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 상호문화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 민속 교육의 설계

        이성희(Lee, Sung-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3 No.-

        세계화 추세로 인해 ‘이주’가 두드러지게 되어 다문화적 양상이 가속화되어 이제 다문화적 상황은 한국문화와 세계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코드가 되었다. 이에 대학에서의 한국 민속 교육 또한 세계화와 다문화 추세에 발맞추어 더 넓은 지평으로 확대되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대학의 민속학 교수?학습에 있어서 다문화 사회에 필요한 상호문화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안을 설계해 보았다. 대학생들이 민속 지식을 구성적으로 이해하며 실제 직업 세계에서의 문제해결력을 기르고, 다문화 사회에서 세계인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면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PBL(Problem-Based Learning)의 교육공학적 방법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가장 많은 유학생들의 출신국인 중국과 한국의 민속을 상호문화적 시각으로 이해하고, 실제 세계와 연관된 체험적 지식으로 이끌기 위해 양국의 ‘端午’ 민속을 비교해 보고, 상호 이해할 수 있는 구성주의적 교수 방안을 설계했다. 현재 한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외국 학생들의 경우 학교 외의 현장에서 한국인들과 심도 있는 만남을 갖기 어렵다. 한국 학생과 함께 하는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한국인들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한국 학생들은 외국 학생들과 팀으로 활동하면서 한국 민속을 타자의 시각으로 조망해 보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다양한 민속 지식 중의 하나인 ‘단오’에 한정하여 연구했지만, 앞으로 다양한 민속 지식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 한국 대학생들과 외국 대학생들이 진정으로 타 민속을 이해하며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계기들이 민속 교육 현장에서 이뤄지길 바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 한국 민속 교육의 한 시도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다문화적 상황에 대해서 미리 고민해 보고, 다문화인으로 살아가야 하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며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상호문화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습자들의 반응 및 결과물을 통해 교수?학습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후속 과제로 남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eaching sample of folklor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y classes, which are composed of both Korean and Chinese students. For this purpose, fir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essential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folklore education. Secondly, this paper makes a teaching sample of the "Dan-Oh(단오)" using a PBL(Problem-Based Learning) method.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establish "intercultural competence"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is paper designs a class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at is because Chinese students are the majority of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y classes. They are about 75% among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it designs a class which has several specific aims. Firstly, let the students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of "Dan-Oh(단오)". Secondly, let the students increase their own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working world. Thirdly, let the students increase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in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결혼이민자의 토포필리아 함양을 위한 한국 주거문화 교육 방안 연구

        박정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2 No.-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 주거문화교육의 방향을 ‘토포필리아’로 설정하고,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토포필리아’는 인간의 본능적 성향으로 최초의 낯선 장소라도 인간이 그 장소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장소 애’, 즉 장소에 대한 애정과 애착을 의미한다. ‘토포필리아를 위한 주거문화교육’은 ‘장소로서의 지각’, ‘장소로서의 태도’, ‘장소로서의 가치’를 함양하는 교육이다. ‘장소성’의 상실을 경험한 결혼이민자는 한국 다문화사회의 중요한 사회통합 대상이다. 결혼이민자의 토포필리아를 함양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이들의 한국사회 내 안정적 정착과 건강한 사회통합을 위한 한국문화교육에서의 방법적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밝히기 위해 본 연구는 토포필리아의 특성과 교육적 중요성을 논의하였고, 결혼이민자의 주거문화 이해 양상과 실태, 한국문화교육에서의 주거문화교육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밝혔다. 다음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에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한국문화를 교육하는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나타난 주거문화교육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앞선 내용을 토대로 ‘토포필리아로서의 주거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the direction of Korean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s as 'topophilia', and suggested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Topophilia is an instinctive human tendency, meaning affection and attachment to a place, that is, love and attachment to a place that develops gradually as humans give value and meaning to the place even at the first unfamiliar space.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for ‘topophilia’ is education that cultivates ‘perception as a place’, ‘attitude as a place’, and ‘value as a place’. Cultivating the topophilia of married immigrants can ultimately serve as a method alternative i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their stable settlement in Korean society and healthy social integration. In order to elucidate such content, this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mportance of topophilia,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the understanding patterns and conditions of married immigrants’ residential culture, and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the following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we looked at the aspects of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shown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Lastly, based on the above content,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as a topophilia’ was designed and the practice of education was present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증가에 따른 한국 사회통합 정책 연구

        최현실(Choi Hyeon-Si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5 No.-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가정의 증대에 따른 한국사회의 통합의 원리를 서구의 다문화주의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동안 다민족국가를 유지해왔던 중국과 싱가포르의 다민족 통합사례인 ‘상호성의 원리’를 찾아 적용하였다. 싱가포르와 중국의 다민족적 역사는 비록, 국가주의적 사회주의적 통합의 성격이 강하지만, 이들 양국의 소수민족정책을 면면히 살펴보면, 그 속엔 민족과 인종을 구분하지 않고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존중하며 공존하는 다문화적 사회통합이라 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칙’이 나타나고 있다. 싱가포르는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와 기타 민족으로 구성된 다인종국가이지만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이루고 있다. 그 첫 번째는 싱가포르 사회의 구성원이 사회적 성공을 향유하기 위한 조건으로 ‘민족에 상관없이 실력우선’을 취해 다인종적 위계질서를 지양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이중 언어와 종합교육정책을 통해 여러 민족이 공존하는 사회통합정책을 적극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공공주택정책을 통해 국가의 경제성장에 따른 이익을 경제적 소외자와 각 민족에게 골고루 나누어 사회통합의 장애를 제거하였다는 점이다. 싱가포르의 민족과 인종, 종교를 구분하지 않는 동등대우 그리고 교육과 언어정책의 공평성, 경제적 형평성의 유지정책은 한국에 이주해온 외국인들과 그 자녀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향후 한국사회에 생산적 주체로 양성되는데 좋은 사례가 된다. 한편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국가로 당고조 2년(619년)에 만들어진 민족정책의 기본원칙조서와 追中前弊(추중전폐), 당태종의 夷夏一家(이하일가), 오늘날 중국정부의 當家作主(당가작주) 등에서 민족자치구역의 전통이 있어 오랜 역사동안 소수민족이 민족적 특수성을 유지한 채 중국 사회와 융화된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리’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역대 정책에 나타난 ‘상호성의 원리’를 한국사회의 통합정책에 적용한다면 한국어 교육만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주민 집단거주지에 다문화가정 자녀가 원한다면 부모나라의 문화와 모국어를 교육받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교육기관에서도 한국인을 대상으로 초ㆍ중등 교과에 사회연구(Social Studies) 과목을 설치하는 등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을 강화하여 외국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등 상호간의 문화이해를 확대한다. 그 외에 제도적 장치 안에 결혼이민자들이 적극적으로 의사표명을 할 수 있는 공식 체널(예를 들어,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에 자조집단을 마련하고 지도자를 양성하여, 이들의 목소리를 국가 및 지방정부의 기관에 전달하는 채널)을 마련하는 것도 향후에 고려해 볼 다문화적 사회통합의 방안이 될 수 있다. This manuscript has finding principle of integrating society in Korea, instead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from multiculturalism of the Occident. I intend to find 'reciprocity principle' from the instance of China and Singapore. which have preserved the multiracial nation for a long history, and apply it to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The 'reciprocity principle' does not make any excuse of differentiation due to the difference of confucian value's being connected with a value system, which conforms with the universal faith and emotion of the Oriental people. Instead, it actively admits the difference on an open position, and tries to accept it. The reciprocity principle also includes community position, which values much of members' mutual agreement on and observance of values and goals the society commonly seeks after. Although this kind of principle was derived from a position different from liberalistic position, it is considered to be on the same track with the Western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history of Singapore and China mostly represents confucian, communal, nationalistic, and socialistic integration. It also shows the union and the assimil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if you closely examine each nation's policy of minority race, you will discover the 'reciprocity principle,' which respects cultures and languages, regardless of the nation and race. Singapore is a multiracial country of people of Chinese, Malaysian, and Indian. However, it has succeeded in integrating the society as one. 'Singapore's only one policy' includes not only the national communalism, but also the 'reciprocity principle'.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Singapore maintains the multicultural rank and order through 'the merit system regardless of the race' so that members of society can enjoy the social success. Even though people of Chinese descent account for the majority and hold the merit advantage, Singapore, through the bilingual education and the general educational policy, actively promoted the society-integrating policy where various races coexist with each other. Also, Singapore got rid of the obstacles to integrating the society by raising the rate of moving into public housing to 89%, and by distributing profits from the economic growth to each race and those economically estranged. The policy of Singapore is an essential element in cultivating those immigrated into Korea and their children to be the productive subject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Also, it is a good example that implies a policy, which aims at equal treatment regardless of nation, race, and religion, fairness in education and linguistic policy, and maintenance of economical balance, is needed in integrating the Korean society. On the other hand, China consists of 56 races. And, 'reciprocity principle', in which minority races, for a long history, can maintain their racial peculiarity, and develop cultures in harmony with the Chinese society, is well described in the record of basic principles of racial policy written in the second year(619) of the Danggojo reign. It is also found in the principle of Chujungjeonpye(To make the people feel at ease by removing tributary states, being friendly with each other as a matter of course, and staying away from the troubles), Dangtaejong's Ihailga(To Make all the minority races a family by governing them with virtue), and the Chinese government of today's Danggajakju(Minority races act as the owner of the land they reside in, and govern their territories by themselves). The 'reciprocity principle' of China includes the idea of Hwaibudong(Get along well with others, but do not mix with people for no good reason) and the principle of Dobyeonghaengibulpae. Also, through coexisting mutually, respecting the harmony and differences, and opposing to the single homogeneity, it has served to let cultures of other races keep the peculiarity and develop for itself with

      • KCI등재

        일본과 한국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이행선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3 한국민족문화 Vol.86 No.-

        최근 일본에서는 대학을 비롯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 문화와 관련된 강좌가 신설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문화를 교수-학습하기 위한 내용이나 방법, 교재 등은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일본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이때 학습자의 흥미와 문화에 초점을 두기 위해서 일본의 설화와 함께 그에 대응되는 한국 설화를 활용하였다. 먼저 일본 설화를 제시하고 그와 관련되는 한국 설화를 제시함으로써 일본인 학습자가 자국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를 스스로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양국의 설화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 사항을 학습자들이 포착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양국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인 학습자에게 널리 알려진 일본 설화 13편을 선정하여 각 설화의 서사 구조, 중심 소재, 주제 등의 측면에서 유사한 한국 설화를 대응시켰다. 다음으로, 양국 설화의 비교를 통해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을 선정하였고, 문화 요소를 활용한 활동을, 일본의 <방귀쟁이 며느리(へっこき嫁さん)>와 한국의 <방귀쟁이 며느리>를 통해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 로컬리티 연구를 위한 접근방식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한 문화연구

        홍석준(Hong Seok-J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3

        이 논문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포스트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한 문화연구의 특성과 의미를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작업은 로컬리티(locality) 연구를 이론화하는 하나의 중요한 접근방식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상황을 제시하고, 이러한 상황을 대중문화와 관련시켜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포스트모더니티의 상황을 맥락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문화인류학이라는 학문과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포스트모더니티와 문화인류학에서의 문화연구와의 관계 또는 상호작용의 특성과 그 의미를 이론적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최근 포스트모더니티의 문화인류학은 민족지나 문화인류학적 글쓰기의 여타 장르뿐만 아니라 로컬리티 연구와 관련된 사회이론, 문화이론, 심리학이론 등의 모든 수준에 수많은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글에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문화인류학이 로컬리티 연구의 접근 방식으로서 의미를 지니며, 이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문화연구의 연구 성과와 그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다양한 포스트모더니티 현상에 대한 로컬리티 문화연구의 특성과 의미를 맥락적 관점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ostmodernity and cultural studies on postmodern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an approach to theorize studies on locality. In this paper, I propose the approach and method to theorize studies on locality. In doing so, I examine the postmodern conditions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ty and popular cult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ncept of locality.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ty and anthropology, I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ty and anthropological cultural studies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which is focused on studies on the local and locality. Furthermore, I emphasize that anthropology and cultural studies would contribute to pursue and develop the theorization of studies on locality in the contextual point of view. In this sense, I investigate that the postmodern conditions close relation to popular culture and both anthropology and cultural studies have various academic fields and areas, which have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opular culture in postmodern conditions and postmodernities.

      • KCI등재

        일본의 요괴 설화와 한국의 도깨비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이행선(Lee, Haeng-S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7 No.-

        설화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모티브를 지니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전승되는 과정에서 문화적 차이가 이야기 속에 반영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가 내재되어 있는 설화 비교를 통해 그 속에 들어 있는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내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활용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를 활용한 문화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도깨비 설화와 일본의 요괴 설화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 문화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일본인 학습자에게 도깨비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이해시키기 위해 먼저 학습자에게 친숙한 일본 설화를 선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한국 도깨비설화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설화 〈목수와 오니로쿠〉와 한국의 도깨비 설화 〈도깨비를 골탕 먹인 농부〉를 활용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본인 학습자에게 익숙한 〈목수와 오니로쿠〉의 내용을 먼저 학습함으로써 일본의 오니와 유사한 한국의 도깨비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요괴와 관련된 배경 지식을 갖춘 상태에서 도깨비 설화를 접하게 되면, 학습자 스스로가 이들 사이의 연관성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설화 속에 나타난 한국의 자연 환경 및 생활 방식, 도깨비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등이 일본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활동을 통해 한국 문화 교육을 꾀하였다. 뿐만 아니라 설화 텍스트에 제시된, 문화적 의미가 담겨 있는 한국어 표현도 같이 학습하기 때문에 언어 교육적 효과도 클 것이다. Folktales have a common motif around the world, and cultural differences are always reflected in the story and influenced by each other. It is worthwhile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find out cultural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ison of stories.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Korean cultural education through Comparison of Japanese Oni Tales and Korean Dokkebi Tales, for Japanese learners. To help Japanese learners understand Koreans" perceptions of Dokkebi, I first selected Japanese Oni folktales that are familiar to learners. And I selected the Korean Dokkebi story that corresponds to this. And then, I focused o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classes using the Japanese folktale 〈Carpenter and Oniroku〉 and the Korean folktale 〈The farmer who fed the dokkebi〉. Japanese learners have an interest in Korean dokkebi similar to Japanese oni by learning the familiar contents of 〈Carpenter and Oni Roku〉. If they come into contact with dokkebi story while they have background knowledge related to Oni, learners themselves will be able to fully grasp the connection between them. This thesis showed how Koreans" natural environment and lifestyle, and how Koreans think about dokkebi differs from Japan through a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folktales. In addition, this thesis showed the possibility of language education effect because Japanese learners learn Korean expressions with cultural meanings as well.

      • KCI등재

        한국인의 행복 개념 탐색연구

        유나영(Yu, Na-Yung),정여진(Jeong, Yeo-Jin),김비아(Kim, Bi-A),정영숙(Chong, Young-Sook),신현정(Shin, H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5 No.-

        한국인이 생각하는 행복은 무엇인가? 미국에서 제안한 행복 개념은 문화보편적으로 한국에서도 적용 가능한가? 행복에 관한 국내 연구는 미국학자들이 제안한 행복 개념의 틀을 사용하여 발전해 왔다. 그러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행복 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들과 비교문화 연구들은 미국학자들이 제안한 행복 개념을 한국인에게 문화보편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울 가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행복 개념이 미국인의 행복 개념과 다를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설문지 응답을 통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참가자들은 미국과 한국에서 만들어진 행복 측정 설문지에 자신의 행복에 대해 응답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법으로 설문지 응답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행복 개념은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으로 구성되는 반면, 한국의 행복 개념은 정서적, 심리적, 관계적, 사회적, 그리고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세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인의 행복 개념에는 나타나지 않은 가족관계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들(경제력, 종교, 외모, 건강, 여가)이 한국인의 행복 개념에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은 미국의 행복 개념에서보다 한국의 행복 개념에서 축소되어 나타났다. 종합논의에서는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 사회의 행복을 재조명하고 한국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What is the meaning of happiness in Korea? Is the concept of happiness proposed in the United States applicable to Korean culture as well? Studies on the happiness in Korea has advanced using the framework proposed in United States. However, qualitative studies and cross-cultural studies using Korean participants suggest that concept of happiness is not universal.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Korean and American embrace different concept of happiness, we conducted a survey study. Undergraduate participants in this study rated their happiness in surveys made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in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happiness in the United States is composed of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while the happiness in Korea consists of emotional, relational, psychological, social, and socioeconomic factors. Specifically, family relations and socioeconomic elements such as financial means, religion, appearance, health, and leisure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concept of happiness in Korea, though the same elements were not important factors in the concept of happiness proposed in United States. On the other hand, importanc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were reduced in the concept of happiness in Korea compared to that in United States. The ways to rethink and change concept of happiness in positive way were discussed in the general discussion section.

      • KCI등재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 <팔 없는 여인>과 <손 없는 색시>의 비교를 통해

        김형복, 이행선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992 한국민족문화 Vol.65 No.-

        본 논문에서는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몽골과 한국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설화를 활용하여 문화 비교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몽골은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학습이 책보다는 구전에 의한 옛이야기에 의해 이루어져 그들에게 설화는 아주 친숙한 소재이다. 그래서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 문화 학습에 설화를 활용하면, 흥미 유발과 배경지식 활성화에 유용하다. 그리고 몽골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학습은 학습자 중심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의 한국 문화 수업이나 문화 교재는 한국 문화에서 출발하여 한국 문화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모티브가 유사한 양국의 설화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학습자가 비교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자연스럽게 자국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배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살펴보았다. 먼저,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의 의의를 밝혔다. 결혼이주여성은 한국 가정 안에서 생활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이기 때문에 일방적인 한국 문화 수용만을 강조할 수 없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여성들의 모국 문화의 근간을 유지하면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수반을 강조해야 한다. 양국의 설화 비교는 그런 점에서 의의가 깊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유의미한 몽골 설화로 <팔 없는 여인>, 그에 대응하는 한국 설화 <손 없는 색시>의 문화 교육적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두 설화는 주인공이 여성이며, 특히, 여성이 일생 동안 수행하게 되는 딸,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분명히 드러난다. 그리고 ‘결혼’을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이 직․간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여러 문제들이 설화 속에 나타나 있기 때문에 교육적 의의가 있다. 셋째, 두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설화 속에 공통으로 드러나는 문화 교육 요소를 선정하였다. 먼저 가족 관계에 초점을 두고 문화 교육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설화의 주요 모티브인 ‘손’과 관련한 관용어를 언어 문화 교육 요소로 제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수업의 모형을, ‘설화 읽기 교수-학습’과 ‘문화 교수-학습’으로 나누고, 그 실제를 수업 활동을 예로 들어 제시하였다.

      • KCI등재

        몽골과 한국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재 구성 방안 연구

        김형복(Kim, Hyoung-Bok),이행선(Lee, Haeng-S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8

        본 논문에서는 몽골의 설화를 대상으로 하여 그와 유사한 한국 설화를 선정한 다음, 두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화 비교의 관점에서 한국 문화 교재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몽골 지역은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교육이 기록된 책(또는 교재)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구전에 의한 옛이야기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 역시 옛이야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보인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살펴보았다. 먼저 기존 한국 문화교재를 분석하여 개발 방향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몽골과 한국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재의 구성 원리를 다음 5가지로 제안했다. 첫째, 몽골인 학습자에게 친숙하여 학습 동기와 흥미가 쉽게 유발되고 스키마 활성화가 용이한 몽골 설화를 이용한다. 둘째, 모티브가 유사한 두 나라의 설화 비교를 통해 양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함으로써 문화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양국의 설화 비교를 통해 습득한 문화 내용은 한국 생활 적응에 필요한 문화 행위로 전이될 수 있도록 연습 활동을 해야 한다. 넷째, 옛이야기인 설화를 바탕으로 문화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해서 그 내용이 과거 전통 문화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현대한국 문화와 연계해야 한다. 다섯째, 문화 학습도 결국은 한국어 사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그 목표도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므로, 문화 학습 활동은 읽기, 말하기, 쓰기, 듣기의 언어 기능과 통합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재 개발 원리를 바탕으로 몽골 설화 〈거북이와 원숭이〉와 한국 설화 〈구토설화〉를 예시로 하여 실제 단원의 개발을 통해 단원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a way to construct Korean cultural textbook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by comparing Korean folktales with representative stories of Mongolian stories. Since the Mongolian region is based on nomadic life, the learning was done by old stories based on oral traditions rather than books and textbooks. As a result, Mongolian Korean learners were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through old stories. The significance and effec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hrough storytelling has already been discussed in several studies. I analyzed the Korean cultural textbooks developed so far and examin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inted the problems out. Most of Korean textbooks are conveying Korean cultural knowledge unilaterally, and the activity of comparing learner’s culture with Korean culture is also fragmentary. First of all, as in this paper, there were no textbooks to suggest and compare Korean culture, starting with learner-centered interest and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five principles as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Korean culture textbook comparing Mongolian and Korean folktales. First, Mongolian folktale, which is familiar to Mongolian learners, facilitate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facilitates schema activation. This is a learner-centered textbook in that it is approached by learner interest and learner culture. Seco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should be improved by comparing the tales of two countries with similar motifs.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have become a crucial issue. Therefore, by comparing two tales, learners can understand and accept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two cultures. Third, cultural contents acquired through the comparison of narratives of both countries should be transferred to cultural activities necessary for adaptation of life in Korea. The most useful way to transfer cultural knowledge to cultural activities is "comparison". It is necessary for the textbook to design various exercises so that the learners can actively compare cultures out of the fragmentary cultural comparison activities. Fourth, because the cultural education is based on the story of the old story, its content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past, but should be linked with modern Korean culture. Because it is meaningful to the learners how the value of the past has changed in the past. In other words, foreign learners need to understand how Koreans think and act in everyday life. Fifth, cultural learning should be integrated with language functions of reading, speaking, writing and listening, because cultural learning is eventually achieved through using Korean language and its goal is to improve Korean communication skills. Finally, based on the principle of developing these textbooks, this paper develops and presents actual units by exemplifying Mongolian tale 〈A turtle and a monkey〉 and Korean folk tale 〈A turtle and a rabbit〉.

      • KCI등재

        중층적·역동적 시공간을 통한 한국화교 이해

        박규택(Park, Kyu-Tae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3 No.-

        19세기 말 이후 한반도에 정착한 화교는 식민지 체제 하에서 일본과 조선으로부터 이중의 지배를 받았고, 국가(한국)체제 하에서도 여전히 억압과 차별받는 외국인으로 살았다. 1990년대 이후 한중수교, 세계화, 신자유주의에 의한 변화된 환경 속에서 화교는 새로운 생존과 번영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화교연구와 관련하여 하나의 질문을 제기한다. 즉, 화교연구가 고찰한 다양한 주제를 시공간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이다. 본 연구가 제시한 탈근대적 시공간의 틀, 즉 로컬, 국가, 초국가(혹은 세계)의 시공간이 중첩되어 역동적으로 수행하는 관점이다. 그리고 이 틀은 20세기 화교에 시론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19세기 후반 이후 일제 식민지 시기까지 많은 중국인이 조선으로 이동해 옴에 따라 동아시아 시공간이 형성되었고, 또한 이들의 일부가 한반도의 로컬에 뿌리를 내려 생활하게 됨에 따라 로컬 시공간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두 시공간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중첩되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작동하였다. 둘째,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한반도가 일제식민지로부터 해방된 이후 한국전쟁이 끝난 1950년대 초반까지 식민지 시대에 형성된 동아시아 시공간이 미군정 하에서 일시적으로 지속되었다. 그러나 동아시아 시공간은 한국정부,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중화민국(대만) 정부의 수립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단절됨과 동시에 새로운 국가 시공간이 형성되었다. 셋째, 1940대 후반이후 냉전과 반공 체제 하에서 수립되어 1980년대 후반까지 지속된 국가(한국)의 시공간은 화교의 지위, 사회·경제 활동, 정체성, 재이주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화교는 자신들의 의사(意思)와는 무관하게 대만의 국적을 보유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한국에서 외국인으로 취급받았다. 넷째, 1990년대 이후 한중국교의 수립(1992년), 세계화 전략, 신자유주의 정책, 다문화사회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새로운 시공간, 즉 세계, (초)국가, 로컬이 중첩된 다층적 시공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화교 활동에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는 다인종(민족)으로 구성된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진전되고, 중국은 동아시아와 세계에서 경제적·정치적 영향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한 시공간의 개념적 틀은 화교를 넓고 깊게 이해하고, 나아가 미래 한국에서의 다문화사회를 전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Korean-Chinese settled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late 19<SUP>th</SUP> had been simultaneously repressed by Koreans and the Japan government under the colonial system, and they have continuously lived in a controlled and differentiated condition in Korea as a nation-state. After the 1990s, they look for new possibilities in a changing situation due to a normaliz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globalization, neoliberalism and so on. This study asks one doubt on the previously research about Korean-Chinese. The question is how time-space can be understood in a situation related practices beyond cognition and language (or sign) to various subjects investigat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Korean-Chinese. The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is a perspective of dynamically operating through a multilayered and interacted time-space of local, nation and globe, and it is generally applied to the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associated with Korean-Chinese during the 20<SUP>th</SUP> century.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a transnational time-space based on East Asia had been made by many Chinese continuously moving among China, Chosen and Japan from the late 19<SUP>th</SUP> to the Japanese colonial time, and a local time-space had been also created by some Chinese settled at particular locals of a Korean peninsula such as Incheon, Busan, Pyongyang, Wonsan. Those time-space was not separated but layered, folded and interactively influenced. Second, the transnational time-space made in the previous time was temporally maintained from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o the end of the Korean war. But such a time-space was totally disrupted by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aiwan and Chinese government and the Korea war, and a newly created national time-space began to strongly influence on the society, economy and everyday life of Korean-Chinese. Third, the national time-space absolutely controlled by the Korean government have much negatively influenced on the status, socio-economic activity and identity of Korean-Chinese from the late 1940s to the late 1980s. The Korean-Chinese had a Taiwanese nationality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 in a nationally separated time-space, and they were classified and treated as a foreigner in the Korean national territory. Fourth, a new time-space in which global, (trans)national and local scales are folded and simultaneously operated begins to be created through a normaliz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globalization and neoliberal policies,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fter the 1990s. It is much strongly influencing on the organization, activity and everyday life of Korean-Chinese a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ime-space made in the previously times. The newly created time-space is, however, related to the time-space made in a past time. After the 1990s, Korea is being changed as a multicultural society, and China is rapidly becoming a superpower of influencing on the economy and politics of East Asia and world. A time-space as the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can help the deep and wide understanding of Korean-Chinese society and also the future prospects of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ime-space framework which will be applied to specific aspects of Korean - Chinese in the 20<SUP>th</SUP>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