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반도체 테스트 장비의 발열 부위에서 방열판 효과의 열전달 해석

        음푸른별(Pu-Reun-Byul Eum),안지은(Ji Eun An),김인한(In Han Kim),김용운(Yong Woon Kim) 대한기계학회 201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5 No.11

        Final test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s a very important step for quality control and cost reduction. The heat generated by the FOB (Fan Out Buffer) chips which is attached on the bottom side of socket board in the semiconductor test equipment causes target testing semiconductor’s temperature increasing and sometimes test equipment shutting down. Moreover, it makes confusing on deciding pass or fail. These problems would be the reasons of increasing test time and cost in semiconductor test process. One way to improve these phenomena is attaching a heat sink to the heating area. This study is about prediction of the effects by heat sink attachment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d calculation of decreasing device temperature (target testing semiconductor) once heat sink is attached to the heat area.

      •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uminescence Film Sensor for Detecting Defects of Barrier Films

        Choi, Pu-Reun,Kim, Hyun Chul,Kim, Sun Min,Koo, Eunhae Hindawi Limited 2016 Journal of nanomaterials Vol.2016 No.-

        <P>The most critical issue on flexible electronics such as organic solar-cell, OLEDs, and flexible display is the protection of the core active materials from the degradation by water and oxygen. The defect of barrier film is the main channel for the transmission of water and oxygen molecules. Herein, in order to monitor the defects of barrier films, we have developed anthracene boronic acid pinacol ester (ABAPE) sensor which is very sensitive to water vapor. When ABAPE film is exposed to water, it gives off fluorescence emission at 389 and 408 nm under excitation peak at 366 nm. Based on the fluorescence microscopy and SEM images, the optical method using the ABAPE sensor film can monitor the defects of barrier film smaller than 1 <I>μ</I>m. This result suggests that ABAPE can be utilized to monitor the defect and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 in the barrier film.</P>

      • KCI등재

        행동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 아동열람실의 시각적 공간 평가

        류푸른 ( Pu Reun Ryu ),이원재 ( Won Jae Lee ),김억 ( Uk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1

        (연구배경)21세기는 고도로 발달한 정보화 시대를 살고 있으며, 자율화된 문화와 복지사회로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발전으로 인해 아동들은 컴퓨터와 매스미디어를 쉽게 접하게 되며, 연령도 점점 낮아지는 현상으로 독서와는 멀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생애주기별 발달단계 중 아동의 단계는 성장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시기로서 물리적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주변환경의 경험과 체험이 아동의 신체적, 인지적 발달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아동에게 영향을 끼치는 여러 가지 환경 중공공도서관의 아동열람실은 아동들의 사회교육기관으로서 아동들의 올바른 독서습관형성과 심리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야 할 책임과 역할을 갖고 있다. (연구방법 및 목적)본 연구는 시각적요소를 중심으로 아동행동특성 공간 유형을 통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아동열람실에 적용시켜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책을 제시하고 올바른 독서문화 정착을 위해 실내공간요소의 기준을 제공하고자 한다. 서울시 자치구 대표도서관 중 아동열람실이 배치 되어있고 면적 및 소장자료가 높은 5개의 열람실을 대상으로 주요 이용대상자인 6~13세 미만의 아동들에게 보다 나은 양질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아동행동특성을 분석한 국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시각(視角)적 요소를 중심으로 네가지 핵심 개념인 안전성(Security),공간성(extensity),쾌적성(amenity),접근성(accessibility)의 공간으로 분류하였다. 시각적 요소는 실내 공간의 요소를 판단하기 위해 눈에 보이는 것을 머릿속에서 이미징(imaging)하고 정량화 하는 것을 말한다. 아동들은 성장할수록 새로운 형태를 탐색하고자 하는 호기심과 욕구가 강해진다. 두뇌에서 시각적으로 인지한 후, 신체나 언어로 다양하게 표현하려고 하며 아동의 정서적, 지적능력향상에 도움이 된다. 시각은 외부와 가장 빨리 접촉하며 어떤 감각보다도 넓은 환경과 관계를 가진다. (결과)아동행동특성에 의한 시각적 실내환경요소를 통해 아동열람실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안전성(Security)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쾌적성(amenity)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운영이 잘 이루어지는 곳도 있지만 미흡하여 개선해야할 부분도 있다고 판단되어지며 아동열람실을 이용하는 아동들을 위해 안전한 실내요소와 아동들을 이해하는 공간구성으로 계획되어야 하며 더 나은 환경에서 즐겁게 이용 할 수 있도록 실내환경이 발전이 필요하다는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Background)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informatization and a move towards a liberalized society. Because of the progress in society, children have easy access to computers and mass media, which are being accessed at very young ages, and consequently, they are moving away from reading. Childhood, a developmental stage of life cycle, i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growth and can sensitively respond to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consequently, experiences in the environment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the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Among various environments influencing children, children’s reading rooms in public libraries as soci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have the responsibility and role of shaping good reading habits and satisfying their psychological needs. (Methods and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mprovement strategy by reflecting on children``s behavior related to visual element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of presently functional children‘s reading rooms, and to provide standards for elements of indoor space for creating the right reading culture.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representative libraries of the autonomous regions in Seoul. It examined five reading rooms, including children``s reading room and collected specific data for providing better quality reading experience to children between 6 and 13 years, who are the main users of libraries. The study used a comparative analysis methodology comprising four types of visual elements: security, extensity, amenity, and accessibility, which are used for categorization in (1) analyses of homes, and (2) previous studies review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 process of perception involves ascertaining visual elements in the interior space that are visible to the eye, followed by imaging in the brain, which is finally quantified. Curiosity and a strong desire to explore a new form results in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in children. After being visually perceived in the brain, visual elements try to communicate in a variety of ways and through the body, which helps to improve emotional and intellectual abilities of the child. Visual element speed up perceptual process through an extensive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Results) Through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children’s reading rooms with standards of visual elements for indoor space by means of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t was found that security was desired the most and amenity the least. Thus, there are many aspects to be enhanced and safe indoor elements should be kept in consideration while planning for children‘s reading rooms. The indoor environment has to be enhanced for children to bask in a favorable environment.

      • 반도체 검사 장비의 ASIC 및 Socket board의 열전달 해석

        음푸른별(Pu-Reun-Byul Eum),안지은(Ji Eun An),이재상(Jae Sang Lee),윤현식(Hyun Sik Yoon),이인표(In Pyo Lee),정세환(Se Hwan Jung),김용운(Yong Woon Kim)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11

        Final inspection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s a very important step for quality control and cost reduction. The inspection often includes environmental tests, and the heat release from the inspection equipment may sometimes lead to misjudg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eat release and transfer of ASIC board and socket board used in the inspection proces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equipment were discussed to derive considerations to improve its design.

      • 활성화 함수에 따른 인공신경망 모형의 유출량 산정 비교

        김마가 ( Maga Kim ),최진용 ( Jin-yong Choi ),방재홍 ( Jehong Bang ),윤푸른 ( Pu-reun Yoon ),김귀훈 ( Kwihoon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유역유출은 유역에서 수자원 관리 및 운영을 위한 수문계획에 있어서 기본적인 요소로 수문학적 해석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유역유출은 기상인자, 수문지상인자 등의 영향을 받아 강우에 대한 유역의 반응으로 발생하며 이를 해석하기 위해 강우-유출 과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강우-유출의 연결 매체인 유역의 지형특성, 식생분포, 토지이용, 기상조건 등은 시간적·공간적 변동성이 크고, 유역 내에서 복잡한 관계로 구성되어 있어 유출의 비선형성, 불확실성을 유발한다.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토대로 개발된 대부분의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은 물리적 현상에 대한 반응을 수학적으로 정상화하여 유출을 모의하지만 유출의 비선형적 특성으로 인해 모형화가 어렵고 매개변수를 보정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인공신경망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은 비매개변수법의 일종으로 기상, 수문과 같은 비선형의 자연 현상을 모의하기에 적합하며, 1990년 대 이후 다양한 수문분야에서도 신경망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공신경망은 자료를 기반으로 한 기계학습으로 은닉층에서 입력층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가공하여 출력층으로 전달한다. 이때 인공신경망의 성능은 은닉층의 노드 수, 학습률이나 활성화 함수의 영향을 받으며 인공신경망의 학습을 위해 양질의 자료를 필요로 한다. 특히 활성화 함수는 은닉층에서 입력 받은 정보를 전달할 때 다음 층으로 어떻게 출력할지를 결정하며, 활성화 함수에 따라 출력값의 범위나 특징이 달라지기 때문에 적절한 활성화 함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에 따른 유역유출을 산정하기 위해 인공신경망 모형을 구성하고 활성화 함수에 따른 유출량 산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동일한 자료와 동일한 형태의 인공신경망 모형에 대해 Sigmoid, ReLU, ELU 활성화 함수를 은닉층과 출력층에 적용하고 실측값과 비교하여 활성화 함수에 따른 유출량 산정 결과를 평가하였다.

      • 인공신경망 모형의 장기유출예측 적용에 관한 고찰

        김마가 ( Maga Kim ),최진용 ( Jin-yong Choi ),방재홍 ( Jehong Bang ),윤푸른 ( Pu-reun Yoon ),김귀훈 ( Kwihoon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유역에서 장기유출의 해석은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문 계획에서 중요한 요소로 유역 내의 수리시설물의 설계와 수리시설물의 운영, 하천유지유량 결정 등 유역 내 물 관리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유출은 강우에 대한 유역의 반응으로 발생하는데 기상인자, 수문지상인자 등의 복잡한 관계로 인해 비선형적 특성을 지닌다. 강우-유출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에서 물리 현상을 수학적으로 정의하기 어려우며 매개변수 보정에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인공신경망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은 자료를 기반으로 학습하는 기계학습의 일종으로 접근이 용이하고, 비선형적 자연현상을 모의하기에 적합한 모형이다. 1990년 대 이후 다양한 수문분야에서도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역유출을 모의하기 위해 선행 강우량, 선행 유출량을 입력 자료로 이용하여 단기유출을 예측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다. 인공신경망은 주어진 자료를 통해 학습을 수행하기 때문에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입력에 대해서는 정확도가 현저하게 낮다. 따라서 인공신경망 모형의 학습에 사용한 입력, 출력 자료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정확한 예측이 어려우며, 단기 유출 예측 모형을 바로 장기 유출 예측에 적용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단기유출 예측만으로는 장기적인 수자원 계획의 수립이 어려우며, 단기 유출 예측 인공신경망 모형을 장기 유출 예측에 적용했을 때 성능 차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선행 강우량, 선행 유출량을 입력으로 이용한 단기 유출 예측 신경망 모형, 2) 선행 강우량, 단기 유출 예측 결과를 입력으로 이용한 장기 유출 예측 신경망 모형을 구성하여 비교하였다. 실측 유출량과 신경망 모형의 유출량 산정 결과를 비교하여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단기 유출예측 신경망 모형을 장기 유출 예측에 적용할 경우 성능 변화를 확인하였다.

      • 창의융합형 수업 스캐폴딩을 위한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개발 및 효과 연구

        윤덕현(Deok-Hyeon Yoon),김석희(Seok-Hee Kim),송연정(Yeon-Jeong Song),최종연(Jong-Yeon Choi),유푸른(Pu-Reun Yu),이지영(Ji-Yeong Lee),송혜선(Hye-Seon Song),윤형준(Hyeongjun Yun)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는 2018년 4월 수학, 과학, 정보교육 진흥법 공표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소프트웨어에 기반한 창의융합형 수업을 스캐폴딩하기 위해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이다. 소프트웨어는 스크래치 기반의 데스트탑 소프트웨어와 아두이노용 펌웨어, 모바일 소프트웨어 3부분으로 되어 있다. 소프트웨어의 효과성 연구를 위해 교사 연수와 6학년 학생 수업 후 설문조사를 통한 만족도 조사가 이루어 졌으며, 조사 결과 학교 현장에서 창의융합형 스캐폴딩 소프트웨어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