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염기변이 유전체에 대한 서열 정렬 툴 분석

        김유선(YooSun Kim),김종현(Jong Hyun Kim),여윤구(Yun Ku Yeo),김우철(Woo-Cheol Kim),박상현(Sanghyun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로 지놈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 · 초파리 등 여러 종의 유전체 정보가 밝혀 졌다. 그러나 Post-Genome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생물체인 멍게(Ciona intestinalis)와 성게(Strongylocentrotus purpuratus)의 유전체 서열은 현재 공개되어 있으나 염기서열의 연속성(continuity)에는 심각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들은 염기서열에 변이가 많은 다염기변이 유전체(polymorphic genomes)로 그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전통적인 Whole Genome Shotgun Sequencing(WGSS)방법을 사용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다염기변이 유전체 서열 분석은 시스템 생물학이나 비교 유전체학 등의 후발 연구에 기초가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염기변이 유전체에 대해 알아보고 서열 조립 알고리즘의 기본이 되는 서열 정렬 툴들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FASTA, BLAST, BLAT에 대해 분석하여 봄으로써 다염기변이 유전체에 적합한 서열 조립 전략 수립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논의해 본다.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몇 가지 Aglaonema의 조명에 따른 색채의 비교 분석

        김유선(Yoosun Kim),김샛별(Saetbyul Kim)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1

        식물선정은 실내장식용 분화 중 이용률이 높고 인기 있는 아글라오네마(Aglaonema)를 선정하였고 광은 주광(Day light)을 기준광(대조구)으로 3가지 조명(Ultraviolet Source-UV, Incandescent Illuminant A-HOME, Cool White Fluorescent TL84-STORE) 아래서 식물의 잎을 색측기(X-rite Eye-One Xtreme iO bundle)를 이용하여 측색 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Y계열의 아글라오네마 잎의 색상이 조명에 따라 가장 변화가 적었으며, YG계열과 G계열의 아글라오네마 잎 색상들은 상대적으로 명도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Day light, Store light에서는 색상(hue)과 톤(tone)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Home light와 UV lignt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광원의 특성과 식물색채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가 연출되거나 그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베고니아 식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과 광원을 이용한 연구와 조명에 따라 색채의 변화와 함께 식물의 생장변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근권 미생물 관주 처리된 분화용 시클라멘 브라이트레드의 광원에 따른 화색의 비교분석

        김유선(YooSun Kim)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종류와 색채가 다른 시클라멘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내광에 따른 시클라멘의 색채 분석을 하여 실내식물의 다양한 이용방법과 근권 미생물을 활용할 수 있는 기본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았다. 근권 미생물 관주 처리된 분화용 시클라멘 브라이트레드의 광원에 따른 화색의 비교분석을 위해 시클라멘 선정 후 선정된 시클라멘을 분화용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 차례 이식 후 분화용으로 된 식물에 근권 미생물(광합성세균, 바실러스균, 유산균)을 무처리구와 5가지 처리 농도(1, 2, 10, 20, 100mL·L-1)를 처리하면서 30일마다 생육조사를 하였다. 조사 시작 120일 후 시클라멘의 꽃잎 색채를 측색기(X-rite Eye-One Pro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분석 후 분석된 데이터를 여러 광(D50, Incandescent Illuminant A, Cool White Fluorescent-F2, TL85-F10) 데이터에 적용하여 광에 따른 시클라멘 꽃잎 색채 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생장에서는 광합성세균과 바실러스균을 처리한 시클라멘에서는 특정한 미생물 농도와 고온피해에 내성이 좋을 것을 볼 수 있었고 유산균에서는 미생물 처리가 생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광합성세균과 바실러스균을 처리한 시클라멘 중 미생물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미생물 처리 농도에 대한 변화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2mL·L-1농도 미생물 처리한 시클라멘으로 광원에 상관없이 미생물 무처리구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광합성세균과 바실러스균의 광에 따른 시클라멘의 꽃잎 색채의 변화 성향은 유사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targeting Cyclamens of different species and in different colors, analyzes colors of the cyclamens depending on various indoor lights. By doing so, the study eventually establishes basic data which would help any relevant field to make use of diverse applications of indoor plants and rhizosphere microorganis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colors of this distribution-purposed Cyclamen(Bright Red), which has been processed with the rhizosphere microorganism irrigation, in relation to light sources, the study, first, selected the cyclamen as a research subject and transplanted it for several times to make the selected cyclamen a plant for distribution. After the transplant work, these distribution-purposed plants were processed with the rhizosphere microorganisms (Photosynthesis bacteria,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After all, the plants were categorized into a group with the rhizosphere microorganisms processed and the other non-processed group, and as working with the five different treatment concentrations (1, 2, 10, 20, 100mL·L-1), the study carried out a research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for every 30 days. After 120 days since the first day of the investig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olors of flower leaves of the cyclamens using X-rite Eye-One Pro spectrophotometer and then, examined the colors of the flower leaves of the cyclamens, which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ights, by applying the analyzed data to many optical data (D50, Incandescent Illuminant A, Cool White Fluorescent-F2, TL85-F1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 terms of the plant length, the cyclamens with the photosynthesis bacteria and the bacillus processed were observed to be well-tolerated against particular microorganism concentrations and high temperature damage but, when it comes to the lactobacillus, the microorganism treatment appeared no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lant length. Of all the Cyclamens with the photosynthesis bacteria and the bacillus processed, the one which had come up with the greatest change caused by the microorganism treatment concentrations, comparing to the non-processed group, turned out to be the cyclamen which was processed with the microorganisms in the concentration of 2mL·L-1. This cyclamen presented the greatest in comparison with the non-processed group regardless of the light sources. It was learned that the photosynthesis bacteria and the bacillus make similar changes in the colors of the flower leaves depending on the lights.

      • KCI등재

        한국과 하와이 20~30대 남.여의 색채 인식 정도에 관한 비교ㆍ분석

        김유선(YooSun Kim),김유미(YooMi Kim)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미국의 하와이주는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융합된 ‘melting pot’이라고 불리는 미국에서 지역적 특수성을 유지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로 자연인 이동이 빈번한 하와이와 한국의 성별에 따른 색채 비교?분석을 통하여 두 지역의 20~30대는 어떻게 다르게 또는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하와이 20~30대 남?여의 색채 인식 정도에 관한 비교분석을 제1요인 평가성(아름다운 색/추한 색, 단맛/ 짠맛/ 신맛/ 쓴맛), 제2요인 압도성(가벼운 색/ 무거운 색, 부드러운 색/ 딱딱한 색), 제3요인 활동성(따뜻한 색/ 차가운 색, 빠른 색/ 느린 색)으로 총15문항을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선호색은 한국과 하와이 남성 모두 같은 색상인 Bluish Violet를 선호하였으나 한국과 하와이 여성은 여성이 선호하는 Red계열을 한국의 여성은 선호하였으나 하와이 여성은 지역(하와이)적으로 선호하는 색채 중 하나이 Green을 택하였다. tone에서는 한국은 다양한 tone을 선택하였고 하와이는 몇 가지 tone만 확연히 선택하였다. 평가성 부분에서는, 한국의 남성과 여성, 하와이의 남성은 유사한 부분들이 있었으나 하와이 여성은 전형적인 여성들이 선택하는 색상과 달랐으며 하와이 지역만의 특이한 색채들을 선택한 것을 볼 수 있었다. tone은 두 나라가 유사한 부분이 많았고 먹는 음식에 따라 두 나라가 확연한 차이의 tone을 보이기도 하였다. 압도성 부분에서는, 두 나라 남성과 여성이 유사한 색상들을 선택하였고, 색상의 차이를 보이는 것들은 tone의 유사성을 보여 압도성에 대한 확실한 색채인식을 볼 수 있었다. 활동성 부분에서는, 온도감에 대한 따뜻한, 차가운 색채는 두 나라의 남성과 여성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속도감에 대한 빠른, 느림에 관한 색채는 비율이 높은 색채들도 있었지만 개인차를 많이 보였다. This paper provides baseline data for comparative analysis of color perception in youth from Hawaii and Korea. Hawaii is a unique U.S. state with its own culture and heritage. A survey targeting youth in Hawaii and Korea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lor perception in both countries. This survey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judgment (sensational) colors (beautiful color/ugly color, sweet color/salty color/bitter color/sourness color), overwhelming colors (light color/heavy color/mild color/stiff color), activity colors (warm color/cold color, swift color, slow color). Each of the three factors had 15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that both Korean and Hawaiian males preferred a Bluish violet color while Korean and Hawaiian females had different color preferences. Korean females preferred red color while Hawaiian females liked green. Koreans preferred various tones while Hawaiians selected a particular tone. For judgment of colors, Korean males and females and Hawaiian males showed similar preferences. However, Hawaiian females showed unique preferences from other females. Both youth in Korea and Hawaii selected tones depending on their local food culture. For overwhelming colors, each region showed similar results. For activity colors, both regions showed similar preferences for temperature but different perception of velocity.

      • KCI등재

        광량과 미생물 처리가 실내용 관엽식물 드라세나 색채에 미치는 영향

        김유선(Kim, YooSun),신상은(Shin, SangEun) 한국색채학회 2017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1 No.3

        Along with an increased interest in using interior plants to provide color and a natural environment indoors,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on improving growth methods of indoor plants. By analyzing color changes in a foliage plant (Dracaena) treated with diverse microorganisms under various indoor light condition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icroorganism treatment on indoor foliage plants. Dracaena was selected upon the advice of two plant experts, one color expert, and one plant seller, based on the plant’s beautiful shape, patterned leaves, and available production. The treatment plots had 50% shading (one shading net) and 100% shading (two shading nets); a non-treatment plot without a shading net was used as the control. An easily applicable microorganism agent (from G company) was selected to provide the basis for treatments made by mixing with two types of germicide, one type of soil microorganism agent, and two types of nutritional supplement. The treatment plot containing the germicide and type did not improve Dracaena leaf color and the influence of the microorganisms varied according to shading amounts. Each treatment plot showed significant and diverse relationships between Dracaena leaf color and microorganism type. In addition to applying this method to indoor plants other than Dracaena, future research should investigate additional method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color of indoor plants.

      • KCI등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관엽식물 색채분석을 통한 색표집 제안

        김유선(YooSun Kim),최스란(SueRan Choi),전봉(Bong Jun)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1

        관엽식물의 객관적인 색채 정보를 확보하고 관엽식물을 구분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색상 판별표준 색표집을 제시하고자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국내 유통되고 있는 관엽식물 색채를 분석 후 국내?외(서울색 100색 색표집,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 색표집, RHS color chart)색표집을 분석한 내용을 적용하였다. 국내 색표집인 서울색 100색 색표집과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 색표집에서는 목적에 맞는 대상을 선택한 방법과 색측값을 넣은 방법을 선택하였다. 국외 색표집인 RHS color chart에서는 추출되는 모든 색채를 사용한 방법과 색채계열 분류와 구성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였다. 관엽식물 색표집은 색상계열로 분류 후 각 색상계열의 색채를 채도 10단계로 나눠서 분류 후 채도 8~10단계의 색채를 기준색으로 색상환 별로 나열 후 각 기준색을 다시 8단계((기준색→채도가 높고 명도가 낮은 색→Grayish하며 명도가 높은 색→채도가 높고 명도가 낮은색 순으로 그라데이션으로 구성)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제안된 관엽식물 색표집은 45종에서 같은 종이라도 다른 무늬와 색채로 육종된 더 많은 식물이 추가되어야 하며 전문가에 의해 채도가 높은 색을 선별 시 명확한 환경에서의 전문가의 의한 선별에 관한 계속적인 검증과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8단계 구성을 제작하여 사용 후 단계의 수정단계가 필요하며 8단계 구성에서 추출된 색을 넣고 부족한 단계에서 임의 색채를 넣을 때, 과학적이고 전문가에 의한 시각적인 선택의 기준의 명확성에 대한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법으로 색표집을 제작하여, 여러 문제점을 파악 후 여러 번의 개정판을 제작하는 단계 필요하다. 이처럼 제안된 관엽식물 색표집은 여러 수정해야 할 부분과 한계점이 있지만,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물에 관한 색표집이 없는 실정으로 본 연구를 기초로 자연색채의 활용성이 높아지고 식물관련 업종이나 학계에서도 관심가지기를 기대해본다. To suggest a systemic color distinction standard that can be used to obtain objective color information on ornamental foliage as well as classify ornamental foliage plants, the followings are found: After analyzing ornamental foliage plant colors distributed in Korea, a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oul color 100colors color atlas, public design color standard guide color atlas, RHS color chart)color atlas is applied. This Seoul color 100colors color atlas which is a domestic color atlas and public design color standard guide color atlas used to select suitable objects and obtain color values. RHS color chart, a foreign color atlas is to extract colors as well as for color line classification and configuration. After classifying ornamental foliage plant colors into a color series, each color series is classified into a 10-step chroma. Colors of the 8-10-step chroma is listed according to the color wheel as principle colors. Each principle color shall be arranged as a gradation in the following 8-step order (principle color →colors with high chroma and low brightness→grayish with high brightness→colors with high chroma and low brightness). For the suggested ornamental foliage plant color atlas, more plants with other patterns and colors are added among 45 types. When an expert selects a color with a higher chroma, continuous verification in a proper environment is required. After establishing the 8-step composition, there is a modification step. There is a limitation in terms of clarity of visual selection standards by the expert when the extracted colors are put into the 8-step composition, and random colors are in a deficient step. By producing a color atlas, various problems can be solved. Even though this suggested ornamental foliage plant color atlas requires additional modifications and has limitations, utilization of natural colors as well as interest in plant-related jobs can b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