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구 고고학의 패러다임(paradigm) 변화와 한국 고고학의 방향

        강봉원(Kang, Bong-Won) 한국상고사학회 2001 한국상고사학보 Vol.34 No.-

        서구 고고학의 패러다임은 1960년대까지 전통고고학,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까지 신 고고학 혹은 과정주의 고고학, 그리고 현금까지 후기과정주의 고고학으로 변모되어 오고 있다. 해방 후부터 출범한 우리나라 고고학은 그 역사가 아직도 일천하여 학문적 수준이 서구는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일본의 고고학에 비해서도 낮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1970년대 들어와 한국의 고고학이 상당히 활성화되어 고고학자들의 수나 고고학 관련 연구업적이 괄목할 만큼 증가하였다.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고고학도 유적조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유물․유적의 수습과 단순 반복적 자료 집적의 차원을 넘어서 보다 더 의미 있는 고고학적 혹은 역사학적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시점에 왔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 서구에서 그 동안 변모하여 오고 있었던 패러다임을 간단하게 일별하여 보면서 한국 고고학의 상황과 대비시켜 보았다. 나아가서 한국 고고학의 근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한국 고고학이 궁극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서구의 이론과 방법론을 개인적인 습득과 학계에 단순히 소개하는 차원에서만 그칠 것이 아니라 이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의 고고학 자료에 실제로 적용하여야 우리나라 고고학의 학문적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rchaeological methods theories that have been formulated and widely used by Western archaeologists. Description of artifacts and features of archaeology and establishment of precise chronology are fundamental to archaeology. But it should not be an end in itself. By the same token, archaeological methods and theories should not be done for its own sake. Korean archaeology has made a significant, the economic growth in the 1970s witnessed many large scale construction works and concomitantly a great number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sites throughout the country. Many unprecedented archaeological features have been exposed and a tremendous amount of artifacts have been recovered in many different sites. This has played a critical rol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rchaeology over the last three decades. Unfortunately, however,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of the archaeological work that has been done, the overall quality of Korean archaeological studies is still poor. This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most Korean archaeologists have not had a strong desire to adopt appropriate archaeological methods and theories to interpret the materials collected. While the paradigms of the Western archaeology have shifted from traditional to interpret the materials collected. While the paradigms of the Western archaeology have shifted from traditional archaeology, to processual archaeology, and to post-processual, the academic atmosphere of Korean archaeology has not changed much until the present. In this paper, I contend that now is the time for us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paradigm movement, and to try to apply methods and theories to interpret culture changes that took place in Korea.

      • KCI등재

        韓國 複合社會 硏究의 批判的 檢討와 展望

        金庚澤(Kim, Gyongtaek) 한국상고사학회 2004 한국상고사학보 Vol.44 No.-

        복합사회(complex society)는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연구 테마를 제공해 온 매우 매력적인 연구주제이다. 연구자들은 나름대로의 기준을 가지고 복합사회를 규정해 왔지만, 社會的 複合度(social complexity)가 일정 수준 이상에 다다른 사회를 複合社會라 지칭한다는 데는 별다른 이견이 없다. 일반적으로 사회적/문화적 복합도(social/cultural complexity)는 특정 사회를 구성하는 諸單位들 사이에 존재하는 기능적 분화(functional differentiation)의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1971년 『新東亞』심포지엄은 古代國家를 포함한 복합사회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시킨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美國學界의 학문적 성과를 접한 몇몇 소장학자들은 新進化論的 社會發展 모델 및 過程主義 考古學의 方法論을 국내 학계에 소개하고, 또 이들을 한국 고대사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 새로운 접근은 상당한 주목을 받았지만, 국내 학계는 이러한 접근에 꼭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진 않았다. 즉, 역사학계와 인류학계의 신랄한 비판이 있었고, 이에 대한 반론도 제기되었다. 이에 대한 논쟁은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고, 고고학 및 고대사 분야에서 복합사회는 매우 매력적인 연구 주제의 하나로 정착되었다. 각 학문 분야간의 경계가 사라지고, 연관 분야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學際的 硏究가 일반화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한국 상고사에 등장했던 복합사회의 연구를 위해서는 고고학, 고대사, 그리고 인류학 분야의 공동연구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자신 또는 자신의 분야의 입장만을 고집하며, 서로의 성과를 폄하 또는 무시하는 비효율적인 소모적인 논쟁은 생산적일 수 없음을 자각하고. 서로의 배경 및 입장을 이해하고, 각 분야의 강점 및 약점을 인식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나갈 때 비로소 보다 진전된 해석이 가능하다. Complex societies have provided scholars with a number of fascinating research topics including questions of their origin, causes, diagnostic traits, developments and collapses. The Sindoga Symposium in 1971 was a critical moment that initiated active discussions of complex society and the ancient state in Korea. A few scholars who had studied the literature of American academic circles played the role of pioneers introducing neo-evolutionary models and the viewpoints of processual archaeology, and attempting to apply them to ancient Korean society. Through the 1970s and 1980s, these ideas gained much attention, although the reaction of Korean academic circles was not always friendly to the new approcaches. By now these debates have been settled down considerably, and scholars have turned to work on the study of societal complexity in Korea in a less polemic atmosphere. The neo-evolutionary terms "chiefdom" and "state" have gained acceptance as useful terms for designating general levels of sociopolitical complexity, shorn of much of their earlier theoretical baggage. As fuller data have accumulated, archaeologists have turned to more empirical investigations, and to more concrete regional approaches. In the current academic atmosphere, interdisciplinary studies, involving a number of interrelated disciplines, in particular the three disciplines of archaeology, ancient history, and anthropology are seen as indispensable in the study of complex societies in ancient Korea. Korean archaeology has now reached a stage that desperately calls for synthetic explanation and interpretation. In this situation it appears that the best way to make progress in ou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al history is by focusing on synthesis and integration of the new archaeological evidence into the already existing interpretive matrix. Research into the sociopolitical development of ancient Korean societies will be best served in the immediate future by adopting a strongly descriptive/integrative approach, drawing together the great corpus of newly available archaeological data with continuing attention to relevant theoretical issues and documentary records.

      • KCI등재

        70~80년대의 한국고고학

        李盛周(Sungjoo Lee)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7 No.-

        1970~80년대는 한국고고학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동안 고고학의 조사활동과 연구의 기반이 조성되고 선사시대로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 유적과 유물의 편년이 체계화되었기 때문이다. 이 성과는 이후 한국고고학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구제, 학술적 기획, 국가기관 주도의 발굴등과 같은 고고학조사의 틀이 생겨나고 발굴조사는 점증하였으며 연구자와 조사연구기관의 수도 늘어났다. 이 기간 동안 고고학 학회가 조직되고 전문학술지가 발간되었으며 80년대 초부터는 전국의 주요대학에 고고학 관련학과가 설치되었고 이시기 후반에는 지방학회도 조직되기 시작했다. 필자는 이러한 모든 변화의 시작과 토대를 1960년대 전반에 이루어진 문화재 관련법의 제정과 제도의 정비에서 찾았다. 70~80년대의 기간 중에도 학술지의 성격, 학과 설치, 연구자의 글쓰기에서 고고학은 역사학, 미술사, 그리고 물질문화사와 넓게 연구영역을 공유하고 있었지만 점차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아나가면서 ‘야외조사와 그 수집 자료를 토대로 한 연구’라는 학문적성격을 제한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 시기 동안 특히 젊은 연구자들은 한국 고고학의 방법과 이론에 대해 강한 불만을 가지고 학문적 발전을 위해 서로 다른 방향의 모색을 했다. 구석기연구자의 상당수는 프랑스 고고학의 조사연구법에 관심을 두었고 미국의 신고고학에 수용적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역사고고학 분야의 연구자들 중에는 일본고고학의 발굴조사, 도면작성, 형식분류, 역사학적 해석모델에 관심을 보였고 고분의 조사연구에 실천적으로 응용했다. 또한 일부 학자들은 유적 유물의 자연과학 분석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얻으려는 노력을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학계의 분파는 지금까지도 그 색체를 유지하고 있기도 한다. 이시기동안 한국고고학의 연구가 이룩한 성과 중에 가장 의미 있는 것은 시대별 물질문화사의 편년이다. 지역별로 유구·유물을 집성하여 형식·분류와 배열을 통해 작성된 편년표는 그것 자체가 당시의 중요한 논쟁거리이기도 했지만 이후 연구주제의 다양화와 학문적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The 1970’s and 80’s was very important phase in the history of Korean archaeology. During this period, the institutional foundations of the field researches and the academic activities had been established and the regional chronological systems of material cultures over the whole period of the Korean archaeology prepared. The procedures of the development-led and the state-dominated excavations, together with the planned excavation of the Korean National Museum and the university as only way of field research until the early 1970’s, were institutionally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aw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the early 1960’s. In 1976, the Society Korean Archaeological Studies was organized and its scholarly journal was published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archaeological researchers, institutions and faculties. There were different selections in the ways to enhance the scientific validity and the methodological sophistications of Korean archaeology among the younger generations in 1970’s who had dissatisfactions about the poor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old-fashioned research practice. Some of them made an effort to master the sophisticated techniques required in the fieldwork and laboratory analyses and to learn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models of the Japanese archaeology, and the others showed special interest in the Anglo-American theoretical approaches and adopted the neo-evolutionary social typology to describe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Korean ancient societie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most meaningful achievement of the 1970’s and 80’s Korean archaeology should be the considerably detailed regional chronologies based on the systematic compilation, typological classification and seriation of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 KCI등재

        한국고고학 형성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

        이기성(Yi, Kisung)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7 No.-

        한국인에 의한 한국고고학의 시작은 흔히 해방 이후부터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해방 이후, 고적조사를 담당했던 일본인들의 소개(疏開)로 인한 고고학 연구자의 부재, 미군정기, 남북분단, 6·25 전쟁 등, 연이은 혼란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학문적 배경이 전혀 없었던 한국고고학의 시작은 파행적일수 밖에 없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1950~60년대를 한국고고학의 ‘형성기’라고 평가하기는 어려울 지도 모른다. 2010년대 들어와 일제강점기의 고고학에 대해서는 다방면에서의 정리와 평가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1950~60년대의 초기 한국고고학에 대한 학사적 검토는 그리 많지 않으며, 각 시대별 연구사 정리에서 간단하게 언급되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것은 이 시기가 일제강점기 고고학의 그림자에서 시작해 1970년대 본격적인 학문의 시대로 접어들기까지의 애매한 시점으로, 어떠한 식으로도 평가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1950~60년대의 고고학은 시대적인 상황에서 어떠한 조사도 ‘해방 이후 최초’ 또는 ‘한국인에 의한첫 번째’ 등의 수식어로 장식되었다. 그러나 그 내용이 일제강점기 고고학과 차별되는 한국고고학을 만들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인력과 예산도 없었으며 고고학의 작은 성과마저 일반인에게 홍보되거나 국사 교육에 반영되지는 못하였다. 또한 전공자의 부재와 유물 중심의 연구경향은 고고학이 미술사학과 분리되지 않은 채 시작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1950~60년대 한국고고학의 위치와 특징을 검토하였다. Apart from a debate on whether Japanese-led archeological research of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hould be seen as part of Korean archeology, it is evident that indigenous Korean archeology took off after independence. However, amid the aftermath of the independence, ruling by US military government, and the Korean war, its beginning was uneven and erratic, lacking academic background and completely severed from earlier research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is sense, it might not be suitable to refer to 1950s through 1960s as a “formative period”for Korean archaeology. Since 2010, diversified efforts have been made to reassess Korean archaeology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comparison, there have been few academic reviews over the period of 1950s through 1960s, except for what is covered in a list of archaeological research by time periods. Korean archaeology during this time is hard to assess, suspended between the shadow of Japanese-led archaeology and a full-fledged academic approach that did not begin until the 1970s. Archaeological research during the period of 1950s through 1960s has been dubbed as ‘the first in the post-independence period’ or ‘the first conducted by a Korean researcher.’ However, their achievements were not enough to form the foundation and identity of Korean archaeology that can be set apart from earlier research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re were the shortcomings of researchers and research budget, and findings from research were hardly promoted to the public or reflected in teaching Korean history at schools. Also, the research focus on historic relics blurred the boundary between archaeology and art history, and this inclination held for a long time.

      • KCI등재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군 구성의 양상과 진화 시론

        성춘택(Chuntaek Seong)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1 No.-

        이 글은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유물군의 조성을 비교 검토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시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특정 석기 형식의 존부나 퇴적층에 대한 기술(記述)에 치중하여, 구석기 유물군의 전반적인 조성 및 그러한 석기군들의 상호 비교에 대해서는 별다른 분석적인 검토를 하지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층위를 이루며 복수의 유물층을 가진 유적들을 검토하여 한국 구석기 기술체계의 전반적인 양상와 진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가능하면 많은 층위 유물군 자료를 종합하고 정리함으로써 석기군 구성의 패턴을 인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주먹도끼-찍개-다각면석기를 중심으로 하는 석기군과 둘째, 소형 석영암 석기 중심의 석기군, 셋째, 돌날석기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군, 넷째, 잔석기가 주도하는 석기군이라는 네 가지 석기군의 유형, 곧 기술전통(체계)을 설정하였다. 나아가 토양쐐기를 가진 구석기 퇴적층의 형성에 관한 최근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들 석기군이 어떠한 층위적 분포를 가지고 있는지를 논하고, 더불어 최근 절대연대값들의 축적에 따른 진전된 편년관과도 대비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구석기시대 석기군의 구성의 양상과 변화를 구체적으로 적시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성을 모델로 제시하고, 결코 단석적인 시각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논하였다.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lithic assemblage composition of the Korean Paleolithic and its change through time, although few, if any, analytical works have been devoted to this important aspect. Beginning with a sketchy review of stratigraphic assemblage sequence from representative sites, the present essay provides large scale comparative data of lithic assemblages throughout the middle and southern Korean Peninsula in an attempt to recognize patterns of Paleolithic assemblage composition. Four assemblage types, representing technological systems or traditions of Paleolithic technology, are recognized: (1) Handaxe-chopper-polyhedral traditional, (2) Small quartzite artifact dominant tradition, Blade and tanged point dominant tradition, and finally (4) Microlithic tradition. Distributions of these four assemblages types along the stratigraphic sequence are also discussed along with recent progess in Paleolithic chronostratigraphy based on absolute dates and tephrachronology. The comparative analysis suggests that a unilinear model, such as three period system embracing the concept of Middle Paleolithic, is not adequate to describe and explain diversity and changes in Paleolithic assemblages. Rather, the evolution of the Korean Paleolithic sequence can be modeled focusing on the coexistence and differential persistence of alternative lithic technological systems.

      • KCI등재

        19세기 말 윌리엄 고우랜드의 한국 고고학 탐구

        吳永贊(Oh, Youngchan)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6 No.-

        본고는 1884년 한국을 여행하면서 지석묘를 조사하고 삼국시대 토기를 수집한 윌리엄 고우랜드(William Gowland, 1842–1922)라는 인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842년 영국 더람에서 태어난 윌리엄 고우랜드는 1872년 明治政府의 초빙을 받아 化學冶金方兼造幣長官 고문으로 활약하면서, 1888년까지 16년간의 일본에 체재하면서 406기의 횡혈식 석실분을 조사하고 140기의 약측도를 남겼다. 그의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조사와 연구는 당시 수준으로서는 높이 평가할만한 것이었다. 고우랜드는 1876년 출간된 헨리 지볼트(Henry von Siebold)의 저서에서 일본 민족의 기원과 고대 문화가 한국과 직접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주장한 데 영향을 받아, 1884년 한국으로 조사 여행을 오게 된다. 고우랜드의 주된 관심은 일본 고대 문화와 연관된 한국의 고고학 유적과 유물에 있었는데, 경기도 포천에서‘솔모로(Tsolmorro)’라는 곳에 소재한 지석묘를 조사하고 도면과 기록을 남기고 있다. 고우랜드는 1884년 여행 전후에 다수의 한국 유물, 특히 신라 토기를 수집하였으며, 이 유물들은 1889년 자신이 수집한 일본 유물들과 함께 브리티시박물관으로 들어가게 된다. 고대 한국 문화와 일본 문화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고우랜드는 須惠器와 유사한 토기에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그의 한국 컬렉션 중 상당 부분은 일본 고분시대의 스에키 토기와 유사한 고분 출토 신라·가야 토기가 차지하고 있다. 그가 수집한 토기들은 주로 5~6세기 부산 인근의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들로, 한국 토기의 수집 역사에서 뿐 아니라 원초적인 고고학 조사 작업이라는 점에서 나름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더욱이 한국에서 고고학 조사가 공식적으로 시작되기 이전 시기에, 외국인에 의해 수행되었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This article will examine William Gowland(1842~1922) and his survey on the Korean Archaeology in late 19th century. Gowland was born in Sunderland of Durham County in 1842. He studied chemistry, mining, and metallurgy at the Royal College of Chemistry and the Royal School of Mines, and in 1870 he worked as a chemist and metallurgist at Broughton Copper Works. At the age of thirty, he was invited by the Japanese Meiji government in 1872 to be the foreign technical consultant at the Imperial Japanese Mint in Osaka. His passion for East Asia, mainly Japan stemmed from his sixteen-year stay in Japan. Especially he devoted most of his interest to Japanese archaeology, especially the survey of ancient tombs. Since his first on-site survey of ancient tombs in 1876 he investigated 406 corridor-style stone burial chambers and produced 140 survey drawings of them. He was not only interested in the ancient culture of Japan, especially the tumuli, but also interested in Korea. He embarked on a special trip there in 1884 in order to research connections between the ancient cultures of Korea and Japan, especially focusing on ancient tombs. Before the trip, he had already heard information about three dolmens that were not ancient chamber stone tumuli but real dolmens of the Korean Bronze Age. He visited and produced detailed descriptions and sketches of the dolmen in Tsolmorro, Pocheon county in Gyeonggi Province. The Gowland collection at the British Museum consists of some three hundred Japanese and about fifty Korean artefacts. The Korean ceramics collected by Gowland in the late 19th century were intended by him to incite serious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cient cultures of Korea and Japan. His holdings mostly included funeral objects from Gaya tombs in the 5th-6th centuries, and stands as a significant monument, not only in the history of creating collections of Korean ceramics for study and appreciation, but it is remarkable because it represents a protoarchaeological survey. This is all the more remarkable when it is recognized that it was undertaken by a visiting foreigner before archaeological research began in Korea.

      • KCI등재

        원삼국·야요이시대 한·일 소형방제동경의 전개

        강찬(Chan Kang) 한국상고사학회 2024 한국상고사학보 Vol.123 No.123

        The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小形仿製銅鏡)’ surveyed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Proto Three Kingdoms·Yayoi(弥生) period have been assumed to have a one-way inflow from a specific area based on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pattern of excavations. However, due to the lack of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Bronze Mirrors usage custom, the view that Korean excavations were obtained in Japan along with the making larger bronze weapon is drawing attention. This Yayoi social image and solidarity approach makes it difficult to make a balanced interpretation of Korean data. In particular,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when looking at relics by adding Korean data to the gene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 mold and some patterns identified in Kyushu(九州). Accordingly,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small-scale imitated bronze mirror found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based on formal studies to reveal the changes, and to clarify the diffusion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objects through an approach considering the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There are eight main properties of the small-scale imitated bronze mirror, and a total of six forms can be derived by combining them. Each type is confirmed in both Korea and Japan, and the tendency to change according to the overall appearance shows high similarity regardless of region. However, differences can be confirmed in the patterns of major position, the shape around the ring(鈕座文樣), and the method of using the object. In Korea, there are common cases in which it is accompanied by the chinese bronze mirrors(漢鏡), centered on the pattern of bracken designs(蕨手文) as a major use, but in Japan, the linked-arc designs(連弧文) is mainly used separately from the Chinese bronze mirror.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sharing small-scale imitated mirrors, Korea shares exclusive ‘Prestige goods(威勢品)’ between cases in which Chinese bronze mirror or multiple small-scale imitated bronze mirror are buried, and plagiarization(盜用) is taking place around them. On the other hand, in Japan, groups that do not own Chinese bronze mirror share a small-scale imitated bronze mirror, and theft and control of Chinese bronze mirror is carried out. These patterns of spread in each region are confirmed to be exclusive in a way that is not shared according to the form of burial of bronze mirror, but it was interpreted that multiple exchanges were made through particular change tendency in each region, the existence of the small-scale imitated bronze mirror which was made by same mold, and the similarity of the overall appearance. 원삼국·야요이시대 한국과 일본에서 조사된 소형방제동경은 그동안 출토 빈도와 분포 양상에 근거하여 특정 지역에서의 단방향적인 유입이 상정되었다. 그에 따라 최근 한국 출토품은 동경사 용 습속에 대한 배경과 목적의 부재로 인해, 일본에서 광형화된 무기형 청동기와 함께 입수된 것 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야요이 사회상과 연대를 통한 접근 방법은 한국 측 자료를 망라한 균형적인 해석을 어렵게 한다. 특히 규슈에서 확인된 초기의 소형방제동경 거푸집 과일부문양의계보관계는한국측자료를추가하여유물을살펴볼때, 재고의여지가존재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원삼국·야요이시대 한국과 일본에서 발견된 소형방제동경에 대해 형식학에 기반한 분석을 시도하여 변천 양상을 밝히며, 당시 사회적 배경을 고려한 접근을 통해 물건의 확 산 구조와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소형방제동경은 크게 8개의 속성이 존재하며, 이들을 조합하여 총 6개의 형식을 도출할 수 있 다. 각 형식들은 한국과 일본에서 모두 확인되며, 전체적인 외형에 따른 변화 경향이 지역에 관계 없이 높은 상사성을 보인다. 다만 주문양대의 문양과 뉴좌형태, 물건의 사용 방식에서는 양자에서 상이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은 궐수문을 주요 문양으로 사용하면서 한경과 공반되는 사례가 일 반적이나, 일본에서는 연호문이 주류로서 한경과 구분되어 사용된다. 이와 함께 한국은 소형방제동경이 공유되는 과정에서 한경 혹은 복수의 소형방제동경을 부장한 사례 간 특정 위세품을 공유하며, 주변에서의 도용이 이루어지는 모습이다. 반면 일본에서는 한경을 소유하지 못한 집단들이 소형방제동경을 공유하면서 원경(原鏡)에 대한 도용과 방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지역에서의 확산 양상은 동경을 부장하는 형태에 따라 상호 공유되지 않는 모습에서 배타성이 확인되나, 각지에서의 특정한 변화 경향과 동범경의 존재, 전체적인 외형의 유사성을 통 해 다원적인 교류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 KCI등재

        A critical Review of Kore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Literature on Socio-Political Development in Ancient Korea

        김경택 한국상고사학회 1995 한국상고사학보 Vol.18 No.-

        韓國 古代史에 있어 '복합사회의 발생 및 성장'이란 주제에 관한 논의는 1970년대 이전까지 매우 미진하였다. 1971년 <<新束亞>>에서 주관한 기획 심포지움,((韓國上古史의 爭點)) (chon 1975)이 이주제에 관한 논의를 활성화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하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1980년 이래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고고학 발굴조사의 수적, 양적 팽창에 따른 고고학 자료의 증가는 이분야에 대한 고고학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고에서는 1970년대초 新束亞 심포지움이래 한국학계에서 이루어진 주요논의들을 비교 검토하고 그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미국 인류학계의 최신 성과를 접할 기회를 가졌던 소수의 소장학자들은 미국학계에서 이루어진 성과를 채용하는 데 매우 적극적이었는데 그들은 특히 엘만 서비스와 마샬 살린즈에 의해 제시된 신진화론적 바전도식(band-tribe-chiefdom-state)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학자들은 이 발전단계중 chiefdom및 state 단계 사회의 등장과 발전에 주된 관심을 보였고, 그들의 연구는 한국학계에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러나 서구 학계의 이론을 한국고대사회의 연구에 적용한 이들이 접근을 바라보는 한국 역사학계 및 인류학계의 시선은 그리 우호적이지만은 않았다. 양측의 주자 모두 그 나름대로의 설득력을 지니고 있음을 부정할 순 없지만 양측 모두 논리의 전개 및 자료의 이용에 있어 상당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양측의 장점을 수용하고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접근이 우리 학계의 시급한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