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학 안에 인간학적 전환과 신학적 인간학의 태동

        조정환(Cho Jeong-hwa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3

        가톨릭 신학은 최근 40여 년 동안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그것은 하느님에 대해서 말하는 학문인 신학(神學) 안에 인간을 중심으로 세우려는 경향, 즉 신학 안에 인간학적인 경향이 큰 흐름처럼 밀려왔기 때문이다. 이제는 신학의 각 부분에 흩어져 있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일된 하나의 학문으로 종합하면서 ‘신학적 인간학’(Antropologia teologica)이라는 명칭을 통해 말하고 있다. 과거 신학의 역사 안에서 인간에 대한 주제가 중요하게 다루어 진것은 사실이지만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다루어 졌다고는 볼 수 없다. 비로소 근대에 와서야 인간을 체계적으로 조명하는 학술서들이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 글은 신학적 인간학의 태동을 무엇보다 먼저 시대적이고 사상적인 상황과의 연관성 안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그 중심에는 근대 서구 유럽의 인간학적인 전환(轉換)혹은 인간 중심적인 전환이 있다. 이러한 인간학적인 전환은 신 중심적이고 혹은 교회중심적인 시대적 상황에 큰 충격을 가져다준 사건이라고 할 수 있겠다. 과거의 교회가 신앙에 대하여 언급할 때, 하느님의 말씀과 교부들의 견해 그리고 공의회를 중심으로 하는 수직적인 차원에서 언급하였다면, 인간중심적 혹은 인간학적으로 전환 되어진 새로운 시대 안에서는 인간의 측면을 도외시 하지 않고, 더 나아가서 인간의 현실적인 체험에서부터 출발해야만 한다는 당위성을 느끼게 된 것이다. 또한 시간이 흐를수록 거세어지는 극단적인 ‘인간중심주의’(Antropocentrismo)는 교회가 올바른 인간 이해를 위해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연구를 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더불어 제기 되었다. 이런 시대적인 흐름 안에서 신학적 인간학은 태동되었다고 볼 수 있고, 바로 그 자리에는 시대적인 고민이 같이 하고 있다. 또한 신학적 인간학 안에서 꼭 언급해야 할 학자는 칼 라너(K. Rahner 1904~1984) 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신학 안에 인간 연구는 그리 순탄한 길만은 아니었지만, 그를 통해서 체계적이고 통일된 모습을 갖추게 된다. 실제로 라너는 그 시기에 존재하지 않았던 ‘신학적 인간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체계적으로 신학 안에 인간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간학적인 경향의 수용은 어느 일부에서만 일어난 것이 아니라 가톨릭 교회 안에서 공식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 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는 그 수용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사목헌장(Gaudium et spes)은 인간이 겪고 있는 현실적인 체험들을 신학적 인간학의 바탕 안에서 체계적으로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이유로 신학적 인간학의 역사 안에서 제 2차 바티칸 공의회는 그 정점에 있기에 꼭 언급해야할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처럼 가톨릭 교회는 인간중심적으로 전환된 시대적이고 사상적인 흐름 안에서 시대의 표징을 읽었고, 거기에서 긍정적인 부분을 과감하게 수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심에는 학문적으로 신학적 인간학이 함께 하고 있었기에 그 역할이 중요했음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이러한 신학적 인간학의 태동과 더불어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이제 현대 가톨릭 사상이 인간을 중심에 두고서 모든 생각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는 시대적인 필요성은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다가왔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issanc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which explores theology with emphasis on humankind, based on time and ideological changes. In the latest 40 years, the Catholic theology gave birth to Theological Anthropology (Antropologia teologica) which generalizes the understanding of humankind on the basis of theology. Theology has studied humankind as a major topic, but the emergenc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ells us that a more organized field of study on humankind and more professional studies and researches have become available. The convertsion of theology into a man-centered, anthropological theme was a major change to its God-centered and church-centered foundation. Today, the Church can no longer talk about religion from the hierarchical perspective with the focus on God’s words, Fathers’ opinions, the Councils. It is necessary to deeply explore men and seek out for realistic experiences. With the growing ethnocentrism (Antropocentrismo), the Church found it important to study humankind for better understanding. Theological Anthropology was born in modern Europe’s conversion to ethnocentrism. Karl Rahner(1904~1984) is the one who greatly contributed to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hrough him, anthropological studies become more organized and uniform within the realms of theology. Rahner first used the term ‘Theological Anthropology’ and established anthropological methodologies on a theological background. The anthropological tendency of theology became official within the Catholic Church. The “2nd Vatican Council” was what made it official. The Pastoral Constitution (Gaudium et spes), established by the Councils, explained realistic experiences of men on the basis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he Catholic Church made effort to understand the conversion to ethnocentrism and boldly absorb its positive aspects. Such effort accomplished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heological Anthropology allowed the church to absorb ethnocentric trends and address it from academic perspectives. The naissanc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reflects the inevitable needs that modern Catholic ideologies have to be man-centered and promote its teachings and studies for men.

      • KCI등재

        의학교육에서 가톨릭 정신의 구현

        김평만(Kim Pyeong-man),임선희(Yim Seon-hee),오승민(Oh Seung-m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1

        오늘날 자연과학 중심의 생의학 모델에 근거한 의료와 의학교육, 철학적 반성이 결여된 생명과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말미암아, 의료의 비인간화 및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윤리문제들이 발생하고, 의료인의 정체성에도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의과대학에서 인문사회의학을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의학전문대학원에서도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인 옴니버스 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옴니버스 교육은 인문사회학 과정에 가톨릭 정신을 결합하여, 가톨릭 정체성을 지닌 의사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가톨릭 정체성을 지닌 의사란 소명의식과 사명감을 지닌 인격적으로 성숙한 의사, 의료지식과 기술역량뿐 아니라 공감하는 역량과 도덕적 역량을 지닌 의사, 환자 개인뿐 아니라 사회적 요구에도 응답하는 봉사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의사다. 다른 의과대학에서 운영되는 인문사회의학 교육과 달리, 통상적인 인문사회학적 관점에 가톨릭 정신이 결합되면서, 옴니버스 과정은 인간과 의료를 바라보는 시선과 환자의 치유를 영적인 차원으로까지 확장시키고, 의학직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의료인의 길이 변화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복음적인 인간 성숙을 기반으로 충만한 사명감을 지닌 생명의 봉사자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은 먼저 옴니버스 교육과정의 시작 배경을 살펴보고, 이어서 옴니버스 교육을 구성하는 원리와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가톨릭 정신이 옴니버스 과정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옴니버스 과정의 교육방법론을 살펴보고 방법론 자체에 구현된 가톨릭 정신을 살펴본다. 이어 이 논문의 결론으로, 가톨릭 정신은 의대 교육과정에서 봉사나 자선, 그리고 생명윤리에 대한 가르침 등 특정한 분야를 통해 구현되는 것보다, 인간과 의료에 대한 인식론과 참다운 의료인 상에 대한 존재론의 차원에서 구현되는 것이 더 근본적이고 중요하다는 것을 언급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통해 환자와 의료를 복음적 시선으로 이해하는 자세와, 고통 받는 사람들의 이웃이 되라고 부름 받은 의료인의 사명에 응답하려는 태도를 교육하는 것이 의학교육에 구현된 가톨릭 정신이며, 여러 가지 한계에 도달한 현대 의료를 극복하는 출발점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ue to the biomedical model affecting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since the mid-19th century and the advance of biotechnologies unaccompanied by philosophical reflection, medicine has been dehumanized and industrialized. As a consequence, these developments are causing ethical problems and identity confus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As one of the potential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eed to be integrated into medical education. For this reason, we have developed a new curriculum named the “Omnibus Curriculum”, and implemented it in the curriculum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The Omnibus Curriculum aims to produce medical professionals who embody Catholic identity. We understand Catholic identity to imply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an open attitude to professional vocation, spiritual and personal maturity, a high level of empathy, high ethical standards, servant leadership, and a high sensitivity to social justice. The curriculum can achieve these aims through the embodiment of Catholicism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an approach that serves to distinguish the Omnibus Curriculum from similar curricula offered in other medical schools.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 background to the development of the Omnibus Curriculum, and show how it embodies Catholicism. In addition, we present our creative teaching methods, which mimic the creative teaching methods of Jesus. Afte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we are now convinced that Catholicism can offer answers to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questions confronting medicine, the medical system, and medical professionals, and can provide important directions for surmounting the current obstacles in moder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 KCI등재

        그리스도 안에 창조되고 구원되며 완성된 인간 - 루이스 라다리아의 “그리스도론” 인간학 -

        조동원(Cho, Dong-Wo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0 인간연구 Vol.0 No.41

        루이스 라다리아의 “그리스도론” 인간학은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교부들의 통찰의 재발견이다. 20세기 초중반 가톨릭 신학계에서 커다란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새 신학”의 학문적 결실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가톨릭 교회 안에 긍정적으로 수용되었다. 라다리아는 넓은 의미에서 “새 신학”의 전통 안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헌장이 제시하는 그리스도 중심적인 인간관에 기반하여, 교부들의 저작들에 대한 직접적인 탐구를 통해 그 안에 “묻힌 보물”을 다시 꺼낸다. 그는 성서와 교부들의 가르침 안에서, 사목헌장에 등장하는 “온전한 인간이자 완전한 인간인 그리스도”(Christus perfectus homo et homo perfectus)의 개념을 일종의 해석학적 열쇠로 가다듬고 발전시킨다. 그리스도는 참으로 인간일 뿐 아니라, 오직 그분만이 온전하고 완전한 의미에서의 “인간”이다. 하느님께서는 창조 이전에 이미 그리스도의 인성을 예비하시고, 그것을 원형 삼아 인간을 창조하셨다. “사람이 되신 말씀”이자 “새 아담”인 그리스도는 그분의 인성 안에서 “첫 아담”의 범죄로 상실한 “하느님과의 닮음”을 회복하고, 우리는 그분에 의하여 온전하고 완전한 “하느님 모상성”에 이르게 된다. 인간은 그리스도를 통해, 그분 안에서 창조되고 구원받으며 완성될 존재이다. 이처럼 그리스도는 인간존재의 원형이자 완성이며, 그런 의미에서 그리스도론은 인간학의 시작이자 준거이며 마침이다. Luis Ladaria’s Christological anthropology is a rediscovery of patristic insights into Christ’s humanity. The academic fruits of nouvelle théologie, which was a hotly disputed issu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ere positively adopted by Vatican II and the post-conciliar Church. Standing on the same line as nouvelle théologie in its broad sense and firmly based on the Christocentric view of humanity observed in Gaudium et spes of Vatican II, Ladaria concentrates on a study of various patristic works, revealing some “treasures” hidden beneath this field. He elaborates the conception “Christus perfectus homo et homo perfectus” found in Gaudium et spes into a hermeneutical key for his Christological anthropology, always inspired by the teachings of the Bible and the Fathers. Christ is not only truly human, but “the human being” in its complete and perfect dimension. God predestined Christ’s humanity even before the creation of the world, making it the prototype of the first human being. Christ, who is “the incarnate Word” and “the New Adam,” restores in his humanity the “similitudo Dei” that was lost by “the first Adam” because of his sin, making us fulfill a complete and perfect imago-Dei-ness. The human being is created, saved, and perfected in and through Christ, the Alpha and Omega of human existence. In this respect, Christology is no other than the beginning, norm, and end of anthropology.

      • KCI등재

        가톨릭 인본주의와 대학의 역할

        이종진(Lee, Jong-j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2

        본고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대학이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가톨릭대학교의 이념을 확인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천적인 반성을 수행하는 데에 있다. 본론에서는 첫째로, ‘가톨릭 인본주의’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고 있다. 즉, ‘가톨릭 인본주의’는 전통적인 성서적-그리스도교적 인본사상이 가톨릭적인 지반 위에서 르네상스 인본주의의 특질들을 수용하면서 형성된 사조라고 규정 될 수 있다. ‘하느님의 모상에 따라 창조된 인간’이라는 성서적 인간이해, 은총과 자연의 양립가능성, 신앙과 이성의 통합가능성, 원죄에 의해서도 온전히 훼손되지 않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가르침 등이 가톨릭 인본주의의 ‘본래적인’ 내용들로 이해된다. 둘째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은 ‘보편적 인본주의’로서의 가톨릭 인본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이 요한 바오로 2세의 교황령 Ex Corde Ecclesiae(『교회의 심장부로부터』)를 통해서 제시 되고 있다. 아울러 가톨릭 인본주의의 이념이 시대사조와의 대화를 거치면서 그 내용이 더욱 풍부하게 발전되고 있고, 그와 함께 가톨릭대학교에 주어진 사명도 보다 실천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는 점도 고찰되고 있다. 셋째로, 이 문헌에 나타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 특히 사회정의의 증진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우리보다 앞선 전통을 가진 국외의 가톨릭대학교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또 실천해 가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소개하였다. 결론부에서는 이상의 실천적 반성을 통하여 국내의 가톨릭대학교들에 주어진 과제와 전망을 필자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reaffirm the roles of Catholic universities at a time when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face crises, and aims to establish specific actions to fulfill those roles. This paper first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Catholic humanism.” Catholic humanism is based on traditional Catholic ideas combined with biblical-Christian humanism, and embraces renaissance humanism. By nature, Catholic humanism is thought to include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humans that imitates the image of God, the compatibility of grace and natur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faith and reason, and human free will that cannot be restricted even by original sin.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e identities and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are based on Catholic humanism as universal humanism as Pope John Paul Ⅱ’s “Ex Corde Ecclesiae” suggested. In addition, Catholic humanism has been enriched through active interactions with the trends of each era, and accordingly, the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have become more practical. Third, this paper introduces how overseas Catholic universities have traditional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their identities and missions, particularly social justice which is the mission of Catholic universities in this era. In the conclusion, the writer presents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faced by Korean Catholic universities.

      • KCI등재

        생태신학으로 확장되는 현대 그리스도교적 인간학의 방향 -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의 『창조 안에 계신 하느님』에서 나타난 관계와 공동체 인간관을 중심으로 -

        서한석(Seo, Han Seok)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1 인간연구 Vol.- No.45

        본 연구는 위르겐 몰트만의 생태학적 인간학에 집중하며, 인간 실존의 의미와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공동체적이고 관계 형성적인 인간의 삼중적인 형상에 대해서 고찰한다. 인간은 하느님의 형상이자 그리스도의 형상 그리고 세상의 형상과의 관계에서 존재한다. 하느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은 창조주인 하느님과 피조계 전체와의 관계를 맺는다. 인간의 목적은 그리스도의 형상의 실현이며, 이제 세상의 형상으로서의 온 창조계와의 공동체적 관계의 형성은 인간이 그리스도의 형상을 실현하는 데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서 새 하늘과 새 땅의 종말론적 완성을 이룰 그리스도는 인간만의 구원이 아니라 자연 환경을 포함한 모든 창조계의 구원의 지표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계몽주의 철학 특별히 데카르트의 사상 이후 환경에 대한 인간의 해로운 도구화로써 고통당하고 있는 자연에 현존할 뿐 아니라 그러한 고통에 함께 동참하는 ‘하느님의 창조적 영’에 강조점을 둘 것이다. 하느님의 창조적 영은 인간의 이성으로 하여금 환경의 고통에 대한 관심을 의식적으로 일으킨다는 몰트만의 주장을 기점으로 본 연구는 인간이 함부로 대할 수 없는 생태계와의 공동체적 관계를 선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Jürgen Moltmann’s ecological anthropology and considers the threefold image of a communal and relational human being. Man exists in relation to the image of God, the image of Christ, and the image of the world. Man, as the image of God, has a relationship with the Creator God and the whole of creation. The purpose of man is the realization of the image of Christ, and the formation of a communal relationship with the whole of creation, as the image of the world becomes an important key for human beings to realize the image of Christ.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reative Spirit of God,” who not only exists in nature, but also participates in such suffering as a human being’s harmful instrumentalization of the environment after the philosophy of the Enlightenment, especially following Descartes’ thought. Starting from Moltmann’s claim that God’s creative Spirit awakens human reason to destroy indifference to the suffering of the environment, this study proclaims a communal relationship with the ecosystem that humans cannot treat lightly.

      • KCI등재

        가톨릭학교 평신도 교사의 역할 - 그리스도의 삼중직무를 중심으로 -

        김율옥(Kim, Yul Ok),김경이(Kim, Kyung Yee)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1 인간연구 Vol.- No.44

        본 연구는 교회문헌을 통해 평신도 그리스도인이며 동시에 가톨릭학교 교사들의 역할에 대해 탐구한다. 교회가 평신도 그리스도인을 통해 교회의 구원 사명을 공유하는 것과 같이, 가톨릭학교 교육자들은 그리스도로부터 학교에 파견되어 교육을 통해 교회의 구원 사명에 참여한다. 가톨릭교회의 평신도에 대한 이해는 제2차 바티칸공의회 후 크게 변화되었으며, 하느님의 백성, 세상의 누룩, 그리스도 삼중직무에 참여로 대표된다. 그렇다면 가톨릭학교 평신도 교사가 수행해야 할 삼중직무 즉 예언자직, 왕직, 사제직이란 무엇인가? 예언자직을 수행한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정신을 담은 전인교육 실천, 현세 질서의 쇄신, 신앙의 관점에서 문화 전달, 그리고 가톨릭교육 철학을 반영한 인간상을 제시하는 것이다. 왕직을 수행하는 것은 그리스도를 닮아 학생들과의 직접적인 친교 안에서 겸손과 개방된 자세로 돌봄을 실천하는 것이고, 자신의 삶으로써 하느님 나라를 보여주는 것이다. 사제직을 수행하는 것은 복음 정신을 갖는 것, 성사적 관점을 갖는 것, 세상의 모든 이들을 위하는 것, 세상의 성화를 위하는 것, 소명의식을 갖는 것, 자신의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삼중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 스스로 성장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지만, 가톨릭교회가 교육자의 양성을 위해 신앙적 지원과 공동체적 지원과 함께 가톨릭 학교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ministry of lay Catholics and Catholic school teachers in the light of the Church documents. Just as the Church shares its mission of salvation through lay Catholics, Catholic educators are sent to the school to participate in the Church’s mission of salvation through education. The Catholic Church’s understanding of the laity has changed dramatically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 active members of ‘the people of God’, and as ‘the leaven of the world’, they participate in the threefold ministry of Christ: the prophetic, the kingly, and the priestly ministry. Then, what are the threefold ministry of Christ that lay teachers at Catholic schools should perform? To carry out the prophetic ministry is to practice the whole-person education in the spirit of Christ, to renew the temporal order of the society, to engage in cultural activiti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nd to present the image of human persons that embody the philosophy of Catholic education. To carry out the kingly ministry is, like Christ, to practice caring for human persons with humility and opennes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tudents, and to witness to the kingdom of God with one"s own life. To carry out the priestly ministry is to have the spirit of the Gospel, to have sacramental consciousness, to serve all people in the world, to work for the sanctification of the world, to have a sense of vocation, and to strive to grow in one"s faith. To fulfill the threefold ministry of Christ, teachers must make efforts for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It is also proposed that the Catholic Church needs to support Catholic schools to develop effective Christian formation programs for teachers and to provide broader community support for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성신대학의 사제 양성 교육

        노용필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4 인간연구 Vol.- No.7

        1942년 2월 일제의 천주교회에 대한 간섭 정책으로 용산 예수성심신 학교가 폐교를 당하고 말았고, 그 이후 대신학교 학생들은 덕원 신학교로 옮겨 가서 학업을 계속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가 1945년 2월 신학교인가가 나와 드디어 대신학교의 문을 다시 열게 되었는데, 경성교구의 신학교로서 경성천주공교신학교라는 명칭으로 5월 1일에 개교식을 거행하였다. 이때에는 대구의 성 유스티노 신학교가 해체된 상태였으므로 함께 통합되어 운영되었으며, 대·소신학교를 겸하여 12년의 학제로 운영되었던 것이다. 그 후 정규 대학인 성신대학으로 승격된 것은 1947년의 일이었는데, 대학으로 승격되었기 때문에 동시에 자연히 대신학교와 소신학교가 분리되었다. 이후 6· 25동란 때에는 제주도와 부산을 전전하며 교육이 계속되었고, 1953년 10월 혜화동 본교사로 돌아와 수업을 재개하였다. 이후 1959년에 가톨릭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In February 1942, Owing to Japanese colonial goverment's interference policy in catholic church, Yongsan(龍山) Yesu-seosim(예수성심) theological school ought to be abolished. Since then Senior students could study their lessons without interruption in Dokwon(德元) theological school. Thereafter obtaining sanction in February 1945, the school had began anew. The opening ceremony of new school was held in May 1st under name of Kyongsong(京城) Chonju(天主) Konggyo(公敎) theological school. At this time because of Saint Justino theological school in Daegu(大邱) had been disorganized, the two school was adminisered to unify in unison. In 1947 Songsin(聖神) College was raised to the status formal college, at that same time junior and senior school was seperated of itself. During the 6.25 south and north War, the college had wandered from Jeju-island(濟州道) to Busan(釜山). In Oct. 1953 Students had returned to the principal school building in Hyehwa-dong(惠化洞), the college resumed work. In 1959, the name of school was changed to Catholic College.

      • KCI등재

        인간학과 수학 : '보편수학' 그리고 '수학하는 인간존재'를 중심으로 Mathesis Universalis and Mathematical Human Being

        하병학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4 인간연구 Vol.- No.7

        수학은 고대 철학에서부터 현대 철학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녀 왔다. 고대 철학에서는 수학적 존재가 보편적 존재를 대표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특히 플라톤은 기하학이 형이상학과 유사하다고 보고 기하학을 매우 중요시하였다. 근대 철학에서는 수학적 방법의 보편성과 경험에 의존하지 않는 수학적 지식의 보편성에 주목하였다. '보편수학'은 과학이 어떤 방법과 사고로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말해 주는 대표적인 근대적 사상이다. 현대 철학에서는, 특히 현상학적-해석학적 수학에서는, 수학을 객관적 체계로만 보던 종래의 과학주의적 시각을 벗어나 수학과 인간의 관계를 새로이 조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수학을 넓은 의미에서의 인간학적 측면에서 새로이 조명해 낸 것이 오스카 베커 수학철학의 업적이다. Ever since philosophy began by the ancient Greeks, mathematics has been one of the greatest source of philosophical discourses. In the ancient philosophy man was interested in the mathematics, because the mathematical being was a model for the universal being. Especially Plato regarded geometry as having very great intellectual importance. It seemed to him a kinship with metaphysics. The modem philosophy gave attention to the point that the mathematical method is universal for all sciences and the mathematical knowledge is universal knowledge, which do not depend upon experience. The `Mathesis universalis' was one of the great idea of modem philosophy, that the mathematics is a universal model of what scientific method and thinking shoud be. In the contemporary philosophy, above all in the phenomenological-hermeneutical mathematics, the mathematics can be explained at a anthropological side. Oskar Beckers philosophy of mathematics is, that mathematics can not be clarified without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mathematical human being.

      • KCI등재

        한국 가톨릭 신심 유형과 그 역사·문화적 배경 : 개항기~일정 강점기를 중심으로 Dal tempo dellapertura del Porto~al tempo dell occupazione coloniale giapponese

        최경선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3 인간연구 Vol.- No.5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가톨릭교회가 가지고 들어왔던 신심 유형들 중에 어떤 것들이 이 시대에 특별히 신자들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었는지, 또 그 역사·문화적 배경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전개방법은, 당시 한국 가톨릭교회의 대표적 신심 유형이라 할 수 있는 성체·순교성모 대사와 은사회 등의 신심 유형들이 지니고 있던 특성을 살펴보고, 그런 특성을 가지기까지는 어떤 역사·문화적 배경이 있었는지, 교회 초창기의 신심 유형들과 비교할 때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를 소개하는 것이다. 이때의 신심 유형들은 교회의 지도층이 주관하는 행사 위주(성체·순교자·성당 봉헌 등의 신심), 개인 구령 위주(대사와 은사회, 성물 등의 신심)의 특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신심 유형들의 특성은 국가나 민족의 문제에서는 거리가 먼 것들이었다. 이런 현상이 드러나게 된 데 대한 배경을 역사적인 측면으로 보면, 오랜 기간 박해를 체험했던 한국 교회가 겨우 맞게 된 신앙의 자유 시대에 정부와 마찰을 빚지 않으려고 소극적이 자세를 취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 중심으로 구성되었던 교회 지도층이 그들의 선교현장이었던 한국의 운명에 대해 무관심했던 것에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반면, 문화적인 측면에서 가톨릭 신심과 한국 민중들의 신앙의 유사점을 찾자면 성체 신심과 승병(僧餠)이 가진 나눔의 의미, 신앙이나 효(孝)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행동을 아름다운 덕행으로 여겼던 한국인들의 심성과 순교 신심, 신모 신앙과 속신어에서 드러나는 한국인의 어머니에 대한 감정과 가톨릭의 성모 신심, 상선벌악 사상과 대사에 대한 원의, 가신(家神)신앙·마을신앙 전통과 성당 봉헌, 부적에 대한 신심과 성물을 통한기도, 치성·산기도와 피정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개항기에서 일제 장점기에 이르는 기간에 신심 유형들을 통해 드러난 교회의 태도는 대체적으로 실망스러운 것이었다. 신심 행위 자체가 아름다운 것이자 그 나름대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었으며, 모처럼 얻은 신앙의 자유를 빼앗기지 않고자 정부와의 마찰을 최대한 피하려 했던 교회의 사정을 이해한다 하더라도 그렇다. 그러나 민중신앙의 형태와 가톨릭 신심 유형이 공통적으로 지닌 유사점을 찾은 것은 이 논문을 통해 얻어낸 작은 결실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대한 정확한 근거자료를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고 가능성만을 제시한 것은 유감이라 할 수 있으나, 지금까지 이런 방향의 연구가 거의 없었던 형편이었기에, 이 정도의 결과에도 감사해야 할 것 같다. La devozione (atto di fede dei fedeli) segue it modo prescritto dalla Chiesa. Ma nella vita concreta appaiono varie forme di devozioni, che variano a seconda dei tempi. Cosi, mentre alcuni atti di fede vengono rinforzati, altri invece si vedono indeboliti. Percio, pur trattandosi sempre della stessa devozione cattolica, questa assume diverse colorazioni e differenze, a seconda del luogo e della nazionalita dei fedeli che la vivono. In questa tesi, prendiamo in considerazione quali tipi di devozione erano praticati dai fedeli Coreani nel tempo oggetto dello studio, e ne analizziamo lo sfondo storico-culturale. In particolare prendiamo in considerazione le caratteristiche delle devozioni allEucarestia, ai Martiri, alla Madonna, e quelle dei Gruppi per le indulgenze, presentandone poi lo sfondo storico-culturale, e la differenza con i tipi di devozione presenti nella Chiesa primitiva. In questo tempo, troviamo due tipi caratteristici di devozione: una e praticata per eventi fatti o presentati dalla gerarchia della Chiesa (Eucaristia, Martiri, dedicazioni di chiese, ecc.); mentre laltra e praticata per ottenere la salvezza della propria anima, a un livello personale (Gruppi per ottenere indulgenze, venerazione di oggetti sacri, ecc.). Ambedue questi tipi di devozione hanno la caratteristica di essere estranei ai problemi concreti della nazione e del popolo. Analizzando lo sfondo storico di questi fenomeni, possiamo dire che la Chiesa della Corea, la quale aveva finalmente ottenuto la liberta di praticare la propria fede dopo un lungo tempo di persecuzioni, assunse di proposito un atteggiamento passivo per non urtare it governo giapponese. La gerarchia della Chiesa era inoltre a grande maggioranza composta da stranieri, che non avevano tanto interesse circa it destino della Corea. Essi si limitavano a guidare i fedeli a fare quegli atti di fede diretti ad ottenere la gioia e la tranquillita dellanima, dimenticando la situazione del mondo, pensando di poter vivere comunque in qualsiasi tipo di stato politico-nazionale. Inoltre, essi spingevano i fedeli a pregare per i militari giapponesi e ad assumere un atteggiamento di martirio per patriottismo verso it Giappone, esortando i fedeli a partecipare alla guerra di occupazione giapponese del continente asiatico, offrendo se necessario anche la propria vita. Questo loro atteggiamento non era certo una vera spiritualita del martirio. La spiritualita cattolica del martirio consiste infatti net sacrificare spontaneamente la propria vita per la fede. I primi Cristiani venivano esortati ad imitare it coraggio dei martiri trovandosi spesso sotto minaccia di morte. Ma in questo tempo delloccupazione colonialista del Giappone, la Chiesa era asservita agli avvenimenti, e purtroppo non ha saputo sviluppare nei fedeli unautentica spiritualita del martirio, collegata al tragico destino del paese. Se cerchiamo le somiglianze fra la devozione cattolica e la devozione del popolo coreano dal punto di vista della cultura tradizionale di questultimo, possiamo indicare le seguenti: it significato della condivisione nella devozione alleucaristia, cosi come nella torta di riso (rice-cake) monastico; la devozione al martirio e la cultura coreana che considerava suprema virtu loffrire la propria vita per la fede o per la pieta filiale; la devozione alla Madonna e la sensibilita coreana per la Madre, espressa mediante la devozione alla dea-madre e i detti della credenza popolare; la ricerca dellindulgenza e it tradizionale pensiero del merito, secondo it bene oil male commesso; la dedicazione delle chiese e la tradizione di devozione agli dei delta casa o del villaggio; la devozione alle cose sacre e la devozione agli amuleti; la forte somiglianza fra ritiro e la tradizionale preghiera della montagna. Se paragoniamo i tipi di devozione di questo tempo con quelli dei primi tempi della Chiesa, vediamo che essi sono praticati per avvenimenti decisi dalla Chiesa o per entrata nei gruppi devozionali. La dedicazione di chiese e i1 congresso eucaristico erano nuovi tipi di devozione che non potevano certo trovarsi nei primi tempi. Perche nel tempo da not preso in considerazione si potevano costruire chiese, in cui i fedeli potessero esprimere insieme la propria fede, a differenza dei primi tempi del Cristianesimo, quando le persecuzioni obbligavano i fedeli a restarsene nascosti. Come abbiamo visto, la maggior parte degli atteggiamenti della Chiesa in questo tempo non era tanto apprezzabile. Senza dubbio le devozioni sono belle ed hanno un proprio significato. E pure comprensibile che la Chiesa volesse conservare la liberta della propria fede, evitando di suscitare problemi con it governo. Eppure, nellatteggiamento della Chiesa di questo tempo sembra mancare qualcosa. Ma nonostante cio possiamo dire che il frutto della tesi consiste nellaver potuto trovare qualche somiglianza fra i tipi di devozione cattolica e quelli tradizionali del popolo coreano. Ci dispiace non aver potuto trovare dati precisi, supponendone soltando la possibilita, ma vogliamo essere grati anche solo per questo piccolo frutto perche finora non esisteva quasi nessuna ricerca in questa direzione.

      • KCI등재

        육화의 이유에 대한 12-13세기의 논쟁 – 신학대전 제3부 1문 3항의 본문과 주석을 중심으로 -

        조동원(Dong-won Cho)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1 인간연구 Vol.- No.44

        성경과 교부들에 의해 증언되고 교회 안에서 공적으로 고백된 “성자께서는 저희 인간을 위하여 저희 구원을 위하여 하늘에서 내려오시어 사람이 되셨다”(DH 150)는 육화의 구속사적 의미는, 중세에 이르러 “만약 인간이 죄를 짓지 않았다면, 하느님께서 사람이 되셨을 것인가?”라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다양한 답변을 통해 신학적이고도 인간학적인 사색과 탐구의 주제로 심화되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학대전 제3부 1문 3항에서 이 문제에 대한 앞선 학자들의 의견을 두루 살피고 이를 테제(thesis)와 안티테제(ant-thesis)로 활용하고 종합함으로써(syn-thesis) 자신의 고유한 입장을 제시한다. 토마스에 따르면 “만일 인간의 죄가 없었다면, 육화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는 입장이 더 “적절하다고 말해질 수”(convenientius dicitur) 있다. 이는 무엇보다 성경의 증언에 대한 여러 교부들의 해석에 근거할 뿐 아니라, 본성과 은총의 뚜렷한 구분이라는 전망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다. 토마스는 게릭이나 알베르토 같은 선배 도미니코 학자들의 견해를 발전시켜, 본성과 은총, 자연과 초자연의 질서를 구분함으로써, 육화가 인간의 완성을 위해 필연적으로 일어난 사건이라는 로버트 그로스테스트의 견해를 반박하고, 그것은 오직 인간을 죄로부터 구속하기 위한 하느님의 자유로운 구원의지에 기인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이처럼 토마스는 “육화의 이유” 논쟁 안에 12-13세기에 이루어진 다양한 토론과 성찰들을 체계적으로 수렴해 놓았으며, 이는 동시에 후대의 신학적·인간학적 숙고와 발전의 출발점이자 이정표가 된다. The Son of God “propter nos homines et propter nostram salutem”(DH 150) came down from heaven and became flesh. Such soteriological dimension of the Incarnation, testified by the Scriptures and the Fathers and proclaimed officially by the Church, was developed as a contemplative theme of theological exploration in the Medieval Era, primarily through the question “utrum Deus incarnatus fuisset, si homo non peccasset,” that is, “whether God would have been incarnate, if man had not sinned?” In his Summa Theologiae IIIa, q. 1, a. 3, Thomas Aquinas makes his syn-thesis for the question by examining various views of thesis and anti-thesis adopted by his predecessors. According to the Angelic Doctor, it is more fitting to say(“convenientius dicitur”) that “had sin not existed, the Incarnation would not have been.” This is not only based on a patristic reading of the biblical Kerygma of the Incarnation, St. Thomas says, but also deeply engaged with the distinction of nature and grace. Aquinas stands in the same line as his Dominican predecessors such as Guerric or Albert the Great, developing their view on the distinction between nature and grace, or between nature and the supernatural, so that preserves God’s absolute freedom for His salvific works. It is an anti-thesis to Grosseteste’s thesis of the necessity of the Incarnation for the perfection of the human being and the whole creatures. The “ratio incarnationis” debate, therefore, can be regarded as a mature fruit of the theological investigations of the medieval 12th and 13th centuries, whose depth and richness are revealed in the text of the third part of Summa, which also, in its turn, opens up another th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reflections and developments for the next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