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ACUM 기법을 활용한 간호대학생의 학교현장실습 직무분석

        서요한(Yohan Seo)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초등학교 현장실습에 관한 직무 및 과업을 DACUM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J도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의 보건교사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초등학교 현장실습과정을 수행한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여 임무, 과업, 과업별 중요도, 난이도, 빈도 등의 직무내용을 분석하였고,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도구, 장래전망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직무분석 내용은 J시, I시, G시 등의 학교현장전문가 7인과 교육학전공 교수 2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DACUM 차트를 개발하였다. DACUM 차트는 6개 임무와 24개 과업으로 구성되었고,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로는 초등학교 학교현장실습의 임무 중 건강관리는 가장 중요도가 높은 과업으로 산출되었고, 교수학습능력과 문서작업능력이 실습을 위한 기본적인 기술로 제시되었다. 학교현장에서의 보건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에 대한 중요도는 증가되므로 보건교육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기관의 제도적 노력과 교육환경 개선 등의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uties and tasks of pre-service health educa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using DACUM method. DACUM workshop was conducted for the fourth year nursing students located in J province who completed a health teacher teaching course and performed practical training course in elementary school. By carrying out DACUM workshop duties, tasks, task-specific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were analyzed, and were derived with the knowledges, skills, attitudes, tools, and future prospects on job requirements and characteristics. The derived job analysis information wa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from 6 field experts in school and 2 professors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DACUM chart was developed. DACUM chart was consisted of 6 duties and 24 tasks, knowledges, skills, and attitudes for job performance were derived.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health care in elementary pre-school health education teacher practicum was listed as the most important duty. Teaching and writing skills were presented to practice basically. Because the importance and role of the health teachers in school are considered necessary, it is considered to increase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인과적 관계

        서요한(Yohan Se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행동의 선택과 지속성을 유지하는 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와 자기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와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인식을 통해 형성되는 주도적인 학습능력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J도 소재 3개 전문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각각의 잠재변인은 직업기초능력,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고 간호전문직관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완전매개로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간호전문직관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pirically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the selection of behavior and sustainability as a variable affecting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There is a ne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m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on the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396 nursing students from three junior colleges in J province were sampled for convenience. All of the lat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vocational core competency, self-efficac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x indexed of causal model among ocational core competency, self-efficac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identified suitably. Second, self-efficacy had no direct effect on vocational core competency, however,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vocational core competency. Third, nursing professionalism had direct effect on vocational core competency and als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vocational core competency. Four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direct effect on vocational core competency.

      • KCI등재

        시뮬레이션교육 디브리핑이 간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미현(Mihyun Jeong),서요한(Yohan Seo) 한국유화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교육의 디브리핑과 직업기초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도에 소재하는 K 대학의 간호학 전공 4학년 학생 203명이었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교육 디브리핑은 직업기초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이었으며,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디브리핑은 ‘토론유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기초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뮬레이션교육의 토론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debriefing of nursing simulation based education and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improving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in nursing students. Participants were 203 4th-year nursing students at K college in J province. Debriefing of nursing simulation based edu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The factor influencing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was provokes engaging discu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programs that develop discussion activity of nursing simulation based education are necessary for nursing students to promote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진학동기, 진로희망 구체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유형 및 진로소명 차이 분석

        정보영(Boyoung Jung),서요한(Yohan Seo) 한국기업교육학회 202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학동기와 진로희망 구체성 등 개인적 요인이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소명에 어떠한 효과를 갖는지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전북지역 K간호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plus 8,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Chi-square test,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발적 진학동기에 의해 진학한 간호대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 수준 및 진로소명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간호계열의 구체적 직무를 희망 진로로 선택한 간호대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소명 수준이 높았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유형은 4개로 군집화 되어, 각각 ‘사회-정서 집단’, ‘균형적응 집단’, ‘건강취약 집단’, ‘정서취약 집단’ 으로 명명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유형은 자발적 진학동기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진로소명 수준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소명 수준은 사회-정서집단에서 타 집단보다 높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으로 적절한 관계를 맺고 감정적으로 적응하는 학생의 진로소명이 높으므로 이를 지원해야 한다는 점, 건강은 진로소명을 갖는 데 제약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정서적 적응이 중요하다는 점 등을 결론지었다. 이러한 결과 및 결론을 통해 간호교육 및 간호대학생 진로 데이터 분석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personal factors such as motivation of entering college and concrete of career hope on college adjustment and career call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at K nursing colleges in Jeollabuk-do, Republic of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hi-square test, and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M-plus 8 and SPSS win 23.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entered with spontaneous motivation of entering colle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e adjustment level and career calling level than those who did not. Also, students who have made concrete career hope had higher level of career calling than those who did not. The study identifies four types of college adjustment for nursing students, namely ‘Social-emotional high’, ‘Balanced high’, ‘Physically weak’ and ‘Emotionally weak’. The college adjustment typ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spontaneous motivation of entering college and also at the level of career calling. Specifically, the career calling level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s higher for those in ‘social-emotional high’ than in other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career calling of students with socially appropriate relationship and emotional adaptation should be supported as they have higher career calling. Also,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health status has no constraint on having a career calling, while emotional adaptation is crucial for it. Based on these results and conclusions, implications for nursing education and career data analysi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