communication capability, positive community consciousness capability, global citizenship consciousness capability, global environment transcendence consciousness capability) and 12 sub-factors(Physical and emotional management, goal and vision management, self-awareness and reflection, overcoming limits and confidence, brain-friendly empathy, sharing and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thers,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s,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ther cultures, human peace and win-win, hyperconnectivity And transcendence awareness,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e global environment) the components of were deriv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future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testing tools and programs that can measure personality competence based on brain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if we repeatedly verify through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through suc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we will be able to further solidify the theory of personality competence based on brain education. 본 연구는 기존의 덕목 중심의 인성의 구성요소와 인성 역량의 한계점을 보 완하여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탐색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1,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하여 분류된 하위 영역을 통해 문항을 구성하였고,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 개념, 모형, 범주, 역량 군의 개념, 하위역량의 개념을 구성하였다. 1차, 2차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문 항을 삭제, 수정 및 추가하였다. 탐색적 연구 결과,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은 6 영역(자기관리역량, 자아신념역량, 두뇌친화적 소통역량, 긍정적공동체의식 역 량, 세계시민의식 역량, 지구환경초월의식 역량)과 12하위요인(신체 및 정서 관 리, 목표 및 비전 관리, 자아 인식 및 성찰, 한계 극복 및 자신감, 두뇌 친화적 공감, 공유 및 소통, 타인 이해 및 존중, 긍정적 관계 형성, 타문화 이해 및 존 중, 인류 평화 및 상생, 초연결성 및 초월의식, 지구환경 이해 및 실천)의 구성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와 프로그램 및 효과성을 검증하는 향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이러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통해 반복적인 검증을 해나간다면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의 이론 정립을 더욱 더 공고히 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주의집중력 훈련으로서 뇌교육 명상의 주의집중기제 탐색

        고건영 ( Ko Geon-young ),신혜숙 ( Shin Hye-soo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7 뇌교육연구 Vol.20 No.-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끊임없이 발생하는 자극은 주의집중력 결핍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어 주의집중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기존의 주의집중력훈련은 인지능력 중심의 특정기법을 주로 활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뇌과학의 발달로 명상이 뇌의 전반적인 기능 향상을 가져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주의집중력 훈련에 명상을 활용하는 흐름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교육 명상의 주의집중 기제 탐색을 통해 다중작업을 요구받는 환경에서, 자가훈련(self-training)이 가능한 인간능력향상에 기반한 통합적 개념의 주의집중력 훈련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의집중의 개념 및 요소를 살펴보고, 뇌교육 명상을 포함한 명상을 활용한 주의집중력 훈련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뇌교육 명상경험에서 축적된 연구자의 실천지를 분석하여 뇌교육 명상의 주의집중기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뇌교육 명상이 기 에너지를 활용한 이완된 집중을 통해 쉽게 내부의식으로 들어가고, 신체와 정서, 인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뇌의 전반적인 기능을 향상시키며, 집중명상과 통찰명상의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어 반복적인 실천이 용이하며, 크고 가치 있는 꿈을 통한 몰입을 유도하는 특징을 확인하였고, 이는 주의집중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자가훈련(self-training)이 가능한 통합적 주의집중력 훈련이 가능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The constant irritation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ass media has caused the lack of concentration, this has made concentration more important. Although the existing concentration training mainly uses specific techniques based on cognitive abilities, recentl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brain science has shown that meditation brings about improvements in the overall function of the brain. There also is a flow of use of meditation in concentration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the search of the concentration mechanism of brain education meditation. is to present an integrated conceptual a concentration training method based on the improvement of human mental ability capable of self - training in an environment requiring multiple tasks. For this purpose, after considering the concept and elements of concentration, examined the precedent study of the concentration training method of meditation including brain education meditation, and analyzed practical knowledge of brain education meditation, and then the concentration mechanism of brain education meditation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it easy to go into the inner consciousness through relaxed concentration using the energy, improve the general function of the brain by utilizing the interaction of the body, emotion, and cognition, and have a cyclic structure of concentrative meditation and insight meditation, induces immersion through a large and valuable dream. This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train integrative concentration training which can provide self-training to those who have difficulty in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