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조개,백합,피조개 및 꼬막 발의 복합당질에 대한 Lectin 결합양상, Alkaline 및 Acid Phosphatase 분포에 관한 조직화학적 연구

        조운복,강미경,정길남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교사교육연구 Vol.44 No.-

        Lectin binding patterns of glycoconjugates of the foot of Saxidomus purpuratus, Meretrix lusoria, Scapharca broughtonii and Tegillarca granosa were studied lectin methods, i.e., 9 kinds of biotinylated lectins (DBA, SBA, PNA, BSL-1, RCA-1, sWGA, UEA-1, LCA and ConA). The activities of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s of the foot in these species were studied with modified Gomori's methods. Lectin binding patterns of glycoconjugat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shellfish species, and protions of the foots. Lectin binding patterns of the epithelial cilia of the foots showed 9 biotinylated lectins binding in Saxidomus purpuratus, 8 biotinylated lectins binding except SBA in Meretrix lusoria, DBA, PNA, RCA-1 and LCA binding in Scapharca broughtonii and lectins of UEA-1, LCA, and ConA binding in Tegillarca granosa. Especially, these cilia showed moderate or moderate to intense with SBA and BSL-1 binding in Saxidomus purpuratus, and DBA binding in Scapharca broughtonii and Meretrix lusoria, respectively, but moderate with LCA binding in Tegillarca granosa. The cytoplasm of the foot epithelial cells appeared 6 lectins binding except SBA, UEA-1 and RCA-1 in Tegillarca granosa, while 9 lectins binding in other species. Especially, these cytoplasm showed a moderate with ConA binding in Tegillarca granosa, sWGA binding in Meretrix lusoria, LCA, sWGA, RCA-1 and PNA binding in Scapharca broughtonii, but moderate to intense with LCA binding in Saxidomus purpuratus, and DBA and LCA binding in Meretrix lusoria. Lectin binding patterns of glycoconjugates in the duct and mucous acini of the foot glands occurred 5 lectins affinity except PNA, sWGA, UEA-1, LCA and ConA in Saxidomus purpuratus, 8 lectins affinity except RCA-1 in Tegillarca granosa, and 9 lectins affinity in other speices. These mucous acini occurred intense with sWGA binding, moderate with BSL-1 and SBA in Scapharca broughtonii, and moderate to intense with sWGA in Saxidomus purpuratus, with BLS-1, RCA and sWGA in Meretrix lusoria, with SBA and BSL-1 in Tegillarca granosa, but moderate with DBA, ConA and sWGA in Tegillarca granosa. In the intraepithelial duct of these glands, sWGA binding was weak to moderate in Saxidomus purpuratus, and moderate in other species. These ducts showed a moderate affinity for SBA, PNA and RCA-1 in Scapharca broughtonii, ConA in Tegillarca granosa, and UEA-1 in Meretrix lusoria. On the other hand, the ducts of these glands within connective tissue showed a moderate to intense affinity for RCA-1 in Meretrix lusoria, a moderate affinity for SBA and sWGA in Scapharca broughtonii, and DBA, SBA, sWGA and ConA in Tegillarca granosa. In the granules of connective tissue, a weak to moderate affinity for only sWGA was found in Scapharca broughtonii. But in Tegillarca granosa, DBA, SBA, BSL-1, LCA and ConA binding were detected and DBA, SBA and BSL-1 was moderate to intense. Activities of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s of the epithelial cilia occurred presented faint in Meretrix lusoria, weak in Scapharca broughtonii and Tegillarca granosa. In the cytoplasms of epithelil cells, these activities were trace to weak in Saxidomus purpuratus and Meretrix lusoria, weak to moderate in Scapharca broughtonii and Tegillarca granosa. In the epithelial ducts of these glands, the activities were faint in Saxidomus purpuratus and Meretrix lusoria. In mucous acini and granules of connective tissue, the activities of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s were weak to moderate in only Scapharca broughtonii and Tegillarca granosa. 개조개, 백합, 피조개 및 꼬막 발의 복합당질 성상은 DBA, SBA, PNA, BSL-1, RCA-1, sWGA, UEA-1, LCA 및 Con A등 9종의 biotinylated lectin을 이용한 lectin 조직화학법 그리고 alkaline 및 acid phosphatase의 활성은 Gomori변법으로 관찰하였다. 복합당질에 대한 lectin의 결합 양상은 조개 종 및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상피세포의 섬모에 대한 lectin의 결합 양상은 개조개는 9종 lectin 모두, 백합은 SBA를 제외한 8종 lectin에, 피조개는 DBA, PNA, RCA-1, 및 LCA 4종 lectin에, 꼬막은 UEA-1, LCA 및 Con A 3종 lectin에 반응하였으며 개조개는 SBA 및 BSL-1에, 백합과 피조개는 DBA에 중등도 내지 강한 반응 또는 중등도 반응을, 그리고 꼬막은 LCA에 중등도 반응을 나타내었다. 상피세포의 세포질은 꼬막은 SBA, UEA-1 및 RCA-1를 제외한 6종 lectin에 그외 종은 9종 lectin 모두 반응하였으며 꼬막은 Con A에, 백합은 sWGA에, 피조개는 LCA, sWGA, RCA-1 PNA 및 DBA에 중등도 반응을, 그리고 개조개는 LCA에, 백합은 DBA에 중등도 내지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발샘 도관 및 점액샘꽈리 복합당질에 대한 lectin의 결합 양상을 보면 개조개는 PNA, sWGA, UEA-1, LCA, Con A 5종 lectin에, 꼬막은 RCA-1을 제외한 8종 lectin에, 그 외 종에서는 9종 lectin 모두에 반응하였다. 발샘의 점액샘꽈리는 피조개에서 sWGA에 강한 반응을, BSL-1 및 SBA에 중등도 반응을, 개조개에서는 sWGA에, 백합은 BSL-1, RCA 및 sWGA에 중등도 및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꼬막은 SBA 및 BSL-1에 중등도 내지 강한 반응을, DBA, Con A 및 sWGA에 중등도 반응을 나타내었다. 도관에서 sWGA는 개조개에서 약한 반응 내지 중등도 반응을, 그 외 종에서는 중등도 반응을, SBA는 피조개에서, Con A는 꼬막에서 중등도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결합조직 발샘 도관에서 백합은 RCA-1에 중등도 내지 강한 반응을, 꼬막은 SBA와 Con A에 중등도 반응을 나타내었다. 결합조직 과립은 피조개에 sWGA에만 약한 반응 내지 중등도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꼬막에서는 DBA, SBA, BSL-1, LCA 및 Con A 5종 lectin에 반응 하였으며 DBA, SBA 및 BSL-1에 중등도 내지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Alkaline 및 acid phosphatase의 활성은 상피세포의 섬모에서 개조개와 백합은 미약한 반응을, 피조개와 꼬막은 약한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세포질에서 개조개와 백합은 미약한 반응 내지 약한 반응을, 피조개와 꼬막은 약한 반응 내지 중등도 반응을 나타내었다. 상피의 발샘 도관은 개조개와 백합에서 미약한 반응을, 발샘의 도관과 점액샘꽈리 및 결합조직 과립은 피조개와 꼬막만 약한 반응 내지 중등도 반응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흰쥐 혀 침샘 점액질에 미치는 paraquat 독성에 대한 녹차의 완화효과

        조운복,정길남,조기진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2003 교사교육연구 Vol.42 No.-

        흰쥐의 혀 미각샘 및 점액샘과 그 점액질에 미치는 paraquat 독성과 녹차의 paraquat 독성완화 효과를 대조군, paraquat 투여군, Paraquat-녹차 투여군, 녹차 3주 투여후 paraquat-녹차 투여군으로 나누어 prelectin 조직화학법으로 연구하였다. Paraquat 투여군 미각샘은 대조군에 비해 장액샘꽈리 위축, 장액세포의 과립의 감소 및 소실, 공포변성 등이, 점액샘은 점액샘꽈리의 위축, 확장 또는 융합, 점액세포의 과립의 감소, 공포변성 및 미성숙 샘꽈리 등이 대조군에 비해 많이 관찰되었다. 미각샘 및 점액샘 도관상피의 점액화도 관찰되었다. Paraquat-녹차 투여군과 녹차 3주 투여후 paraquat-녹차 투여군에서는 paraquat 투여군의 미각샘과 점액샘의 형태적 변화가 대조군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후자에서 더 현저하였다. Paraquat 투여군의 미각샘의 중성점액질과 점액샘의 산성 및 중성점액질 양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Paraquat 투여군의 혀 점액샘에서 sulfomucin을 분비하는 점액세포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sialomucin을 분비하는 점액세포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araquat-녹차 투여군과 녹차 3주 투여후 paraquat-녹차 투여군에서 대조군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후자에서 더 현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araquat는 혀 미각샘 및 점액샘과 그 분비물인 점액질에 강한 독성을 나타내며 이 독성에 대해 녹차가 완화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고 녹차 3주 투여후 paraquat-녹차 투여군에서 녹차-paraquat 투여군보다 완화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paraquat 독성에 대한 완화효과는 녹차를 투여하는 시기와 그 양에 따라 더 효과가 있고 녹차에 paraquat 독성 발현억제 및 예방물질이 있음이 사료되어진다. Paraquat toxicity and the alleviating effects of green tea on the toxicity to the rat lingual mucins were investigated through prelectin histochemical methods. Mucosubstances properties were stained with PAS, AB pH 2.5, AB pH 1.0, AB pH 2.5-PAS, AF pH 1.7-AB pH 2.5 and HID-AB pH 2.5 methods. Sprague-Dawley male adult rats(250∼300g) were divided into one control group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DP group which was administrated by only 0.04% paraquat in the drinking water for one week, GP group which was fed by both 0.04% paraquat and 3% green tea for one week, and GGP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both 0.04% paraquat and 3% green tea for one week after 3% green tea in the drinking water was dosed for three weeks. For the morphological changes, the lingual gustatory glands of DP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ere noted atrophy of serous acini, decrease and disappearance of zymogen granules, and vacuolation in the serous cells. And the lingual mucous glands of DP group showed atrophy of mucous acini, and decrease of mucigen granules. Especially, many enlarged, fused mucous acini, and vacuolated mucous cells were detected. Mucification of duct cells increased very notably in DP group. The groups of feeding green tea showed recovering tendency. The recovery degree of GGP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GP group. And GGP group recovered almost up to the state of the control group. Neutral mucin of the gustatory gland, and acid and neutral mucins of mucous gland decreased very notably in DP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decrease of acid mucin was more notable than that of neutral mucin in the mucous gland. And DP group showed that the mucous acini which secrete strong sulfomucin decreased, but the mucous acini which secrete sialomucin increased remarkably. GP and GGP group appeared the recovering tendency to the control group. The recovery of GGP group, comparing the degree, was more remarkable than that of GP group. And GGP group recovered almost up to the state of the control group. Consequently,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paraquat exhibites the toxicity which affects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mucosubstances properties in the lingual salivary glands, and also suggest that green tea alleviates this toxicity. The different results of recovering tendency of paraquat toxicity in GP and GGP group indicate that the alleviating effects of green tea on paraquat toxicity to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mucosubstances in the lingual salivary glands depend on the dosing time and the amount of green tea. Furthermore, green tea is presumed to have effects to recover from paraquat toxicity, to suppress exhibition of paraquat toxicity and to prevent paraquat toxicity.

      • Cyclophosphamide가 흰쥐 혀침샘의 점액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화학

        조운복,정길남,조기진,이응희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06 科學敎育硏究報 Vol.33 No.-

        항암 및 항종양 치료제인 CP가 흰쥐의 혀 미각샘과 점액샘의 형태 및 그 분비물인 점액질에 미치는 영향을 PAS, AB pH 2.5, AB pH 2.5-PAS, AB pH 1.0, AF pH 1.7-AB pH 2.5 및 HID-AB pH 2.5 염색법으로 연구하였다. 1. CP군의 혀 미각샘의 형태적인 변화는 장액샘꽈리의 위축 및 파괴, 장액세포의 세포질과립의 감소 및 소실, 세포질의 공포변성 그리고 일부 도관상피세포의 점액화였으며, 혀 점액샘의 형태적 변화는 점액샘꽈리의 확장, 융합, 파괴, 점액세포의 세포질과립 감소 및 소실, 세포질의 공포변성 그리고 도관상칙의 현저한 점액화였다. 2. 혀 미각샘의 중성점액질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극소수의 미각샘세포에서 산성 점액질이 나타났다. 혀 점액샘의 중성점액질과 산성점액질은 대조군에 비해 다같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산성점액질 중 sulfomucin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sialomucin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effect of cyclophophamide(CP) on the mucins of rat lingual salivary gland was examined by prelectin histochemical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ighing about 250-300 gm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CP groups. Control group was administrated by only drinking water for one week, CP group which was admirdstrated by 0.04% CP in the drinking water for one week. Mucins properties were stained with PAS, AB pH 2.5, AB pH 2.5-PAS, AB pH 1.0, AF pH 1.7-AB pH 2.5 and HID-AB pH 2.5 methods. 1. For the morphologic changes, the lingual gustatory glands of CP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ere noted atrophy of serous adrd, decrease and disapperance of zymogen granules and vacuolation tn the serous cell. The mucification of duct cells was appeared in CP group. And the lingual mucous glands of CP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howed atrophy of mucous acini, and decrease of mudgen granules in mucous cells. Especially, many enlarged, fused mucous acini, and vacuolated mucous cells were detected. The mucification of duct cells increased very notably in CP group. 2. Neutral mucin of the lingual gustatory gland, and add and neutral mucins of lingual mucous gland decreased very remarkably in CP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decrease of acid mucin was more remarkable than that of neutral mucin in the mucous gland. But, in CP group, the mucous cells which secrete sulfomudn decreased, and the mucous cells which secrete sialomucin increased remarkably.

      • KCI등재

        전어,볼락,말쥐치 혀의 조직학적 구조 및 Glycoconjugates에 대한 Prelectin 조직화학

        정길남,강미경,조운복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6 교사교육연구 Vol.45 No.-

        경골어류인 전어, 볼락 및 말쥐치 혀의 구조는 H-E 염색, PAS 염색 및 AF pH 1.7-AB pH 2.5 염색으로, 혀 점액질 성상은 AB pH 2.5, AB pH 1.0, AB pH 0.4, PAS, AB pH 2.5-PAS, AB pH 1.0-PAS 및 AF pH 1.7-AB pH 2.5 염색으로 검색하였다. 1. 전어, 볼락 및 말쥐치 혀의 상피는 중층편평상피로 구성되며 점액세포들이 전어에서 혀 등쪽상피세포사이에, 볼락과 말쥐치에서 등쪽면과 하면 상피세포사이에 분포하며 모든 어종에서 등쪽면에 더 많이 분포하고 점액세포 수는 볼락에서 제일 많고 그 다음이 말쥐치, 전어였다. 2. 혀 결합조직은 전어는 섬유연골판, 탄성연골판 및 초자연골판으로, 볼락은 섬유연골판, 큰 상피양소체, 백색지방조직 및 초자연골판으로, 말쥐치는 섬유결합조직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3. 혀 점액세포는 말쥐치는 neutral GCs만을 함유하나 전어와 볼락은 acid GCs와 neutral GCs가 다같이 나타나며 전어는 acid GCs의 양이 많았다. 전어는 nonsulfated GCs 양이 sulfated GCs 양보다 훨씬 더 많았으나 볼락은 sulfated GCs 양이 nonsulfated GCs 양 보다 더 많았다. 말쥐치는 neutral GCs만을 분비하는 점액세포 1종이, 전어는 nonsulfated GCs를 분비하는 점액세포, nonsulfated GCs와 sulfated GCs를 분비하는 점액세포 2종이, 볼락은 sulfated GCs를 분비하는 점액세포, sulfated GCs와 nonsulfated GCs를 분비하는 점액세포 및 nonsulfated GCs를 분비하는 점액세포 3종이 관찰되었다. 4. 혀 결합조직 GCs의 조직화학적 성상은 어종과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섬유연골판에서 전어 및 볼락은 sulfated GCs와 nonsulfated GCs가 관찰되었으며 전어는 sulfated GCs 양이 더 많았고 볼락은 nonsulfated GCs 양이 더 많았으나 말쥐치는 nonsulfated GCs만을 함유하고 있었다. 전어의 탄성연골판은 neutral GCs만을 함유하고 있었다. 초자연골판에서 전어는 sulfated GCs와 nonsulfated GCs의 혼합성이나 볼락은 sulfated GCs만을 함유하고 있었다. H-E, PAS and AF pH 1.7-AB pH 2.5 stain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study structure of tongues in teleosts, i.e., Clupanodon punctatus, Sebastes inermis and Cantherines modestus. For distribution of lingual mucosubstances AB pH 2.5, AB pH 1.0, AB pH 0.4, PAS, AB pH 2.5-PAS, AB pH 1.0-PAS and AF pH 1.7-AB pH 2.5 stains were performed. 1. The linings of tongues in Clupanodon punctatus, Sebastes inermis and Cantherines modestus were mucous membranes consisting of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with mucous cells. Mucous cells existed in the dorsal surface of lingual mucosa in Clupanodon punctatus, in the dorsal and inferior surface in Sebastes inermis and Cantherines modestus. Mucous cells occurred predominantly in the dorsal surface in the all kinds of fishes studied. Sebastes inermis had the highest number of mucous cells, followed by Cantherines modestus, Clupanodon punctatus. 2. The following lingual cartilages consisted: in Clupanodon punctatus, fibrous cartilage, elastic cartilage and hyaline cartilage; in Sebastes inermis, fibrous cartilage, large epitheloid body, white fat tissue and hyaline cartilage; in Cantherines modestus, fibrous connective tissue. 3. Lingual mucous cells in Cantherines modestus contained only neutral GCs, while it contained both acid and neutral GCs in Clupanodon punctatus and Sebastes inermis. Clupanodon punctatus had much more acid GCs which consisted abundant nonsulfated than sulfated GCs. The following lingual mucous cell consisted: one kind of mucous cells secreting only neutral GCs in Cantherines modestus; two kinds of mucous cells secreting nonsulfated GCs and both nonsulfated and sulfated GCs in Clupanodon punctatus; three kinds of mucous cells secreting sulfated GCs, both sulfated and nonsulfated GCs, and nonsulfated GCs in Sebastes inermis. 4. Histochemical properties of GCs in lingual tissue have differences in species and regions. Fibrous cartilage in Clupanodon punctatus and Sebastes inermis had sulfated and nonsulfated GCs. It had only nonsulfated GCs in Cantherines modestus. Clupanodon punctatus had more sulfated than nonsulfated GCs, while Sebastes inermis had more nonsulfated GCs. Elastic cartilage in Clupanodon punctatus contained only neutral GCs. Hyaline cartilage had a mixtures of sulfated and nonsulfated GCs in Clupanodon punctatus, while it had only sulfated GCs in Sebastes inermis.

      • 개조개, 백합, 피조개 및 꼬막 발의 조직학적 구조 및 점액질 성상에 관한 조직화학적 연구

        강미경,정길남,조운복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05 科學敎育硏究報 Vol.32 No.-

        개조개, 백합, 피조개 및 꼬막 발의 점액질 성상을 PAS 반응, AB pH 2.5 및 AB pH 2.5-PAS, AB pH 1.0, AF pH 1.7-AB pH 2.5 염색 등의 prelectin법으로 관찰하였다. 개조개, 백합, 피조개 및 꼬막 발은 상피, 상피하결합조직 및 근층의 3층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종에서 발의 표면은 단층섬모원주상피로 덮여 있었다. 백합의 발샘의 점액샘꽈리는 작은 구형이고 소수이며 산재성이었으나 그외 종에서는 큰 구형이고 다수이며 밀집해서 나타났다. 발샘의 도관은 개조개와 피조개가 백합과 꼬막보다 더욱 발달되어 있었으며 피조개와 꼬막은 발의 선단부에 깊이 파인 홈이 나타났으며 흠에 접한 상피하결합조직에 작은 구형의 과립이 밀집해 있었다. 상피세포의 섬모에서 개조개와 백합은 강sulfomucin을, 각각 소량, 소량 내지 중등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피조개와 꼬막은 sialomucin과 중성점액질을 중등량 내지 소량 함유하고 있었다. 상피 세포의 세포질은 백합에서만 강 sulfomucin을 미량 내지 소량 함유하고 있었다. 발샘의 도관은 개조개와 백합은 강sulfomucin만을 소량 내지 중등량, 피조개와 꼬막은 소량의 중성점액질과 강 sulfomucin을 중등량 또는 중등량 내지 상당량을 함유하고 있었다. 발샘의 점액샘꽈리에서 개조개 및 백합은 강sulfomucin과 약sulfomucin이 섞여 있었으며 개조개는 중등량 내지 상당량, 백합은 소량 내지 중등량 이었고 피조개와 꼬막은 강sulfomucin만을 함유하였는데 피조개는 중등량 내지 상당량을, 꼬막은 상당량 내지 다량이었다. 발의 결합조직 과립은 피조개에서 상당량 내지 다량의 강sulfomucin을, 꼬막에서 상당량 내지 다량의 중성점액질과 강sulfomucin을 함유하였다. The histochemical properties of mucins of the foot of Saxidomus purpuratus, Meretrix lusoria, Scapharca broughtonii and Tegilltarca granosa were studied prelectin methods, i.e., PAS, AB pH 2.5, Ab pH 2.5-PAS, AB pH 1.0 and AF pH l.7-ABe pH 2.5 stainings. The foots of Saxidomus purpuratus, Meretrix lusoria, Scapharca broughtonii and Tegillarca granosa were composed of three layers, i.e., epithelium,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and muscular layers. The epithelia were lined by simple ciliated columnar cells. The foot gland of Meretrix lusoria consist of multicellular mucous acini were small spheroid in shape and a few in number and scattered, while these acini of other species were large spheroid in shape and were numerous and crowed within connective tissue. The ducts of foot glands were more developed in Saxidomus purpuratus and Scapharca broughtonii than in other species, Particularly, Scapharca broughtonii and Tegillarca granosa showed a deep groove in apical portion of the foot and small spherical granules were found in the subepithielial connective tissue in this portion. The cilia of epithelial cells of the foot gland in Saxidomus purpuratus and Meretrix lusoria were contained only small amounts or small to moderate amounts strong sulfomucins, respectively, while these alia in Scapharca broughtonii and Tegillarca granosa were contained moderate amounts or small to moderate amounts of sialomucins and neutral mucins, respectively. The epihtelial cytoplasm of Meretrix lusoria contained only minimal to small amounts of strong sulfomucins. The ducts of the foot glands in Saxidomus purpuratus and Meretrix lusoria were contained only small to moderate amounts of strong sulfomocins, while these ducts of other spicies were contained small amounts of neutral mucins and moderate or moderate to considerable amounts of strong sulfomucins. The mucous acini of these glands in Saxidomus purpuratus and Meretrix lusoria were contained moderate to considerable and small to moderate amounts of strong and weak sulfomucins, respectively. however, these acini were contained moderate to considerable amounts of strong sulfomucins in Scapharca broughtonii and considerable to large amounts of strong sulfomucins in Tegillarca granosa. The granules within connective tissue of the foot in Scapharca broughtonii were contained considerable to large amounts of strong sulfomucins, but these anules in Tegillarca ganosa were contained considerable to large amounts of neutral mucins and strong sulfomucins.

      •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중 생물영역 내용 분석

        나문경,정길남,이경희,조운복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03 科學敎育硏究報 Vol.30 No.-

        The following was e analysis result of high school textbook(biology) m e seventh curriculum. 1. It followed closely fundamental notions ; deleted nutrition, health, heredity and organized metabolism. 2. The total page of a life unit in each science textbook was like the followings. Textbook A was 23%, textbook B 21%, textbook C 21%, textbook D 23%, textbook E 19%, textbook F 22% and textbook G 22%, respectively. The introduction part in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unit could variously carry out direct and experienced studies, providing cartoons, pictures, photos and questions which caused interesting and motives. 3. In terms of the level among textbook contents, the order was like an tissue and organ(38.1%), cell(26%), individual(12%), molecular biosphere(10.9%), molecule(1.6%), large group(1.0%), and the level was to need basic comprehension about the cell, and molecule, tissue and organ of life in biosphere. Comparing the whole textbooks, the subject dealed with science as research, while it didn't deal with evolution and genetic permanence. Because each textbook set up various research study to perform ingenuity and self-initiative study, reducing class hours as deleting heredity unit in the seventh curriculum. The percentage of the subject of each textbook was the order like G, D, F, A, C, B and E. Comparing to the each subject, it was the order like science as research(31.8%), structure function(22.7%), regulation and homeostasis(18.9%), life and environment(11%), variety and unity, the biological basis of behavior, the history of life notion, genetic permanence, evolution. 4. The following was the times and proportion of research activity. It writed down D(13/20%), C·G(11/17%), A(10/15%), B·F(8/12%), E(4/6%) in metabolism and A·D(11/18%), C·G(10/17%), F(9/15%), E(5/8%), B(4/9%) in stimulus & reaction in order. In terms of the unit, it was the order like D(13/20%), C·G(11/17%), A(10/15%), B·F(8/12%), E(4/6%) in metabolism, A·D(11/18%), C·G(10/17%), F(9/15%), E(5/8%), B(4/7%) in stimulus and counteraction, and C(11/24%), F(9/20%), D·G(7/15%), A·B·E(4/9%) in generation. As it supplied various realizable scientific research-activity in the classroom or laboratory, students studied scientific conception, principal with direct, and concreted experiences and operations. Also, they were understood the materials by reading and thinking the unable activity. 5. As the pictures and photos showed the cartoons in relation to subject and study materials and specific aims, it could motive the student's interest and study. The pictures related to daily life, and it introduce fully the original picture about the human body and sense organ in the generation. And the cartoons and pictures express easily to understand and interesting. Comparing to the total percentage, It is the order like D(118/17%), B·G(114/16%), F(95/14%), C(94/14%), E(83/12%), A(78/11%). But in terms of the each unit of the total textbook, 277% in stimulus and counteraction, 209% in metabolism, there wasn't differences. 6. Further & supplementation courses enabled the students to study science with self-initiative, creative through e discussion method to understand the materials-to get easily, table-not to handle in the main text, picture. And as it also supplied the direct & experimental materials, the students could get the opportunities to close the science.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정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생물영역)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명 단원에서 영양과 건강, 유전을 삭제하고 물질대사를 신설하여 기본 개념 학습에 충실하였다. 2. 과학 교과서별 생명 단원의 총면수는 A교과서가 68면으로 23%, B교과서가 76면 21%, C교과서가 66면 21%, D교과서는 72면으로 23%, E교과서는 69면으로 19%, F교과서는 66면인 22%, G교과서는 72면인 22%로 설정되었으며, 도입부에서는 단원의 주제와 관련하여 실생활 소재나 재미있는 관련 삽화, 사진과 함께 그림을 제시하여 학습 흥미와 동기 유발을 일으킬 수 있는 질문 등을 사용한 점과 다양한 탐구활동을 설정하여 직접적이고 경험적인 활동을 바탕으로 학습을 다양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교과서의 내용 중 수준을 분석한 결과 생물권내에서 생물의 세포, 분자 나아가 조직과 기관의 기본적인 이해를 요하는 수준으로 조직과 기관(38.1%), 세포(26%), 개체(12%), 분자·생물권(10.9%), 분자(1.6%), 군집(1.0%)순이었다. 주제로는 전체 교과서를 비교해 봤을 때 탐구로서의 과학을 주로 다루었으며, 진화나 유전적 연속성은 거의 다루지 않았는데, 7차 교육과정에서 유전단원을 삭제하여 시수를 축소하여, 실생활과 관련한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을 위해 다양한 탐구학습이 주로 설정되었기 때문이다. 교과서별 전체 주제를 다룬 비율을 살펴보면 G, D, F, A, C, B, E순으로 나타났다. 주제별로 비교하면, 탐구로서의 과학(31.8%), 구조화 기능(22.7%), 조절과 항상성(18.9%), 생물과 환경(11%), 다양성과 단일성,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생물개념의 역사, 유전적 연속성, 진화 순이었다. 4. 탐구활동 첫수 및 비율을 비교해 보면 C(19%), D(18%), G(16%), A(15%), F(15%), B(9%), E(8%)순서로 되어 있다. 단원별로 살펴보면 물질대사에서는 D(13/20%), C·G(11/17%), A(10/15%), B·F(8/12%), E(4/6%)로, 자극과 반응에서는 A·D(11/18%), C·G(10/17%) F(9/15%), E(5/8%), B(4/7%)순서로 실려 있었으며, 생식 단원은 C(11/24%), F(9/20%) D·G(7/15%), A·B·E(4/9%)로 되어 있는데, 교실이나 과학실에서 실현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탐구 활동을 제시하여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과 조작을 바탕으로 과학 개념과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고, 실제로 해보기 어려운 활동들은 제시된 자료를 직접 읽거나 보고 생각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수록, 이해하도록 하였으며 과학과 관련된 다양한 읽을거리와 상식들을 제공하여 과학을 가깝고 쉽게 느끼고 접할 주 있도록 하였다. 5. 단원의 성격이나 학습 내용에 부합하는 사진, 그림, 삽화를 제시하고 또한 주제와 관련된 만화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학습동기 유발을 강화하였는데, 사진은 일상생활과 관련되고, 자극과 반응, 생식단원에서는 인체나 감각기 등 실물사진을 상세히 소개하였으며 그림이나 삽화(만화포함)는 재미있고 이해하기 아주 쉽게 표현하였다. 총계적 비율로 비교해보면 D(118/17%), B·G(114/16%), F(95/14%), C(94/14%), E(83/12%), A(78/11%)순이었으며, 전체 교과서의 단원별로는 자극과 반응이 277(%), 생식210(%), 물질대사209(%)순으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심화, 보충학습은 단원별로 쉽게 해볼 수 있는 실험이나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 상식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내용들의 자료제시, 본문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의 자료제시, 표나 그림을 이해하여 정리, 토의하도록 하는 방법들을 통해 과학학습이 자기 주도적, 창의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알코올이 흰쥐 소뇌피질의 복합당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직화학적 연구

        조지은,정길남,조운복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6 교사교육연구 Vol.45 N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0% alcohol on the changes of histological structure and glycoconjugates in rats cerebellar cortex. Sprague-Dawley rats weighing about 200~250 g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10% alcohol treated groups. The treated group with 10% alcohol was divided into 4 subgroups; 1, 2, 4 and 6 weeks alcohol treatmen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change of glycoconjugates, nine biotinylated lectins (DBA, SBA, PNA, BSL-1, RCA-1, sWGA, UEA-1, LCA and Con A)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methods.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cerebellar cortex of the 10% alcohol groups were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10% alcohol groups for 2 and 4 weeks, molecular layer of cerebellar cortex was separated, and number of cells in molecular layer and Purkinje layer decreased. Purkinje cell layer and granular layer were separated. There were extended separation between molecular layer and granular layer matrix, abnormal multiplication and extention of layers. Especially, nerve cells showed histopathological lesions, such as lysis, depression and crush. Because of cerebellar Purkinje cell degeneration, Purkinje cell was fallen apart or got buried in granular layer. In 10% alcohol groups for 6 weeks, size of cerebellar cortex decreased and number and size of cells were also decreased. The change in RCA-1 binding was similar to both drinking and control groups. sWGA binding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decreased 2 and 4 weeks alcohol drinking groups, but showed tendency to increase in 6 weeks group. All lectins binding except sWGA and RCA-1 appeared tendency to increase in drinking groups, especially, LCA binding was notably increased in 6 weeks alcohol drinking group.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lcohol induce significant changes in the morphological structures and glycoconjugates in the rat cerebellar cortex. 흰쥐 소뇌피질의 형태적 구조와 복합당질에 알코올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체중 200~250g의 Sprague-Dawley계 흰쥐를 대조군과 알코올음용군으로 나누고 알코올음용군은 10% 알코올을 계속 음용시켜 1주군, 2주군, 4주군, 6주군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소뇌 피질의 복합당질의 양상을 9종의 biotinylated lectin(DBA, SBA, PNA, RCA-1, sWGA, UEA-1, LCA, Con A, BSL-1)으로 관찰하였다. 알코올음용군에서 소뇌피질의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음용기간에 따라 현저한 변화가 나타났다. 알코올음용 1주군에서 대조군과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알코올음용 2주 및 4주군의 소뇌피질의 분자층 세포들과 조롱박세포의 수가 크게 줄어들었으며 조롱박층이 과립층과 분리되는 경향이 나타났고 분자층과 과립층 기질이 나누어지며 비정상적인 증식 및 층의 확장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신경세포들이 용해되거나 신경세포의 모양이 찌그러지고 함몰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소뇌 조롱박세포의 변성으로 조롱박 세포가 탈락되어지거나, 과립층에 묻혀 구분되지 않는 현상도 나타났다. 알코올음용 6주군에서는 전체적인 소뇌피질의 크기 감소와 더불어 신경세포의 수와 크기가 크게 감소하며 조롱박세포의 함몰, 찌그러짐, 용해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며 신경세포 이상증식에 의한 다층화가 나타났다. 알코올음용군 흰쥐 소뇌피질의 세포들의 복합당질에 대한 렉틴결합양상은 RCA-1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변화가 없었으나, sWGA는 알코올음용 2주군, 4주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다가 알코올음용 6주군에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 외 렉틴반응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LCA는 알코올음용 6주군에서 많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알코올섭취는 소뇌피질의 신경세포의 형태적 변화 그리고 복합당질 대사에 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가 흰쥐 정소의 형태와 복합당질의 Lectin 결합 양상에 미치는 영향

        염영옥,정길남,조운복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7 교사교육연구 Vol.46 No.2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EGEE)를 투여한 휜쥐 정소의 조직학적 구조와 glycoconjugates에 대한 lectin 결합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목적으로 250~300g의 Sprague-Dawley 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대조군과 EGEE 투여군으로 나누고, EGEE 투여군은 다시 EGEE 1주, 2주, 3주 및 4주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조직학적인 변화는 H-E 및 PAS 염색으로 관찰하였고, glycoconjugates의 당잔기 변화는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법으로 biotinylated lectin (DBA, SBA, PNA, BSL-1, sWGA, RCA-1, UEA-1, Con A, LCA)를 사용하였다. EGEE 2, 3, 및 4주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정소의 크기, 정세관의 직경, 정모세포와 정자세포의 수가 감소되었다. 정조세포와 버팀세포의 위축 또는 파괴가 모든 EGEE 투여군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투여기간이 길어질수록 심하였다. 정모세포와 정자세포는 EGEE 4주 투여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EGEE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정조세포의 PNA, RCA-1 및 sWGA 반응성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LCA, Con A의 반응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EGEE 투여군의 정모세포는 SBA는 조금 증가하고, PNA 반응은 크게 증가하였으나 LCA와 Con A의 반응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정자세포는 EGEE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PNA는 크게 증가하였다. 버팀세포의 PNA, UEA-1과 sWGA 반응은 EGEE 투여군에서 감소되어 소실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이질세포에서는 UEA-1 반응성은 소실되었으며 BSL-1 및 Con A 반응성은 EGEE 1주 투여군에서 약간 증가하였으나 Con A는 4주 투여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EGEE는 흰쥐 정소 정세관의 정세포 발생과 정자 형성 및 정소의 glycoconjugates 대사에도 심한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EGEE) on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glycoconjugates of seminiferous tubules of the rat. Sprague- Dawley male rats weighing about 250~300g were divided into a control and EGEE-administrated groups. EGEE-administrated groups were subdivided into 1, 2, 3 and 4 weeks of administrated group. To find the histological changes, H-E and PAS stainings were used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ugar residues of glycoconjugates, biotinylated lectins (DBA, SBA, PNA, BSL-1, sWGA, UEA-1, LCA, and Con A) were applied with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method. Decrease in size of testis, diameter of seminiferous tuble, number of spermatocyte and spermatid were observed in 2, 3, and 4 weeks-administrated group. The shrinkage or demolition of spermatogonia and Sertoli's cells was observed frequently in all EGEE-administrated groups. These changes became more severe as the administration continued. In 4 weeks administrated group, no spermatocyte and spermatid were found. The binding of PNA, RCA-1 and sWGA of spermatogonia tended to decrease, and the reactivity of LCA and Con 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GEE-administrated group. In the spermatocytes, SBA affinity increased slightly, PNA reaction increased abundantly, but the affinity of LCA and Con A decreased remarkably in all administrated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spermatid, the binding of PNA increased notably in the administr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Sertoli's cells, PNA, UEA-1 and sWGA affinity showed the pattern of decreasing and disappearance in the administrated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the Leydig's cells, UEA-1 affinity disappeared, BSL-1 and Con A binding tended to increase slightly in 1 week-administrated group, whereas Con A affinity increased remarkably in 4 weeks-administrated group. In conclusion, it was assumed that EGEE induced seriously toxicity which affected spermatogenesis and spermiogenesis of seminiferous tubules, and metabolism of glycoconjugates of the testis.

      • 제초제 2,4-D가 흰쥐 소장 점액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직화학적 연구

        신인성,정길남,조운복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07 科學敎育硏究報 Vol.34 No.-

        제초제인 2,4-D가 십이지장샘, 십이지장, 회장 및 공장 술잔세포내 점액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성숙한 흰쥐에 제초제 2,4-D 액제를 경구적으로 투여하며 중독시킨 후 3시간군, 6시간군, 12시간군, 24시간군, 48시간군, 72시간군, 96시간군 및 120시간군 별로 나누어 점액샘 및 술잔세포내 점액질 성상을 alcian blue pH 2.5 염색법, alcian blue pH 1.0 염색법, PAS 염색법, alcian blue pH 2PAS 염색법, alcian blue pH 1.0-PAS 염색법 및 aldehyde fuchsin pH 1.7-alcian blue pH 2.5 염색법으로 검색하여 관찰하였다. 십이지장샘내 중성점액질 양은 농약투여 후 12시간군부터 96시간군까지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감소된 중성점액질 양은 농약투여 후 120시간군에서 회복되었다. 농약투여 후 소장 술잔세포내 점액질 감량은 음모상부 및 은와저부 쪽에서 더 심하였고, 산성점액질의 감량이 중성점액질의 감량보다 매우 더 심하였고, 회복도 산성점액질보다는 중성점액질쪽에서 더 빨랐다. 장기별로는 십이지장 술잔세포가 제일 심한 영향을 받았고, 다음 공장 배상세포이었으나 회장에서는 현저하지 않았다. 소장에 있어서 산성점액질의 가장 현저한 감소는 십이지장에서 농약투여 추 12시간군, 24시간군 및 48시간군 또는 공장에서 농약투여 후 24시간군과 48시간군이었으며 현저한 감소는 십이지장에서 농약투여 추 3시간군과 6시간군, 공장에서 농약투여 후 12시간군 그리고 다소 현저한 감소는 회장에서 농약투여 후 12시간군, 24시간군, 48시간군 및 72시간군이었다. 감소된 산성점액질 양은 십이지장 및 공장에서 농약투여 후 72시간군 또는 회장에서 농약투여 후 96시간군에서 점차적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중성점액질 양의 감소는 십이지장에서만 농약투여 후 12시간군, 24시간군 및 48시간군에서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공장 및 회장에서는 중성점액질의 감소가 현저하지 않았으며, 감소된 중성점액질 양은 농약 투여 후 십이지장 및 공장에서 72시간군 또는 회장에서 96시간군에서 점차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장융모 및 은와내 강 sulfated mucin을 분비하는 술잔세포와 sialomucin을 분비하는 배상세포가 농약투여 후 다같이 그 염색성이 감희되었고, 전자가 후자보다 더 심한 영향을 받았으며 회복되는 경향도 늦었다. 특히 공장에서는 sialomucin을 분비하는 술잔세포가 농약투여 후 12시간군, 24시간군 및 48시간군에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effect of herbicide, 2,4-D, on the production, secretion and histochemical properties of the mucosubstances of the duodenal glands and goblet cells in the small intestine. Healthy adult rats weighing about 250~300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ormal and experimental. Each animal of experimental groups was administrated 2,4-D (187.5mg/kg) orally and sacrificed in 3, 6, 12, 24, 48, 72, 96 and 120 hours after 2,4-D administration. The mucous glands and the goblet cells of the small intestine were stained with alcian blue(AB) PH 2.5, AB pH 1.0, periodic acid Schiff (PAS), AB pH 2.5-PAS, AB pH 1.0-PAS and aldehyde fuchsin AF pH 1.7-AB pH 2.5.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Marked diminution of neutral mucosubstances in the duodenal glands was noted up from 12 hours to 96 hours, and recovered gradually from 120 hours after 2,4-D administration. Decrease of both acid and neutral mucosubstances was noted to be considerable in the goblet cells of the small intestine after 2,4-D administration, especially of the upper willi and the basal regions of the crypts, and add mucins became more markedly diminished than neutral ones, while neutral mucins more strikingly recovered than add ones. In comparison with organs, e goblet cells of duodenum seemed to be most strikinly affected, next those of the ileum, but those of jejunum not affected markedly. The most remarkable decrease of acid mucosubstances was observed in the duodenum 12, 24 and 48 hours, in the jejunum 24 and 48 hours. Remarkable decrease of those observed in the duodenum 3 and 6 hours, in the jejunum 12 hours. Slight decrease of those observed in the ileum 12, 24,m 48 and 72 hours after 2,4-D administration. the decreased amount of acid mucins tended to be gradually recovered in the duodenum and jejunum 72 hours, in the ileum 96 hours after 2,4-D administration. The amount of neutral mucins was markedly diminished only in the duodenum 12, 24 and 48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but neutral mucins was not diminished in the jejunum and ileum. The decreased amount of neutral mucins tended to be gradually recovered in the duodenum and jejumin 72 hours and in the ileum 96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Stainability of the goblet cells with strong sulfated mucins and with sialomucins both in the intestinal villi and crypts was generally de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However, the former was more markedly affected than the latter. The tendency of recover appeared to be slow, especially the goblet cells with sialomucins in the jejunum 12, 24 and 48 hours tended to be in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